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가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가쿠는 서역에서 유래하여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으로 유입된 예능으로, 일본에는 나라 시대에 전래되었다. 일본에서는 궁중 예능으로 시작되었으나, 간무 천황 시대에 폐지된 후, 사찰이나 거리에서 공연되며 서민들에게 퍼져나갔다. 산가쿠는 사루가쿠, 덴가쿠, 괴뢰사 등에 흡수되거나 변질되었고, 가마쿠라 시대에는 그 명칭이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이후 산가쿠는 노, 가부키, 교겐, 와즈마, 분라쿠 등 다양한 후대 예능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본의 연극 - 인간국보
인간국보는 일본에서 역사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무형 문화유산을 고도로 숙련한 개인이나 단체에게 주어지는 칭호로, 정부 지원을 받으며 2021년 2월 기준 111명이 생존해 있다. - 일본의 연극 - 조루리
조루리는 사미센 반주에 맞춰 이야기를 들려주는 일본 전통 이야기 형식으로, 미나모토노 요시츠네와 정루리히메의 사랑 이야기에서 유래되었으며, 에도 시대에 여러 유파로 발전하여 고조루리와 신조루리로 나뉘었고, 현재까지 그 맥을 이어오며 일본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산가쿠 | |
|---|---|
| 개요 | |
| 산가쿠 (散楽) | |
| 다른 이름 | 산가쿠 (散樂), 사루가쿠 (申楽) |
| 정의 | 나라 시대에서 헤이안 시대에 걸쳐 유행한, 중국에서 전래된 예능 |
| 기원 | 중국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 다양한 민간 예능의 총칭 |
| 일본 전래 시기 | 7세기경 |
| 주요 내용 | 곡예 마술 만담 성대모사 기예 무용 음악 연주 연극적 요소 |
| 특징 | 전문적인 예능인이 담당 귀족 앞에서 공연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즐김 |
| 쇠퇴 원인 | 가마쿠라 시대 이후 사루가쿠 (猿楽)에 흡수, 통합 노 (能)의 기원 |
| 현대적 의미 | 만담 마술 기타 대중 연예 |
| 역사 | |
| 나라 시대 | 7세기경, 견당사에 의해 일본에 전래 초기에는 궁중 행사에서 공연 |
| 헤이안 시대 | 귀족 사회에서 크게 유행 다양한 형태로 발전 엔닌에 의해 더욱 발전 |
| 가마쿠라 시대 | 사루가쿠 (猿楽)에 흡수, 통합 점차 쇠퇴 |
| 종류 | |
| 기악 (伎楽) | 가면극 형태의 무언극 |
| 무악 (舞楽) | 중국 및 인도 계통의 춤과 음악 |
| 산가쿠도 (散楽戸) | 산가쿠를 담당하는 전문 예능인 집단 다양한 기예 연행 |
| 후세의 영향 | 사루가쿠 (猿楽) → 노 (能), 교겐 (狂言) |
| 참고 문헌 | |
| 서적 | 『산가쿠도』 (散楽戸) 『신사루가쿠기』 (新猿楽記) |
2. 역사
산가쿠는 서역의 여러 예능에서 기원하였다.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알렉산드리아,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등지의 예능이 실크로드를 통해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중국에서는 궁정 예능인 아악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일정한 규칙이 없는 비정규적인 음악"이라는 의미에서 수나라 때 "산악"이라 불렀다. 그러나 실제로는 주나라와 한나라 시대에도 산악이라 불리는 민간 속악(고산악)이 있었다고 한다. 후한 이후에는 불을 뿜고 칼을 삼키는 등의 곡예가 발달하여, 수나라와 당나라에서는 백희라고도 불렸다.
일본에는 나라 시대에 대륙 문화와 함께 전래되었으나, 그 이전부터 존재했을 가능성도 있다. 일본에서 산악의 역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는 『속일본기』와 『일본삼대실록』 등이다. 『속일본기』에는 덴표 7년(735년) 쇼무 천황이 당나라와 신라의 음악 연주와 롱창(弄槍) 경업예를 보았다는 기록이 있으며, 이것이 산악에 대한 최초의 기록으로 여겨진다. 덴표 연간에는 아악료에 산악호가 설치되어 조정의 보호를 받았으나, 덴표쇼호 4년(752년) 도다이 사 대불 개안 공양 법회에 산악이 봉납된 이후, 서민성과 외설스러움 때문에 간무 천황 시대인 엔랴쿠 원년(782년)에 폐지되었다.
