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남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태국 남부는 말레이 반도에 위치하며, 면적은 약 70,714 km2이다. 지리적으로 크라 지협을 경계로 북쪽과 나뉘며, 서해안은 가파른 해안선을, 동해안은 평야 지형을 보인다. 주요 강으로는 타피 강이 있으며, 송클라 호와 치아오 란 호가 각각 태국 남부에서 가장 큰 자연 호수와 인공 호수이다. 역사적으로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스리비자야 왕국의 영향을 받았다가 아유타야 왕국의 지배를 받았다. 19세기 말 테사피반 개혁을 통해 중앙 정부에 통합되었으며, 현재 14개의 주(changwat)로 행정 구역이 나뉜다. 인구는 약 945만 명이며, 남부 태국어가 주요 언어이고, 불교가 다수를 차지하지만, 말레이시아와 인접한 지역에서는 이슬람교 신자도 많다. 경제적으로는 농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며, 관광 산업도 발달했다. 태국 남부는 철도, 고속도로, 공항을 통해 방콕 및 주변 지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하티아이가 주요 교통 중심지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국의 지방 - 태국 동부
태국 동부는 산깜펭 산맥과 타이만에 접한 7개 주를 포함하는 태국의 지리적 지역으로, 과일 농업과 관광업이 발달했으며 특히 동부 해안의 공업 개발로 경제 성장에 기여하고 팡시다 국립공원을 포함한 국립공원들을 보유한 경제 중심지이다. - 태국의 지방 - 이산 (태국)
이산은 태국 북동부에 위치한 코랏 고원을 중심으로 20개의 주로 구성된 지역으로, 라오족이 다수를 차지하며 이산어를 사용하고 독특한 문화를 가지며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 - 태국의 지리 - 말레이반도
말레이 반도는 미얀마, 태국, 말레이시아 3개국이 영토를 나누어 통치하는 동남아시아의 반도로, 열대 및 아열대 습윤 활엽수림으로 덮여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며 해상 무역의 요충지이자 말라카 해협을 중심으로 중요한 해상 교통로 역할을 한다. - 태국의 지리 - 톤부리
톤부리는 태국 방콕 짜오프라야 강 서안에 위치한 지역으로, 과거 아유타야 왕조의 요새 도시이자 톤부리 왕조의 수도였으며 현재는 방콕에 편입되었지만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지닌 고급 주택가이다. - 말레이반도 - 빠따니 말레이어
빠따니 말레이어는 태국 남부 빠따니 지역과 말레이시아 켈란탄주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변종으로, 켈란탄-파타니 말레이어 또는 바하사 파타니라고도 불리며 표준 말레이어와 어휘 및 음운 체계에서 차이를 보이고 자위 문자를 사용하며 태국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가 존재한다. - 말레이반도 - 파타니 왕국
파타니 왕국은 14세기부터 20세기 초 현재 태국 남부 파타니 지역에 존재했던 말레이계 왕국으로, 16~17세기 활발한 무역으로 번성했으나 시암에 정복되어 1902년 완전히 통제되면서 독립 국가로서의 역사를 마감했다.
