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따니 말레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빠따니 말레이어는 태국,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지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의 방언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는 라틴 문자와 자위 문자를 모두 사용하며, 표준 말레이어와 어휘, 음운, 강세 등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 언어는 겹자음, 음절 축약, 태국어 차용어 사용 등의 특징을 가지며, 폰이나 폰독과 같은 전통적인 종교 교육 기관에서 자위 문자를 이용한 교육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베타위어
베타위어는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언어에서 어휘를 차용하고 코코스 말레이어의 기원이 되었으며, 원말레이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 말레이어 기반 피진과 크리올 - 마나도 말레이어
인도네시아 북술라웨시주 마나도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나도 말레이어는 19개의 자음과 5개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음운 체계, 독특한 문법 체계, 그리고 포르투갈어와 네덜란드어에서 유래한 차용어를 특징으로 하는 말레이어 방언이다. - 말레이어 - 자위 문자
자위 문자는 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말레이어를 표기하기 위해 14세기경 만들어져 말레이 세계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브루나이 공식 문자이자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지에서 종교, 문화적으로 사용되는 문자 체계이다. - 말레이어 - 말레이시아어
말레이시아어는 말레이시아의 실질적 공용어로서, 말레이어와 혼용되지만 정치적 논쟁이 있으며, 인도네시아어와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고, 표준어를 기반으로 싱가포르와 브루나이에서도 사용되나, 방언 차이, 신조어, 이슬람 보수주의, 영어 코드 전환 등으로 변화하며 '바하사 로작' 현상을 겪고 있다. - 말레이반도 - 태국 남부
태국 남부는 말레이 반도에 위치한 태국의 지리적, 행정적 지역으로 크라 지협을 통해 본토와 연결되며, 다양한 지형과 산맥, 강, 호수가 존재하고, 고대 왕국의 중심지였으며 현재 14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고, 남부 태국어가 사용되며, 불교와 이슬람교를 믿는 주민이 거주하고, 농업, 산업, 관광업이 발달한 지역이다. - 말레이반도 - 파타니 왕국
파타니 왕국은 14세기부터 20세기 초 현재 태국 남부 파타니 지역에 존재했던 말레이계 왕국으로, 16~17세기 활발한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시암에 정복되어 1902년 완전히 통제되면서 독립 국가로서의 역사를 마감했다.
빠따니 말레이어 | |
---|---|
지도 정보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클란탄-파타니 말레이어 |
다른 이름 | 바소/케첵 타닝 바소/케첵 클라테 바소/케첵 나유 (태국에서만) |
자국어 이름 | }} "Bahasa Melayu Kelantan"/ |
사용 국가 | 말레이시아 태국 |
사용자 민족 | 파타니 말레이족 방콕 말레이족 클란탄 말레이족 발링 말레이족 그리크 말레이족 르만 말레이족 |
사용 지역 | 말레이시아: 클란탄주 메라포, 파항주 베수트 및 스티우, 테렝가누주 발링, 시크 및 파당 테랍, 크다주 훌루 페락 (펭칼란 훌루 및 그리크), 페락주 태국: 파타니 지역, 송클라주 (사바요이, 차나, 나타위, 테파), 민부리 지역 (민 부리), 랏 끄라방, 클롱삼와, 농 촉) |
사용자 수 (태국) | 150만 명 (2010년) |
사용자 수 (말레이시아) | 200만 명 |
언어 계통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말레이어군 |
문자 | 라틴 문자 태국 문자 자위 문자 |
ISO 639-3 | mfa (파타니) |
Glottolog | patt1249 |
Glottolog 설명 | 클란탄-파타니 말레이어 |
LinguaSIL | 33-AFA-cb (클란탄) 33-AFA-cc (파타니) |
자위어 정보 (태국) | |
사용자 수 (태국) | 100만 명 (2006년) |
사용 지역 | 심남부 3개 주 |
문자 | 자위 문자 태국 문자 라틴 문자 |
ISO 639-3 | mfa |
언어 생존력 | 취약 |
2. 명칭
이 언어는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태국어로는 '파사 야위'(ภาษายาวี|파사 야위th) 또는 '파사 말라유 파타니'(ภาษามลายูปัตตานี|파사 말라유 파타니th)라고 한다. 말레이시아에서는 '바하사 믈라유 파타니'(bahasa Melayu Patani|바하사 믈라유 파타니ms)라고 한다. 파타니 지역에서는 '바하사 파타니'라고도 부른다.
