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아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아미는 일본 무로마치 시대 초기에 활약한 노(能) 연극을 대성시킨 인물이다. 그는 노 연기자이자 연출가였으며, 아버지 가나미의 재능을 이어받아 12세에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후원을 받으며 두각을 나타냈다. 제아미는 노의 대본인 요쿄쿠의 명작을 다수 남겼으며, 예술론을 담은 저서인 《풍자화전》, 《화경》 등을 통해 노의 이론을 정립했다. 말년에는 정치적 탄압으로 유배를 겪었지만, ≪풍자화전≫을 비롯한 많은 역작을 남겼으며, 노의 대가로서 후세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63년 출생 - 마리아 (시칠리아)
마리아 (시칠리아)는 1377년 시칠리아 여왕이 되었으나, 어린 나이와 귀족들의 권력 다툼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했고, 1390년 마르티노 1세와 결혼 후 1392년부터 공동 통치했으나 1401년 후계자 없이 사망하여 시칠리아는 아라곤 왕가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 1363년 출생 - 황희
황희는 고려 말부터 조선 전기까지 활동한 재상으로, 세종 시대에 영의정을 지내며 태평성대를 이끌었으나, 친인척 비리 옹호 논란도 있는 인물이다. - 1443년 사망 - 아시카가 요시카쓰
아시카가 요시카쓰는 1434년에 태어나 1442년 9세의 나이로 무로마치 막부의 7대 쇼군이 되었으나, 정치적 능력 부족으로 실권을 호소카와 모치유키 등이 장악했고, 1443년에 1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1443년 사망 - 노한
노한은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으로, 음서로 관직 생활을 시작해 여러 요직을 거치며 조선의 기틀을 다지는 데 기여했다. - 아시카가 요시미쓰 - 로쿠온지
금각사로 알려진 로쿠온지는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별장이었으나 그의 유언에 따라 사찰로 개조되었고, 금박으로 덮인 금각이 특징이며, 아름다운 정원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일본 교토의 린자이종 선불교 사찰이다. - 아시카가 요시미쓰 - 덴류지
덴류지는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고다이고 천황을 추모하기 위해 무소 소세키를 초빙하여 창건한 린자이종 텐류지파의 대본산 사찰로, 아름다운 회유식 정원이 특징이다.
제아미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제아미 모토키요 |
본명 | 간제 모토키요 |
로마자 표기 | Zeami Motokiyo |
일본어 표기 | 世阿弥 元清, 観世 元清 |
다른 이름 | 후지와카마루 (藤若丸) |
출생 | 1363년경 |
사망 | 1443년경 |
국적 | 일본 |
직업 | 예술가 극작가 배우 |
활동 시기 | 무로마치 시대 |
분야 | 노 (能) |
아버지 | 간아미 |
작품 | |
저서 | 《풍자화전 (風姿花伝)》 《화경 (花鏡)》 《가체화전 (歌舞髄脳)》 《삼도 (三道)》 《별도 (別道)》 《금옥원고 (金玉源稿)》 《습유화전 (拾玉得花)》 《세도화전 (勢道花伝)》 《이로에문자 (二老之文)》 《명숙집 (明宿集)》 《수원집 (水源集)》 |
창작한 노 (能) | 《다마즈키 (玉鬘)》 《요로보시 (弱法師)》 《세키데라코마치 (関寺小町)》 《고모치야마 (小町山)》 《가모 (賀茂)》 《하나카츠미 (花勝見)》 《가쓰라가와 (桂川)》 《이소노고료 (磯之良)》 《시노마쓰 (篠松)》 《도우조우지 (道成寺)》 《아타카 (安宅)》 《우네메 (采女)》 《가이즈쿠 (海士)》 《기요쓰네 (清経)》 《우츠보자루 (空穂猿)》 《오미나메시 (女郎花)》 |
관련 인물 | |
스승 | 아버지 간아미 |
아들 | 간제 모토마사 |
손자 | 간제 오미히코 |
후원자 | 아시카가 요시미쓰 |
평가 및 영향 | |
평가 | 노 (能)의 창시자이자 이론가 |
영향 | 일본의 전통 연극인 노에 큰 영향을 미침 |
기타 | |
참고 문헌 | 루이스 크롬프턴, 《동성애와 문명》 |
2. 생애
무로마치 초기에 활동했던 제아미는 일본 전통 예능 노(能)를 대성시킨 인물이다. 그는 노 연기자이자 연출가였으며, 노의 대본인 요쿄쿠(謠曲)의 명작을 다수 남긴 당대 최고의 예능인이자 문호였다. 제아미가 태어난 시기는 아버지 간아미(觀阿彌)가 간제좌(觀世座)를 창시하고 출세의 발판을 다지던 무렵이었다. 아시카가 막부는 제3대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滿) 통치하에 정치적 기반을 더욱 공고히 다지고 있었다.
