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는 "산 뒤에서 온 사람들"이라는 뜻의 마푸둥군어에서 유래된 아르헨티나의 도시이다. 나우엘 우아피 호수 기슭에 위치하며, 19세기 말 칠레 이민자들이 정착하면서 발전했다. 주요 산업은 나우엘 우아피 국립공원과 관련된 관광업으로, 스위스풍 건축물과 세로 카테드랄 스키 리조트로 유명하다. 또한, 핵 관련 연구를 수행하는 바릴로체 원자력 센터와 첨단 기술 회사 인바프가 위치한 과학 기술 중심지이기도 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도시 -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자치시로, 16세기 건설과 재건을 거쳐 아르헨티나 독립의 중심지였으며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남미 최대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여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자랑한다.
  • 아르헨티나의 도시 - 멘도사 (아르헨티나)
    멘도사는 아르헨티나 멘도사 주의 주도로, 와인 생산과 관광, 석유 및 우라늄 개발이 활발하며, 1861년 대지진 이후 재건된 현대적인 도시 구조와 꾸요 국립대학교 등의 문화 시설을 갖추고, 포도 수확 축제와 경전철 시스템, 그리고 영화와 비디오 게임을 통해 대중 문화적으로도 알려진 안데스 산맥 기슭의 도시이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시민 센터와 항구
시민 센터와 항구
지리
국가아르헨티나
리오네그로 주
바릴로체
해발고도893m
기후Csb
행정
시장Walter Cortés
설립1902년
면적
총 면적220.27km2
인구
인구 (2010년)108,205명
도시권 인구130,000명
기타 정보
시간대ART
UTC 오프셋-3
우편 번호8400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2. 역사

바릴로체라는 이름은 "산 뒤에서 온 사람들"이라는 뜻의 마푸둥군어 단어 '부릴로체(Vuriloche)'에서 유래했다. 포야족은 이 부릴로체 고개를 이용하여 안데스 산맥을 넘었고, 오랫동안 이 사실을 스페인 선교사들에게 비밀로 했다.[3]

17세기 중반, 예수회 성직자 디에고 데 로잘레스가 나우엘 우아피 호수에 도착했고, 1670년에는 니콜라스 마스카르디가 이 지역에 선교를 설립하여 1673년까지 지속했다. 1703년 새로운 선교가 설립되었으나, 1717년 포야족과의 불화로 파괴되었다. 1766년 선교 재건을 시도했지만, 이듬해 예수회가 추방되면서 실패했다.

신석기 시대부터 나우엘 우아피 호숫가에는 원주민 정착지가 있었다. 이 지역에는 테우엘체족과 푸엘체족이 살았으며, 17세기 이후 마푸체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3] 19세기 말에는 소수의 원주민 가족만이 남아있었다.

19세기 대부분 기간 동안 바릴로체 지역은 부에노스아이레스보다 칠레와 더 강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19세기 말, 국경 분쟁 중에도 칠레 남부 출신 사람들과 칠레 거주 독일 이민자들이 호수 주변에 정착하기 시작했다.[4] 프란시스코 모레노의 탐험과 사막 정복 군사 작전으로 아르헨티나 정부의 정당성이 확립되었고, 1881년 칠레-아르헨티나 국경 조약을 통해 나우엘 우아피 지역은 아르헨티나의 영토로 인정되었다.

1840년대부터 칠레 남부에 독일 정착민들이 도착했다. 이들은 원주민에게서 가죽을 얻는 사업을 시작했고,[9] 1880년대 아르헨티나군이 원주민을 몰아내자 칠레 가죽 상인들은 안데스 산맥을 넘어와야 했다. 이로 인해 독일계 칠레 기업가들이 나우엘 우아피 호수와 라카르 호수 지역에 사업을 시작하게 되었다.[9]

오소르노 출신의 독일계 칠레인 카를로스 비더홀드(Carlos Wiederhold)는 1894-1895년 나우엘 우아피 호수로 건너와 1895년 '라 알레마나'라는 작은 상점을 열었다. 이 상점을 중심으로 바릴로체의 근대 정착촌이 발전했다.[9] 1900년까지 칠레 상인들은 나우엘 우아피 호수 지역의 무역을 지배했다.[9] 1902년 국경 중재는 국제 국경의 신뢰를 높였다.[9]