켈란탄 말레이어는 라틴 문자와 자위 문자(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 문자 체계) 모두로 쓰인다. 이는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의 일반적인 말레이어 사용자들이 일상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주로 사용하는 라틴 문자(말레이어로는 rumi|루미ms)를 사용하는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오늘날 파타니 말레이어는 일반적으로 문어가 아니지만, 비공식적인 환경에서는 가끔 쓰이기도 한다. 필요에 따라 현지 방언이 아닌 구식 표준 말레이어가 사용된다. 태국어 알파벳으로 파타니 말레이어를 음성적으로 표기하는 방법이 도입되었지만, 무슬림 말레이인들에게 자위 문자가 가지는 사회 종교적 중요성 때문에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태국 남부는 주로 불교를 믿는 태국어를 사용하는 시암 왕국과 주로 이슬람교를 믿는 말레이어를 사용하는 술탄국이라는 두 문화권의 영향을 계속 받아 온 지역이다. 이 지역은 유럽, 인도, 아라비아, 중국, 시암, 그리고 말레이 세계의 다른 지역에서 온 상인들이 만나는 무역의 중심지였다. 처음에는 힌두교-불교의 인도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던 스리비자야 왕국은 나중에 혼란에 빠졌다. 이슬람교는 11세기에 아랍과 인도 상인들에 의해 전파되었고, 그 이후로 불교와 힌두교를 대체하며 지배적인 종교가 되었다. 14세기까지 이 지역은 아유타야의 속국이 되었지만, 자치권을 유지했으며 1902년까지 현대 태국의 국가에 완전히 통합되지 않았다. 이러한 정치적 자치와 말레이 세계의 다른 지역과의 고립은 말레이어와 문화의 보존을 가능하게 했지만, 방언의 분화로 이어지기도 했다.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는 세 가지 주요 방언과 여러 사투리(그리고 몇몇 하위 사투리)로 나눌 수 있다.
켈란탄 말레이어는 표준 말레이어로는 bahasa Kelantan|바하사 클란탄zsm이라고 하고, 켈란탄어로는 라고 한다. 트렝가누 주의 베수트와 세티우에서는 '바소 베숫' 또는 '케첵 클라테-베숫'으로 알려져 있다.
레만 변종은 '바하사 레만'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3. 문자 체계
문자는 다른 말레이어 방언에서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자위 문자를 사용한다. 알파벳을 사용한 말레이어 공교육이 보급되기 이전 50세 이상의 사람들은 폰독 등에서 배운 경험으로 아직도 자위 문자를 읽고 쓸 수 있는 사람이 많으며, 말레이시아에서는 자위 문자로 쓰인 일간신문도 여러 종 발행되고 있다.
4. 역사
인접한 말레이시아 켈란탄주와는 과거 이슬람 국가 파타니 왕국으로서의 강한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공유하고 있으며, 켈란탄주는 독특한 방언(켈란탄 방언, Bahasa Kelate|바하사 클란테ms)을 사용하지만, 이 Bahasa Kelate|바하사 클란테ms가 자위 문자와 거의 동일한 어휘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5. 변이
방언 하위 방언 켈란탄 해안(나라티왓, 베수트 사투리), 중앙/강, 다봉/내륙 파타니 얄라, 사이부리, 바나 타닝, 체녹/차나, 논타부리/방콕 레만 그릭, 시크, 발링, 파당 테랍, 바투 쿠고/셀라마, 남부 얄라 크리올어/피진어 삼삼 말레이어(태국인과 말레이시아인 혼혈인들이 사용하는 태국어와 파타니 말레이어가 혼합된 혼합어)
6. 지리적 분포
켈란탄 말레이어는 말레이시아 켈란탄 주에서 사용되며, 트렝가누 주의 베수트와 세티우 지역, 페르헨티안 제도에서도 사용된다. 또한 켈란탄 주와 접경을 이루는 파항 주 리피스 지역의 메라포 마을에서도 사용된다.
케다 주 발링, 시크, 파당 테랍 지역과 페락 주 훌루 페락 지역의 많은 사람들은 켈란탄-파타니어의 레만 방언을 사용한다. 이 지역의 대부분의 말레이 사람들은 켈란탄 이주민과 파타니 난민의 후손이기 때문이다 (이 지역들은 과거 파타니 레만 왕국의 일부였다).[1]
파타니 말레이어는 말레이계 주민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태국 나라티왓 주, 얄라 주, 파타니 주의 주요 언어이며, 송클라 주와 방콕 일부 지역에서도 사용된다.[2] 사툰 주에서는 말레이계 주민이 대다수이지만, 일반적으로 남부 태국어를 사용하고 그들의 말레이 방언은 케다 말레이어와 유사하여 사용 빈도가 낮다. 또한 핫야이만큼 북쪽으로 흩어진 마을에서도 사용된다. 과거에는 말레이어 어원의 지명이 많았던 중부 태국과 남부 태국 사이의 전통적인 경계인 크라 지협만큼 북쪽에서도 말레이어가 주요 언어였다.[2]
7. 음운론
빠따니 말레이어에는 21개의 자음과 12개의 모음이 있다.[1] /r/과 /z/는 외래어나 고유명사에만 나타난다.
