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진측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진측량은 광학 및 사영기하학을 활용하여 2D 또는 3D 디지털 모델을 생성하는 기술이다. 입체사진측량, 지상 사진측량, 항공 사진측량 등 다양한 방법이 있으며, 3D 좌표, 영상 좌표, 카메라 외부 및 내부 파라미터, 추가 관측값을 사용하여 객체의 3차원 정보를 추출한다. 사진측량은 지형도 제작, 건축, 영화 제작, 고고학, 3D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LiDAR, 레이저 스캐너 등 다른 기술과 통합되어 더욱 정확한 모델을 만들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진측량 - 시차 (천문학)
    시차는 관측 위치 변화에 따라 물체의 위치나 방향이 달라 보이는 현상으로, 천문학에서 별의 거리 측정에 활용되며, 양안 시차를 이용한 입체 시각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된다.
  • 측량학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측량학 - 마일
    마일은 고대 로마 시대에서 유래한 길이 단위로, 지역과 시대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었으나 현재는 국제 마일로 표준화되었으며, 일부 국가에서 사용되고 여러 영어권 관용구에도 쓰인다.
사진측량
사진 측량
사진 측량의 원리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사진 측량의 원리를 보여주는 다이어그램
개요
정의사진을 이용하여 대상의 크기, 형태,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기술
다른 명칭영상 측량
활용 분야지도 제작
건축
토목
지형 조사
문화재 기록
3D 모델링
증거 수집
특수 효과
주요 원리삼각 측량 (triangulation)
후방 교차법 (resection)
전방 교차법 (intersection)
측정 방식단사진 측량 (single-image photogrammetry)
입체 사진 측량 (stereo photogrammetry)
역사
최초 시도1851년, 에메 라우세다가 최초의 사진 측량 기법 고안
실질적인 창시자알브레히트 마이덴바우어
알브레히트 마이덴바우어건축물의 도면 제작에 사진 측량 최초 적용 (1867)
사진 측량의 실질적인 창시자로 평가
발전20세기 초, 항공 사진 측량의 등장
20세기 후반, 디지털 사진 측량의 발전
최근, 드론 및 휴대용 장비를 이용한 측량 보편화
유형
측정 대상에 따른 분류항공 사진 측량 (aerial photogrammetry)
지상 사진 측량 (terrestrial photogrammetry)
촬영 방식에 따른 분류단사진 측량 (single-image photogrammetry)
입체 사진 측량 (stereo photogrammetry)
처리 방식에 따른 분류아날로그 사진 측량 (analog photogrammetry)
디지털 사진 측량 (digital photogrammetry)
측정 방법
촬영대상물의 사진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
기준점 설정사진 내에 정확한 좌표를 가지는 기준점 표시
사진 처리촬영된 사진을 보정
기준점을 이용하여 사진의 기하학적 관계 설정
3차원 좌표 추출
결과물3차원 모델
지도
단면도
수치 데이터
관련 기술
원격 탐사 (remote sensing)사진 측량과 함께 지표면 정보를 수집하는 기술
컴퓨터 비전 (computer vision)사진 분석과 3차원 모델링에 활용되는 컴퓨터 과학 분야
GPS (위성 위치 확인 시스템)사진 촬영 시 위치 정보 획득에 사용
GIS (지리 정보 시스템)사진 측량 결과를 저장, 분석, 관리하는 시스템

2. 방법



투레 레파넨(Tuure Leppänen), ''Reconstruction I'': 수백 장의 지상 수준 일본 정원 사진을 이용한 사진측량 기법으로 제작된 3D 모델에서 추출된 2D 이미지


사진측량은 광학사영기하학을 포함한 여러 분야의 방법론을 사용한다. 디지털 영상 촬영 및 사진측량 처리에는 잘 정의된 여러 단계가 포함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최종 결과물로서 객체의 2D 또는 3D 디지털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6]

데이터 모델은 사진측량 기법에 사용되는 정보 유형을 보여준다.