칠레 기업가들은 무역 외에 축산업도 시작하여 중부 칠레로 고기를 수출하고 칠로에 제도에서 노동력을 수입했다.[9] 아르헨티나 당국은 처음에는 칠레인 이민을 장려했지만, 칠로에 제도 출신 이주민들이 늘어나자 이들을 불신하게 되었다.[9]

1930년대에 도시 중심부는 유럽 중부 알프스 마을처럼 재설계되어 "작은 스위스"라고 불렸다. 1909년에는 전신, 우체국, 도로가 네우켄과 연결되었고, 1934년 철도가 연결되기 전까지 상업은 칠레에 의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후로 많은 독일인이 이민 또는 망명해왔다. 1995년에는 나치 전범 에리히 프리에브케 등이 이곳에 은신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14][15] 2004년에는 아돌프 히틀러 부부가 바릴로체 근처에서 살았다는 주장이 제기되었으나,[14] 대부분의 역사학자들은 이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2. 1. 원주민 정착과 스페인 선교



나우엘 우아피 호수 지역을 방문한 최초의 스페인인은 예수회 성직자였던 디에고 데 로잘레스였다.[5] 그는 칠레 총독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데 아쿠냐 카브레라 이 바요나의 지시를 받았다. 총독은 1649년 루이스 폰세 데 레온이 인디언들을 사로잡아 노예로 팔아넘기는 노예 사냥 원정을 벌인 후 원주민 푸엘체족과 포야족의 불안을 우려했다. 디에고 데 로살레스는 칠레 비야리카의 폐허에서 여정을 시작하여 마무일 말랄 고개를 통해 안데스 산맥을 건너 안데스 산맥 동쪽 계곡을 따라 남쪽으로 이동하여 1650년 나우엘 우아피 호에 도착했다.[5]

1670년, 칠로에 제도에 거점을 둔 예수회 사제 니콜라스 마스카르디는 렐론카비 만과 토도스 로스 산토스 호를 통해 이 지역에 들어가 나우엘 우아피 호에 선교를 설립했는데, 이는 1673년까지 지속되었다.[6] 1703년 나우엘 우아피 호 기슭에 새로운 선교가 설립되었으며, 페루 부왕의 명령에 따라 포토시로부터 재정적 지원을 받았다.[6] 역사가들은 이 선교가 발디비아 관할 구역에 속했는지 아니면 칠로에 지사 관할 구역에 속했는지에 대해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6] 역사적 문서에 따르면, 나우엘후아피의 포야족은 선교를 재건해 줄 것을 요청했는데, 이는 푸엘체족에 대항하여 스페인과 동맹을 맺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6] 칠로에 제도에서 발생한 1712년 우이체 반란 이후 일부 반군은 마누엘 델 오요 신부와 함께 선교에서 피난처를 찾았다.[7]

1717년 포야족이 선교사들과의 불화로 선교를 파괴했다. 선교 책임자가 그들에게 소를 주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이다.[6] 그 직후 당국은 콘셉시온으로 여행하던 4~5명이 포야족에 의해 살해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식민지 주민들은 칼부코와 칠로에에서 징벌 원정을 조직했다.[6] 스페인인과 인디오 레이노스로 구성된 원정대는 포야족을 찾지 못했다.[6]

1766년 로스 라고스 선교 책임자는 나우엘 우아피에 선교를 재건하려 했지만, 이듬해 왕실은 예수회 해산을 명령하여 아메리카 대륙의 식민지에서 그들을 추방했다.[6]

탐험가와 백인 정착민이 도착하기 전에 현재 바릴로체 시가 점유하고 있는 지역인 나우엘 우아피 호수 기슭에 원주민 정착지가 존재했다는 증거가 있다. 신석기 시대 동안, 인간이 나우엘 우아피 지역에 도착했다. 고고학적, 역사적 기록은 이 지역에 테우엘체족과 푸엘체족이 존재했음을 말해준다. 아라우카니제이션 과정과 특히 17세기 이후, 이들 집단의 문화는 칠레에 스페인인들이 정착하면서 그들의 존재감이 증가하고 동쪽으로 계속 밀고 들어오면서 마푸체족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3]

바릴로체(Bariloche)라는 이름은 "산 뒤에 사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마푸둥군 단어 '부릴로체(Vuriloche)'에서 유래되었다.(vuriarn = 뒤, chearn = 사람들). 포야족은 안데스를 건너기 위해 부릴로체 고개를 사용했으며, 오랫동안 스페인 사제들에게 이를 비밀로 했다.

