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룬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룬선은 타이난 도시권과 구이런 구에 위치한 대만 고속철도 타이난역 간의 철도 연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된 타이완 철로 관리국(TRA)의 철도 노선이다. 2006년 11월 착공하여 2011년 1월 2일에 개통되었으며, 총 5.3km의 노선에 중저우역, 창룽 대학교역, 사룬역 3개의 역이 있다. 사룬선은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난역과 종관선 타이난역을 연결하여 고속철도 이용객의 접근성을 향상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타슈켄트-사마르칸트 고속철도
타슈켄트-사마르칸트 고속철도는 2011년 개통된 우즈베키스탄의 고속철도 노선으로, 아프로시욥 열차 운행을 시작으로 카르시, 부하라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우르겐치, 히바까지 공사 중이고 2024년 KTX-이음 기반 열차 도입 예정이나 티켓 구매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 2011년 개통한 철도 노선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은 수원시와 인천광역시를 잇는 수인선과 성남시와 서울특별시를 잇는 분당선을 2020년 9월 12일 통합 개통한 광역철도 노선으로, 수도권 서남부와 동남부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축을 형성하며, 향후 학익역 개통 예정 및 인천역-경부고속철도 연결 계획 검토와 함께 소음 문제 및 콘크리트 도상 사용 등 논란도 존재한다. - 대만 철로 관리국 - 북회선
북회선은 타이완 이란과 화롄 사이의 산악 지형을 지나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시작되었으나 1970년대에 재개되어 1979년 개통되었고, 현재는 타이완 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 대만 철로 관리국 - 구간차
타이완 철로 관리국에서 운행하는 구간차는 중·단거리 수송을 담당하며, 2006년부터 여러 등급의 열차를 통합하여 부르는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했고, 첩운화 정책에 따라 통근형 전동차를 투입하여 수송력을 증대했으며, 현재 다양한 차량이 운행되고 있다. - 대만의 철도 노선 - 북회선
북회선은 타이완 이란과 화롄 사이의 산악 지형을 지나는 철도 노선으로, 일제강점기 시대에 시작되었으나 1970년대에 재개되어 1979년 개통되었고, 현재는 타이완 동부 지역의 주요 교통 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다. - 대만의 철도 노선 - 핑둥선
핑둥선은 타이완 철로 관리국이 운영하며 가오슝시에서 핑둥현을 지나 팡랴오향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으로, 1941년 개통 이후 복선화, 전철화, 지하화 등의 업그레이드를 거쳐 현재 21개의 역이 운영되고 있다.
| 사룬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 |
|---|---|
| 노선 정보 | |
![]() | |
| 노선 종류 | 중전철 |
| 노선 체계 | 타이완 철로 |
| 노선 상태 | 운행 중 |
| 관할 구역 | 타이난시 |
| 기점 | 중저우 역, 런더 구 |
| 종점 | 사룬 역, 구이런 구 |
| 역 수 | 3개 역 |
| 개통일 | 2011년 1월 2일 |
| 소유자 | 타이완 철로 관리국 |
| 운영자 | 타이완 철로 관리국 |
| 노선 특징 | 고가 |
| 차량기지 | (정보 없음) |
| 사용 차량 | (정보 없음) |
| 노선 길이 | 5.3 km |
| 선로 길이 | (정보 없음) |
| 복선 구간 | 전 구간 |
| 궤간 | 1,067 mm 협궤 |
| 과거 궤간 | (정보 없음) |
| 최소 곡선 반지름 | (정보 없음) |
| 궤조 시스템 | (정보 없음) |
| 최고 속도 | (정보 없음) |
| 고도 | (정보 없음) |
| 웹사이트 | (정보 없음) |
| 노선도 | (정보 없음) |
| 기술 정보 | |
| 선로 수 | 복선 |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
| 전철화 방식 | 교류 25,000 볼트 |
| 명칭 | |
| 중국어 (정체) | 沙崙線 |
| 중국어 (간체) | 沙仑线 |
| 병음 | Shālún Xiàn |
| 통용 병음 | Shalún Siàn |
| 주음부호 | ㄕㄚ ㄌㄨㄣˊ ㄒㄧㄢˋ |
| 대만어 | Soa-lūn Soàⁿ |
| 객가어 | Sâ-lûn Sien |
| 일본어 | さろんせん |
| 영어 | Shalun Line |
2. 역사
사룬선은 타이난 도시권과 구이런 구에 있는 대만 고속철도역 사이의 철도 연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되었다.[1] 1990년대 타이난 도시 철도 시스템 적색선이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되었지만,[2] 재정 문제로 도시 철도 프로젝트는 무기한 보류되었다.[3] 행정원은 대만 고속철도와 타이완 철도 간의 일반 철도 연결을 우선하기로 결정했다.[3] 사룬선 건설 초기 예산은 58억신 대만 달러이었다.[4]
천수이볜 정권 시기인 2003년, 신 10대 건설의 일부로 포함되었고,[11] 2005년 5월 31일, 예산안이 입법원 삼독 결의를 통과했다.[12] 2006년 11월에 착공하여,[13] 2011년 1월 2일에 개통하였다. 개통 기념으로 1월 15일까지 약 2주간 무료 운행이 진행되었으며,[14]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난역과 종관선 타이난역을 잇는 무료 셔틀 버스(高鐵快捷公車|고철쾌첩공차중국어) 타이난 공원선은 다음 날인 3일에 폐지되었다.