  • 3D 좌표: 3D 공간에서 객체 점의 위치를 정의한다.
  • 영상 좌표: 필름 또는 전자 이미징 장치에서 객체 점의 이미지 위치를 정의한다.
  • 외부 방향: 카메라의 외부 방향[7]은 공간에서의 위치와 시야 방향을 정의한다.
  • 내부 방향: 내부 방향은 이미징 프로세스의 기하학적 매개변수를 정의한다. 주로 렌즈의 초점 거리이며, 렌즈 왜곡에 대한 설명도 포함될 수 있다.
  • 추가 관측값: ''척도 막대기''(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알려진 거리) 또는 알려진 ''기준점''을 통해 기본 측정 단위와의 연결을 생성한다.


이러한 네 가지 주요 변수 각각은 사진측량 기법의 ''입력'' 또는 ''출력''이 될 수 있다.

사진측량 알고리즘은 일반적으로 기준점의 좌표와 상대적 변위에 대한 제곱 오차의 합을 최소화한다. 이 최소화는 번들 조정으로 알려져 있으며, 레벤베르크-마르쿼르트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사진측량의 가장 단순한 예로, 사진 영상면에 평행한 평면상에 존재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사진 영상의 축척을 알고 있다면, 영상상의 거리를 측정하고, 실제 거리를 축척으로부터 역산하여 구할 수 있다.

입체사진측량은 대상 물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의 3차원 좌표를 얻을 수 있는 고도화된 응용 기법이다.

2. 1. 입체사진측량 (Stereophotogrammetry)

입체사진측량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두 장 이상의 사진을 이용하여 물체의 3차원 좌표를 추정하는 방법이다(입체시 참조). 각 이미지에서 공통점을 식별하고, 시선(또는 광선)을 구성하여 이 광선들의 교차점(삼각측량)으로 점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한다.

사진 영상면에 평행한 평면상에 존재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경우, 사진 영상의 축척을 알고 있다면 영상상의 거리를 측정하고 실제 거리를 역산할 수 있다.

입체사진측량은 비접촉식 측정 기술로서 회전하지 않는[8],[9] 및 회전하는 구조물[10],[11]의 동적 특성과 모드 형상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지형도, 건축, 공학, 제조, 품질관리, 경찰 수사,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며, 고고학자는 대규모 유적의 전체도를 쉽게 작성하고, 기상학자는 토네이도의 풍속을 산출하는 데 활용한다. 또한 파이트 클럽과 같은 영화의 포스트 프로덕션에도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진측량 알고리즘에는 오차의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최소자승법이 사용된다. 이 최소화는 이라고도 하며, 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경우가 많다.

]

사진측량은 광학 및 투영기하학 등 여러 분야의 기법을 응용한다. 3차원 좌표는 3차원 공간 내 대상점의 위치, 영상 좌표는 필름이나 촬영 장비 상 대상점의 위치를 정의한다. 카메라 외부 표정은 공간에서 카메라의 위치와 촬영 방법을, 내부 표정은 영상 처리의 기하학적 매개변수(렌즈 초점거리, 왜곡 등)를 정의한다.

2. 1. 1. 다중 이미지를 이용한 3D 재구성

입체사진측량의 확장된 개념으로, 더 많은 이미지를 사용하여 보다 정확하고 상세한 3D 모델을 생성한다.

이 경우,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이 이루어진다. 먼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사진에 나타나 있는 공통점을 식별한다. 다음으로, 각 사진의 촬영 당시 카메라 위치에서 공통점으로 향하는 시선(또는 광선)이 교차하는 점을 구하고, 그것을 토대로 대상점의 3차원 좌표를 산출한다.[8][9] 보다 정교한 알고리즘은 알려진 장면에 대한 다른 정보, 예를 들어 대칭을 활용하여, 경우에 따라 단 하나의 카메라 위치만으로도 3D 좌표를 재구성할 수 있다.[10][11]

2. 1. 2. 컴퓨터 입체 시각 (Computer Stereo Vision)

컴퓨터 입체 시각은 컴퓨터 비전 기술을 활용하여 입체사진측량 과정을 자동화하고, 실시간으로 3차원 정보를 획득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두 장 이상의 사진 이미지에서 공통점을 식별하고, 각 카메라에서 물체의 점까지 시선(광선)을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광선들의 교차점(삼각측량)을 통해 점의 3차원 위치를 결정한다.

