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스웨스트 항공 611편 활주로 이탈 사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우스웨스트 항공 611편 활주로 이탈 사고는 1993년 2월 26일, 일본 이시가키 공항에 착륙하던 중 발생한 사고이다. 보잉 737-2Q3 (JA8444) 기종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하여 화재가 발생했으나, 탑승객 전원은 무사히 대피했다. 사고 조사 결과, 과속으로 인한 착륙과, 조종사의 엔진 정지 결정, 제동 지연 등이 사고의 원인으로 밝혀졌다. 이 사고로 인해 이시가키 공항 활주로 길이가 안전에 불충분하다는 판단이 내려져, 2013년 신 이시가키 공항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 사고 - 비상 착륙
비상 착륙은 항공기의 문제 발생 시 계획에 없던 착륙으로, 조종사가 탑승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며, 다양한 유형과 사례가 존재한다. - 항공 사고 - 니어미스
니어미스는 항공기 운항 중 충돌 직전까지 가는 잠재적 위험 상황으로, 조종사 과실, 시스템 불일치, 기상 악화 등이 원인이 되며 사고 예방을 위해 조종사 훈련 강화와 시스템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 - 1982년 8월 - 제39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1982년 개최된 제39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는 마르셀 카르네가 심사위원장을 맡았고 빔 벤더스의 《사물의 상태》가 황금사자상을 수상했으며, 스펙터클 영화와 리메이크 작품을 소개하는 Mezzogiorno-Mezzanotte 섹션에서 《레이더스》와 《E.T.》 등이 상영되었다. - 1982년 8월 - 요코하마 스타디움 심판 집단 폭행 사건
1982년 요코하마 스타디움에서 한신 타이거스 코치진과 선수단이 심판 판정에 불복하여 심판진에게 폭력을 행사, 코치진 구속 및 리그 중징계와 함께 프로 스포츠계 윤리 의식 부재 및 심판 보호 중요성을 부각시킨 사건이 요코하마 스타디움 심판 집단 폭행 사건이다. - 보잉 737 기종의 항공 사고 - 루프트한자 181편 납치 사건
루프트한자 181편 납치 사건은 1977년 팔레스타인 해방 인민 전선이 여객기를 납치하여 독일 적군 수감자 석방을 요구했으나, 독일 GSG 9 특공대의 작전으로 인질 구출 및 납치범 사살에 성공하며 서독의 강경한 테러 대응을 보여준 사건이다. - 보잉 737 기종의 항공 사고 - 쿠바나 항공 972편 추락 사고
2018년 쿠바에서 발생한 쿠바나 항공 972편 추락 사고는 이륙 직후 기체 균형 문제로 발생하여 112명의 사망자를 냈으며, 사고 후 쿠바 정부의 애도 기간 선포와 멕시코 당국의 운항 중단 조치 등이 있었다.
| 사우스웨스트 항공 611편 활주로 이탈 사고 - [전쟁]에 관한 문서 | |
|---|---|
| 사고 개요 | |
| 사고 명칭 | 사우스웨스트 항공 611편 오버런 사고 |
| 사고 유형 | 활주로 이탈 (조종사 과실과 수막 현상 복합 작용) |
| 발생일 | 1982년 8월 26일 |
| 발생 장소 | 이시가키 공항, 일본, 오키나와현 |
| 항공기 정보 | |
| 기종 | 보잉 737-200 |
| 등록번호 | JA8444 |
| 운영사 | 사우스웨스트 항공 (현 일본 트랜스오션 항공) |
| 출발 및 도착 정보 | |
| 출발지 | 나하 공항, 오키나와섬, 일본 |
| 목적지 | 이시가키 공항 |
| 탑승자 정보 | |
| 승객 | 133명 |
| 승무원 | 5명 |
| 총 탑승자 | 138명 |
| 결과 | |
| 사망자 | 0명 |
| 부상자 | 67명 |
| 생존자 | 138명 (전원) |
| 관련 이미지 | |