2. 1. 전래와 초기 발전
기원은 서역의 여러 예능으로 여겨진다. 여러 세기에 걸쳐 중앙아시아, 서아시아, 알렉산드리아, 고대 그리스, 고대 로마 등의 예능이 실크로드를 통해 서서히 중국으로 유입되었다. 이러한 여러 예능을 통칭하며, 궁정 예능인 아악에 대한 반대 개념으로 "일정한 규칙이 없는 비정규적인 음악"의 의미로 중국의 수나라 때 "산악"이라고 명명되었다고 하지만, 실제로는 더 오래되어, 주나라와 한나라 시대에도 이미 산악이라고 불리는 민간 속악(고산악)이 행해졌다고도 한다. 후한 이후의 시대에는 불을 뿜고, 칼을 삼키고, 물속에 잠수하여 물고기 흉내를 내는 등의 기발한 곡예로부터, 수나라와 당나라에서는 백희라고도 칭해졌다.일본에는 나라 시대에 다른 대륙 문화와 함께 유입되었다. 그러나 그 이전부터 대륙에서 건너왔을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다.
일본에서의 산악의 역사를 풀어나가는 데 자료가 되는 것은, 그것이 궁중에서 행해졌던 시대의 사서인 『속일본기』나 『일본삼대실록』 등이다. 『속일본기』에는 덴표 7년(735년)에 쇼무 천황이 당나라 사람에 의한 당나라·신라의 음악 연주와 롱창(弄槍)의 경업예를 보았다는 기술이 있다. 이것이 산악에 대한 최초의 기록으로 여겨진다. 덴표 연간 중 어느 해에 아악료에 산악호가 설치되어, 조정에 의해 보호받는 예능이 되었다. 덴표쇼호 4년(752년)의 도다이 사 대불 개안 공양 법회에는, 다른 예능과 함께 산악이 봉납되었다. 그러나 그 서민성이나 외설스러움 때문인지, 간무 천황 시대, 엔랴쿠 원년(782년)에 산악호 제도는 폐지되었다.
2. 2. 산악호 폐지 이후
헤이안 시대가 되자, 연회에서 여흥으로 산악이 행해지게 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삼대실록』에 따르면, 837년에 닌메이 천황이 낭옥(弄玉), 낭도(弄刀) (지금으로 말하는 저글링과 같은 곡예)의 산악을 연기하게 했다는 기록이 있다. 『일본삼대실록』에는 고령회 등의 여흥으로 산악이 연기되었다는 기술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880년에 스모 절회의 여흥으로 연기된 산악은, 연기자가 거의 바보 같아서 사람들을 크게 웃게 했다고 한다. 당시의 산악사가 곡예뿐만 아니라, 지금의 교겐에 통하는 해학적인 흉내 내는 재주도 했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산악호(散楽戸)가 폐지되면서 조정의 보호를 벗어난 산악은 사찰이나 거리 등에서 이전보다 자유롭게 연기되었고, 서민의 눈에 띄게 되었다. 그리고 도읍에서 산악을 본 지방 출신자들에 의해, 일본 각지에 퍼져 나갔다. 이윽고 각지를 순회하며 산악을 선보이는 집단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러한 집단은 후에, 사루가쿠(원악)나 덴가쿠(전악)의 좌(座)에, 혹은 표박하는 민족인 괴뢰사들에게 흡수, 혹은 변질되어 갔다.
963년, 무라카미 천황에 의해, 궁중에서는 산악 실연이 전혀 행해지지 않게 되었다. 이후, 산악이라는 말에 집약되는 잡예군은, 민간에 퍼진 다양한 직업 예능으로 계승되어 간다. 가마쿠라 시대에 들어서자, 산악이라는 말도 거의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2. 3. 후대의 영향
간아미, 제아미 등에 의해 산악의 흉내 재주를 기원으로 하는 원악은 노로 발전했다. 곡예적인 요소의 일부는 후에 가부키로 계승되었다. 해학적인 재주는 교겐이나 웃음을 다루는 연예가 되었고, 독자적인 예능 문화를 구축해 갔다. 기예는 근세 초기에 일본식 마술인 와즈마(테즈마)가 되었다[1]. 산악 중 인형을 사용한 여러 재주는 괴뢰(쿠구츠)가 되었고, 이윽고 인형 죠루리(분라쿠)로 계승되었다. 이처럼, 산악이 후세의 예능에 미친 영향은 헤아릴 수 없이 크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