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미의 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미의 기는 사미족을 대표하는 깃발이다. 1962년 마리트 스튕이 최초의 비공식 사미 기를 디자인했으며, 이 기는 사미 전통 의상에서 사용되는 색상을 사용했다. 1977년 신뇌베 페르센이 스튕의 깃발과 유사한 디자인의 사미 기를 제작하여 시위의 상징으로 사용했다. 1986년 제13회 북유럽 사미 회의에서 아스트리드 보엘이 디자인한 공식 사미 기가 공인되었으며, 녹색이 추가된 네 가지 색상(빨강, 녹색, 노랑, 파랑)을 사용한다. 사미 기는 사미인의 날 등 여러 기념일에 게양되며, 사미 의회와 사미 평의회에서 소유권을 공유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기 - 스웨덴의 국기
    스웨덴 국기는 파란색 바탕에 노란색 스칸디나비아 십자가가 그려진 5:8 비율의 직사각형 깃발로, 16세기 초부터 사용되었으며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시기를 거쳐 현재 디자인으로 확정되어 여러 국가의 깃발 디자인에 영향을 미쳤다.
  • 노르웨이의 기 - 노르웨이의 국기
    노르웨이 국기는 붉은 바탕에 흰색 스칸디나비아 십자가가 있는 8:11 비율의 깃발로, 1821년 프레드리크 멜처가 디자인하여 스토르팅에서 채택되었으나 초기에는 민간용으로만 사용되다가 1899년 연합 문장 제거 후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스칸디나비아 디자인 요소와 노르웨이 정체성을 반영한다.
  • 핀란드의 기 - 핀란드의 국기
    핀란드 국기는 흰색 바탕에 밝은 파란색 스칸디나비아 십자가가 있는 깃발로, 1918년 핀란드 독립 이후 공식 국기로 채택되어 독립 국가로서의 정체성을 상징하며 디자인과 형태, 사용 규정 등에 대한 정부 결정 및 법적 규제가 존재한다.
  • 핀란드의 기 - 올란드 제도의 기
    올란드 제도의 기는 스웨덴 국기 디자인에 핀란드 국장의 색을 혼합하여 스웨덴과 핀란드와의 역사적 관계를 나타내며, 자치권 획득 후 1954년에 공식화되었다.
사미의 기
기본 정보
사미의 기
사미의 기
용도민간기, 상선기
비율75:101 (또는 20:27)
채택일1986년 8월 15일
디자이너아스트리드 볼
유형민족기

2. 첫 번째 기

최초의 비공식 사미 기는 1962년 사미 정치인이자 활동가인 마리트 스튕(Marit Stueng)이 노르웨이 카라쇼크에서 디자인했다. 이 깃발은 사미 전통 의상인 가흐티에 흔히 사용되는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을 사용했으며,[1] 카라쇼크 지역과 ''카탈로가 1971'' 같은 일부 간행물에서 사용되었다.[2][3]

이후 1977년, 알타 시에서 알타엘바 강 댐 건설에 대한 반대 시위인 알타 논쟁이 격화되자, 포르상구 시 출신의 사미 예술가 신뇌베 페르센(Synnøve Persen)이 스튕의 깃발과 유사한 디자인의 깃발을 제작했다. 페르센은 이 깃발 디자인에 다른 북유럽 깃발과 전통적인 사미 디자인을 참고했다고 밝혔으며,[1] 이 깃발은 알타 시위의 상징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

2. 1. 디자인 논란과 진실

사미인의 전통 의상인 가흐티


최초의 비공식 사미 기는 1962년 사미 정치인이자 활동가인 마리트 스튕(Marit Stueng)이 노르웨이 카라쇼크에서 디자인했다. 이 깃발은 사미 전통 의상인 가흐티에 흔히 사용되는 파란색, 빨간색, 노란색을 사용했으며,[1] 카라쇼크 지역과 일부 간행물에서 사용되었다.[2][3]

그러나 이 깃발은 널리 알려지지 못했다. 1977년 알타 시에서 알타엘바 강 댐 건설에 반대하는 알타 논쟁이 격화되자, 포르상구 시 출신의 사미 예술가 신뇌베 페르센(Synnøve Persen)이 스튕의 깃발과 유사한 디자인의 깃발을 선보였다. 페르센은 북유럽 국가들의 국기와 전통적인 사미 디자인을 참고하여 이 깃발을 만들었다고 밝혔으며, 이 깃발은 알타 시위의 강력한 상징으로 부상하며 국내외적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1] 페르센의 작품은 이후 여러 매체와 전시회를 통해 소개되었고, 2018년에는 노르웨이 국립 미술 건축 디자인 박물관에 소장되었다.[4]

이러한 과정에서 페르센의 깃발이 종종 마리트 스튕에 대한 언급 없이 '최초의 사미 기'로 잘못 소개되기도 했다.[1] 스튕의 깃발이 시기적으로 먼저 디자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페르센의 깃발이 알타 논쟁이라는 중요한 역사적 사건과 결부되면서 대중에게 더 강하게 각인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하지만 최근에는 마리트 스튕의 깃발이 최초의 비공식 사미 기라는 사실이 다시 알려지고 있다.