2. 2. 지상 사진측량

Wild P31. 1980년


지상 사진측량은 지상에 삼각대를 세우고 그 위에 사진측량 장비를 조립하여 측량하는 방법이다. 건설 분야에서는 토공량 계산, 구조물 변위 측정, 도면화 등에 사용하며, 문화재 분야에서도 문화재 도면화 등에 쓰이고 있다.

사진 영상면에 평행한 평면상에 존재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할 때, 사진 영상의 축척을 알고 있다면 영상상의 거리를 측정하고, 실제 거리를 축척으로부터 역산하여 구할 수 있다. 이는 사진측량의 가장 단순한 예시이다.

입체사진측량은 이 기술을 고도화한 응용 예시로, 대상 물체상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의 3차원 좌표를 얻을 수 있게 한다. 이 경우,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이 이루어진다. 먼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사진에 나타나 있는 공통점을 식별한다. 다음으로, 각 사진의 촬영 당시 카메라 위치에서 공통점으로 향하는 시선(또는 광선)이 교차하는 점을 구하고, 그것을 토대로 대상점의 3차원 좌표를 산출한다. 더욱 고도화된 예로, 측정 대상에 관한 사전적인 정보(예를 들어 대상이 대칭 도형인 등)를 이용하여, 한 곳에서의 촬영만으로 3차원 좌표를 얻는 기법도 있다.

2. 3. 항공 사진측량

1976년 일본에서 촬영한 1:8000 항공사진.


사진기를 유인 또는 무인 항공기에 탑재하여 공중에서 지상 사진을 촬영하여 측량 결과물을 얻는 것이 항공측량이다.

사진 영상의 축척을 알고 있다면, 영상상의 거리를 측정하고 실제 거리를 축척으로부터 역산하여 구할 수 있다.

입체사진측량을 사용하면 대상 물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의 3차원 좌표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한다.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사진에 나타나 있는 공통점을 식별하고, 각 사진의 촬영 당시 카메라 위치에서 공통점으로 향하는 시선(또는 광선)이 교차하는 점을 구하여 대상점의 3차원 좌표를 산출한다. 대상이 대칭 도형인 경우처럼, 측정 대상에 관한 사전 정보를 이용하면 한 곳에서 촬영한 사진만으로도 3차원 좌표를 얻을 수 있다.

사진측량은 지형도, 건축, 공학, 제조, 품질관리, 경찰 수사,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고고학자는 대규모 유적의 전체도를 쉽게 작성할 수 있고, 기상학자는 실제 기상 데이터를 측정하지 않더라도 토네이도의 풍속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사와 컴퓨터 생성 영상을 결합한 영화의 포스트 프로덕션에도 이용된다. 이 기술을 이용한 영화로는 『파이트 클럽』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진측량 알고리즘에는 오차의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최소자승법이 사용된다. 이 최소화는 번들 조정이라고도 하며, 레벤베르크-마르크바르트법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경우가 많다.

사진측량은 광학 및 투영기하학 등 여러 분야의 기법을 응용한다. 오른쪽 그림은 사진측량에서 어떤 정보가 사용되고, 사진측량을 통해 어떤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데이터 모델이다.

3차원 좌표는 3차원 공간 내에서 대상점의 위치를 정의한다. 영상 좌표는 필름 또는 촬영용 전자 장비 상의 대상점의 위치를 정의한다. 카메라 외부 표정은 공간에서 카메라의 위치와 촬영 방법을, 내부 표정은 영상 처리에서의 기하학적 매개변수를 정의한다. 가장 중요한 매개변수는 렌즈의 초점거리이지만, 렌즈의 왜곡을 포함시키기도 한다. 공간상의 알려진 두 점 사이의 거리, 즉 알려진 기준점을 나타내는 스케일 바에 의해 기준척도와의 좌표 관계가 결정된다.

이 데이터 모델에 제시된 네 가지 주요 변수는 모두 사진측량법의 입력과 출력이 될 수 있다.

2. 3. 1. 항공 사진측량의 장단점

'''항공 사진측량의 장점'''

  • 넓은 지역(소축척) 측량 시 다른 측량 방법에 비해 경제적이다.
  • 성과물의 축척 변경이 용이하다.
  • 정량적인 측량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측량도 가능하다.
  • 4차원 측량(X, Y, Z, t)이 가능하여 이동하는 물체의 기록이 가능하다. 이는 구조물의 시간에 따른 변형 측정, 재난 기록(홍수, 화재), 교통량 조사, 교통사고 조사, 파도, 구름, 하천 상황 분석 등에 응용된다.
  • 접근이 어려운 지역(군사시설, 열대지방, 극한지방)의 측량이 가능하다.
  • 작업의 분업화가 용이하다.
  • 동일 모델 내에서는 균일한 정확도를 가진다.


