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내변호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내변호사는 기업 내에서 법률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변호사이다. 계약서 검토, 법률 자문, 소송 관리, 규제 대응, 협상, 법률 및 판례 연구, 채권 회수, 주주총회 준비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며, 기업의 법적 권리와 의무에 대한 자문을 제공한다. 한국에서는 약 900여 명의 사내변호사가 활동하고 있으며, 주요 단체로는 인하우스카운슬포럼(IHCF)과 한국사내변호사회(한사회)가 있다. 사내변호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영어, 회계 지식 등이 요구되며, 연봉은 경력, 소속, 경제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변호사 - 이호 (법조인)
    이호는 일제강점기 일본 유학 후 법조인으로 활동하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법무부 장관, 내무부 장관, 주일본 대사 등을 역임하고 12·12 군사 반란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 의장을 지냈다.
  • 변호사 - 이휘선
    이휘선은 1865년 한성부 출생으로 법관, 변호사, 시조 시인, 서예가이며, 명성황후 시해 사건과 동학 농민 운동 관련 재판에 참여하고 김해군수를 역임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변호사로 활동하다 1944년에 사망했다.
사내변호사

2. 역할 및 책임

기업 변호사는 상업 거래의 적법성을 보장하고, 기업의 법적 권리와 의무, 기업 임원의 의무와 책임에 대해 자문한다.[2][3] 이를 위해 계약법, 세법, 회계, 증권법, 파산법, 지적 재산권, 라이선스, 지구 계획법 등 기업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법률 분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2][3]

월마트, 제너럴 모터스 등과 관련된 논란에서 볼 수 있듯이, 변호사-고객 특권은 기업의 잠재적 불법 행위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간주될 수 있어 윤리적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4]

기업법 실무는 소송법보다 덜 적대적이다. 상업 거래의 양측 변호사는 적대자라기보다는 조력자에 가깝다. 거래는 동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참여자의 재정적 수단에 부당한 피해나 불평등이 있는 경우는 드물다. 기업 변호사는 거래를 구성하고, 문서를 작성하며, 계약을 검토하고, 거래를 협상하며, 회의에 참석한다.[2][3]

기업 변호사가 다루는 기업법 영역은 로펌의 지리적 위치와 규모에 따라 달라진다.[6] 소규모 로펌의 소도시 기업 변호사는 유언 작성, 이혼 합의, 부동산 거래와 같은 단기 업무를 많이 처리하는 반면, 대도시 로펌의 기업 변호사는 단일 비즈니스 거래 협상에 몇 달을 보낼 수도 있다. 로펌마다 하위 부서를 다르게 구성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모든 로펌이 합병 및 인수를 기업법 부서에 포함하는 것은 아니다.[2][3]

2. 1. 한국 사내변호사의 현황

현재 한국 사내변호사는 약 900여 명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1800여 개의 상장회사 중 약 119개 기업에서 사내변호사를 채용하고 있다. 이들은 계약서 심사 및 작성, 사내 연수 및 공부 모임 등의 강사, 법률 상담, 소송 관리, 규제 제정, 거래처 및 상대방과의 협상 및 섭외, 신규 법률 및 판례에 관한 조사 연구, 채권 회수, 주주총회 준비 및 개최, 법무 부문 전체의 총괄 및 관리, 감독 관청과의 협상, 절충 및 대응, 소속 기업에 대한 변호사 조회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10]

사내변호사는 사실관계 파악부터 증거 및 자료 수집, 분석, 논리 구성, 사건이 법인의 내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민까지 모든 과정을 담당해야 한다. 따라서 실무 교육이 필수적이지만, 현실적으로는 부족하다는 지적이 있다.[11]

현재 주요 사내변호사 단체로는 인하우스카운슬포럼(IHCF)과 한국사내변호사회(한사회)가 있다. IHCF는 현재 회원 수 400여 명, 한사회는 2012년 8월 기준으로 823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다.[12]