태국 남부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다른 이름 | 박따이 (ปักษ์ใต้) |
지역 유형 | 지역 |
최대 도시 | 핫야이 (타이 만) 푸껫 (안다만 해) |
하위 지역 유형 | 주 |
하위 지역 | 춤폰 주 끄라비 주 나콘시탐마랏 주 나라티왓 주 빠따니 주 팡응아 주 팟탈룽 주 푸껫 주 라농 주 사툰 주 송클라 주 수랏타니 주 뜨랑 주 얄라 주 |
면적 | 총 면적: 73,848 km² |
인구 (2018년) | 총 인구: 9,454,193명 인구 밀도: 134명/km² |
주민 | 남부 타이인 |
언어 | 남부 타이어 빠따니 말레이어 사툰 말레이어 모스어 우락 라오이어 목렌어 호키엔어 등 |
시간대 | ICT |
UTC 오프셋 | +07:00 |
경제 | |
GDP (2019년) | 총 GDP: 456억 달러 |
이미지 | |
![]() | |
![]() | |
![]() | |
![]() | |
![]() |
2. 지리
태국 남부는 말레이 반도에 위치하며, 면적은 약 70714km2이다. 북쪽은 반도에서 가장 좁은 부분인 크라 지협이다. 서쪽은 매우 가파른 해안선을 가지고 있으며, 동쪽은 강의 평야가 우세하다. 남부에서 가장 큰 강은 수랏타니 주에 있는 타피 강이며, 프움 두앙 강과 함께 8000km2 이상, 태국 남부 전체 면적의 10% 이상을 배수한다. 그 외 작은 강으로는 파타니 강, 사이부리 강, 크라비 강, 트랑 강이 있다. 남부에서 가장 큰 호수는 송클라 호(1040km2)이며, 가장 큰 인공 호수는 치아오 란 호로, 수랏타니 주의 카오속 국립공원에 165km2를 차지하고 있다. 총 산림 면적은 17964km2 또는 주 전체 면적의 24.3%이다.[1]
반도 중앙에는 여러 산맥이 뻗어 있으며, 가장 높은 봉우리는 나콘시탐마랏 주의 카오 루앙으로 1835m에 달한다. 크라 지협에서 푸껫 섬까지 이어지는 푸껫 산맥은 북쪽으로 더 뻗어 타나오 시 산맥과 연결된다. 푸껫 산맥과 거의 평행하지만 동쪽으로 100km 떨어진 곳에는 나콘시탐마랏 산맥(반탓 산맥)이 있으며, 수랏타니 주의 코사무이, 코팡안, 코타오에서 시작하여 말레이시아 국경의 코 타 루 타오 군도에서 끝난다. 말레이시아와의 국경은 산칼라키리 산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때로는 파타니, 탈루반, 송클라 산맥으로 세분되기도 한다. 말레이시아 국경에는 티티왕사 산맥이 솟아 있다.
서해안의 석회암은 많은 가파른 독립된 언덕으로 침식되었다. 마지막 빙하기 이후 해수면 상승으로 잠긴 부분은 현재 피피 제도와 같이 많은 섬을 형성한다. 또한 잘 알려진 곳으로는 영화 ''황금총을 든 사나이''에 등장하는 팡아 만의 소위 "제임스 본드 섬"이 있다.
2015년 기준 태국 남부의 인구는 약 915만 6천 명으로 추산된다. 이는 2010년 인구 조사 결과(887만 1,003명)에서 방콕 등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 등록된 영주권자 등을 고려하여 조정된 수치이지만, 여전히 이주 노동자, 비정규직 노동자, 무국적자, 외국인 거주자 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아 실제 인구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4]
2. 1. 기후
태국 남부는 말레이 반도에 위치하며, 대부분 테나세림-태국 남부 준상록수림 생태계에 속한다. 말레이시아와의 국경을 따라서는 말레이시아 반도 열대우림과 말레이시아 반도 고산 열대우림 생태계가 태국 남부까지 확장된다.[5]3. 역사
말레이 반도는 선사 시대부터 사람들이 살았다. 여러 동굴에서 고고학적 유적이 발견되었는데, 어떤 곳은 주거지로, 어떤 곳은 무덤으로 사용되었다. 가장 오래된 유적은 랑 롱리엔 동굴에서 발견되었으며, 지금으로부터 3만 8천 년에서 2만 7천 년 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모 키우 동굴에서도 비슷한 시대의 유적이 발견되었다.
