맨위로가기

빌헬름 하메르스회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빌헬름 하메르스회이는 1864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태어난 화가로, 초상화, 건축, 실내 풍경을 주로 그렸다. 덴마크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891년 화가 페테르 일스테드의 여동생 이다 일스테드와 결혼했다. 1898년부터 1909년까지 코펜하겐 스트란가데 30번지에서, 1913년부터 1916년 사망할 때까지 스트란가데 25번지에서 작업하며 실내 풍경화를 많이 남겼다. 그의 작품은 정적이고 모노톤의 색감, 인물의 뒷모습 묘사 등으로 특징지어진다. 하메르스회이는 유럽 각지에서 전시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1916년 후두암으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화가 - 올루프 하르트만
    덴마크 화가 올루프 하르트만은 전통과 현대를 혼합한 스타일로 신화나 성경 주제를 고전적 윤곽선과 기하학적 구성을 통해 표현했으며, 짧은 생을 살았음에도 20세기 덴마크 회화 발달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사후 재조명되고 있다.
  • 덴마크의 화가 - 마리 크뢰위에르
    마리 크뢰이에르는 덴마크 화가이자 장식가이며 페데르 세베린 크뢰이에르의 아내로, 스카겐 화가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섬세한 감수성과 색채 감각을 바탕으로 여성의 내면을 묘사한 작품을 남겼으나, 남편의 정신 질환과 사회적 제약으로 예술가로서의 활동에 어려움을 겪었고 가구 디자인과 실내 장식에도 재능을 보였으며 후고 알벤과의 결혼 생활 또한 불행했다.
  • 덴마크의 남자 화가 - 비고 모텐슨
    비고 모텐슨은 미국과 덴마크 국적의 배우이자 작가, 사진작가, 화가, 시인으로, 영화 《반지의 제왕》의 아라곤 역으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으며, 다양한 작품에서 뛰어난 연기력을 인정받아 아카데미상 후보에 세 차례 올랐고, 독립 출판사 운영 및 시각 예술 활동, 진보적인 정치 성향과 사회 문제에 대한 발언으로도 알려져 있다.
  • 덴마크의 남자 화가 - 올루프 하르트만
    덴마크 화가 올루프 하르트만은 전통과 현대를 혼합한 스타일로 신화나 성경 주제를 고전적 윤곽선과 기하학적 구성을 통해 표현했으며, 짧은 생을 살았음에도 20세기 덴마크 회화 발달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사후 재조명되고 있다.
  • 1853년 출생 - 칼 라르손
    스웨덴 화가 칼 라르손은 수채화, 유화, 프레스코화 등 다양한 작품을 남겼으며, 가족과 집을 주제로 한 그림, 일본 미술의 영향을 받은 화풍, 그리고 《구스타프 바사의 스톡홀름 입성》과 《동지제의 희생》 등의 대표작으로 유명하다.
  • 1853년 출생 - 메가타 다네타로
    메가타 다네타로는 일본 제국의 관료이자 법률가, 교육자로, 귀족원 의원과 남작 작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대학교 졸업 후 일본 법률 및 재정 제도 정비에 기여했고, 대한제국 재정 고문으로 화폐정리사업을 실시하여 한국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일본 근대 교육 발전에도 공헌했으며 국제연맹 총회에 일본 대표로 참석했다.
빌헬름 하메르스회이
기본 정보
빌헬름 함메르쇠이 자화상 (1895)
자화상 (1895)
본명빌헬름 함메르쇠이
출생일1864년 5월 15일
출생지덴마크, 코펜하겐
사망일1916년 2월 13일
사망지덴마크, 코펜하겐
국적덴마크
직업
직업화가
학력
활동 정보
알려진 작품실내 (1893)
5인의 초상 (1901-02)
흰 문, 혹은 열린 문 (1905)
영향
기타
로마자 표기Bilhelreum Hamaseuhoi