제아미는 어릴 적부터 남다른 재능과 출중한 외모를 지녀, 예능인과 문호로서의 자질을 타고났다. 열두 살 무렵, 요시미쓰의 눈에 띄어 그의 절대적인 후원을 받으며 간제좌는 번영을 누렸다. 요시미쓰의 비호 아래 제아미는 관객에게 최대의 감동을 주는 '꽃(花)'의 완성을 예술적 지향점으로 삼았다. 그는 불교의 선(禪) 개념에 입각한 꽃 이론을 토대로 ≪풍자화전(風姿花傳)≫, ≪화경(花鏡)≫ 등의 이론서를 저술했다.
하지만 요시모치, 요시노리 등 후대 쇼군은 제아미를 탄압했고, 결국 그는 사도로 유배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련 속에서도 ≪풍자화전≫을 비롯한 대부분의 역작들이 탄생했다. ≪제아미십륙부집(世阿彌十六部集)≫에 수록된 이론서들 역시 이 시기에 쓰였다. 그는 시련을 사색으로 승화시켜 연기자로서의 '꽃'을 피워냈다.
1432년, 장남 간제 모토마사가 이세 아노쓰에서 객사하였다. 실의에 빠진 제아미도 1434년 사도로 유배되었다.[33] 1436년 (영향 8년)에는 『금도서(金島書)』를 저술하였다. 공적 기록에는 사도로 유배된 기록이 발견되지 않으며,[50] 유배 원인은 불분명하고, 제아미 자신은 『금도서』에서 무고한 죄를 주장하고 있다.[51] 사위 곤파루 젠치쿠(金春禅竹)가 제아미의 아내를 돌보며 사도에 물건을 보내주어 생활에 큰 불편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51] 사도에서 사망했다는 설이 유력하지만,[50] 후에 사면되어 교토로 돌아왔다는 설도 있다. 어릴 적 수행했던 보암사(補巌寺)에 귀의하여 제아미 부부는 지옹선문(至翁禅門)・수춘선니(寿椿禅尼)라 불리며 논밭을 각각 1단씩 기진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고도 하며, 대덕사에 분골(分骨)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관세소지로화상찬(観世小次郎画像賛)」에 따르면 가키쓰 3년(1443년)에 사망했다.[52]
2. 1. 초기 생애와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후원
제아미는 1363년[2] 나라 근처[3]에서 태어났으며, 어릴 적 이름은 기요모토(清元)였다.[2] 그의 아버지 간아미(観阿弥)는 교토 지역[4]에서 주로 공연하는 극단을 이끌었는데, 1360년대 후반과 1370년대 초반에 인기를 얻었다. 제아미는 극단에서 활동하며 매력적이고 뛰어난 배우로 평가받았다.[5]1374년 또는 1375년, 간아미가 신구마노 신사에서 연 노(能) 공연에 12세의 제아미가 출연했을 때, 무로마치 막부의 쇼군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満)의 눈에 띄었다. 이후 요시미쓰는 간아미와 제아미 부자를 후원하게 되었다.[4] 1378년 기온 축제에서는 쇼군 요시미쓰의 관람석에 제아미가 가까이 모시게 되어 귀족들의 비판을 받기도 했다.(「후구마이키」)[8] 요시미쓰는 제아미가 하층민 출신이라는 점 때문에 귀족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7] 제아미에게 매우 매료되었고, 그를 정기적으로 궁정에 초대했다.[8]
쇼군과의 관계 덕분에 제아미는 궁정의 정치가이자 시인인 니조 요시모토(二条良基)에게서 고전 교육을 받았다.[9] 연가(連歌) 실력으로 유명했던 니조는 제아미에게 문학, 시, 철학을 가르쳤다. 하층민 출신의 배우들은 거의 교육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이러한 교육은 매우 드문 일이었다.[24]
1384년에 간아미가 세상을 떠나자 제아미는 간제좌(観世座)의 우두머리인 간제 다유(観世太夫)를 계승했다.