19세기 말, 나우엘 우아피 인근에는 단지 몇몇 흩어진 원주민 가족들만이 있었다. 이나카얄족은 그들의 땅을 빼앗기고, 추부트의 테카로 이송되었는데, 이는 추장이 포로로 잡혔을 때였다. 쿠루힌카는 아르헨티나 정부에 항복했다.

2. 2. 19세기: 칠레와의 관계

바릴로체(Bariloche)라는 이름은 "산 뒤에 사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마푸둥군 단어 '부릴로체(Vuriloche)'에서 유래했다.(vuriarn = 뒤, chearn = 사람들). 포야족은 안데스를 건너기 위해 부릴로체 고개를 사용했으며, 오랫동안 스페인 사제들에게 이를 비밀로 했다.

19세기 말, 나우엘 우아피 인근에는 단지 몇몇 흩어진 원주민 가족들만이 있었다. 이나카얄족은 그들의 땅을 빼앗기고, 추부트의 테카로 이송되었는데, 이는 추장이 포로로 잡혔을 때였다. 쿠루힌카는 아르헨티나 정부에 항복했다.

그러나 이 지역은 역사의 새로운 단계를 시작하고 있었다. 국가 주권에 편입되었지만, 나우엘 우아피 지역은 칠레와 근본적으로 연결되어 발전하기 시작했다. 19세기 말, 국경이 여전히 분쟁 중일 때, 이웃 국가의 남부 지역 출신 사람들이 점차 호수 주변에 정착하기 시작했다. 그들 대부분은 칠로에 섬 출신의 소규모 농부였지만, 칠레에 거주하는 독일 이민자들도 도착했다.[4]

19세기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이 지역은 멀리 떨어진 부에노스아이레스보다 칠레와 더 강한 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프란시스코 모레노의 탐험과 사막 정복에 대한 아르헨티나의 군사 작전으로 아르헨티나 정부의 정당성이 확립되었다. 이 지역은 비에드마 식민지의 자연스러운 확장이며 안데스 산맥은 칠레의 자연스러운 국경이라고 생각했다. 1881년 칠레-아르헨티나 국경 조약에서 나우엘 우아피 지역은 아르헨티나의 일부로 인정되었다.

독일 정착민들이 1840년대부터 인근 남부 칠레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이들 정착민과 그들의 후손 중 일부는 안데스 산맥을 넘어 원주민 공동체로부터 가죽을 얻어 수익성 있는 가죽 산업을 시작했다.[9] 1880년대에 아르헨티나군은 원주민 공동체를 몰아내 이 무역을 방해했고 칠레의 가죽 상인들이 공급품을 얻기 위해 안데스 산맥을 건너도록 강요했다. 이런 방식으로 독일계 배경을 가진 많은 칠레 출신 기업가들이 나우엘 우아피 호수와 라카르 호수 지역에 소와 무역 사업을 설립했다.[9]

2. 3. 근대 정착과 발전 (1895년 ~ 현재)

바릴로체의 근대 정착은 란퀴후에 지역의 칠레 이민자인 카를로스 위에데르홀트가 세운 가게에서 시작되었다. 위에데르홀드는 안데스 산맥을 넘어와 "라 알레마나"라는 가게를 현재의 시 중심 부근에 차렸다. 이 가게를 중심으로 1895년 경에는 오스트리아인, 독일인, 슬로베니아인, 칠레인, 그리고 이탈리아 벨루노 출신 주민들이 사는 작은 정착촌이 형성되었다.

19세기 대부분 동안 이 지역은 부에노스아이레스보다 칠레와 더 강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그러나 프란시스코 모레노의 탐험과 사막 정복에 대한 아르헨티나의 군사 작전으로 아르헨티나 정부의 정당성이 확립되었다. 1881년 칠레-아르헨티나 국경 조약에서 나우엘 우아피 지역은 아르헨티나의 영토로 인정되었다.