![]() | |
2. 사고 항공기 및 승무원
사고 항공기는 1978년 12월에 첫 비행을 한 보잉 737-2Q3(JA8444) 기종이었다. 프랫 & 휘트니 JT8D-17 터보팬 엔진 2개로 구동되었으며, 사고 당시 총 5,056 비행 시간을 기록했다.[2] 사고 당일, 나하에서 미야코를 왕복하는 비행을 문제없이 수행했다.[4]
사우스웨스트 항공 611편은 일본 이시가키 공항으로 가는 정기 항공편으로, 오키나와 나하 공항에서 13시 09분에 활주로 36번을 이륙했다.[5] 항공기는 비행 고도 240플라이트 레벨(약 약 7315.20m)까지 상승했다. 이시가키에 접근하면서 승무원은 기상 정보를 받았다. 풍향은 300도, 풍속은 12kn, 기온은 32°C였으며, 활주로는 22번을 사용했다. 13시 33분, 611편은 약 2438.40m로 강하했다.[4]
기장은 40세 남성으로, 1973년부터 해당 항공사에 근무했으며, 1980년에 보잉 737 기장이 되었다. 보잉 737 기종에서 총 1,666시간의 비행 시간을 기록했다. 부기장은 29세 남성으로, 1974년부터 해당 항공사에 근무했으며, 1981년에 보잉 737 부기장이 되었다. 보잉 737 기종에서 총 878시간의 비행 시간을 기록했다.[4]
3. 사고 경위
611편 승무원은 참고 속도보다 약간 높은 131kn로 측풍 착륙을 시도했다. 항공기는 바운스 후 재착륙했으나, 스포일러와 추력 반전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4] 조종사는 양쪽 엔진을 정지시켰지만, 미끄럼 방지 제동 시스템이 비활성화되어 착륙 활주 중 양쪽 메인 기어 타이어가 거의 동시에 파열되었다. 611편은 활주로를 이탈하여 13시 49분에 활주로 끝에서 145m 떨어진 곳에 멈췄다. 탑승자 전원이 대피한 후 14시 01분에 항공기는 화재로 파괴되었다.[2][4]
이 사고로 승객과 승무원 138명 중 사망자는 없었지만, 67명이 부상을 입었다. 승무원과 고령의 여성 승객이 병원에 입원했지만, 신속한 대피 덕분에 심각한 부상은 막을 수 있었다.[6]
3. 1. 사고 당시 상황
611편은 이시가키 공항 활주로 22번 끝을 131kn 및 약 12.19m로 통과했으며, 활주로 종단 부근에 130kn로 한 번 접지했으나 바운드하여 170m 떨어진 지점에 13시 49분경 다시 접지하여 착륙했다.[16]
착륙 시 기장과 부조종사는 자동 브레이크를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했으며, 착륙 직후 스러스트 리버서를 작동시키려 했지만 작동하지 않았다. 스피드 브레이크 또한 작동하지 않았고, 기장은 착륙 복행을 고려했으나 남은 활주로가 너무 짧다고 판단하여 단념하고, 대신 풋 브레이크를 밟았다. 기장은 오버런을 피할 수 없다고 판단, 화재 방지를 위해 양쪽 엔진을 정지시키고 기체를 왼쪽으로 틀었다. 기체는 13시 49분에 활주로 끝에서 145m 떨어진 잡목림에서 멈췄고, 그곳에 있던 의대생 2명이 유도하여 승무원과 승객 전원이 탈출한 후 14시 01분경 폭발, 화재가 발생했다.[16]
4. 사고 원인
항공 사고 조사 위원회(AAIC)는 사고를 조사했다. 초기에는 기계적 결함을 의심했으나,[7] 5일 후 AAIC는 조종사 과실로 인한 속도 초과 착륙이 원인일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8]
AAIC는 사고의 주요 원인을 다음과 같이 결론 내렸다.[4]
- 비행 승무원의 부적절한 엔진 정지 결정
- 기장의 제동 지연
미끄럼 방지 장치의 부재로 인해 제동 성능이 미끄럼 방지 장치가 작동했을 때의 절반으로 감소했다. 고속 착륙에도 불구하고 최대 제동을 적용하고 엔진을 정지하지 않았다면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며, 이는 항공기가 활주로를 완전히 벗어나지 않고 활주로 안전 구역에서 정지하는 결과를 가져왔을 것이다.[4]
5. 사고 여파