1천년기에 중국 기록에는 여러 해안 도시나 도시 국가들이 언급되어 있다. 정확한 위치는 기록되지 않아 이 도시들을 후대의 정착지와 연결하기는 어렵다. 이들 중 가장 중요한 국가는 랑카수카로, 보통 파타니 왕국의 이전 국가로 여겨진다. 탐브랄링가는 아마도 나콘시탐마랏 왕국의 이전 국가였을 것이며, 수랏타니주의 푼핀 지구에 있던 판판은 아마도 반돈 만 타피 강에 있었을 것이다. 이 도시들은 인도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아 브라만교나 불교를 믿었다. 차이야의 스리비자야가 세력을 확장했을 때, 이 도시들은 스리비자야의 속국이 되었다. 수랏타니주의 차이야 도시에는 스리비자야 시대의 여러 유적이 있으며, 아마도 왕국의 지역 수도였을 것이다. 일부 태국 역사학자들은 이곳이 한때 왕국의 수도였다고 주장하지만, 논란이 있다.
스리비자야가 힘을 잃은 후, 나콘시탐마랏이 이 지역의 지배적인 왕국이 되었다. 수코타이 왕국 람캄행 대왕 때 태국의 영향력이 처음으로 나콘시탐마랏에 미쳤다. 람캄행 비문에 따르면, 나콘시탐마랏은 수코타이의 속국이었다. 이후 대부분의 기간 동안 나콘은 아유타야 왕국의 속국이었다.
반도의 북쪽 끝은 방콕의 통제하에 있었고, 극남부는 파타니 왕국과 케다의 말레이 술탄국에 속했다.
19세기 말 테사피반 개혁으로 나콘시탐마랏과 파타니 모두 중앙 국가에 통합되었다. 이 지역은 5개의 ''몬톤''으로 나뉘어 도시 국가(''무앙'')를 통제했다. 작은 무앙들은 더 큰 무앙과 합쳐져 현재의 14개 주를 이루었다. 1909년 영국-시암 조약으로 말레이시아와의 국경이 확정되었다. 케다는 영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고, 파타니는 시암에 남았다.
3. 1. 태국 남부 분쟁 (심남부 3개 주 문제)
태국 최남단 5개 주는 무슬림 인구가 과반수에서 80%를 넘어 심남부(深南部)라고 불린다. 특히 얄라주, 나라티왓주, 팟타니주는 15세기 이래 파타니 왕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인접한 말레이시아 클란탄주와 공통된 풍습과 말레이어의 파타니·켈란탄 방언을 사용한다. 불교 색채가 강한 태국 정부에 대해 자치 또는 독립을 요구하는 이슬람계 독립운동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심남부 3개 주 문제라고 불린다.4. 행정 구역
태국 남부는 14개의 주로 구성되어 있다.[6] 태국 기상청(TMD)은 여기에 프라추압키리칸 주와 페차부리 주 2개 주를 추가로 포함시키기도 한다.[7]
번호 | 주 이름 | 태국어 | 면적 (km²) | 인구[2] | 인구밀도 (명/km²) | 연간 소득 (바트) | 빈곤율 (%) | 해안 지역 |
---|---|---|---|---|---|---|---|---|
1 | 춤폰 | ชุมพร | 6009km2 | 510,963 | 85 | 351672THB | 5.4% | 동해안 |
2 | 나콘시탐마랏 | นครศรีธรรมราช | 9942.5km2 | 1,560,433 | 157 | 301488THB | 8.1% | 동해안 |
3 | 나라티왓 | นราธิวาส | 4475km2 | 802,474 | 179 | 238680THB | 37.3% | 동해안 |
4 | 빠따니 | ปัตตานี | 1940.4km2 | 718,077 | 370 | 210156THB | 36.0% | 동해안 |
5 | 파탈룽 | พัทลุง | 3424.5km2 | 525,044 | 153 | 257736THB | 14.0% | 동해안 |
6 | 송클라 | สงขลา | 7393.9km2 | 1,432,628 | 194 | 331920THB | 8.2% | 동해안 |
7 | 수랏타니 | สุราษฎร์ธานี | 12891.5km2 | 1,063,501 | 83 | 437592THB | 1.4% | 동해안 |
8 | 얄라 | ยะลา | 4521.1km2 | 532,326 | 118 | 187008THB | 21.2% | 동해안 |