'''항공 사진측량의 단점'''

  • 소규모 측량(대축척) 시 경제성이 떨어진다.
  • 후처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 그림자 등에 가려서 보이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다.


3. 통합

사진측량 데이터는 다른 기술의 거리 데이터로 보완할 수 있다. 사진측량은 x축과 y축 방향에서 더 정확하지만, 거리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z축 방향에서 더 정확하다. 이러한 거리 데이터는 LiDAR, 비행시간 방식, 삼각측량 또는 간섭 측정법을 사용하는 레이저 스캐너, 화이트라이트 디지타이저 및 영역을 스캔하고 여러 개의 이산 점에 대한 x, y, z 좌표(일반적으로 "포인트 클라우드"라고 함)를 반환하는 기타 기술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사진은 점군의 범위가 불가능할 때 건물의 가장자리를 명확하게 정의할 수 있다. 두 시스템의 장점을 통합하여 더 나은 제품을 만드는 것이 유익하다.

항공 사진[13][14]과 LiDAR 데이터를 동일한 참조 프레임에서 지리 참조하고, 항공 사진을 정사영상화한 다음, 정사영상화된 이미지를 LiDAR 그리드 위에 드레이핑하여 3D 시각화를 생성할 수 있다. 항공 사진 또는 위성(예: SPOT 위성) 영상의 쌍(또는 여러 개)을 사용하여 디지털 지형 모델(DTM) 및 3D 시각화를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적응적 최소 제곱 스테레오 매칭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밀집된 대응점 배열을 생성한 다음, 카메라 모델을 통해 변환하여 밀집된 x, y, z 데이터 배열을 생성하여 디지털 지형 모델 및 정사사진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 ITG 시스템과 같은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는 시스템은 1980년대와 1990년대에 개발되었지만, 이후 LiDAR 및 레이더 기반 접근 방식으로 대체되었지만, 이러한 기술은 오래된 항공 사진 또는 위성 이미지에서 고도 모델을 도출하는 데 여전히 유용할 수 있다.

4. 응용

사진측량은 지형도 작성, 건축, 공학, 제조, 품질 관리, 경찰 수사, 문화유산 보존, 지질학 연구 등 매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15][16] 고고학자들은 이 기술을 이용하여 크고 복잡한 유적지의 계획도를 빠르게 작성하며, 기상학자들은 관측 자료가 부족한 상황에서도 토네이도의 풍속을 추정한다.

사진측량을 사용하여 제작한 웨일스 몬머스 박물관에 있는 넬슨 제독 흉상의 3D 모델 비디오


123d Catch를 사용하여 제작한 지브롤터 1(Gibraltar 1) 네안데르탈인(Neanderthal) 두개골 3D 와이어프레임 모델


도쿄를 재현한 DERIVE의 미래 도시(Future Cities)라는 3D 사진측량 체험을 탐색하기 위해 컨트롤러를 사용하는 사람의 사진


영화 제작에서 실사 영상과 컴퓨터 그래픽을 자연스럽게 결합하는 데에도 사진측량이 필수적이다. ''매트릭스(The Matrix)''는 영화에서 사진측량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대표적인 사례이다 (DVD 추가 영상에 자세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15] ''이선 카터의 실종(The Vanishing of Ethan Carter)'', EA DICE의 ''스타워즈 배틀프론트''[15], ''헬블레이드: 세누아의 희생(Hellblade: Senua's Sacrifice)''[16] 등 여러 비디오 게임에서도 현실감 넘치는 배경을 구현하기 위해 이 기술이 널리 사용되었다.

사진측량은 충돌 공학, 특히 자동차 사고 분석에도 활용된다. 사고 후 시간이 많이 흘러 참고 자료가 부족한 경우, 경찰이 촬영한 사진만으로도 차량의 변형 정도를 파악하고, 이를 통해 충돌 당시의 속도 등 주요 정보를 추정할 수 있다.