2. 2. 간제좌 계승과 노의 발전
제아미는 1374년에 아시카가 요시미쓰의 후원을 받았는데, 이는 당시 배우에게는 드문 영광이었다.[9] 이 후원 덕분에 그는 직업 예술가가 되었고,[10] 1385년 아버지가 죽은 후에는 간제좌(觀世座)를 이끌기 시작했다. 그의 지휘 아래 극단은 성공을 거두었다.[11] 제아미는 극단을 이끄는 동안 실용 미학에 관한 최초의 일본 논문을 썼다.[4]
제아미는 형식주의적인 집필 과정을 고수했다. 그는 주제를 정하고, 구조를 결정한 후, 가사를 쓰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그가 쓴 작품의 수는 불확실하며, 약 50~60편으로 추정된다.[12] 그의 지적 관심사는 다방면에 걸쳐 있었고,[10] 능숙한 연가 작가였다.[13] 『헤이케 이야기』는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 중 여러 편의 원천이 되었다.[14] 그는 일본과 중국의 고대시를 그의 극에 통합했다.[15] 당대 극작가 도아미와 조아미는 그에게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31] 그는 자신의 논문에서 그들을 인정했다. 특히 조아미에 대해 호평했지만,[24] 우겐으로의 전환과 모노마네로부터의 이탈은 도아미의 영향 때문일 수도 있다.[16] 그는 대중적인 춤, 연극, 음악을 고전적인 시가와 혼합하여 고전적 전통을 확장하고 대중화했다.[4] 초기 작품에서는 선(禪)의 그림을 사용하여 새로운 선어를 만들고 기존의 선어를 문맥에서 벗어나 사용했다. 그가 사용한 많은 주제들은 다른 불교 종파에도 존재한다.[16] 당시 일본은 선 문화에 중점을 두고 있었고, 그는 선 사찰에 등록되어 있었으며[33] 유명한 선 승려의 친구였다.[16] 1422년 그는 재가 수행자가 되었다.[17]
제아미 경력에서 가장 중요한 공연 중 하나는 1394년에 있었다. 당시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카스가 신사(나라)를 방문했고, 제아미는 그 방문 중 공연을 했다.[18] 이것은 중요한 정치적 사건이었으므로, 제아미는 당시 이미 유명한 예술가였을 가능성이 높다. 그는 1399년에 쇼군을 위해 두 번의 중요한 공연을 했는데,[19] 그중 한 번은 고코마쓰 천황이 참석했을 수도 있다.[20]
제아미는 아시카가 요시미쓰를 까다로운 후원자로 여겼고,[20] 사루가쿠 배우 이누오와 쇼군의 총애를 두고 경쟁했다.[21] 1408년 요시미쓰가 죽었고,[21] 새로운 쇼군 요시모치는 제아미에게 무관심했고[22] 조아미의 덴가쿠 작품을 선호했지만,[24] 제아미의 경력은 도시 상업 계급과의 관계 덕분에 굳건히 유지되었다.[23] 존경받는 공인으로서 그는 여러 후원자들에게 접근할 수 있었다.[23] 그는 결국 유명인의 지위에 올랐고[24] 1418년부터 1428년 사이에 상당한 양의 작품을 썼다.[23]
2. 3. 정치적 박해와 유배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1408년에 사망한 후, 요시모치가 쇼군이 되면서 제아미는 무관심을 받았다.[22] 요시모치는 덴가쿠를 선호했다.[24] 요시노리가 쇼군이 되자, 제아미에 대한 경멸을 더 깊게 보였다.[33] 그 감정의 기원은 불분명하나, 제아미와 구스노키 마사시게[33]와의 관계, 그리고 제아미가 존씨 복고주의자였다는 설이 있다.[4] 1967년에 발견된 간제 후쿠도 계도에 따르면, 제아미의 어머니 형제는 아시카가 막부에 대항하는 남조를 지지했다.[2]요시노리는 제아미의 공연을 즐기지 않아 그를 벌했다는 추측도 있다.[34] 요시노리는 오니(鬼)를 연기하는 배우가 등장하는 화려한 연극[34]을 선호했는데, 이러한 종류의 연극은 제아미의 레퍼토리에 거의 없었다.[35] 모노마네(흉내)를 좋아했던 요시노리는 오니가 등장하는 공연 때문에 간아미를 좋아했다.[34] [35] 제아미는 간아미와 함께 공연을 했으며,[35] 자신의 아들들이 자신의 사후에 극단을 이끌 수 있을지 몰랐기에 간아미의 육성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였다.[36]
