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비스카차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비스카차속(Lagidium)은 페루 남부에서 아르헨티나까지 안데스 산맥 지역에 널리 분포하는 대형 설치류 속이다. 현재 4종(에콰도르비스카차, 북부 비스카차, 남부 비스카차, 울프손 비스카차)이 인정되며, 육상성이며 초식성이다. 바위가 많은 산악 지역이나 스텝 서식지에서 서식하며, 주로 풀, 이끼, 지의류를 먹는다. 짝짓기는 10월에서 12월 사이에 이루어지며, 임신 기간은 120~140일이다.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 종으로 분류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친칠라과 - 친칠라아과
    친칠라아과는 친칠라속의 긴꼬리친칠라와 짧은꼬리친칠라, 그리고 산비스카차속의 에콰도르비스카차, 북부비스카차, 남부비스카차, 볼프손비스카차를 포함하는 설치류 아과로, 남획과 서식지 파괴, 기후 변화로 인해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친칠라과 - 초원비스카차속
    초원비스카차속은 멸종된 페루초원비스카차를 포함하며 현존하는 유일한 종은 남방비스카차이고, 플라이스토세 시대에 아르헨티나, 볼리비아, 페루 등지에서 서식했던 설치류 속이다.
산비스카차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남부비스카차
남부비스카차
학명Lagidium
명명자Meyen, 1833년
모식종Lagidium peruanum
모식종 명명자Meyen, 1833년
하위 분류
남부비스카차(Lagidium viscacia)
페루비스카차(Lagidium peruanum)
볼리비아비스카차(Lagidium wolffsohni)
북부비스카차(Lagidium moreni)

2. 분류

2009년 이전에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산비스카차속에 3종이 있다고 여겼다. 하지만 분류는 학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앤더슨(Anderson, 1997)은 북부 비스카차(''L. peruanum'')를 남부 비스카차(''L. viscacia'')에 포함시키기도 했다.[2] 현재는 일반적으로 4종으로 분류된다.[3]

2. 1. 하위 종

2009년 이전에는 대부분의 저자들이 산비스카차속에 3종이 있다고 여겼다. 하지만 분류는 저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예: 앤더슨(Anderson, 1997)에 따르면 페루비스카차(''Lagidium peruanum'')는 퀴비에비스카차(''Lagidium viscacia'')에 포함된다).[2] 현재는 다음 4종이 인정된다.

  • 에콰도르 산비스카차 (''Lagidium ahuacaense'')[3]
  • 북부 비스카차 (''Lagidium peruanum'')
  • 남부 비스카차 (''Lagidium viscacia'')
  • 울프손 비스카차 (''Lagidium wolffsohni'')

3. 분포 및 서식지

산비스카차속은 육상성 동물로, 남아메리카 안데스 산맥 지역에 널리 분포한다. 분포 범위는 페루 남부에서 시작하여 볼리비아를 거쳐 칠레 남부와 아르헨티나까지 이어진다. 주로 고산 지대의 바위가 많은 건조한 환경에 서식한다.

3. 1. 분포

산비스카차속은 육상성 동물로, 안데스 산맥 지역에 주로 서식한다. 분포 범위는 페루 남부에서 시작하여 볼리비아를 거쳐 칠레 남부와 아르헨티나까지 이어진다.

종별 분포와 서식 고도는 다음과 같다.

분포 지역서식 고도
북부비스카차 (Lagidium peruanum)페루 중부 및 남부, 칠레 북부해발 3000m ~ 5000m
남부비스카차 (Lagidium viscacia)페루 남부, 볼리비아 남부 및 서부, 칠레 북부, 아르헨티나 서부해발 2500m ~ 5100m



울프손비스카차(''Lagidium wolffsohni'')에 대해서는 알려진 정보가 거의 없다.

3. 2. 서식지

페루비스카차는 안데스 산맥의 수목 한계선과 설선 사이의 건조하고 바위가 많은 서식지를 선호하며, 풀이 드문드문 있는 곳을 좋아한다. 초식성 동물로, 서식지 내 다른 건조한 지역보다 초목이 더 풍부한 물 근처에서 주로 발견된다. 안데스비스카차는 바위가 많은 산악 지역이나 스텝 서식지의 암석 노두에 서식한다. 주로 해발 2500m에서 5100m 사이의 초목이 드문 지역에 국한되어 분포한다. 이 초식성 동물은 바위 틈새에 살며, 불규칙하게 흩어져 있는 서식 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4]

산비스카차는 서식지 내에서 가파른 절벽 부분을 덜 가파른 곳보다 더 많이 이용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서식지 이용 패턴은 포식자를 피하기 위한 행동으로 보이는데, 가파른 경사면이 땅 위의 포식자로부터 도망치기에 더 유리하기 때문일 수 있다. 이들은 하늘을 나는 포식자와 땅 위의 포식자 모두로부터 몸을 피할 수 있는 바위 근처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는다.[5]

4. 특징

몸길이는 300mm에서 450mm 사이이며, 꼬리 길이는 200mm에서 400mm 정도이다. 몸무게는 최대 3kg까지 나가는 비교적 큰 설치류이다.

전체적인 모습은 긴 꼬리를 가진 토끼와 매우 유사하다.[6] 몸 전체는 부드럽고 촘촘한 털로 덮여 있다. 귀는 길쭉한 털로 덮여 있으며, 귀 끝 가장자리는 흰색 털로 장식되어 있다. 길고 굽은 꼬리는 숱이 많으며, 몸길이의 약 3분의 1에 달하기도 한다. 앞다리는 비교적 짧지만, 뒷다리는 길고 근육질이어서 달리거나 점프하기에 적합하다. 뒷발의 발가락 수는 친칠라처럼 4개이다.

