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리나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리나무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4~20m까지 자란다. 수피는 자갈색에서 암회갈색이며, 잎은 어긋나고 톱니가 있다. 11월에서 4월 사이에 개화하며, 뿌리혹박테리아와 공생하여 질소를 고정한다. 목재는 가볍고 무르며, 가구, 기구, 하회탈 제작에 사용되고, 수피와 열매는 염료로, 잎과 나무껍질은 약용으로 사용된다. 오리나무는 산사태 복구와 경관 조성에도 활용되지만, 꽃가루는 알레르기를 유발하기도 한다. 오리나무속에는 물오리나무, 산오리나무 등이 있으며, 다양한 품종과 변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작나무과 - 서어나무
서어나무는 붉은 새싹과 단풍이 특징인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동아시아 지역에 분포하며 목공품, 악기 제작에 사용되고 정원수나 분재로도 활용된다. - 자작나무과 - 까치박달
까치박달은 15m까지 자라는 낙엽활엽교목으로, 회색 껍질과 긴 달걀형 잎을 가졌으며, 5월에 유이꽃차례의 꽃이 피고, 치밀하고 탄력 있는 목재는 기구재나 목기재로 쓰인다. - 만주의 식물상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만주의 식물상 - 전나무
전나무는 키가 20~40m에 달하는 침엽수로, 잿빛 암갈색 껍질과 흰색 기공선이 있는 잎을 가지며 목재, 크리스마스 트리 등으로 이용되고 잎은 약재로 쓰이며 일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다. - 일본의 나무 - 나한송
나한송은 따뜻한 지역에서 자라는 상록 교목으로, 껍질이 벗겨지는 특징이 있고 건축재나 약재로 쓰이며 정원수로도 심는데, 종자는 독성이 있지만 붉은 종탁은 먹을 수 있다. - 일본의 나무 - 밤나무
밤나무는 한국과 일본 원산의 참나무과 낙엽성 교목으로, 밤 열매를 얻기 위해 재배되며 목재와 조경용으로도 이용되고, 타원형 잎과 향기로운 꽃, 가시 밤송이가 특징이며,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고, 역사적으로 식량, 건축, 공예 등 다방면으로 활용되어 왔다.
| 오리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Alnus japonica (Thunb.) Steud. |
| 이명 | Alnus japonica (Thunb.) Steud. var. villosa, L. Zhao et D. Chen |
| 한글 이름 | 오리나무 |
| 일본어 이름 | ハンノキ (한노키) |
| 영어 이름 | Japanese Alder |
| 분류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강 | 진정쌍떡잎식물군 |
| 미분류 목 | 장미군 |
| 목 | 참나무목 |
| 과 | 자작나무과 |
| 속 | 오리나무속 |
| 참고자료 | |
| 한국 자생 식물 영어 이름 | 한국 자생 식물 영어 이름 |
| 중국 식물상 | 중국 식물상 Alnus japonica |
2. 명칭
고대 명칭은 '''榛|하리일본어'''(はり)이며, ‘ハンノキ|함노키일본어’라는 명칭은 ‘ハリノキ|하리노키일본어’(榛の木일본어)가 변화한 것이다.[5] 중국에서는 “일본榿木”이라고 부른다. 다른 이름으로는 습지에 자라는 오리나무라는 뜻의 야치함노키(ヤチハンノキ)가 있으며, 강원도 지방에서는 '''야치바'''(ヤチバ)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낙엽활엽교목으로, 키는 4m~20m이며, 지름은 약 60cm 정도이다. 습지 주변의 비옥한 땅에서는 매우 잘 자라 높이 30m, 둘레 1m를 넘는 개체도 있지만, 습지 중앙부에서는 생장이 저하되어 크게 자라지 못한다. 수피는 자갈색에서 암회갈색이며, 세로로 얕게 갈라져 벗겨진다. 잎은 잎자루가 있고 어긋나기하며, 길이는 5cm~13cm 정도인 장타원형 또는 장타원상 난형이다. 잎 가장자리에는 얕고 가는 톱니가 있으며, 옆으로 뻗은 잎맥(측맥)은 7~9쌍이다. 잎의 수명이 짧아 녹색인 채로 계속 낙엽이 진다. 이른 봄에 자란 1~2장의 잎(봄잎)은 그 이후에 자란 잎(여름잎)보다 수명이 짧아, 6월에서 7월 사이에 봄잎이 집중적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었다.[7] 나무의 전체적인 모양(수형)에는 몇 가지 유형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8]