1429년, 10일간의 축제 기간 동안[37] 제아미의 아들 모토마사와 간아미가 각각 요시노리를 위해 공연했음에도 불구하고, 요시노리는 제아미가 선동어소[33]에 출입하는 것을 금지했다. 이는 간아미에게 자신의 저작물을 모두 제공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일 수 있다.[36] 이듬해 청룡신사의 악장직은 모토마사에서 간아미로 옮겨졌다.[33] 같은 해, 제아미의 아들 모토요시는 배우를 은퇴하고 불교에 귀의했다.[22] 같은 해, 모토마사는 사망했는데, 암살되었다는 추측도 있다.[33]
1434년, 제아미는 사도로 유배되었다.[33] 그는 2년 후 자신의 마지막 기록으로 남는 작품을 완성했는데, 이는 유배 생활에 대한 상세한 1인칭 기록이다.[39] 이 기록에서 그는 자신의 불운에 대해 초연한 태도를 보여준다.[40]
2. 4. 말년과 죽음
1432년, 장남 관세 모토마사가 이세 안농진에서 객사하였다. 실의에 빠진 제아미도 1434년 사도로 유배되었다.[33] 1436년 (영향 8년)에는 『금도서(金島書)』를 저술하였다. 공적 기록에는 사도로 유배된 기록이 발견되지 않으며,[50] 유배 원인은 불분명하고, 제아미 자신은 『금도서』에서 무고한 죄를 주장하고 있다.[51] 사위 곤파루 젠치쿠(金春禅竹)가 제아미의 아내를 돌보며 사도에 물건을 보내주어 생활에 큰 불편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51] 사도에서 사망했다는 설이 유력하지만,[50] 후에 사면되어 교토로 돌아왔다는 설도 있다. 어릴 적 수행했던 보암사(補巌寺)에 귀의하여 제아미 부부는 지옹선문(至翁禅門)・수춘선니(寿椿禅尼)라 불리며 논밭을 각각 1단씩 기진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고도 하며, 대덕사에 분골(分骨)된 것으로 추정되기도 한다. 「관세소지로화상찬(観世小次郎画像賛)」에 따르면 가길 3년(1443년)에 사망했다.[52] 제아미는 1443년에 야마토(大和)에 묻혔고, 그의 아내는 얼마 지나지 않아 세상을 떠났다.[41]3. 주요 작품
제아미의 작품은 여러 세대에 걸친 관세류(觀世流) 지도자들을 통해 전해져 내려왔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지도자들에 의해 수정되고 개작되었다.[25] 다음은 제아미의 작품으로 널리 인정되는 작품들이다.[26]
- 아코야노마쓰(阿古屋の松) (현재 능극 레퍼토리에 없음)
- 아츠모리
- 한조(羽衣)
- 이즈츠 (1420년대 후반이나 1430년대 초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
- 키누타(砧) (1430년대 초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
- 마츠카제 (관아미의 부분을 사용)
- 사이교자쿠라(西行桜)
- 세키데라코마치
- 다다노리(忠度)
- 다카사고
- 야만바
- 야시마(屋島)
세아미의 작품으로 여겨지는 것에는 『고사』, 『우물통』, 『실성(実盛)』 등 50곡 가까이 있으며, 현재도 노(能) 무대에서 상연되고 있다. 또한, 『풍자화전(風姿花伝)』 등의 예술론은 사료(史料)적 가치뿐만 아니라 문학적 가치도 높다고 평가받고 있다.