4. 1. 매핑 (Mapping)

사진측량은 사진 모자이크[18]에서 그려진 "지도 제작적 개선"[17]을 사용하여 지도를 만드는 과정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개별 사진이 기울기에 대해 정정되고 공통적인 축척(적어도 특정 제어점에서)으로 조정되는" 제어된 사진 모자이크이다.

영상의 정정은 일반적으로 "각 사진의 투영된 영상을 기존 지도 또는 지상 측정에서 파생된 위치를 가진 네 개의 제어점 집합에 맞춤"으로 달성된다. 이러한 정정되고 축척된 사진을 제어점 격자에 배치하면, 숙련된 자르기와 맞춤 및 기복 변위(제거할 수 없음)가 최소인 주점 주변 영역의 사용을 통해 사진들 간에 좋은 일치를 달성할 수 있다.[19]

"어떤 형태의 사진 지도가 미래의 표준 일반 지도가 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는 것은 매우 합리적입니다."[20] 이들은 고고도 항공기 및 위성 영상과 같은 미래의 데이터 소스를 합리적으로 활용하는 유일한 방법이 사진측량인 것으로 보인다고 제안한다. 사진측량의 가장 단순한 예로, 사진 영상면에 평행한 평면상에 존재하는 두 점 사이의 거리를 구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사진 영상의 축척을 알고 있다면, 영상상의 거리를 측정하고, 실제 거리를 축척으로부터 역산하여 구할 수 있다.

사진측량은 지형도 제작 등에 사용된다.

4. 2. 고고학 (Archaeology)

펜탑 컴퓨터를 사용하여 현장에서 고고학 발굴 조사를 사진 측량하는 모습


롤 안정화 카메라 헤드가 장착된 항공사진 및 사진 측량용 민간 무인 항공기인 Pteryx UAV


사진 측량은 고고학 유적지의 발굴 현황을 기록하고, 유물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특히, 드론을 이용한 항공 사진측량은 접근이 어려운 유적지의 조사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정사사진 측량과 고고학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예로, 벤투라 미션의 재구성을 돕기 위해 역사적인 항공사진이 사용되었으며, 이는 구조물 벽의 발굴 조사를 안내하는 데 활용되었다.[21]

항공사진은 고고학 유적지의 지표 유적과 발굴 노출면을 측량하는 데 널리 활용되어 왔다. 이러한 사진 촬영에 사용된 플랫폼으로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군용 기구,[22] 고무 기상 기구,[23] 연,[24][25] 발굴 노출면 위에 설치된 나무 플랫폼, 금속 프레임,[26] 사다리(단독 또는 막대기나 판자로 연결), 삼각 사다리, 단일 및 다단 폴,[27][28] 바이포드,[29][30][31][32] 삼각대,[33] 사각대,[34][35] 그리고 항공 버킷 트럭("체리 피커") 등이 있다.[36]

수동으로 촬영한 근 천정각의 항공 디지털 사진은 지리 정보 시스템(GIS)과 함께 발굴 노출면을 기록하는 데 사용되었다.[37][38][39][40][41]

사진 측량은 기존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유적지를 쉽게 측량할 수 있기 때문에 해양 고고학에서 점점 더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가상 현실로 렌더링할 수 있는 3D 지도를 생성할 수 있다.[42]

4. 3. 3D 모델링 (3D Modeling)

사진측량은 어두운 곳, 반짝이거나 투명한 표면을 가진 물체의 이미지를 사용할 때는 물리적인 한계가 있다. 이러한 경우, 생성된 모델에 빈틈이 생겨 MeshLab, netfabb 또는 MeshMixer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추가적인 정리가 필요할 수 있다.[43] 또는 광택이 없는 마감재로 해당 물체에 스프레이 페인팅을 하여 투명하거나 반짝이는 특성을 제거할 수도 있다.

구글 어스(Google Earth)는 사진측량을 사용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한다.[44]

분실, 도난, 파손된 유물의 3D 모델을 만들어 온라인에 게시하는 Rekrei라는 프로젝트도 있다.