2. 생애

빌헬름 하메르스회이는 1864년 코펜하겐에서 부유한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덴마크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미술 교육을 받았다.[3] 1885년에 열린 덴마크 왕립 미술 아카데미 전시회에서 자신의 여동생이었던 아나 하메르스호이(Anna Hammershøi)를 소재로 한 인물화인 《소녀의 초상화》를 출품했다.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는 이 그림을 칭찬한 것으로 알려졌다.[3]

1891년에는 화가였던 페테르 일스테드(Peter Ilsted)의 누이동생인 이다(Ida)와 결혼했다.[3] 1898년부터 1909년까지는 코펜하겐에 위치한 스트란가데 30번지(Strandgade 30)에서 작업실을 차리면서 실내 풍경을 소재로 한 그림을 제작했고 1913년에는 스트란가데 25번지(Strandgade 25)로 이주했다.[3]

1908년에는 덴마크 왕립 미술 아카데미 총회의 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10년에는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3] 1910년대에는 유럽 각지에서 열린 미술 작품 전시회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1911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국제 미술 작품 전시회에서는 1위를 수상했다.[3] 1916년 코펜하겐에서 후두암으로 인해 사망했다.[3]

프레데리케 하메르스회이, 화가의 어머니 (1886)

2. 1. 초기 생애와 교육

빌헬름 하메르스회이는 1864년 덴마크 코펜하겐의 부유한 상인 가정에서 태어났다.[3] 8세 때부터 니엘스 크리스티안 키에르케고르와 홀거 그뢴볼드에게 드로잉을, 빌헬름 큔에게 그림을 배웠고, 덴마크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프레데리크 베르메렌 등에게서 수학했다.[3] 1885년 샬롯텐보르 봄 전시회에 여동생 안나를 그린 '어린 소녀의 초상'을 출품하여 데뷔하였다.[3] 이 작품은 당시 아카데미의 취향과 맞지 않아 노이하우젠 상에 낙선했지만, 피에르 오귀스트 르누아르가 칭찬한 것으로 알려졌다.[3] 1891년에는 화가였던 페데르 일스테드의 여동생인 이다 일스테드와 결혼했다.[3] 1908년에는 덴마크 왕립 미술 아카데미 총회의 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1910년에는 평의원으로 선출되었다.

2. 2. 결혼과 작품 활동

빌헬름 하메르스회이는 1891년 화가 페테르 일스테드의 여동생 이다 일스테드(Ida Ilsted)와 결혼했다.[3] 이다는 하메르스회이 작품의 주요 모델이 되었으며, 특히 실내 풍경화에 자주 등장한다.[4]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2001년에 하메르스회이와 페테르 일스테드의 공동 작품 전시회를 개최했다.[4]

하메르스회이는 1898년부터 1909년까지 코펜하겐 스트란가데 30번지에서 거주하며 작업했고, 이 시기 많은 실내화를 남겼다.[3] 1909년에 스트란가데 30번지의 소유주가 변경되자 이사를 했고, 1913년에는 맞은편 스트란가데 25번지로 이주하여[3] 1916년 사망할 때까지 작업 활동을 이어갔다.

2. 3. 말년과 사망

빌헬름 하메르스회이는 1908년 덴마크 왕립 미술 아카데미 총회 임원으로 선출되었고, 1910년에는 평의원이 되었다.[3] 1910년대에는 유럽 각지에서 열린 미술 작품 전시회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특히 1911년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국제 미술 작품 전시회에서는 1위를 수상했다.[3] 1914년 어머니가 사망했다.[3] 1916년 코펜하겐에서 인두암으로 인해 사망했다.[3] 만년의 하메르스회이는 병약했고, 어머니를 잃은 충격도 있어, 이 무렵의 작품에는 미완성인 채로 붓을 놓은 것이 많다. 죽기 전 해인 1915년에는 유작이 된 『실내, 스트란게세 25번지』라는 한 점의 그림을 제작했을 뿐이었다.[3]