뿌리에는 뿌리혹박테리아가 공생하여 질소를 고정시킨다. 저지대의 습지나 낮은 산의 강가에서 자라며, 대한민국에서는 전국 산과 들의 저지대나 습지, 늪 등에서 스스로 자란다. 습원처럼 물이 많은 땅에서도 숲을 이룰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무 종류 중 하나이다. 과거에는 논둑에 심기도 했으며, 최근에는 논농사를 짓지 않는 땅에 번식하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 보통 나무는 흙에 물이 너무 많으면 산소가 부족해 살기 어렵지만, 오리나무는 물에 잘 견디는 성질(내수성)이 있어 습지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
오리나무는 예로부터 인간 생활의 여러 면에서 중요하게 활용되어 왔다. 가볍고 가공이 용이한 목재는 각종 도구와 하회탈 같은 예술품 제작에 쓰였고, 땔감으로도 유용했다. 나무껍질과 열매 등은 염료나 약재로 이용되었으며, 환경 보전 목적으로 산사태 복구지 등에 심기도 한다. 다만, 봄철에는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한자 표기에 사용하는 “榛”은 본래 개암나무를 뜻하는 글자이지만,[5] 오리나무를 가리키는 것은 일본 고유의 용법이다.[6] 또한 한자 이름으로 ‘赤楊’을 쓰기도 하지만, 이는 잘못된 표기이다.[5]
오리나무의 꽃말은 “인내”와 “강용”이다.
3. 형태
개화기는 겨울인 11월부터 4월경이며, 잎보다 먼저 단성화가 핀다. 암수한그루로, 수꽃이삭은 가지 끝에 1~5개가 달리며, 흑갈색의 원통 모양으로 꼬리처럼 아래로 처진다. 암꽃이삭은 타원형으로 적자색을 띠며, 수꽃이삭 아래쪽 잎겨드랑이에 1~5개가 달린다. 꽃 자체는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오리나무가 밀집한 지역에서는 꽃가루에 의한 천식 발생 보고가 있다.[9]
열매는 솔방울 모양으로 1~5개씩 달리며, 10월경에 길이 15mm~20mm 정도의 핵과 모양으로 익는다. 솔방울과 비슷한 작은 열매는 다음 해 봄까지 나무에 남아 있다.
겨울눈은 어긋나게 달리며, 가지 끝에 달리는 수꽃차례와 그 밑부분에 달리는 암꽃차례는 모두 꽃눈(나아눈)이고 자루가 있으며 붉은색을 띤다. 맨 끝눈(정아)과 곁눈(측아)은 모두 잎눈이며, 자루가 있고 3장의 눈비늘(아린)이 있으며, 수지(樹脂)로 굳어진다. 잎이 떨어진 자리인 잎자국은 반원형이며, 관다발 자국은 3개 있다.
4. 생태
경작을 포기한 땅에 심어 관찰한 사례에 따르면, 박쥐나방(コウモリガ|고모리가일본어)으로 인한 피해가 컸다고 한다. 풀이 잘 자라지 않는 환경이 오히려 병해충 발생이 적어 오리나무가 자라는 데 더 유리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10]
오리나무 잎은 녹색부전나비나 오리나무잎벌레 같은 곤충의 먹이가 된다.
한편, 일본 홋카이도의 구시로 습원에서는 흘러 들어온 흙이나 부영양화 때문에 오리나무 숲이 지나치게 넓어지면서, 습지의 다른 식물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는 생태계 변화와 관련된 환경 문제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5. 분포
6. 인간과의 관계
6. 1. 목재
오리나무 목재는 재질이 무르고 가벼우며 기건비중은 약 0.5 정도이다. 도관 배열은 산공재이며, 전체적으로 황갈색을 띠고 변재와 심재의 구분은 불명확하다.