입체사진측량을 사용하면 대상 물체에 존재하는 임의의 점의 3차원 좌표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두 개 이상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측정이 이루어진다. 먼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한 사진에 나타나 있는 공통점을 식별한다. 다음으로, 각 사진의 촬영 당시 카메라 위치에서 공통점으로 향하는 시선(또는 광선)이 교차하는 점을 구하고, 그것을 토대로 대상점의 3차원 좌표를 산출한다. 더 고도화된 예로, 측정 대상에 관한 사전 정보(예: 대상이 대칭 도형인 경우)를 이용하여 한 곳에서 촬영만으로 3차원 좌표를 얻는 기법도 있다.

사진측량은 지형도, 건축, 공학, 제조, 품질관리, 경찰 수사,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고고학자는 사진측량을 통해 대규모이고 복잡한 유적의 전체도를 쉽게 작성할 수 있고, 기상학자는 실제 기상 데이터를 측정하지 않더라도 토네이도의 풍속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사와 컴퓨터 생성 영상을 결합한 영화의 포스트 프로덕션에도 사진측량이 이용되고 있다. 이 기술을 이용한 영화의 예로는 『파이트 클럽』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진측량 알고리즘에는 오차의 제곱합을 최소화하는 최소자승법이 사용된다. 이 최소화를 번들 조정이라고도 하며, 레벤베르크-마르크바르트법을 사용하여 계산하는 경우가 많다.

4. 4. 암석 역학 (Rock Mechanics)

무인 항공기(UAV) 또는 지상 기반 사진측량으로 얻은 고해상도 3차원 점군을 사용하여 불연속면 방향, 연장성, 간격과 같은 암반 특성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45][46]

4. 5. 영화 제작

사진측량은 영화 제작에서 실사와 컴퓨터 그래픽을 결합하는 데 사용된다. ''매트릭스(The Matrix)''는 영화에서 사진측량을 사용한 좋은 예이다.[15] 사진측량은 ''이선 카터의 실종(The Vanishing of Ethan Carter)''을 비롯한 비디오 게임의 사실적인 환경 자산을 만드는 데에도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EA DICE의 ''스타워즈 배틀프론트''에도 사용되었다.[15] 게임 ''헬블레이드: 세누아의 희생(Hellblade: Senua's Sacrifice)''의 주인공은 여배우 멜리나 쥐어겐스(Melina Juergens)의 사진측량 모션 캡처 모델에서 파생되었다.[16]

사진측량은 충돌 공학, 특히 자동차 분야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충돌 관련 소송에서 엔지니어가 차량의 정확한 변형을 결정해야 할 때, 사고 후 수년이 지나 경찰이 촬영한 사고 현장 사진만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이때 사진측량을 사용하면 해당 차량의 변형 정도(즉, 변형을 일으키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에너지를 바탕으로 충돌 당시 속도와 같은 중요한 정보를 알아낼 수 있다.

4. 6. 기타 응용 분야



사진측량은 지형도 작성, 건축, 영화 제작, 공학, 제조, 품질 관리, 경찰 수사, 문화유산, 지질학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15][16] 고고학자들은 이를 사용하여 크고 복잡한 유적지를 빠르게 계획하고, 기상학자들은 객관적인 기상 데이터를 얻을 수 없는 경우 토네이도의 풍속을 결정하는 데 사용한다.

또한 영화 후반 작업에서 실사와 컴퓨터 그래픽을 결합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매트릭스(The Matrix)''는 영화에서 사진측량을 사용한 좋은 예이다(DVD 추가 기능에 자세한 내용이 나와 있다). 사진측량은 ''이선 카터의 실종(The Vanishing of Ethan Carter)''을 비롯한 비디오 게임의 사실적인 환경 자산을 만드는 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으며, EA DICE의 ''스타워즈 배틀프론트''에도 사용되었다. 게임 ''헬블레이드: 세누아의 희생(Hellblade: Senua's Sacrifice)''의 주인공은 여배우 멜리나 쥐어겐스(Melina Juergens)의 사진측량 모션 캡처 모델에서 파생되었다.