3. 작품의 특징

빌헬름 하메르스회이는 주로 고향인 코펜하겐에서 활동하며, 초상화, 건축, 실내 풍경을 그렸다.[4] 그는 주변 시골과 다른 지역으로 여행하며 언덕, 나무, 농가 및 기타 풍경을 그리기도 했다. 특히 실내 풍경화로 유명하며, 코펜하겐 스트란가데 30번지(1898년부터 1909년까지 아내와 함께 거주)와 스트란가데 25번지(1913년부터 1916년까지 거주)에서 많은 작품을 그렸다. 유럽을 광범위하게 여행했으며, 특히 안개가 자욱하고 석탄 연기로 오염된 런던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모네와 캠던 스쿨의 만남"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피아노 치는 여인이 있는 실내, 스트란가데 30'' (1901)


''아말리엔보르 광장, 코펜하겐(Amalienborg Square, Copenhagen)'' (1896)


하메르스회이의 아내는 종종 그의 실내 풍경에 등장하며, 다른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보통 뒤에서 묘사되어 "마치 관람자가 공유할 수 없는 무언가에 몰두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4] 이다는 또한 그녀의 오빠인 페테르 일스테드의 많은 유사한 작품의 모델이기도 하다. 하메르스회이와 페테르는 평생 친구이자 사업 파트너, 동료였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2001년에 그들의 공동 작품 전시회를 개최했다.

하메르스회이의 그림 대부분은 실내 풍경화인데, 1898년부터 1909년까지 살았던 코펜하겐, 스트란게제 30번지 아파트의 실내를 그린 작품이 많다. 이 아파트에서 제작된 실내화에는 같은 방이 반복해서 그려졌으며, 아파트의 어느 방의 어느 위치에서 그려졌는지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같은 피아노, 테이블, 의자, 자기제 펀치볼, 금속제 난로 등이 많은 그림에 반복해서 등장한다. 실내의 모습에는 생활감이나 이야기를 엿볼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실내에 그려진 인물은 한 명 또는 두 명으로, 뒷모습이 많으며, 정면을 보고 그려진 경우에도 얼굴의 터치가 거의 흐릿하거나 그림자에 들어가 있으며, 인물은 감상자와 시선을 마주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인물이 없는, 무인의 실내를 그린 작품도 적지 않다. 해석의 단서를 거의 배제하고 있다.

실내화 외에, 초상화, 풍경화 등도 제작했다. 초상화의 모델은 가족과 친한 친구로 한정되었으며, 인물은 감상자와 시선을 마주하지 않도록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여러 인물을 그린 집단 초상화에서도 그 점은 마찬가지이며, 화가의 동생과 친구들을 그린 《5인의 초상》(1901-02년)에서는, 그려진 다섯 명의 인물은 서로 시선을 교환하지 않고, 자신의 내면과 마주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궁전 등의 건물이나 도시 근교의 풍경을 소재로 한 풍경화도 제작했지만, 하메르스회이가 그린 풍경에는 인물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이러한 정적, 적막감은 장르와 제작 시기를 불문하고 하메르스회이의 작품 전반에 통하는 특징이다. 같은 실내를 반복해서 그리는 점 등은 베르메르의 네덜란드 회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지적되지만, 흰색과 검은색을 기조로 한 모노톤에 가까운 색감과 정적 화면은 하메르스회이만의 특징이다.