3. 두 번째 기

오두막 밖에서 펄럭이는 사미 기


최초의 공식적인 사미 기는 1986년 8월 15일, 스웨덴 오레에서 열린 제13회 북유럽 사미 회의에서 공인되고 제정되었다. 이 기는 신문 ''사미 아이기''가 주최한 공모전을 통해 선정되었으며, 70개 이상의 디자인 안 중에서 노르웨이 스키보튼 출신의 해안 사미 예술가 아스트리드 보엘의 디자인이 채택되었다.

보엘의 디자인은 기존의 비공식 기의 기본 구조를 바탕으로 중요한 변경 사항을 담았다. 남부 사미인들의 전통 의상인 가크티에서 자주 사용되는 녹색을 추가하여, 빨강, 파랑, 노랑, 녹색의 네 가지 색상을 '사미 (국가) 색상'으로 확립했다. 또한, 많은 사미 드럼에 나타나는 태양과 달 상징에서 영감을 받은 원형 모티프를 기에 추가했는데, 이는 각각 태양(붉은색 반원)과 달(푸른색 반원)을 상징한다.[5][6][11][12][13]

3. 1. 색상 및 상징

태양-달 기호가 있는 사미 드럼(왼쪽 위)


사미의 기에 사용된 네 가지 색상, 즉 빨강, 파랑, 노랑, 녹색은 '사미 (국가) 색상'으로 알려져 있다. 이 색상 구성은 아스트리드 보엘이 기존의 비공식 기에 사용되던 세 가지 색에 녹색을 추가하면서 완성되었다. 녹색은 특히 남부 사미인들이 즐겨 입는 전통 의상 가크티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색이다. 각 색상에는 공식적인 팬톤 코드가 지정되어 있다.[5][6]

색상팬톤 코드
빨강485 C
녹색356 C
노랑116 C
파랑286 C



기의 중앙에 위치한 원형 문양은 태양과 달을 동시에 상징한다. 빨간색 반원은 태양을, 파란색 반원은 달을 나타낸다. 이 모티프는 많은 사미 드럼에 그려진 태양과 달 상징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전통적으로 사미 드럼에는 신성한 오리나무 추출물을 이용해 붉은색으로만 그림을 그렸지만, 기에는 태양(빨강)과 달(파랑)을 모두 표현하기 위해 두 가지 색이 사용되었다.[5][6]

이 원형 문양은 19세기 중반 남부 사미족 개신교 사제였던 안데르스 펠르네르가 사미 샤머니즘 요소가 풍부한 요이크를 바탕으로 기록한 시 Päiven Pārne'|태양의 아들들smi를 염두에 두고 선택되었다.[7] 이 시는 사미족을 "태양의 아들딸"로 묘사하며,[5] 북쪽 멀리 '죽음의 집'에 사는 거인 여성과 그곳에서 도망쳐 나온 태양의 아들 사이의 결합을 통해 사미족이 탄생했다는 기원 신화를 담고 있다.[7] 또한, 사미족 국가인 "사미 소가 라브라"에서도 사미족을 "태양의 아들들의 후손"으로 노래한다.[5]

4. 공식 지위

사미 의회가 사미의 기를 채택한 지 17년 만인 2003년, 사미족 인구가 가장 많은 노르웨이에서 사미의 기는 공식적인 지위를 얻었다. 현재 노르웨이의 지방 자치 단체는 사미 민족의 날인 2월 6일에 사미의 기를 게양할 의무가 있다. 사미의 기는 같은 날 핀란드스웨덴 (특히 라플란드)의 일부 지역에서도 게양된다.

아케르스후스 요새에서 게양된 사미기와 노르웨이 국기


헤타에서 게양된 사미기와 핀란드 국기


게양된 사미기와 스웨덴 국기


원래 사미의 기에 대한 소유권은 사미 의회가 가지고 있었으나, 제18회 사미 회의 이후 사미 평의회와 소유권을 공유하게 되었다. 국가 상징 공동 위원회는 문장학의 국제 원칙에 따라 새로운 국가 상징을 결정할 의무도 가진다.

5. 사미의 기의 날

사미의 기는 다음 기념일에 게양된다.

