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귀붙이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마귀붙이과는 풀잠자리목에 속하는 곤충 과로, 기생 생활을 하며 과변태를 한다. 유충은 거미 알집에 기생하며, 성충은 사마귀와 유사한 앞다리를 이용하여 곤충을 포식한다. 사마귀붙이과는 Symphrasinae, Mantispinae 등 4개의 아과로 분류되며, 일부 종은 벌을 의태하기도 한다. 한국에는 사마귀붙이, 애사마귀붙이 등 여러 종이 분포하며, 종을 식별하기 위한 형태적 특징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사마귀붙이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Mantispidae |
영명 | mantidflies mantispids mantid lacewings mantisflies |
동의어 | Liassochrysidae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강 | 곤충강 |
목 | 아미목 |
상과 | 카마키리모도키상과 |
과 | 카마키리모도키과 |
아과 | †Mesomantispinae †Doratomantispinae Symphrasinae Drepanicinae Calomantispinae Mantispinae 본문 참조 |
생물학적 정보 | |
화석 범위 | 쥐라기 초기 - 현재 |
2. 생태
사마귀붙이과의 곤충들은 기생 곤충으로, 과변태를 한다. 성충이 알을 낳으면 다리 달린 유충이 부화하여 거미 알집 등의 기생할 곳을 찾아다닌다. 거미 알집을 찾은 유충들은 탈피를 하면 다리가 없는 구더기 형태의 유충이 되는데, 거미 알집과 새끼 거미들을 먹으면서 자라서 그 안에서 고치를 짓고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는 우화 직전 거미 알집에서 빠져나오고 우화한다.[1]
사마귀붙이류는 길이가 약 5mm에서 47mm이며 날개 길이는 5mm에서 30mm이다. 일부 종은 벌을 의태하지만,[5] 대부분은 갈색을 띠며 녹색, 노란색, 때로는 붉은 색조를 띤다. 학명은 가시가 있는 "포식성" 앞다리가 작은 곤충을 잡도록 변형되어 사마귀의 앞다리와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사마귀와 유사한 외형에서 유래되었다(유일한 차이점은 집게발에 발판이 없고 걷는 데 사용되지 않는다는 것이다).[6] 성충은 종종 야행성인 포식자 곤충이며, 때로는 현관 조명이나 블랙라이트에 이끌리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녹색, 갈색, 노란색을 띠며 때로는 분홍색을 띤다. 네 개의 막질 날개를 가지고 있으며 때로는 무늬가 있을 수 있지만(특히 벌 의태 종에서) 일반적으로 투명하다. 성충 사마귀붙이류는 적절한 크기의 곤충을 사마귀처럼 잡는 포식자이지만, 먹이를 잡는 행동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사마귀붙이류와 사마귀에서 다르다.[6]
사마귀붙이류는 풀잠자리목 중에서 Dilaridae(고운풀잠자리)와 가시풀잠자리(Rhachiberothidae), 구슬풀잠자리(Berothidae)와 가장 가까운 관계를 가진다. 이들과 선사 시대의 Mesithonidae는 Mantispoidea 상과를 형성한다.
성충은 종종 야행성인 포식자 곤충이며, 적절한 크기의 곤충을 사마귀처럼 잡는다. 그러나 먹이를 잡는 행동의 근본적인 메커니즘은 사마귀붙이류와 사마귀에서 다르다.[6] 사마귀붙이류는 활동적인 사냥꾼이지만, 다른 신경시목 곤충과 마찬가지로 몸집이 커서 날기 어렵다.
Symphrasinae 유충은 벌, 말벌 또는 풍뎅이 유충의 정착성 기생생물이다. Calomantispinae의 유충은 작은 절지동물의 포식자이며, 적어도 한 종에서는 이동 가능하다. Mantispinae는 지금까지 연구된 모든 사마귀붙이류 중에서 가장 특화된 유충 발달을 보인다(Drepanicinae의 생활사는 알려지지 않음).[1]
1령 사마귀붙이류는 거미 알을 찾기 위해 두 가지 전략을 사용한다. 유충은 발견한 알집의 실을 직접 파고 들어가거나, 알집이 만들어지기 전에 암컷 거미에 탑승하여 운반되어 알집에 들어갈 수 있다(공생). 거미에 탑승하는 사마귀붙이류는 일반적으로 다리 근처에 자리를 잡는다. 일부 종은 거미의 서폐에 들어갈 수 있다. 유충은 거미의 혈림프를 먹으면서 거미에 탑승한 채 유지된다. 거미 교미 또는 동족 포식 동안 유충을 거미에서 거미로 옮길 수 있다. 사냥 거미의 모든 주요 그룹은 거미 탑승 사마귀붙이류의 공격을 받으며, 거미집을 짓는 종의 알집도 알집 침투자에 의해 들어간다.[7]
3. 형태
4. 분류
사마귀붙이류는 크게 4개의 아과로 분류되며, 이 중 Symphrasinae가 가장 원시적이고 Mantispinae가 가장 진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일부 분류군은 이 분류에 명확히 포함되지 않아 ''incertae sedis''로 취급되기도 한다.