3. 1. 주제와 구성

빌헬름 하메르스회이는 주로 고향인 코펜하겐에서 활동하며, 초상화, 건축, 실내 풍경을 그렸다.[4] 그는 주변 시골과 다른 지역으로 여행하며 언덕, 나무, 농가 및 기타 풍경을 그리기도 했다. 특히 실내 풍경화로 유명하며, 코펜하겐 스트란가데 30번지(1898년부터 1909년까지 아내와 함께 거주)와 스트란가데 25번지(1913년부터 1916년까지 거주)에서 많은 작품을 그렸다. 유럽을 광범위하게 여행했으며, 특히 안개가 자욱하고 석탄 연기로 오염된 런던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의 작품은 "모네와 캠던 스쿨의 만남"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하메르스회이의 아내는 종종 그의 실내 풍경에 등장하며, 다른 인물들과 마찬가지로 보통 뒤에서 묘사되어 "마치 관람자가 공유할 수 없는 무언가에 몰두하는 듯한" 모습을 보인다.[4] 하메르스회이의 그림 대부분은 실내 풍경화인데, 1898년부터 1909년까지 살았던 코펜하겐 스트란게제 30번지 아파트의 실내를 그린 작품이 많다. 이 아파트에서 제작된 실내화에는 같은 방이 반복해서 그려졌으며, 아파트의 어느 방의 어느 위치에서 그려졌는지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 또한, 같은 피아노, 테이블, 의자, 자기제 펀치볼, 금속제 난로 등이 많은 그림에 반복해서 등장한다. 실내에 그려진 인물은 한 명 또는 두 명으로, 뒷모습이 많으며, 정면을 보고 그려진 경우에도 얼굴의 터치가 거의 흐릿하거나 그림자에 들어가 있으며, 인물은 감상자와 시선을 마주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인물이 없는, 무인의 실내를 그린 작품도 적지 않다.

실내화 외에, 초상화, 풍경화 등도 제작했다. 초상화의 모델은 가족과 친한 친구로 한정되었으며, 인물은 감상자와 시선을 마주하지 않도록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 여러 인물을 그린 집단 초상화에서도 그 점은 마찬가지이며, 화가의 동생과 친구들을 그린 《5인의 초상》(1901-02년)에서는, 그려진 다섯 명의 인물은 서로 시선을 교환하지 않고, 자신의 내면과 마주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궁전 등의 건물이나 도시 근교의 풍경을 소재로 한 풍경화도 제작했지만, 하메르스회이가 그린 풍경에는 인물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 이러한 정적, 적막감은 장르와 제작 시기를 불문하고 하메르스회이의 작품 전반에 통하는 특징이다.

3. 2. 화풍과 기법

빌헬름 하메르스회이의 그림은 전반적으로 톤이 억제된 것으로 묘사된다. 그는 밝은 색채를 거의 사용하지 않았고, 회색, 채도가 낮은 노란색, 녹색 및 기타 어두운 색조를 사용했다.[5] 흰색과 검은색을 기조로 한 모노톤에 가까운 색감과 정적 화면은 하메르스회이만의 특징이다.[5]

''독서하는 젊은이의 실내''(1898)


하메르스회이의 실내 그림을 해석하는 사람들은 종종 그 작품이 관람객에게 영향을 미치는 힘이 작가가 창조한 독특한 분위기에 있다고 언급했다.[5] 보는 사람에게서 등을 돌린 인물들의 묘사는 약간의 긴장감과 신비감을 자아낸다.[5] 코펜하겐런던의 웅장한 건물의 외관은 사람이 없는 특징을 보여주며, 이는 그의 풍경화와도 공유하는 특징이다.[5]

하메르스회이는 실내 풍경화를 많이 그렸는데, 특히 1898년부터 1909년까지 살았던 코펜하겐, 스트란게제 30번지 아파트의 실내를 그린 작품이 많다. 이 아파트에서 제작된 실내화에는 같은 방이 반복해서 그려졌으며, 아파트의 어느 방의 어느 위치에서 그려졌는지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5] 또한, 같은 피아노, 테이블, 의자, 자기제 펀치볼, 금속제 난로 등이 많은 그림에 반복해서 등장한다.[5] 실내의 모습에는 생활감이나 이야기를 엿볼 수 있는 것이 거의 없다. 실내에 그려진 인물은 한 명 또는 두 명으로, 뒷모습이 많으며, 정면을 보고 그려진 경우에도 얼굴의 터치가 거의 흐릿하거나 그림자에 들어가 있으며, 인물은 감상자와 시선을 마주하지 않는다.[5] 인물이 없는, 무인의 실내를 그린 작품도 적지 않다.[5]