1840년대부터 독일 정착민들이 인근 남부 칠레에 도착하기 시작했다. 이들 정착민과 그 후손들은 안데스 산맥을 넘어 원주민 공동체로부터 가죽을 얻어 수익성 있는 가죽 산업을 시작했다.[9] 1880년대에 아르헨티나군은 원주민 공동체를 몰아내 이 무역을 방해했고, 칠레의 가죽 상인들은 안데스 산맥을 넘어 가죽을 구해야 했다.[9] 이런 방식으로 독일계 칠레 출신 기업가들이 나우엘 우아피 호수와 라카르 호수 지역에 소와 무역 사업을 설립했다.[9]

1894-1895년 여름, 카를로스 비더홀드(Carlos Wiederhold)는 오소르노 출신의 독일-칠레인으로서 칠레의 오소르노에서 안데스 산맥의 잘 알려지지 않은 산길을 넘어 나우엘 우아피 호수로 건너갔다. 그는 안내인 안토니오 미야케오와 칠로에 제도 출신의 다니엘 마르케스의 도움을 받아 호수를 항해했다. 칠레로 돌아온 비더홀드는 푸에르토 몬트에서 물품을 구입해 안데스 산맥을 넘어 나우엘 우아피 지역에서 판매했다. 비더홀드는 1895년에 '라 알레마나'(La Alemana)라는 작은 상점을 열었고, 이 상점에서 바릴로체의 현대 정착지가 발전했다.

1900년까지 칠레 상인들은 인근 산길을 장악하여 나우엘 우아피 호수 지역의 무역을 지배했다. 1900년대 칠레와 아르헨티나 간의 전쟁 위협은 1902년 국경 중재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던 초기 기업가들에게 어려움을 안겨주었지만, 이는 국제 국경의 신뢰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칠레 기업가들은 무역 외에도 나우엘 우아피 호수 주변에서 축산업을 시작했다. 이들은 중부 칠레로 고기를 수출하고, 사업 운영을 위해 주로 칠로에 제도에서 남부 칠레의 노동력을 수입했다. 아르헨티나 당국은 처음에는 칠레인들의 이민을 장려하며 칠레 국적을 포기하고 아르헨티나인이 될 경우 토지를 제공했다. 칠레 당국은 아르헨티나에서 돌아온 사람들에게 토지를 제공하는 것으로 대응했다.

1930년대에 도시 중심부는 유럽 중부 알프스 마을처럼 보이도록 재설계되었다. 많은 건물들이 나무와 돌로 만들어져 "작은 스위스"라고 불렸다. 1909년에는 1,250명의 주민이 있었고, 전신, 우체국, 도로가 도시를 네우켄과 연결했다. 상업은 1934년 부에노스 아이레스 그레이트 서던 철도가 도착하여 도시를 아르헨티나 시장과 연결하기 전까지 칠레에 의존했다.

제2차 세계 대전 전부터 많은 독일인이 이민해 왔으며, 독일 패전 후에도 많은 전 독일 국방군이나 나치당의 전범 용의자를 중심으로 한 독일인이 망명하거나 이민했다.

2. 4. 나치 전범들의 도피처

1995년, 바릴로체는 전 나치 친위대 ''하우프트스름퓌러'' 에리히 프리에브케와 아르헨티나에서 후안 말러로 알려진 SS 장교 라인하르트 콥스와 같은 나치 전범들의 은신처로 알려지면서 국제 언론의 헤드라인을 장식했다.[14][15] 프리에브케는 수년간 바릴로체 독일 학교의 교장이었다.

2004년 아르헨티나 작가 아벨 바스티는 저서 ''바릴로체 나치-관광 가이드(Bariloche nazi-guía turística)''에서 아돌프 히틀러에바 브라운이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수년간 바릴로체 근처에서 살았다고 주장했다. 바스티는 아르헨티나 나치들이 히틀러의 은신처로 ''이날코'' 저택을 선택했다고 말했다.[14]