이러한 무르고 가벼운 특성 때문에 목재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다. 전통적으로 나막신, 악기, 그릇 등을 만드는 데 쓰였으며, 특히 안동의 하회탈을 만드는 중요한 재목으로 사용되어 한국 전통 문화에서 가치를 지닌다. 현대에는 건축재, 기구, 연필 등의 재료로도 이용된다.[11]
오리나무는 뿌리썩음병이나 얕은 뿌리 때문에 풍수해로 쓰러지기 쉬워 다른 나무가 자라기 어려운 논 지역에서도 잘 자라는 편이다. 이 때문에 과거 이러한 지역에서는 땔나무와 목공용으로 중요하게 사용되었으며, 논둑에 벼를 말리는 용도로 심기도 했다.
또한, 양질의 목탄 원료가 되기 때문에 예전에는 활발하게 벌채되었다. 목재에 기름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녹색 상태에서도 잘 타는 특징이 있어, 일본의 북륙 지방에서는 화장의 장작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6. 2. 약용 및 기타
잎과 나무껍질은 열과 장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된다. 오리나무는 조혈 작용이 있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한약재로도 쓰인다.
나무껍질과 열매는 갈색 염료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나무껍질은 가죽을 무두질하는 데 사용되며, 채색에 이용되는 색소를 함유하고 있다. 또한 항균 작용과 탈취 효과도 기대된다.
목재는 나막신, 악기, 그릇 등을 만드는 재료로 쓰였으며, 특히 안동의 하회탈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다.
6. 3. 환경 보전
오리나무는 삽목으로도 뿌리가 잘 내리는 특성이 있어, 계류 주변의 산사태 흔적지나 용출수가 있는 사면 붕괴지를 복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다만, 오리나무 종류에 따라 싹이 트는 힘(맹아력) 등에 차이가 있으므로, 복구 목적에 맞는 적절한 종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12]
또한, 공원이나 연못가에 심어 경관을 조성하는 공원수로도 활용된다. 과거에는 와사비 밭의 그늘을 만들기 위해 밭 안이나 주변에 오리나무를 심기도 했다.[13]
6. 4. 꽃가루 알레르기
오리나무는 1월부터 6월경까지 꽃가루를 날리며, 봄철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이 된다.[14] 오리나무 꽃가루는 바람에 의해 수분되는 풍매화이며, 꽃가루 알레르기의 원인 물질 중 하나라는 보고가 있다.[15][16] 일본 도쿄에서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오리나무 꽃가루의 비산량은 삼나무에 비해 현저히 적지만, 항체 양성률은 높게 나타났다.[17] 자작나무과에서는 사시나무의 꽃가루 알레르기가 잘 알려져 있는데, 이 질환을 가진 환자는 종종 사과 등의 과일에서도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리나무 꽃가루 알레르기에서도 이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18]
7. 분류
- '''품종'''
- * 털오리나무(별명: 야치오리나무, 학명: Alnus japonica (Thunb.) Steud. f. arguta (Regel) H.Ohba)[19]
- ** (이명: Alnus japonica (Thunb.) Steud. var. arguta (Regel) Callier[20])
- * 좀오리나무(별명: 넓은잎좀오리나무, 학명: Alnus japonica (Thunb.) Steud. f. koreana (Callier) H.Ohba)[21]
- ** (이명: Alnus japonica Siebold et Zucc. var. rufa Nakai[22], Alnus japonica (Thunb.) Steud. var. koreana Callier[23])
- '''변종'''
- * 타이완오리나무(학명: Alnus japonica (Thunb.) Steud. var. formosana (Burkill) Callier)[24]
- ** (이명: Alnus henryi C.K.Schneid.[25], Alnus formosana (Burkill) Makino[26])
8. 오리나무속 식물
오리나무속에 속하는 주요 식물과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이름 (한국명/일본명) | 학명 | 서식지 / 특징 |
|---|---|---|
| 물오리나무 (カワラハンノキ|가와라한노키일본어) | - | 주로 강가에 자람 |
| 산오리나무 (ヤマハンノキ|야마한노키일본어) | Alnus hirsuta Turcz. ex Rupr., 1857 | 개울가 산기슭, 계곡 경사면 |
| 오리나무 (ハンノキ|한노키일본어) | A. japonica (Thunb.) Steud., 1840 | - |
| 털오리나무 (ケハンノキ|게한노키일본어) | A. japonica (Thunb.) Steud. forma koreana (Callier) H. Ohba, 2006 | 오리나무의 한 품종 |
| 털산오리나무 (ケヤマハンノキ|게야마한노키일본어) | - | 개울가 산기슭, 계곡 경사면 |
| 묘향산오리나무 (ミヤマハンノキ|미야마한노키일본어) | A. maximowiczii Callier ex C.K. Schneid., 1904 | 산 속 바위 많은 경사면 |
| 좀야광나무 (ヒメヤシャブシ|히메야샤부시일본어) | A. pendula Matsuma, 1902 | - |
| 알더 (アルダー|아루다일본어) | A. rubra Bong., 1832 | 가구나 악기에 자주 사용됨 |
| 넓은잎야광나무 (オオバヤシャブシ|오오바야샤부시일본어) | A. sieboldiana Matsuma, 1902 | - |
참조
[1]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01-04
[2]
웹사이트
Alnus japonica in eflora China
http://www.efloras.o[...]