실내화 외에, 초상화, 풍경화 등도 제작했다. 초상화의 모델은 가족과 친한 친구로 한정되었으며, 인물은 감상자와 시선을 마주하지 않도록 그려지는 경우가 많다.[5] 여러 인물을 그린 집단 초상화에서도 그 점은 마찬가지이며, 화가의 동생과 친구들을 그린 《5인의 초상》(1901-02년)에서는, 그려진 다섯 명의 인물은 서로 시선을 교환하지 않고, 자신의 내면과 마주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5] 궁전 등의 건물이나 도시 근교의 풍경을 소재로 한 풍경화도 제작했지만, 하메르스회이가 그린 풍경에는 인물이 거의 등장하지 않는다.[5] 이러한 정적, 적막감은 장르와 제작 시기를 불문하고 하메르스회이의 작품 전반에 통하는 특징이다.[5] 같은 실내를 반복해서 그리는 점 등은 베르메르의 네덜란드 회화의 영향을 받았다고 지적된다.[5]

4. 평가 및 영향

빌헬름 하메르스회이는 초기 작품에서 단순함과 "일상의 사소함"을 기록하여 에밀 놀데, 라이너 마리아 릴케 등 당대 예술가와 문인들의 주목을 받았다.[1] 그러나 파리 여행 후 그의 작품은 지나치게 세밀해졌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1]

하메르스회이는 현재 스칸디나비아에서 가장 잘 알려진 예술가 중 한 명으로, 그의 작품은 오르세 미술관, 구겐하임 미술관 등에서 대규모 회고전이 개최되며 재조명되고 있다.[1] 2008년에는 영국 왕립 아카데미에서 "빌헬름 하메르스회이: 침묵의 시"라는 제목으로 영국 최초의 주요 전시회가 열렸다.[1] 영국에서 지속적으로 전시되는 하메르스회이의 유일한 그림은 내셔널 갤러리에 있는 '실내'이다. 1997년 덴마크는 그를 기리는 우표를 발행했다.

마이클 페일린은 BBC에서 'Michael Palin and the Enigma of Hammershoi'라는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함메르쇼이의 작품세계를 소개했다. 옌스 로가센은 함메르쇼이의 신고전주의적 요소에서 영감을 얻은 컬렉션을 발표하기도 했다.

5. 한국과의 관계

빌헬름 하메르스회이의 회고전은 한국에서도 큰 관심을 받았다.[13][14][15] 2008년 도쿄 우에노에 위치한 국립서양미술관에서 아시아 최초의 회고전이 개최되었고,[13][14] 2020년에는 도쿄도 미술관에서 '함메르쇠이와 덴마크 회화'라는 제목으로 전시가 열렸다.[13][14][15]

6. 주요 작품

빌헬름 하메르스회이의 주요 작품으로는 《젊은 여성의 초상, 화가의 여동생 안나 하메르스회이》(1885) (히어슈프룽 미술관),《햇빛 속에서 책을 읽는 여성, 스트란게게 30번지》(1899) (폴라 미술관),《햇빛에 흩날리는 먼지》(1900) (오드럽고르 미술관),《5인의 초상》(1901-02) (스톡홀름, 티엘스카 미술관),《휴식》(1905) (오르세 미술관),《하얀 문, 혹은 열린 문》(1905) (코펜하겐, 데이비드 컬렉션),《피아노를 치는 이다와 함께 있는 실내》(1910) (국립서양미술관) 등이 있다. 이 외에도 크리스티안보르 궁전, 늦가을(1890 - 92) (국립 코펜하겐 미술관), 실내(1893) (예테보리 미술관), 두 인물상(화가와 그의 아내)(1898) (오르후스 아로스 미술관), 실내, 스트란게게(1901) (하노버, 니더작센 주립 박물관), 등을 돌린 젊은 여성이 있는 실내(1903-04) (라나스 미술관), 겐토프테 호수, 보슬비(1903) (개인 소장), 햇빛 습작(1906) (코펜하겐, 데이비드 컬렉션), 크리스티안보르 궁전의 전망(1907) (국립 코펜하겐 미술관) 등이 그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7. 같이 보기