일부 학자들은 백악기 화석에서 발견된 멸종된 두 날개를 가진 Dipteromantispidae를 사마귀붙이과의 아과로 보기도 한다.[12]
현존하는 분류군은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에 기반하며,[8] 멸종된 분류군은 Jepson, 2015 및 후속 문헌을 따른다.[9]
현존하는 속속(Genus) 칼로만티스파(Calomantispa) 놀리마(Nolima) 디탁시스 (곤충)(Ditaxis) 드레파니쿠스(Drepanicus) 게르슈타에케렐라(Gerstaeckerella) 테리스트리아(Theristria) 아프로만티스파속(Afromantispa) 아스페랄라속(Asperala) 오스트로클리마키엘라속(Austroclimaciella) 오스트로만티스파속(Austromantispa) 부이다속(Buyda) 캄파나켈라속(Campanacella) 캠피온속(Campion) 세르코만티스파속(Cercomantispa) 클리마키엘라속(Climaciella) 디크로만티스파속(Dicromantispa) 엔타노네우라속(Entanoneura) 유클리마키아속(Euclimacia) 유만티스파속(Eumantispa) 헤마토만티스파속(Haematomantispa) 렙토만티스파속(Leptomantispa) 마단티스파속(Madantispa) 만티스파속(Mantispa) 미메티스파속(Mimetispa) 남피스타속(Nampista) 네킬라속(Necyla) 니벨라속(Nivella) 오리엔티스파속(Orientispa) 파라만티스파속(Paramantispa) 폴리아넬라속(Paulianella) 의클리마키엘라속(Pseudoclimaciella) 렉티네르바속(Rectinerva) 사지탈라타속(Sagittalata) 스파민타속(Spaminta) 스테노만티스파속(Stenomantispa) 툴리다속(Toolida) 투베로노타속(Tuberonotha) 자비에라속(Xaviera) 제로만티스파속(Xeromantispa) 제우고만티스파속(Zeugomantispa) 안치에타 Plega Trichoscelia Allomantispa Entatoneura Fera (insect) Forciada Longicollum Manega (insect) Promantispa Prosagittalata
멸종된 속속(Genus) †아칸토만티스파(Acanthomantispa) †아라고만티스파(Aragomantispa) †디크라노만티스파(Dicranomantispa) †리아소크리사(Liassochrysa) †프로만티스파(Promantispa) †프실로만티스파(Psilomantispa) †시누이유만티스파(Sinuijumantispa) †페로세타속(Feroseta) †프로사지탈라타속(Prosagittalata) †벡티스파속(Vectispa) †Archaeosymphrasis †Habrosymphrasis †Haplosymphrasites †Parasymphrasites †Symphrasites †Archaeodrepanicus †Clavifemora †Karataumantispa †Mesomantispa †Ovalofemora †Sinomesomantispa †Neromantispa
쥐라기 ''Liassochrysa''(약 1억 8천만 년 전)와 ''Promantispa''(약 1억 5천 5백만 년 전)는 가장 오래된 화석 중 일부이며, 기저 위치에 있거나 가장 기저 아과인 Drepanicinae에 속할 수 있다.
대부분의 현존 속은 마이오세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화석 기록을 가지고 있다. 올리고세 ''"Climaciella" henrotayi''는 현존 속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 도미니카 호박에서 발견된 ''Dicromantispa moronei''와 멕시코 호박에서 발견된 ''Dicromantispa electromexicana''는 현존 속 ''Dicromantispa''에 속하는 화석 종이다.[1]
북미에는 ''Climaciella brunnea'', ''Drepanicus prasinus'', ''Entanoneura floridana'', ''Mantispa fuscicornis'' 등 다양한 종이 서식한다.
일본에는 6속 7종의 토착종이 분포하며,[26] 2014년 이후 혼슈 도카이·킨키 지방에서 외래종인 세로줄카마키리모도키(''네킬라속'')가 확인되고 있다.[27]
4. 1. 한국의 사마귀붙이류
한국에서 알려진 사마귀붙이류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논문
The neuropterid fauna of Dominican and Mexican amber (Neuropterida, Megaloptera, Neuroptera)
https://www.biodiver[...]