일본 항공 조종사 협회(ALPA)의 일본 지부는 AAIC의 사고 조사 결과에 문제를 제기했다.[9] 나하 지방 검찰청은 과실을 이유로 기장을 형사 기소했지만, 증거 부족으로 사건은 기각되었다.[9][10] 일본 승무원 조합 연락 회의(ALPA)도 조사 위원회의 사고 조사 활동에 의문을 제기했다.[19] 사고 후, 기장은 업무상 과실 치상 혐의로 서류 송치되었으나, 나하 지방 검찰청은 파일럿 오류의 입증이 어렵다고 판단하여 불기소 처분했다.[19][20]
항공 당국은 이시가키 공항의 활주로 길이가 1500m로 짧아 제트기의 이착륙에 필요한 거리가 없다고 판단했다. 사고 후에도 보잉 737 기종(400/500/700형기)이 운행되었지만, 착륙 시 급제동이 필요했다. 결국 2013년 신이시가키 공항 개항과 함께 이시가키 공항은 폐쇄되었다.[11][12][21][22]
2008년, 이시가키 공항 폐쇄 전에 활주로 이탈 훈련이 공항에서 열렸으며, 250명이 참가했다.[13][23]
6. 비고
여기서 사우스웨스트 항공은 현재의 일본 트랜스오션 항공이며, 미국의 저비용 항공사인 사우스웨스트 항공과는 관련이 없다.
참조
[1]
간행물
CAP 479 World Airline Accident Summary
United Kingdom Civil Aviation Authority
[2]
웹사이트
Accident description Southwest Air Lines Flight 611
https://aviation-saf[...]
Flight Safety Foundation
2018-07-05
[3]
웹사이트
JTA-五十年間守り続ける安全・安心
https://jta-okinawa.[...]
2019-11-25
[4]
웹사이트
Final report
https://www.mlit.go.[...]
Aircraft Accident Investigation Commission
[5]
문서
[6]
뉴스
Narrow escape for 138 in jet
1982-08-27
[7]
뉴스
制動装置の作動不完全
1982-08-28
[8]
뉴스
着陸時に速度超過
1982-08-31
[9]
웹사이트
石垣事故不起訴までの取り組み
http://www.alpajapan[...]
Air Line Pilots Association of Japan
2020-06-02
[10]
뉴스
機長を不起訴処分
1986-11-29
[11]
웹사이트
4. 空港建設の効果
https://www.pref.oki[...]
Okinawa Prefecture New Ishigaki Airport Division
[12]
웹사이트
沖縄県新石垣空港課-これまでの経緯
https://www.pref.oki[...]
2019-11-25
[13]
웹사이트
オーバーラン事故を想定 石垣空港で航空機事故訓練
http://www.y-mainich[...]
Yaeyama Mainichi Shimbun
2019-11-25
[14]
웹사이트
Accident description Southwest Air Lines Flight 611
https://aviation-saf[...]
2018-07-05
[15]
웹사이트
JTA-五十年間守り続ける安全・安心
https://jta-okinawa.[...]
2019-11-25
[16]
PDF
航空事故報告書
https://www.mlit.go.[...]
[17]
뉴스
制動装置の作動不完全
1982-08-28
[18]
뉴스
着陸時に速度超過
1982-08-31
[19]
웹사이트
石垣事故不起訴までの取り組み
http://www.alpajapan[...]
2020-06-02
[20]
뉴스
機長を不起訴処分
1986-11-29
[21]
PDF
4. 空港建設の効果
http://www.pref.okin[...]
沖縄県新石垣空港課
[22]
웹사이트
沖縄県新石垣空港課-これまでの経緯
https://www.pref.oki[...]
2019-11-25
[23]
웹사이트
オーバーラン事故を想定 石垣空港で航空機事故訓練
http://www.y-mainich[...]
八重山毎日新聞
2019-1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