7. 1. 자음
colspan="2" | | 양순음 | 치경음 | 경구개음 | 연구개음 | 성문음 | |
---|---|---|---|---|---|---|
비음 | m|ㅁms | n|ㄴms | ɲ|ɲms | ŋ|ㅇms | ||
파열음 | 무성음 | p|ㅃms | t|ㄸms | c|cms | k|ㄲms | ʔ|ʔms |
유성음 | b|ㅂms | d|ㄷms | ɟ|ɟms | ɡ|ㄱms | ||
마찰음 | 무성음 | s|ㅅms | h|ㅎms | |||
유성음 | z|zms | ɣ|ɣms | ||||
반모음 | w|wms | j|jms | ||||
측음 | l|ㄹms | |||||
전동음 | r|rms |
7. 2. 모음
빠따니 말레이어에는 모음 12개가 있다.[1]rowspan="2" |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구개 모음 | 비음 | 구개 모음 | 비음 | 구개 모음 | 비음 | |
고모음 | i|iund | ɨ|ɨund | u|uund | ũ|ũund | ||
중모음 | e|eund | o|ound | ||||
저모음 | ɛ|ɛund | ɛ̃|ɛ̃und | a|aund | ã|ãund | ɔ|ɔund | ɔ̃|ɔ̃und |
전설 모음 | 중설 모음 | 후설 모음 | ||||
---|---|---|---|---|---|---|
고모음 | i|iund | colspan="2" | | u|uund | |||
중모음 | e|eund | ə|əund | o|ound | |||
저모음 | colspan="2" | | a|aund | colspan="2" | | |||
참고:
- 폐쇄 중설 무원순 모음 ɨ|ɨund는 테오 (1994)와 아디 야스란 (2005)에 따르면 실제로는 중설 모음 ə|əund인 것으로 여겨진다.
- 최종 k|kund와 최종 h|hund 종지와 개방형 단어 앞에서 a|aund는 다음과 같이 발음된다.
- * 아디 야스란 (2006, 2010)[2][3]과 자하라니 (2006)[2]에 따르면 개방 후설 무원순 모음 ɑ|ɑund
- * 나와윗 (1986)에 따르면 준개방 후설 원순 모음 ɔ|ɔund
- * 테오 (1984)[3]에 따르면 준개방 중설 모음 ɐ|ɐund
- 아디 야스란 (2010)과 테오와 예오 (1988) 등 많은 학자들은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의 비음 모음은 음소로 간주되지 않는다고 믿는다.
8. 표준 말레이어와의 비교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는 표준 말레이어와 어휘 및 음운 대응에서 차이를 보여, 표준 말레이어 사용자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특히 남부 태국어와 파타니 지역의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는 서로 많은 차용어를 주고받았다. 태국어의 영향으로 파타니 방언은 켈란탄 방언보다 표준 말레이어와의 상호 이해도가 약간 더 낮다.
인접한 말레이시아 켈란탄주는 과거 파타니 왕국으로서 강한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공유하며, 켈란탄 방언(바하사 켈라테)은 자위 문자와 거의 동일한 어휘를 사용해 상호 소통이 가능하다.
8. 1. 모음 비교
대응 규칙 (표준말레이어 ≙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 표준말레이어 (SM) |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KPM) | 영어 번역 | |||
---|---|---|---|---|---|---|
종성 + 비음 | ≙ | 장음 비음 | ayam|아얌zsm | '닭' | ||
음절 초기 | ≙ | 중간 앞 모음 | biasa|비아사zsm | '보통의' | ||
어말 (열린 형태의 단어) | ≙ | 장음 | sana|사나zsm | '거기' | ||
어말 의 | ≙ | 열린 뒤 모음 | rumah|루마zsm | '집' | ||
어말 의 | masak|마삭zsm | '요리하다' | ||||
음절 초기 | ≙ | 중간 | puasa|푸아사zsm | '금식' | ||
종성 | ≙ | 장음 | sungai|숭아이zsm | '강' | ||
종성 | pisau|피사우zsm | '칼' | ||||
종성 의 | ≙ | 비음 | mungkin|뭉킨zsm | '어쩌면' |
대응 규칙 (표준말레이어 ≙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 표준 말레이어 (표준말레이어) |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 영어 번역 | |||
---|---|---|---|---|---|---|
종지음 | ≙ | 성문 마찰음 | maaf|마아프zsm | '죄송합니다' | ||
종지음 | panas|파나스zsm | '뜨겁다' | ||||
초성, 중성 및 종지음 | ≙ | 연구개 마찰음 | reban|르반zsm | '닭장' | ||
종지음 | ≙ | 탈락 | permata|페르마타zsm | '보석' | ||
종지음 | tinggal|팅갈zsm | '떠나다' | ||||
종지음 | ≙ | 성문 폐쇄음 | letup|르툽zsm | '폭발하다' | ||
종지음 | sesat|스삿zsm | '길을 잃다' | ||||
종지음 | masak|마삭zsm | '요리하다' | ||||
종지음 및 (a 이외의 모음 뒤) | ≙ | 연구개 비음 | mungkin|뭉킨zsm | '어쩌면' | ||
초성 및 중성 | ≙ | 유성 연구개 파열음 | cuci|추치zsm | '씻다' | ||
초성 및 중성 | ≙ | 유성 연구개 파열음 | jalan|잘란zsm | '길' | ||
panjang|판장zsm | '길다' |
8. 2. 자음 비교
대응 규칙 (표준말레이어 ≙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 표준말레이어 (SM) |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KPM) | 영어 번역 | |||
---|---|---|---|---|---|---|
종성 /a/ms + 비음 | ≙ | 장음 비음 {{lang|mfa|ɛ̃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