9 | 끄라비 | กระบี่ | 4709km2 | 473,738 | 101 | 372132THB | 6.4% | 서해안 |
10 | 팡응아 | พังงา | 4170km2 | 268,240 | 64 | 346104THB | 5.1% | 서해안 |
11 | 푸껫 | ภูเก็ต | 543km2 | 410,211 | 755 | 378000THB | 0.5% | 서해안 |
12 | 라농 | ระนอง | 3298km2 | 191,868 | 58 | 264420THB | 16.6% | 서해안 |
13 | 사뚠 | สตูล | 2479km2 | 321,574 | 130 | 278496THB | 5.8% | 서해안 |
14 | 뜨랑 | ตรัง | 4917.5km2 | 643,116 | 131 | 279708THB | 15.9% | 서해안 |
5. 인구
태국 남부에는 945만 명의 주민이 거주하며, 인구 밀도는 134/km2이다.[2]
최남단 5개 주는 무슬림 인구가 과반수에서 80%를 넘어, 심남부(深南部)라고 불린다. 특히 얄라 주, 나라티왓 주, 팟타니 주는 15세기 이래 파타니 왕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인접한 말레이시아의 켈란탄 주와 공통된 풍습과 말레이어의 파타니·켈란탄 방언이 사용된다. 불교색이 강한 태국 정부에 대해 자치 또는 독립을 요구하는 이슬람계 독립운동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태국 남부 분쟁이라고 불린다.
5. 1. 주요 도시
순위 | 도시 이름 | 인구 | 광역권 인구 |
---|---|---|---|
1 | 핫야이 | 159,627 | 핫야이 군 397,379명 |
2 | 수랏타니 | 130,114 | 무앙 수랏타니 군 177,242명 |
3 | 나콘시탐마랏 | 104,948 | 무앙 나콘시탐마랏 군 271,330명 |
4 | 푸껫 | 78,923 | 무앙 푸껫 군 238,866명 |
5 | 꼬사무이 | 65,847 | 꼬사무이–꼬팡안 82,900명 |
6 | 송클라 | 64,602 | 무앙 송클라 군 163,083명 |
7 | 얄라 | 61,293 | 무앙 얄라 군 167,582명 |
8 | 트랑 | 59,999 | 무앙 트랑 군 156,115명 |
9 | 팟타니 | 44,900 | 무앙 팟타니 군 130,178명 |
10 | 나라티왓 | 41,572 | 무앙 나라티왓 군 124,049명 |
6. 언어
'''남부 태국어'''(ภาษาไทยใต้|파사 타이따이th)는 '''팍 타이''' 또는 '''담브로'''(ภาษาตามโพร|파사 탐프로th)라고도 불리며, 남서부 타이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태국 남부 14개 창왓에서 사용되며 말레이시아 북부 주에서 소규모 태국 공동체에 의해서도 사용된다. 약 500만 명이 모어로 사용하며, 파타니 말레이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150만 명과, 현지 네그리토 공동체 및 기타 부족 집단과 같은 다른 민족 집단이 제2언어로 사용한다.
중부 태국어는 태국의 유일한 공용어이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부 태국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지만, 남부 태국에서는 약 40만 명의 모어 사용자를 가진 세 번째로 큰 모어일 뿐이다. 특히, 티우저우, 학가, 해객, 광둥계 민족, 특히 하티아이와 반돈 지역과 같은 주요 민족 거주지에서만 모어로 사용된다.
최남단 5개 주는 무슬림 인구가 과반수에서 80%를 넘어, 심남부라고 불린다. 특히 야라 주, 날라티왓 주, 팟타니 주는 15세기 이래 파타니 왕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인접한 말레이시아의 켈란탄 주와 공통된 풍습과 말레이어의 파타니·켈란탄 방언이 사용된다.
