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스래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스래나무는 일본 이름이 "다케칸바"이며, 한자로는 "岳樺"로 표기되는 낙엽활엽수 교목이다. 일본, 쿠릴 열도, 사할린, 한반도, 중국 동북부 등지에 널리 분포하며, 고산이나 북쪽 지방의 한랭지에 자생한다. 껍질은 회적갈색으로 얇게 벗겨지며, 잎은 삼각상 난형 또는 삼각상 넓은 난형이다. 수피는 불쏘시개로 사용되기도 하며, 홋카이도산 목재로 야구 배트 재료로 이용되려는 움직임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작나무속 - 박달나무
    박달나무는 온대 북부 지방에 자라는 낙엽활엽수로, 단단하고 치밀한 재질 덕분에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었으며, 특히 고조선 시대부터 활을 만드는 데 쓰여 신성한 나무로 여겨지고 한국의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신단수로도 추정된다.
  • 자작나무속 - 개박달나무
    개박달나무는 한국, 중국, 몽골 원산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목재는 단단하고 치밀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껍질은 염료와 한약재로도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 1831년 기재된 식물 - 석곡아과
    석곡아과는 난초과의 아과로 착생식물이며, 고등 석곡아과와 하등 석곡아과로 나뉘고, 열대 및 아열대 우림에서 주로 발견되며 CAM 대사 방식을 활용한다.
  • 1831년 기재된 식물 - 왜떡쑥족
    왜떡쑥족은 국화과 국화아과에 속하는 족으로, 전 세계 다양한 환경에 적응한 여러 형태의 식물들을 포함하며, 특히 남아메리카, 남아프리카, 오스트레일리아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숙은떡쑥속, 개미취속, 떡쑥속 등을 포함하여 187개의 속이 인정되며, 국화과의 진화적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연어
    연어는 태평양과 북극해에 분포하며 강에서 태어나 바다에서 성장 후 산란을 위해 다시 강으로 돌아오는 어류로, 몸 색깔이 변하고 기름지느러미가 있으며 물렁뼈 비중이 높은 골격 구조를 가진 중요한 수산 자원이지만, 개체 수 감소가 심각한 문제이다.
  • 대한민국 환경부 지정 기후변화 생물지표종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사스래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Erman's birch
Erman's birch
학명Betula ermanii
명명자Cham.
아속Betula subg. Neurobetula
한국어 이름사스래나무
소우시칸바
에조노다케칸바
오오다케칸바
코바노다케칸바
키레하다케칸바
마루미노다케칸바
일본어 이름다케칸바
영어 이름Erman's Birch
분류
식물계
피자식물
진정쌍떡잎식물군
아강장미군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변종 및 품종
var. ermanii해당없음
var. ermanii f. corticosa (Nakai) Sugim.아츠하다칸바 (아츠카와다케칸바)
var. saitoana (Nakai) Hatus.차보다케칸바 (사이토칸바)
var. subcordata (Regel) Koidz.아카칸바 (난타이칸바)
설명
높이20m

2. 명칭

사스래나무의 일본 이름인 "다케칸바"는 한자로 "岳樺"라고 쓰며, 사스래나무보다 훨씬 높은 산악 지대에 자생하는 것에서 유래한다. 중국 이름도 "岳樺"이다[5]. 별명은 매우 많은데, 그 중 하나인 '''소우시칸바'''는 벗겨낸 수피에 종이처럼 글씨를 쓸 수 있다는 데서 유래한다. 산악에서 나무의 형태가 굽어 있는 것을 "오도리칸바(踊り樺)"라고 부르기도 한다[5]. 그 외 동종의 별명으로는 에조노다케칸바, 오오다케칸바, 코바노다케칸바, 키레하다케칸바, 마루미노다케칸바 등이 있다[5].

3. 분포 및 생육지

일본, 쿠릴 열도, 사할린, 한반도, 중국 동북부, 내몽골, 러시아 연해주, 캄차카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일본에서는 홋카이도, 혼슈 (나라현·후쿠이현·기후현주부 지방 이북), 시코쿠 (에히메현·고치현·도쿠시마현)의 아고산대에 자란다. 홋카이도 동부 태평양 연안의 해안 단구에서는 여름에도 저온에 안개가 낀 조건에서 사스래나무 숲이 잘 발달한다.