털 색깔은 계절과 나이에 따라 변한다. 일반적으로 등 쪽은 회색에서 갈색을 띠며 크림색과 검은색이 섞여 있고, 배 쪽은 옅은 노란색이나 황갈색을 띤다.[7] 하지만 다른 자료에서는 등 쪽이 옅은 노란색 또는 회색이고 꼬리 끝이 검은색이라고 설명하기도 한다.[6] 앞니는 비교적 섬세하며, 에나멜에 색소가 없다.

5. 생태

페루비스카차(''L. peruanum'')는 안데스 산맥의 수목 한계선과 설선 사이의 건조하고 바위가 많은 서식지를 선호하며, 드문드문 풀과 거친 풀이 있는 곳을 찾는다. 서식지 내 다른 건조한 지역보다 초목이 풍부한 물가 근처에서 주로 발견된다. 산비스카차(''L. viscacia'')는 바위가 많은 산악 지역이나 스텝 지대의 암석 노두에 서식하며, 주로 해발 2500m에서 5100m 사이의 초목이 드문 지역에 분포한다.[4]

이들은 가파른 절벽 지형을 덜 가파른 곳보다 더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가파른 지형이 포식자를 피하는 데 유리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특히 땅 위의 포식자로부터 가파른 경사면을 이용해 더 쉽게 벗어날 수 있다. 이들은 하늘과 땅의 포식자 모두로부터 몸을 숨기거나 도망칠 수 있는 바위 근처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는다.[5]

5. 1. 행동

페루비스카차(L. peruanum)는 주행성 동물이며 연중 활동한다. 바위 사이를 뛰어다니며 경고 신호로 휘파람 소리나 트릴(떨리는 소리)을 낸다.[8] 2~5마리가 작은 가족 단위를 이루며, 여러 가족 단위가 모여 최대 75마리까지의 군집을 형성하기도 한다.

산비스카차(L. viscacia) 역시 주행성이며 일출과 일몰 무렵에 가장 활발하게 움직인다. 낮 동안에는 높은 바위 위에서 털을 손질하거나 일광욕을 즐긴다. 바위 위를 재빠르게 이동하며 겨울잠을 자지 않는다.

5. 2. 먹이

산비스카차속 동물들은 초식성이다. 페루비스카차는 안데스 산맥의 건조하고 바위가 많은 서식지에서 살아가며, 주로 물 근처에서 발견되는데 이는 물가가 서식지의 다른 건조한 지역보다 더 나은 초목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곳에서 자라는 풀과 거친 풀 등을 먹는 것으로 보인다. 안데스비스카차 역시 초식성으로, 해발 2500m에서 5100m 사이의 고지대 암석 노두나 스텝 지역에 서식하며, 드문드문 자라는 초목을 먹이로 삼는다.[4] 이들은 먹이를 구할 때에도 포식자를 피해 바위 틈새나 가파른 절벽 근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5]

5. 3. 번식

페루산비스카차(''L. peruanum'')의 수컷은 짝짓기 상대가 여럿인 경향이 있다. 암컷의 임신 기간은 140일이며, 보통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태어나서 약 8주 동안 어미젖을 먹는다. 페루에서는 10월부터 11월 사이에 짝짓기를 한다. 암컷과 수컷 모두 생식적으로 성숙하는 데 1년이 걸리며, 새끼는 태어난 지 59일 후에 젖을 뗀다.[9]

남부산비스카차(''L. viscacia'')는 10월부터 12월 사이에 짝짓기를 한다. 암컷은 120일에서 140일의 임신 기간을 거쳐 조숙한 새끼 한 마리를 낳는다. 새끼는 털이 완전히 나고 눈을 뜬 상태로 태어나며, 태어난 첫날부터 고체 먹이를 먹을 수 있다.[7]

6. 보존 상태

안데스산 고양이의 주요 먹이원이며, 남부비스카차는 고기와 털을 얻기 위해 사냥되기도 하지만, 개체수가 많아 흔한 종이다. 개체수는 심각하게 우려할 정도로 감소하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11] 전체적으로 Lagidium|산비스카차속lat은 여러 보호 구역에 서식하고 암석 지형에 제한되어 서식하므로 IUCN 적색 목록에서 관심 필요(LC) 종으로 분류된다.[12]

참조

[1] 문서 MSW3
[2] 논문 Molecular Divergence and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Chinchillids (Rodentia: Chinchillidae) 2004
[3] 간행물 A new species of Mountain Viscacha (Chinchillidae: ''Lagidium'' Meyen) from the Ecuadorean Andes http://mapress.com/z[...] 2009-06-05
[4] 간행물 Lagidium viscacia 2016
[5] 논문 Habitat use by mountain vizcachas (Lagidium viscacia Molina, 1782) in the Patagonian steppe 2000
[6] 웹사이트 Chinchillidae http://www.zonotriki[...] 1997
[7] 웹사이트 Lagidium viscacia-Southern Viscacha http://eol.org/pages[...] EOL Encyclopedia of Life 2009
[8] 간행물 Life History of Mountain Viscachas in Peru 1948
[9] 논문 A database of vertebrate longevity records and their relation to other life-history traits. 2009
[10] 서적 Viscachas and chinchillas. Grizmek's Animal Life Encyclopedia 2nd Ed., Vol. 16, pp. 377-384. 2004
[11] 서적 Rodentia: Chinchillas. Grizmek's Encyclopedia of Mammals, Vol. 3, pp. 320-321. 1990
[12] 문서 Lagidium viscacia IUCN 2008
[13] 문서 MSW3 Hystricognathi
[14] 서적 Walker's Mammals of the World 199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