7. 종교
태국은 불교 국가이다. 태국 인구의 약 93.46%가 불교를 따른다.[11] 불교는 태국 남부에서도 주요 종교이지만, 이 지역 인구의 73.45%를 차지한다.[12] 태국인들은 상좌부 불교를 따른다. 크메르족과 같은 소수 민족들도 불교를 따르며, 태국 남부 14개 주 중 10개 주는 불교 신자가 다수이다.
이슬람교는 태국 전체 인구의 5.36%만을 차지하지만, 태국 남부의 26.33%를 차지한다.[13] 이슬람교는 주로 말레이시아 근처 태국 최남단 얄라 주, 빠따니 주, 나라티왓 주, 사뚠 주에 거주하는 말레이계 사람들이 따른다. 소규모 태국 무슬림 인구도 있다.
기독교는 태국 남부 인구의 0.21%를 차지한다. 시크교는 이 지역에서 0.05%를 차지하며, 인도 이민자들이 신봉한다.[14]
최남단 5개 주는 무슬림 인구가 과반수에서 80%를 넘어, 심남부(深南部)라고 불린다. 특히 얄라 주, 나라티왓 주, 빠따니 주는 15세기 이래 파타니 왕국의 영토였기 때문에, 인접한 말레이시아의 켈란탄 주와 공통된 풍습과 말레이어의 파타니·켈란탄 방언이 사용된다. 불교색이 강한 태국 정부에 대해 자치 또는 독립을 요구하는 이슬람계 독립운동의 중심지이기 때문에, 심남부 3개 주 문제(태국 남부 분쟁)라고 불린다.
8. 경제
2014년 기준으로 태국 남부 지역 인구 대부분은 농업에 의존하며, 농업은 지역 총생산(GRP)의 27%를 차지한다. 그 다음으로는 산업(12%), 무역(10%), 운송(9%), 관광(8%), 건설 및 부동산(7%)이 뒤따른다.[15]
2018 회계연도 기준 태국 남부 지역의 경제 생산량은 총 1.402조태국 밧(452억달러)로, 태국 GDP의 8.6%를 차지했다. 수랏타니주의 경제 생산량은 2068.69억태국 밧(66.7억달러)였으며, 이는 1인당 GRP 182371THB(5883USD)에 해당한다. 이는 5위인 얄라 주의 두 배 이상이며, 순위에서 가장 낮은 나라티왓 주의 세 배가 넘는 수치이다.[16]
순위 | 주 | GPP (백만 바트) | 인구 (천 명) | 1인당 GPP (바트) |
---|---|---|---|---|
1 | 수랏타니 | 2068.69억태국 밧 | 1,134 | 182371THB |
2 | 춤폰 | 877.46억태국 밧 | 498 | 176200THB |
3 | 송클라 | 2483.86억태국 밧 | 1,635 | 151918THB |
4 | 나콘시탐마랏 | 1643.75억태국 밧 | 1,507 | 109050THB |
5 | 얄라 | 430.06억태국 밧 | 468 | 91815THB |
6 | 빠따니 | 485.49억태국 밧 | 641 | 75697THB |
7 | 팟탈룽 | 360.06억태국 밧 | 492 | 73213THB |
8 | 나라티왓 | 447.78억태국 밧 | 721 | 62066THB |
동해안 | 8797.15억태국 밧 | 7,096 | 123973THB |
순위 | 주 | GPP (백만 바트) | 인구 (천 명) | 1인당 GPP (바트) |
---|---|---|---|---|
1 | 푸껫 | 2340.28억태국 밧 | 580 | 403534THB |
2 | 팡아 | 784.93억태국 밧 | 250 | 313919THB |
3 | 끄라비 | 866.84억태국 밧 | 418 | 207415THB |
4 | 사뚠 | 312.15억태국 밧 | 290 | 107505THB |
5 | 라농 | 280.14억태국 밧 | 269 | 103966THB |
6 | 뜨랑 | 645.86억태국 밧 | 630 | 102589THB |
서해안 | 5230.2억태국 밧 | 2,437 | 214616THB |
9. 교통
태국 남부는 철도와 고속도로로 방콕과 연결되어 있다. 여러 지역 공항이 대도시에 위치해 있다. 태국 남부의 모든 교통 중심지는 핫야이이다.