[2]
웹사이트
Fauna Europaea – Mantispidae
https://web.archive.[...]
2010-12-23
[3]
논문
"''Euclimacia nodosa'' (Westwood, 1847), a rare and poorly known species of Mantispidae (Neuroptera), recorded for the first time from West Bengal, India"
[4]
논문
A new wasp-mimicking species of the genus ''Euclimacia'' from Thailand (Neuroptera, Mantispidae)
http://www.landesmus[...]
[5]
논문
Polymorphic Mimicry of Polistine Wasps by a Neotropical Neuropteran
[6]
문서
Vision in the mantispid: a sit-and-wait and stalking predatory insect
[7]
논문
Biology of the Mantispidae
[8]
웹사이트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Mantispidae
https://www.gbif.org[...]
2020-10-27
[9]
논문
A review of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of fossil Mantispidae (Insecta: Neuroptera)
http://biotaxa.org/Z[...]
2015-06-04
[10]
논문
A mantidfly in Cretaceous Spanish amber provides insights into the evolution of integumentary specialisations on the raptorial foreleg
2019-09-13
[11]
논문
A new genus of Mantispidae (Insecta: Neuroptera) from the Eocene of Germany, with a review of the fossil record and palaeobiogeography of the family
http://www.biosoil.r[...]
[12]
논문
Phylogeny and Evolution of Neuropterida: Where Have Wings of Lace Taken Us?
http://www.annualrev[...]
2018-01-07
[13]
논문
Biodiversity of the Neuropterida (Insecta: Neuroptera: Megaloptera, and Raphidioptera)
https://doi.org/10.1[...]
John Wiley & Sons, New York
[14]
논문
Taxonomic review of the mantidfly genus Nolima Navás (Neuroptera, Mantispidae, Calomantispinae)
https://doi.org/10.3[...]
[15]
논문
A new sexually dimorphic mantidfly species of ''Allomantispa'' Liu et al., 2015 from China (Neuroptera: Mantispidae)
https://doi.org/10.1[...]
[16]
논문
A review of the biology and biogeography of Mantispidae (Neuroptera)
https://doi.org/10.1[...]
[17]
논문
New Cretaceous fossil mantispids highlight the palaeodiversity of the extinct subfamily Doratomantispinae (Neuroptera: Mantispidae)
https://doi.org/10.1[...]
[18]
논문
New genera and species of Mantispoidea (Insecta, Neuroptera) from the mid-Cretaceous Kachin amber, northern Myanmar
https://doi.org/10.1[...]
[19]
논문
Comparative morphology of extant raptorial Mantispoidea (Neuroptera: Mantispidae, Rhachiberothidae) suggests a non-monophyletic Mantispidae and a single origin of the raptorial condition within the superfamily
https://doi.org/10.1[...]
[20]
논문
A camouflaged diversity: taxonomic revision of the thorny lacewing subfamily Symphrasinae (Neuroptera, Rhachiberothidae)
https://doi.org/10.3[...]
[21]
논문
New fossil mantidflies (Insecta: Neuroptera: Mantispidae) from the Mesozoic of north-eastern China
https://doi.org/10.1[...]
[22]
논문
New Mesomantispinae (Insecta: Neuroptera: Mantispidae) from the Jurassic of Karatau, Kazakhstan
https://doi.org/10.1[...]
[23]
논문
A substitute name for a genus of fossil mantispid (Insecta: Neuroptera: Mesomantispinae) from the Jurassic of Kazakhstan
https://doi.org/10.1[...]
[24]
논문
A new genus of Mantispidae (Insecta: Neuroptera) from the Eocene of Germany, with a review of the fossil record and palaeobiogeography of the family
https://doi.org/10.1[...]
[25]
문서
Mesozoic Mantispidae: A review of the current state of knowledge. Proceedings of the XIII International Symposium of Neuropterology, 17-22 June 2018, Laufen/salzach, Bavaria, Germany. XIII International Symposium of Neuropterology (Neuropterology2018), Laufen, Germany
https://doi.org/10.5[...]
[26]
논문
Taxonomic Notes on the Mantispidae (Insecta: Neuroptera) from Japan
https://doi.org/10.1[...]
[27]
간행물
東海・近畿地方で確認された外来種タテスジカマキリモドキ(新称)(アミメカゲロウ目:カマキリモドキ科)
https://www.fujimu10[...]
[28]
서적
鳳来寺山のバッタ目・ナナフシ目・アミメカゲロウ目
鳳来寺山の自然史, 鳳来寺山自然科学博物館
[29]
간행물
オオカマキリモドキの愛知県と鹿児島県の記録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