[3]
웹사이트
Alnus japonica (Thunb.) Steud. ハンノキ(標準)
# YList는 URL을 제공하지 않[...]
2024-03-27
[4]
서적
新修百科辞典
三省堂
[5]
웹사이트
「榛木」の解説
https://kotobank.jp/[...]
精選版 日本国語大辞典(コトバンク)
2021-08-15
[6]
서적
角川新字源
KADOKAWA
[7]
논문
ハンノキ属の葉はなぜ夏に落ちるか
https://cir.nii.ac.j[...]
1980-12-30
[8]
논문
氾濫原湿地におけるハンノキの生長と萌芽に伴う形態変化
[9]
논문
ハンノキ花粉喘息
1971-09-30
[10]
논문
耕作放棄水田に植栽したハンノキの生残と成長
[11]
서적
366日 誕生花の本
日本ヴォーグ社
1990-11-30
[12]
논문
豪雪地の山腹工施工地に植栽されたミヤマカワラハンノキの成長と樹形—治山植物としての可能性の検討—
[13]
웹사이트
中伊豆ワサビ田
https://www.fuuchi.f[...]
[14]
웹사이트
ハンノキ花粉症に注意!食物アレルギーとの関連も?詳しく解説
https://brand.taisho[...]
大正製薬
2024-12-16
[15]
논문
ハンノキ花粉喘息
[16]
서적
新装版 花粉学事典
朝倉書店
[17]
논문
小児におけるハンノキおよびスギ特異的IgE抗体価と口腔アレルギー症候群との関係~東京都多摩地区での後方視的検討~
[18]
논문
小児のハンノキ感作と口腔アレルギー症状についての検討
[19]
웹사이트
Alnus japonica (Thunb.) Steud. f. arguta (Regel) H.Ohba
# YList는 URL을 제공하지 않[...]
2022-01-29
[20]
웹사이트
Alnus japonica (Thunb.) Steud. var. arguta (Regel) Callier
# YList는 URL을 제공하지 않[...]
2022-01-29
[21]
웹사이트
Alnus japonica (Thunb.) Steud. f. koreana (Callier) H.Ohba
# YList는 URL을 제공하지 않[...]
2022-01-29
[22]
웹사이트
Alnus japonica Siebold et Zucc. var. rufa Nakai
# YList는 URL을 제공하지 않[...]
2022-01-29
[23]
웹사이트
Alnus japonica (Thunb.) Steud. var. koreana Callier
# YList는 URL을 제공하지 않[...]
2022-01-29
[24]
웹사이트
Alnus japonica (Thunb.) Steud. var. formosana (Burkill) Callier
# YList는 URL을 제공하지 않[...]
2022-01-29
[25]
웹사이트
Alnus henryi C.K.Schneid.
# YList는 URL을 제공하지 않[...]
2022-01-29
[26]
웹사이트
Alnus formosana (Burkill) Makino
# YList는 URL을 제공하지 않[...]
2022-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