고산이나 북쪽 지방의 산지 등 한랭지에 자라며, 자작나무보다 더 높은 고도에 분포한다. 침엽수림 속에서 잘 혼생하지만, 아고산대의 상부, 수목 한계 근처에서는 종종 순림에 가까운 사스래나무 숲이 된다. 또한, 수목 한계를 넘어 눈잣나무 속에 혼생하는 예도 있다.

4. 형태 및 생태

높이는 7-8m에 이른다. 껍질은 회적갈색으로 얇게 벗겨지며, 어린 나무는 자갈색을 띤다. 잎은 삼각상 난형 또는 삼각상 넓은 난형으로, 길이 5cm-10cm, 폭 4cm-7cm이다. 잎 끝은 뾰족하고 불규칙적인 톱니가 있으며, 잎맥은 7-12쌍으로 사스래나무(5-8쌍)보다 많다. 가을에는 예쁜 노란색으로 단풍이 든다.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보통 높이 10m-30m이며, 큰 것은 30m에 달하지만, 수목한계 부근에서는 관목 형태로 옆으로 눕는다. 적설이나 바람의 영향으로 굽어진 수형이 많다.

개화기는 5-6월이다. 자웅동주로 수꽃차례는 길이 5cm-7cm의 동물 꼬리 모양으로 늘어져 있으며 황갈색을 띤다. 암꽃차례는 길이 2cm-3.5cm의 녹색의 짧은 원통형으로 곧게 선다. 결실기는 9-10월경이다. 열매이삭은 곧게 서며, 짧은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 2cm-3.5cm, 폭 8mm-10mm이다. 과린(果鱗)은 길이 6mm-8mm로, 가는 녹색 털이 있으며, 중앙 열편은 선상 피침형, 측열편은 거의 원형이다. 견과는 넓은 거꿀달걀형이며 위쪽에 털이 있고, 길이 2mm-3mm이다. 날개는 견과보다 작다. 열매이삭은 위쪽을 향하며, 다음 해까지 남는다. 종자에는 날개가 있어 바람에 의해 산포된다.

겨울눈은 가지나 단지 끝 또는 가지 측면에 엇갈려 나며, 수꽃차례를 제외하고는 아린에 싸여 있다. 수꽃차례는 나아로, 가지 끝에 2-3개 달린다. 겨울눈 옆 엽흔은 삼각형이고, 관속흔은 3개가 있다.

사스래나무와 매우 비슷하지만, 수피가 사스래나무보다 상당히 적갈색을 띠고, 잎에 약간 광택이 있으며(사스래나무 잎에는 광택이 없다), 열매이삭이 위쪽으로 달리는 점으로 구별할 수 있다.

밝은 곳에서 자라 생장이 빠른 점, 숲이 파괴된 후 가장 먼저 자라는 나무라는 특징은 사스래나무와 공통된다. 종자에 붙어 있는 날개는 사스래나무보다 작고, 종자의 비거리는 사스래나무에 미치지 못하지만, 음수성은 사스래나무보다 강하기 때문에 침엽수림 내에서도 작은 빛만 있으면 생육할 수 있다. 또한, 한 번 뿌리내린 곳에서는 맹아 갱신을 하여 생존 경쟁에서 살아남는다.

5. 이용

수피는 쉽게 타며, 천연의 불쏘시개로도 사용된다.

홋카이도에서는 홋카이도산 목재로 주목받아, 특히 야구 배트의 재료로 이용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6. 사진

7. 변종


  • 앗츠하다사스래나무(별칭: 앗츠카와다케사스래나무, 학명: Betula ermanii|베툴라 에르마니la f. corticosa|코르티코사la (Nakai|나카이la) Sugim.|수김.la)[12]
  • 차보다케사스래나무(별칭: 사이토사스래나무, 학명: Betula ermanii|베툴라 에르마니la var. saitoana|사이토아나la (Nakai|나카이la) Hatus.|하투스.la)[13]

참조

[1] 서적 English Names for Korean Native Plants http://www.forest.go[...]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01-26
[2] 웹사이트 Betula ermanii http://www.efloras.o[...] Missouri Botanical Garden, St. Louis, MO & Harvard University Herbaria, Cambridge, MA 2013-05-13
[3] 서적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Dorling Kindersley
[4] 링크 http://apps.rhs.org.[...] 2022-02
[5] YList 2024-03-27
[6] YList 2024-03-27
[7] YList 2024-03-27
[8] YList 2024-03-27
[9] YList 2024-03-27
[10] YList 2024-03-27
[11] YList 2024-03-27
[12] YList 2024-03-27
[13] YList 2024-03-27
[14] YList 2024-03-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