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달나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달나무는 온대 북부 지방의 깊은 산에서 자라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매우 단단하고 조직이 치밀하여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다듬이 방망이, 홍두깨, 수레바퀴, 떡살 등을 만드는 데 사용되었으며, 고조선 시대에는 활을 만드는 데 사용되기도 했다. 한국 문화에서 박달나무는 단군 신화와 관련되어 신성한 나무로 여겨지며, 고조선을 상징하는 나무로 인식되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도끼날이 부러질 정도로 단단한 나무로 알려져 '도끼날이 부러지는 자작나무'라는 뜻의 이름으로 불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자작나무속 - 사스래나무
    사스래나무는 일본, 쿠릴 열도, 한반도 등지에 분포하는 낙엽활엽수 교목으로, 얇게 벗겨지는 껍질이 특징이며 과거 껍질에 글씨를 쓸 수 있어 '소우시칸바'라고도 불렸고 불쏘시개나 야구 배트 재료로도 활용된다.
  • 자작나무속 - 개박달나무
    개박달나무는 한국, 중국, 몽골 원산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목재는 단단하고 치밀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껍질은 염료와 한약재로도 활용될 가능성이 있다.
  • 1865년 기재된 식물 - 물봉선
    물봉선은 대한민국 각지에 분포하는 봉선화과의 한해살이풀로, 붉은 줄기, 톱니 모양 잎, 홍자색 나팔꽃 모양의 꽃이 특징이며, 탄력 있는 꼬투리 속 씨앗이 터져 번식하는 습지 식물이다.
  • 1865년 기재된 식물 - 아라우카리아과
    아라우카리아과는 소나무목에 속하는 상록 침엽수 과로, 남반구에 주로 분포하며, 3개의 속과 약 41종을 포함하고 60m 이상 자라는 큰 나무가 특징이며, 잎의 형태가 다양하고 구과를 형성하며 관상수, 목재, 식용 씨앗 등으로 활용된다.
  • 만주의 식물상 - 떡갈나무
    떡갈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낙엽 교목으로, 큰 잎을 가지며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분포하고 떡을 싸는 용도나 식용으로 사용되는 등 인간 생활과 밀접하며 내염성, 내화성이 강하고 겨울에도 잎이 떨어지지 않는 특징을 가진다.
  • 만주의 식물상 - 전나무
    전나무는 키가 20~40m에 달하는 침엽수로, 잿빛 암갈색 껍질과 흰색 기공선이 있는 잎을 가지며 목재, 크리스마스 트리 등으로 이용되고 잎은 약재로 쓰이며 일부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는다.
박달나무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모리스 수목원의 사스레피나무
모리스 수목원의 사스레피나무
학명Betula schmidtii Regel
이명Betula schmidtii f. angustifolia (Makino & Nemoto) Sugim. ex H.Ohba
Betula schmidtii var. angustifolia Makino & Nemoto
Betula schmidtii var. lancea Nakai
Betula schmidtii f. lancea (Nakai) M.Kim
높이약 30m
생물학적 분류
식물계
미분류 군속씨식물군
미분류 강진정쌍떡잎식물군
미분류 목장미군
참나무목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
사스레피나무 (Betula schmidtii)
특징
용도쇼기 말 (재료)
기타Fomitopsis pinicola의 야생 숙주

2. 생태

박달나무는 20~30 미터쯤 자라며 온대 북부 지방의 깊은 산에서 자란다. 잎은 어긋나게 붙고 끝이 뾰족한 달걀꼴이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암수한그루이며, 5~6월에 꽃이 피는데 수꽃 이삭은 자작나무처럼 밑으로 늘어지지만, 암꽃은 가지 끝에서 위로 선다. 작고 둥근 모양의 열매도 위로 곧게 서며 10월쯤 여문다.

다른 종으로 잎이 넓은 피침형인 좁은잎박달나무(''B. schmidtii'' var. ''lancea'' Nakai)가 있다.

3. 쓰임새

박달나무는 매우 단단하고 조직이 치밀해서 터지는 일이 드물고 굳은 나무 중에서도 으뜸이므로 다방면에 두루 활용된다.[5] 단단하기 때문에 다듬이 방망이나 홍두깨, 방아와 절구 공이 등은 대개 박달나무로 만든다.[5] 물에 가라앉을 정도로 무거워서 수레바퀴나 바퀴살을 만들기도 했다.[5] 떡살과 다식판도 만들고, 머리빗으로도 썼다.[5]

박달나무는 단순히 일상용품을 만드는 데만 유용한 생활재가 아니었다.[5] 고조선 때부터 활을 단궁(檀弓ㆍ박달나무로 만든 작은 사냥활), 맥궁(貊弓), 낙랑단궁(樂浪檀弓)이라고 부르며 사냥활로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5]

4. 한국 역사와 문화 속의 박달나무

한국에서는 단군신단수(神檀樹) 아래에 고조선을 열었다고 하는데, 그 신단수를 박달나무로 보기도 한다.[6]규원사화》 〈단군기〉에는 ‘박달나무 檀’의 한국어 고유 발음이 ‘박달(朴達)’ 혹은 ‘백달(白達)’이라 전하고 있다.

단목은 개국신을 일컫는 단군신화에서 유래하였다.[6] 김교헌1914년 신단실기(神檀實記)에서 단군이 세운 고대 조선을 '단국(檀國)'으로 칭하며, 박달나무(단목)를 국가의 상징으로 인식하였다.[6] 또한 우주의 광명을 '환(桓)', 땅의 광명을 '단(檀)'이라 칭하며 박달나무와 관련된 신성성을 부여하였다.[6]

5. 다른 지역

5. 1. 일본

일본에서는 박달나무를 베려고 도끼로 찍으면 오히려 도끼날이 부러질 정도로 단단하다고 하여 '도끼날이 부러지는 자작나무'라는 뜻으로 오노오레칸바/オノオレカンバ일본어라고 부른다.[6] 참고로 일반 자작나무는 시라카바/シラカバ일본어(白樺)라고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Betula schmidtii'' (iron birch)" https://www.cabi.org[...] CAB International 2019-11-24
[2] 웹사이트 "''Betula schmidtii'' Schmidt's birch" https://www.rhs.org.[...] The Royal Horticultural Society 2021-01-01
[3] 웹사이트 "''Betula schmidtii'' Regel" http://powo.scienc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2021-10-25
[4] 웹사이트 "''Betula schmidtii'' - Regel." https://pfaf.org/Use[...] Plants For A Future 2021-10-25
[5] 뉴스 한민족은 '활의 민족'이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3-01-25
[6] 서적 신화속의 한국정신 문학사상사 2003-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