페트카셈 도로는 태국의 가장 긴 도로로 방콕에서 끄라 지협을 따라, 그리고 반도 서해안을 따라 이어진다. 트랑에서 동해안의 핫야이로 건너가 말레이시아 국경에서 끝난다.
태국 남부에는 두 개의 아시아 고속도로가 지나간다. 아시아 고속도로 2호선(AH2)은 방콕에서부터 대부분 철도와 평행하게 달린다. 사다오에서 말레이시아로 건너가 반도 서쪽으로 계속 이어진다. 아시아 고속도로 18호선(AH18)은 핫야이에서 시작하여 동해안을 따라 남쪽으로 달리며 수응아이 콜록에서 말레이시아로 건너간다.
태국 남부 철도는 방콕을 핫야이와 연결하고, 거기서부터 숭아이 콜록까지 이어진다. 반퉁포 접속역에서 키리랏 니꼼으로 가는 지선이 두 개 있다. 철도의 더 작은 지선 두 개는 퉁송에서 트랑과 나콘시탐마랏으로, 그리고 핫야이 접속역에서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로 향한다.
태국 남부에는 국제공항 5곳과 국내공항 6곳이 있다. 2018년 기준으로 태국 교통부는 19억태국 밧를 투입하여 베통 공항을 건설 중이며, 2020년 완공 예정이다.[17]
참조
[1]
웹사이트
ตารางที่ 2 พี้นที่ป่าไม้ แยกรายจังหวัด พ.ศ.2562
https://www.forest.g[...]
2021-04-06
[2]
웹사이트
รายงานสถิติจำนวนประชากรและบ้านประจำปี พ.ศ.2561
http://stat.bora.dop[...]
2019-06-20
[3]
논문
Gross Regional and Provincial Product, 2019 Edition
https://www.nesdc.go[...]
Office of the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ouncil (NESDC)
2020-01-22
[4]
웹사이트
Thailand: Major Cities, Towns & Communes - Population Statistics, Maps, Charts, Weather and Web Information
http://citypopulatio[...]
[5]
서적
Terrestrial Ecoregions of the Indo-Pacific: a Conservation Assessment
Island Press
[6]
웹사이트
Revisions to the Gross Regional and Provincial Product 2016 Edition
https://www.nesdb.go[...]
The Office of the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Board (NESDB)
2019-12-26
[7]
웹사이트
Weather - Southern-east coast
https://www.tmd.go.t[...]
Thai Meteorological Department
2019-12-26
[8]
보고서
https://www.social.n[...]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Board (NESDB)
2019-09-14
[9]
보고서
https://www.social.n[...]
National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Board (NESDB)
2019-09-14
[10]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region and area, 2015
http://web.nso.go.th[...]
NSO
2018-01-10
[11]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region and area, 2018
http://statbbi.nso.g[...]
NSO
2021-03-09
[12]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region and area, 2015
http://web.nso.go.th[...]
NSO
2018-01-10
[13]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region and area, 2015
http://web.nso.go.th[...]
NSO
2018-01-10
[14]
웹사이트
Population by religion, region and area, 2015
http://web.nso.go.th[...]
NSO
2018-01-10
[15]
뉴스
Songkhla power plant sit-in an energy wake-up call
http://www.bangkokpo[...]
2017-08-25
[16]
보고서
Phitsanulok Provincial Statistical Report 2562-2019: Economic Statistics - National Accounts
National Statistical Office (NSO)
[17]
뉴스
Better days around the bend
https://www.bangkokp[...]
2018-08-27
[18]
서적
タイ南部のマレー人:東南アジア漁村民族誌
風響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