2. 1. 건설 배경
타이난 도시권과 구이런 구에 있는 대만 고속철도역 사이의 철도 연결이 부족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룬선이 제안되었다.[1]1990년대 개발된 계획에서는 원래 타이난 도시 철도 시스템의 적색선이 이 문제를 해결하도록 설계되었으나,[2] 재정적인 문제로 인해 도시 철도 프로젝트는 무기한 보류되었다.[3] 대중의 의견을 수렴한 후, 행정원은 대만 고속철도와 타이완 철도 간의 일반 철도 연결을 우선하기로 결정하였다.[3] 사룬선 건설 초기 예산은 58억신 대만 달러이었다.[4]
2. 2. 건설 과정
사룬선은 서부 간선과의 분기점 끝 부분을 제외하고는 전 구간이 고가로 건설되었다. 원래는 2009년에 완공될 예정이었으나, 철도 노선 아래를 지나는 얼런강의 홍수 방지 공사로 인해 완공이 2011년 1월로 연기되었다. 타이난을 통과하는 열차 증가로 인해 도로 교통 정체가 심해질 것이라는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있었다.[5] 사룬선에는 기존 TRA 서부 간선의 중저우역이 있는데, 이 역은 분기역으로 개조되었으며, 새롭게 장룽 크리스천 대학교역과 사룬역이 건설되었다.[7][8]사룬선 건설은 천수이볜 정권의 공공 인프라 계획인 신 10대 건설의 일부로 포함되면서 시작되었다.[11]
| 날짜 | 내용 |
|---|---|
| 2005년 5월 31일 | 신 10대 건설 예산안이 입법원에서 통과되었다.[12] |
| 2006년 11월 | 착공했다.[13] |
| 2011년 1월 2일 | 개통했다. 개통 기념으로 2주간 무료 운행했으며,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난역과 타이난역을 잇는 무료 셔틀 버스는 운행을 중단했다.[14] |
2. 3. 개통 및 운영

사룬선은 TRA이 30년 만에 처음으로 신설한 노선으로, 2011년 1월 2일에 개통되었다.[7] 이 노선은 TRA 서부 간선 난커역에서 타이난시 신스구 타이난 과학 공원 근처 사룬역까지 운행하며, 신스, 융캉, 다차오, 타이난, 바오안, 런더, 중저우, 창융 대학교에 중간 정차한다.[6] 타이난과 사룬 사이를 운행하는 짧은 노선도 있다.[6]
사룬선 개통으로 TRA 타이난역과 THSR 타이난역 간 이동 시간은 21~22분으로 단축되었으며,[8][6] 셔틀 버스를 이용하면 약 50분이 소요되었다.[7] 타이난-사룬 간 티켓 가격은 25TWD로 설정되었으나,[7] 개통 후 2주 동안은 무료로 운행되었다.[9] 초기 운행 일정에는 하루 70편의 열차가 포함되었다.[8][6] 각 열차 내 LCD 스크린을 통해 승객들은 도쿄 야마노테선과 유사하게 실시간 위치 및 환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8]
사룬선은 천수이볜 정권 시기인 2003년, 공공 인프라 계획인 신 10대 건설의 일부로 포함되었고,[11] 2005년 5월 31일, 이 노선을 포함한 신 10대 건설 예산안이 입법원 삼독 결의를 통과했다.[12] 이후 2006년 11월에 착공하여,[13] 2011년 1월 2일에 정식 개업하였다. 개통 기념으로 1월 15일까지 약 2주간 무료 운행이 진행되었으며,[14] 타이완 고속철도 타이난역과 종관선 타이난역을 잇는 무료 셔틀 버스(타이난 공원선)는 다음 날인 3일에 폐지되었다.
3. 운행 형태
사룬선은 타이완 철로 관리국(TRA)의 첫 신설 노선으로, 2011년 1월 2일에 개통되었다.[7] 긴 노선은 TRA 서부 간선 난커역에서 타이난 과학 공원 근처 사룬역까지 운행하며, 신스, 융캉, 다차오, 타이난, 바오안, 런더, 중저우, 창융 대학교에 중간 정차한다.[6] 짧은 노선은 타이난역과 사룬역 사이를 운행한다.[6]
이 노선은 TRA 타이난역과 고속철도(THSR) 타이난역 간의 이동 시간을 셔틀 버스(약 50분)보다 훨씬 빠른 21~22분으로 단축시켰다.[8][6][7] 타이난-사룬 간 티켓 가격은 25TWD로 설정되었으나,[7] 개통 후 2주 동안은 무료로 운행되었다.[9] 초기 운행 일정은 하루 70편이었다.[8][6]
대부분의 열차는 타이난역(종관선)까지 직통 운전을 하며, 일부 열차는 융캉역, 난커역, 선화역, 자이역까지 운행한다. 추가 계획으로는 타이난 광역권에 새로운 역인 린선역 건설과 이전에 폐쇄되었던 난타이난역의 재개통이 있으며, 타이난 공항에 추가 역을 건설하는 방안은 취소되었다.
3. 1. 노선
구간차3. 2. 차량
사룬선은 EMU600형 전동차 4량 편성으로 운행되지만, 고장 시에는 EMU500형 전동차로 대행 운행이 이루어진다. 각 열차 내의 LCD 스크린을 통해 승객들은 도쿄 야마노테선과 유사하게 실시간 위치 및 환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8]
4. 역 목록
킬로(km)
킬로(km)
타이난 첩운 접속역(계획 중[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