제아미는 많은 요곡(謡曲)을 남겼다.
제목 | 원전 |
---|---|
궁하치만(弓八幡) | |
다카사고 | |
로쇼(老松) | |
지츠모리(実盛) | |
요리마사(頼政) | 평가이야기(平家物語) |
추도(忠度) | 평가이야기(平家物語) |
세이케이(清経) | 평가이야기(平家物語) |
아츠모리(敦盛) | 평가이야기(平家物語) |
야시마 | 평가이야기(平家物語) |
이즈츠 | 이세이야기(伊勢物語) |
코이오모니(恋重荷) | |
니시키기 | |
키누타 | |
유(融) | |
도우마(当麻) | |
야모리(野守) | 만엽집(万葉集)의 노래 |
쇼키(鍾馗) | |
누에 | 평가이야기(平家物語) |
사쿠라가와(桜川) | |
하나가타미(花筐) | |
아시카리(葦刈) | |
슌에이(春栄) | |
사이쿄우자쿠라(西行桜) | |
히가키 | |
토쿠사 | |
마츠우라사요히메 |
제아미의 저술로는 다음이 있다.
4. 예술론
세아미는 약 40년에 걸쳐 21편의 중요한 저술을 남겼다.[44] 그의 저서들은 노(能)극의 원리를 논하며, 배우 교육,[27] 배역 연기, 음악, 신체 움직임[28] 등 연극의 가장 중요한 측면에 대해 동료들에게 알리고자 했다. 또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와 같은 더 넓은 주제들도 다루었다.[29] 이 저술들은 가업으로 이어지는 노 배우 집단의 특성상, 전통적으로 세대 간에 전수되던 정보였기에 소수의 동료들을 위한 것이었다. 그는 이 과정을 용이하게 하여[22] 배우 집단의 후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자 했다.[30]
J. 토마스 라이머는 세아미의 연가(連歌) 시 교육이 그의 예술론에 영향을 주었다고 제안한다.[30] 제아미의 아들 모토요시(元義)는 이전에 제아미의 논문 『예술에 대한 성찰(유서, 幽玄)』을 필사한 바 있다.[22]
세아미의 주요 예술론 저서는 다음과 같다.
- 『풍자화전』
- 『화습내발서』
- 『음곡구전』
- 『화경』
- 『지화도』
- 『이곡삼체인형도』
- 『삼도』
- 『곡부차제』
- 『풍곡집』
- 『유락습도풍견』
- 『오위』
- 『구위』
- 『육의』
- 『십옥득화』
- 『오음곡조조』
- 『오음』
- 『습도서』
- 『몽적일지』
- 『각래화』
- 『금도서』
- 『세자육십이후신악담의』
- 『금춘대부안서장』
4. 1. 풍자화전(風姿花伝)
제아미가 저술한 여러 연극 논문 중 첫 번째 작품이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알려진 연극 논문으로, 노(能)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19] 구어체로는 『화전서(花伝書)』라고도 불린다.[19]이 책에서 제아미는 관객에게 감동을 주는 힘을 "꽃"으로 표현하며, 소년의 아름다운 목소리와 자태는 일시적인 "때의 꽃"에 불과하다고 말한다. 노의 오묘한 이치인 "참된 꽃"은 마음 공부와 깨달음에서 비롯된다고 설명하며, "감추어야 꽃이 된다. 감추지 않으면 꽃이 될 수 없다."라는 유명한 구절을 남겼다. 이러한 가르침은 오랫동안 비전으로 여겨져 왔다.