날짜기념 내용
2월 6일사미인의 날. 1917년 트론헤임에서 열린 첫 번째 사미 회의를 기념하는 날이다.
3월 25일수태고지
6월 24일하지
8월 9일유엔 세계 원주민의 날
8월 15일사미 기의 날. 사미 기는 1986년 8월 15일에 공인되었다.
8월 18일사미 협의회의 날. 사미 협의회는 1956년 8월 18일에 결성되었다.
8월 26일스웨덴 사미 의회 출범일. 스웨덴 사미 의회는 1993년 8월 26일에 출범했다.
10월 9일노르웨이 사미 의회 출범일. 노르웨이 사미 의회는 1989년 10월 9일에 출범했다.
11월 9일핀란드 사미 의회 창립일. 핀란드 사미 의회는 1973년 11월 9일에 창립되었다.
11월 15일이사크 사바의 날 또는 사미 국가의 날. 사미 "국가"의 작곡가인 이사크 사바1875년 11월 15일에 태어났다.
11월 29일엘사 라울라 렌베르크의 날. 엘사 라울라 렌베르크는 1877년 11월 29일에 태어났다. 그녀는 1917년 트론헤임에서 열린 첫 번째 사미 회의의 조직위원장이다.


6. 관련 상징

스웨덴 사미 의회의 로고는 네 가지 사미 색상을 사용한 원을 특징으로 한다.[8] 핀란드 사미 의회는 원과 첫 번째 사미 기의 세 가지 색상을 사용한다.[9] 노르웨이 사미 의회의 현재 로고는 기의 요소를 포함하지 않는다.

핀마르쿠오프모다트(Finnmárkuopmodat)는 핀마르크 법에 의해 설립된 자치 단체이다. 이 단체의 웹사이트 설명에 따르면 로고는 "핀마르크 에스테이트가 사미인, 퀘네인, 노르웨이인 민족 모두와 관계를 맺고 책임감을 느낀다는 상징"으로, 사미 기와 노르웨이 깃발에서 색상을 가져왔다. 로고의 원형은 사미 기의 태양 상징과 원의 견고하고 안전한 포괄성을 의미하며, 이는 오로라(북극광)가 노르웨이 기와 사미 기의 색상으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를 열어주는 것을 상징한다.[10]

선출된 http://saamisups.ucoz.ru/ 무르만스크주의 사미 대표 평의회는 사미 기에서 영감을 받은 상징을 사용한다. 이 상징은 초승달 모양으로 연결된 두 개의 순록 뿔 모양으로, 윗부분은 빨간색, 아랫부분은 파란색이며 두 부분 사이에는 노란색과 녹색 두 줄이 있다. 주 정부 산하 원주민 대표 평의회가 운영하는 공식 https://web.archive.org/web/20091113161525/http://www.gov-murman.ru/natpers/centre/ 무르만스크주 원주민 센터 역시 사미 기에서 영감을 받은 로고를 사용한다. 이 로고는 왼쪽 절반이 파란색, 오른쪽 절반이 빨간색인 원 중앙에 갈색 라부(lávvu)가 있고, 을 상징하는 파란색 선과 오로라를 상징하는 여러 색상의 선(왼쪽부터 빨간색, 노란색, 녹색, 파란색 순)이 그려져 있다.

참조

[1] 간행물 Sameflagget https://snl.no/Samef[...] 2022-02-08
[2] 웹사이트 Nasjonalbiblioteket https://www.nb.no/it[...]
[3] 뉴스 – Flagget har bare èn opphavsperson https://www.nrk.no/s[...] 2022-02-09
[4] 웹사이트 My Country Has No Colours https://www.nasjonal[...] 2022-02-09
[5] 웹사이트 Saamiraddi http://www.saamicoun[...]
[6] 웹사이트 Regeringens webbplats om mänskliga rättigheter http://www.manskliga[...]
[7]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skolenett[...] 2022-06-30
[8] 웹사이트 Sametinget https://www.sameting[...]
[9] 웹사이트 Samediggi - Saamelaiskäräjät - Etusivu http://www.samediggi[...] 2009-01-20
[10] 웹사이트 FeFo logo http://www.fefo.no/n[...]
[11] 웹사이트 Smerådet | Samiske symboler http://www.saamicoun[...]
[12] 웹사이트 Saami Council | The Saami Symbols http://www.saamicoun[...]
[13] 웹사이트 www.humanrights.gov.se / Human rights in Sweden / National Minorities / The Sami http://www.manskliga[...] 2011-07-19
[14] 웹사이트 http://www.skolenett[...]
[15] 웹사이트 http://www.saamicoun[...]
[16] 웹사이트 http://www.samediggi[...]
[17] 웹사이트 http://www.samedigg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