3. 자격 요건 및 역량

대부분의 회사가 국제 거래를 하기 때문에, 글로벌 기업 환경에서는 영어, 회계 및 글로벌 마인드가 필수적이다.[13] 법무실 이외의 분야에서 변호사로서 강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세무 지식이 요구된다.[13] 기업 변호사는 계약법, 세법, 회계, 증권법, 파산법, 지적 재산권, 라이선스, 지구 계획법 등 해당 기업의 사업과 관련된 법률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2][3]

4. 급여

사내 변호사의 연봉은 경력, 소속 로펌의 규모, 지역, 경제 상황, 법률 규정 변화, 기술 발전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9] 주요 국제 로펌("빅로펌")에 고용된 변호사는 215000USD의 초봉을 받으며, 경력에 따라 매년 상승한다(이 금액에는 추가 보너스는 포함되지 않음).[7] 지역에 따라, 시장이 이차적인 경우에는 초봉이 160000USD에 더 가까울 수 있다.[8] 소규모 로펌에 고용된 변호사는 일반적으로 더 적은 연봉을 받는다.

5. 관련 단체

한국의 사내변호사 단체로는 인하우스카운슬포럼(IHCF)과 한국사내변호사회(한사회)가 있다.[12] IHCF는 회원 간 교류 및 정보 공유를 지원하며, 한사회는 사내변호사의 권익 보호 및 역량 강화를 위한 활동을 한다.[12]

6. 관련 분야

사내변호사는 기업의 법률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계약법, 세법, 회계, 증권법, 파산법, 지적 재산권, 라이선스, 지구 계획법 등 기업 활동과 관련된 다양한 법률 분야에 대한 지식이 필요하다.[2][3]

7. 전망

기업 경영 환경이 복잡해지고 국제화됨에 따라, 사내변호사의 역할과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준법 경영 및 윤리 경영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기업 내부에서 법률 전문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한국에서도 사내변호사 제도가 더욱 활성화되고, 관련 교육 및 지원 시스템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10][11][12]

현재 한국 사내변호사는 약 900여 명으로 파악되고 1800개가량의 상장회사 중 약 119개의 기업에서 한국변호사를 채용하고 있다. 사내변호사가 되기 위해서는 대부분의 회사가 국제 거래를 하기 때문에 글로벌화된 기업 환경에서는 영어와 회계 및 글로벌 마인드가 필수이며, 법무실 이외에서 변호사로서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세무 지식이 요구된다.[13]

참조

[1] 서적 No Contest: Corporate Lawyers and the Perversion of Justice in America
[2] 서적 Guide to Your Career The Princeton Review 2004
[3] 서적 The Vault College Career Bible https://archive.org/[...] Vault Inc. 2007
[4] 뉴스 Keeping Corporate Lawyers Silent Can Shelter Wrongdoing https://dealbook.nyt[...] The New York Times 2014-08-26
[5] 간행물 Why Keeping Corporate Lawyers Quiet Is Good For Us All http://www.natlawrev[...] 2014-08-28
[6] 뉴스 Intensive Practical Skills Training Build a Foundation for a Legal Career http://brycelegal.co[...] 2017-07-27
[7] 웹사이트 Biglaw Salary Scale https://www.biglawin[...] 2022-12-31
[8] 웹사이트 Welcome to Your First Year as a Lawyer. Your Salary Is $160,000. https://www.nytimes.[...] 2015-04-16
[9] 웹사이트 Competitive Legal Salaries: How to Stay Ahead in the Job Market https://www.lawcross[...] www.lawcrossing.com 2023-10-03
[10] 웹인용 법률저널, 한·일 청년변호사 실태 ① - 사내변호사 2012년 10월 19일 http://news.lec.co.k[...] 2012-11-15
[11] 웹인용 사내변호사 위상 갈수록 높아진다 서울경제 2012.10.02 http://economy.hanko[...] 2012-11-15
[12] 웹인용 "[인터뷰] 인하우스카운슬포럼 데이빗 워터스 신임 회장 법률신문 2010-12-29" http://www.lawtimes.[...] 2012-11-15
[13] 웹인용 '법률신문 2012-01-06 [인터뷰] 한국사내변호사회 백승재 회장 "기업서도 준법전문부서 중요성 점점 더 늘어"' http://www.lawtimes.[...] 2012-11-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