『풍자화전』에는 아버지의 노에 대한 견해가 상당 부분 포함되어 있으며[19], 특히 조하규(序破急)에 대한 철저한 분석이 담겨 있다.[30]
4. 2. 화경(花鏡)
『화경(花鏡)』은 제아미가 자신의 견해를 담아 쓴 논문이다. 『풍자화전』이 꽃에 대해 상세히 논하는 반면, 『화경』은 정신적인 아름다움을 다루며 배우의 목소리와 마음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31] 일부 학자들은 이러한 변화에 선의 영향이 있었다고 본다.[16] 제아미의 초기 작품과 후기 작품 사이의 시간 차이 또한 그의 관점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33] 제아미는 『화경』을 쓰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고, 완성된 작품을 아들 모토마사에게 넘겨주었다.[32]
5. 후세의 평가
제아미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그의 삶에 대한 확실한 정보가 부족하여 여러 추측이 제기되었다.[42] 흔히 제아미가 스파이, 지(智)종의 승려, 또는 선(禪) 스승이었을 것이라는 추측이 거론된다.[4] 그의 작품은 현대에 들어 때때로 단순화되기도 한다.[42]
5. 1. 일본 내 평가
제아미는 노(能)의 최고 작가이자 노를 고전적인 정점에 이르게 한 예술가로 알려져 있다.[4] 학자들은 그에게 약 50편의 작품을 돌리고 있으며, 그중 많은 작품이 유럽 언어로 번역되었다. 그의 작품 중 일부는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으며, 약 16편은 희귀한 사본 형태로만 존재한다.[42]제아미의 저술들은 그의 사후에 널리 이용 가능하지 않았으며, 상류층 무사들만이 접근할 수 있었다. 1908년 일본의 헌책방에서 그의 저술 몇 편이 발견되었다. 이 발견 이후 더 널리 유통되었지만, 완전한 작품집은 1940년까지 출판되지 않았다.[43] 제아미의 작품들은 처음 쓰여진 이후로 일본에서 계속 공연되어 왔다.[44]
수성에 있는 크레이터는 1976년에 제아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45] 1883년에 저서 『십육부집(十六部集)』이 발견되면서 노(能)의 대성자로서 높이 평가받게 되었지만, 현재의 관세가(觀世家)가 오토아미(音阿弥) 계보를 잇는 흐름이 된 탓에 일반은 물론이고 노가쿠사이(能楽師)들 사이에서도 거의 잊혀져 있었다.[50]
2000년에 아사히 신문사가 실시한 아라마타 히로시, 키시다 슈, 도널드 킨, 사카이야 타이치, 스기모토 손코 5명의 식자(識者)가 선정한 서기 1000년부터 1999년까지의 「일본의 얼굴 10인」에서 제아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오다 노부나가에 이어 득표수 3위를 차지했다.[53]
6. 저서 목록
참조
[1]
서적
Homosexuality and Civilization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5]
서적
(제목 정보 없음)
[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2]
서적
Theatre: Brief Edition
https://www.worldcat[...]
2020
[1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5]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1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5]
학술지
Remembering Zeami: The Kanze School and Its Patriarch
http://dx.doi.org/10[...]
2003
[26]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7]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8]
서적
(제목 정보 없음)
[29]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0]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1]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2]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3]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4]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5]
서적
(제목 정보 없음)
[36]
서적
[37]
서적
[38]
서적
[39]
서적
[40]
서적
[41]
서적
[42]
서적
[43]
서적
[44]
서적
[45]
웹사이트
Zeami
http://planetaryname[...]
NASA
2020-01-15
[46]
웹사이트
補巌寺(ふがんじ)
https://www.library.[...]
奈良県立図書情報館
2024-11-06
[47]
웹사이트
補巌寺(ふがんじ)
https://www.town.taw[...]
田原本町役場 地域産業推進課商工観光係
2024-11-06
[48]
문서
세아미가 금춘다부에게 답례한 "기야요리의 서장"에 기재되어 있다.
[49]
웹사이트
寳山寺貴重資料電子画像集
https://www.nara-wu.[...]
2024-02-27
[50]
웹사이트
the能ドットコム:世阿弥のことば
https://www.the-noh.[...]
株式会社カリバーキャスト
2024-11-12
[51]
웹사이트
世阿弥流罪考
http://www.uranus.dt[...]
太田代志朗
224-11-12
[52]
웹사이트
田原本町公式ホームページ「補厳禅寺納帳国」
https://www.town.taw[...]
[53]
뉴스
識者5人が選んだ日本の顔10人家康・信長に支持
https://web.archive.[...]
朝日新聞
2000-00-00
[54]
서적
대화하는 생과 사
대화문고
2006-02-15
[55]
뉴스
平成能楽 進取と継承の両輪…世阿弥 生誕650年
https://web.archive.[...]
読売新聞
2013-06-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