7. 1. 관련 인물

페테르 일스테드는 덴마크 화가로, 빌헬름 하메르스회이의 매제이자 동료였다. 카를 빌헬름 홀쇠는 덴마크 화가로, 하메르스회이와 동시대에 활동했다. 요하네스 베르메르는 네덜란드 화가로, 하메르스회이에게 영향을 준 것으로 여겨진다.

7. 2. 관련 미술관

2008년 9월 30일부터 12월 7일까지 도쿄 우에노에 위치한 국립서양미술관에서 아시아 최초의 빌헬름 하메르스회이 회고전이 개최되었다. 2020년 1월 21일부터 3월 26일까지 도쿄도 미술관에서 '함메르쇠이와 덴마크 회화'라는 제목으로 회고전이 개최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ammershoi's decade of brilliance, before banality set in https://www.nytimes.[...] 2008-08-15
[2] 간행물 The Rediscovery of Vilhelm Hammershøi: Two Recent Acquisitions in New York and Frankfurt 2013-02
[3] 웹사이트 Ida Hammershøi: The identity of art's most famous 'faceless woman' https://www.bbc.com/[...] 2024-07-12
[4] 학술지 Hammershøi's Either/Or 2016
[5] 학술지 Experiencing Atmospheres in Paintings 2024
[6] 웹사이트 Vilhelm Hammershøi: When Michael Palin saw the light https://www.telegrap[...] 2009-05-15
[7] TV programme Michael Palin and the Mystery of Hammershoi https://www.bbc.co.u[...] BBC 2024-05-04
[8] 뉴스 Masterpiece by Danish artist Vilhelm Hammershøi sells for record £1.7 million http://www.artdaily.[...] artdaily.org 2012-06-13
[9] 뉴스 Hammershøi slog rekord under hammeren i London http://www.b.dk/kult[...] Berlingske 2012-06-11
[10] 웹사이트 European Art: Part I https://www.christie[...]
[11] 웹사이트 Getty Museum Acquires Vilhelm Hammershøi Painting http://www.artnews.c[...] ART News 2018-12-17
[12] 웹사이트 Vilhelm Hammershøi (Danish, 1864–1916), Interior with an Easel, Bredgade 25 https://www.christie[...] Christies 2018-12-17
[13] 뉴스 Glad to be grey https://www.thetimes[...] 2008-06-21
[14] 웹사이트 Vilhelm Hammershøi: The Poetry of Silence http://www.royalacad[...] Royal Academy 2010-07-17
[15] 뉴스 Vilhelm Hammershoi's Paintings at Scandinavia House https://www.nytimes.[...] 2015-11-19
[16] 웹사이트 Painting Tranquility: Masterworks by Vilhelm Hammershøi http://www.ago.net/p[...] Art Gallery of Ontario (AGO.net) 2016-02-03
[17] 웹사이트 Vilhelm Hammershøi. Light and Silence – National Museum in Krakow http://mnk.pl/exhibi[...] 2024-01-24
[18] 문서 松浦寿輝の小説『半島』(文藝春秋、2004年)の装丁に使用された際にはハメルショイと表記された。
[19] 웹사이트 ハマスホイとデンマーク絵画 https://www.tobikan.[...] 東京都美術館 2020-04-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