사진측량은 충돌 공학, 특히 자동차에서도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충돌에 대한 소송이 발생하고 엔지니어가 차량에 존재하는 정확한 변형을 결정해야 하는 경우, 수년이 지나고 경찰이 촬영한 사고 현장 사진만 남아 있는 경우가 많다. 사진측량은 해당 차량이 얼마나 변형되었는지(즉, 그 변형을 생성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그런 다음 에너지를 사용하여 충돌에 대한 중요한 정보(예: 충돌 시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5. 소프트웨어

사진측량을 위한 많은 소프트웨어 패키지들이 존재하며, 사진측량 소프트웨어 비교에서 확인할 수 있다.

애플은 2021년 애플 세계 개발자 회의에서 macOS 몬터레이(macOS Monterey)용 객체 캡처(Object Capture)라는 사진측량 API를 발표했다.[47] API를 사용하려면 macOS 몬터레이를 실행하는 맥북과 캡처된 디지털 이미지 세트가 필요하다.[48]

6. 한국에서의 사진측량

한국에서는 최근 드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사진측량 기술이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사진측량 기술 발전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관련 정책 및 예산 지원을 통해 기술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ASPRS online http://www.asprs.org[...] 2015-05-20
[2] 웹사이트 Photogrammetry history and modern uses https://lumenandforg[...] 2022-06-08
[3] 웹사이트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https://www.cices.or[...] 2017-08-30
[4] 간행물 Die Photometrographie https://opus4.kobv.d[...]
[5] 논문 Optische 3D-Messtechnik : Präzise Gestaltvermessung mit einem erweiterten Streifenprojektionsverfahren http://www.ub.uni-he[...] Ruprechts-Karls-Universität 2017-10-20
[6] 저널 Close-range photogrammetry enables documentation of environment-induced deformation of architectural heritage https://www.research[...]
[7] 저널 The Effect of Various Principles of External Orientation on the Overall Triangulation Accuracy http://www.racurs.ru[...] 2016-04-08
[8] 저널 Accuracy analysis of measuring close-range image points using manual and stereo modes 2013-03-01
[9] 컨퍼런스 Dynamic characteristics of a wind turbine blade using 3D digital image correlation http://proceedings.s[...] 2012-04-26
[10] 서적 Topics in Modal Analysis II, Volume 6 https://archive.org/[...] Springer, New York, NY 2012-01-01
[11] 서적 Special Topics in Structural Dynamics, Volume 6 https://archive.org/[...] Springer, New York, NY 2013-01-01
[12] 서적 Magie et Physique Amusante https://archive.org/[...] Calmann Levy
[13] 웹사이트 Digital Photogrammetric Systems: Trends and Developments https://37.128.144.2[...] 2016-04-21
[14] 저널 An integrated photogrammetric and spati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producing fully structured data using aerial and remote sensing images
[15] 웹사이트 How we used Photogrammetry to Capture Every Last Detail for Star Wars Battlefront™ http://starwars.ea.c[...] 2015-05-19
[16] 웹사이트 The real-time motion capture behind 'Hellblade' https://www.engadget[...] 2017-08-08
[17] 서적
[18] 서적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30] 서적
[31] 서적
[32] 서적
[33] 서적
[34] 서적
[35] 서적
[36] 논문 Archaeological Intra-Site Recording with Photography http://dx.doi.org/10[...] 1975
[37] 문서 Craig (2000)
[38] 문서 Craig (2002)
[39] 문서 Craig and Aldenderfer (2003)
[40] 문서 Craig (2005)
[41] 문서 Craig et al. (2006)
[42] 웹사이트 Photogrammetry Maritime Archaeology https://web.archive.[...] 2019-01-19
[43] 서적 MAKE:3D printing
[44] Youtube Google Earth's Incredible 3D Imagery, Explained https://www.youtube.[...] 2017-04-18
[45] 논문 Evaluación de la estabilidad de taludes rocosos a partir de nubes de puntos 3D obtenidas con un vehículo aéreo no tripulado https://polipapers.u[...] 2020-06-23
[46] 논문 Automatic Mapping of Discontinuity Persistence on Rock Masses Using 3D Point Clouds https://doi.org/10.1[...] 2018-10-01
[47] 웹사이트 Apple's RealityKit 2 allows developers to create 3D models for AR using iPhone photos https://techcrunch.c[...] 2021-06-08
[48] 웹사이트 Hands-on: macOS 12 brings new 'Object Capture' API for creating 3D models using iPhone camera https://9to5mac.com/[...] 2021-06-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