영국 작가 사이먼 던스턴과 제라드 윌리엄스는 2011년 저서 ''회색 늑대: 아돌프 히틀러의 탈출(Grey Wolf: The Escape of Adolf Hitler)''에서 히틀러와 에바 브라운이 1945년 베를린에서 탈출하여 덴마크로 날아간 다음 스페인으로, 거기에서 U-보트를 타고 대서양을 건너 아르헨티나로 갔다고 주장했다. 아르헨티나에서는 수천 명의 나치들이 후안 페론 대통령의 보호를 받았는데, 그는 아내 에바 페론과 함께 오랫동안 나치로부터 돈을 받아왔다. FBI가 접수한 주장에 따르면, 히틀러는 아르헨티나에 도착하여 먼저 바릴로체에서 동쪽으로 약 9.66km 떨어진 곳에 있는 슈테판 폰 샤움부르크-리페 소유의 시골 재산인 하산다 산 라몬에서 머물렀는데, 그는 베른하르트 공의 친척이었다.[16] 그 후 이날코의 바이에른 스타일 저택으로 이사했는데, 이곳은 칠레 국경 근처의 나우엘 우아피 호수 북서쪽 끝에 있는 외지고 접근하기 어려운 곳이었다. 에바 브라운은 1954년경 히틀러를 떠나 딸 우르술라('우시')와 함께 네우켄으로 이사했다고 한다. 아돌프 히틀러는 1962년 2월 73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에바 브라운은 2000년대에도 살아있었다고 한다.[17]

이러한 설명들은 히틀러와 브라운이 제2차 세계 대전 말 총통 벙커에서 자살했다고 믿는 대부분의 역사가들에 의해 논쟁을 받고 있다.

3. 지리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1,720km 떨어져 있으며, 표고 770m에 위치한다. 도시 정면에는 나우엘우아피 호수가 있고, 주변에는 2,000∼3,000m 높이의 산들이 솟아 있다. 19세기 후반 스위스 이민자들의 영향과 자연환경으로 인해 '남미의 스위스'라고 불린다. 아름다운 자연환경 덕분에 아르헨티나 최대의 리조트 지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름에는 피서, 겨울에는 스키를 즐기려는 관광객들로 붐빈다. 나우엘우아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바릴로체의 중심부는 모래 언덕 지형 위에 건설되었으며, 호수 옆에는 충적 평야와 테라스가 있다.[30] 도시의 지반은 마지막 빙하기 동안 퇴적된 빙퇴석으로 이루어져 있다.[30]

3. 1. 기후

바릴로체는 지중해성 기후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여름보다는 겨울에 비가 더 많이 내린다. 쾨펜의 기후 구분에 따르면 지중해성 기후(Csb)와 해양성 기후(Cfb) 사이의 전환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뚜렷한 고산 특징(야간 저온, 넓은 온도 변화, 높은 온도 진폭)을 보인다.[20] 고도, 위도, 서-북서풍의 우세함이 결합되어 기후를 건기가 있는 시원한 온대 기후로 분류하며, 서쪽에서 동쪽으로 강수량 구배를 나타낸다.[20]

연평균 강수량은 안데스 산맥 봉우리와 푸에르토 블레스트 지역에서 4000mm에서 리마이 강 지역의 600mm까지 다양하다.[20] 도시 지역의 연평균 강수량은 800mm에서 1000mm 사이이다.[20] 이 중 대부분은 가을과 겨울에 집중되어 있으며, 연간 강수량의 70%를 차지한다.[20]

바릴로체의 연평균 기온은 시내 중심가에서 8.4°C(1901–1950)이다.[20] 동쪽 끝의 공항에서는 연평균 기온이 8.3°C(1981–2010년)이다.[20][1] 1월의 낮 기온은 일반적으로 20°C에서 28°C이며, 때로는 30°C까지 올라갈 수 있다.[20] 1월의 평균 최저 기온은 시내 중심가에서 8.2°C, 공항에서 6.6°C이지만, 따뜻한 날씨에는 야간 기온이 15°C까지 올라갈 수 있다.[20][1] 겨울철에는 낮 기온이 1°C에서 8°C인 반면, 야간 기온은 영하에 가깝거나 그 이하로 떨어진다.[20] 기온은 고도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고도가 1000m 증가할 때마다 기온이 6°C 감소한다.[20]

날씨는 연중 바람이 많이 부는 것으로 특징지어지며, 85%의 날이 바람이 많이 불고, 잔잔한 날은 드물다.[20] 대부분의 바람은 서-북서쪽에서 불어오며, 동풍은 드물다.[20] 일반적으로 바람은 강하며, 특히 봄철에는 돌풍이 100km/h를 초과할 수 있다.[20]

시내 중심가에서 연평균 강수량은 1092mm이며, 강수일은 122일이다.[20] 공항이 위치한 동쪽 끝에서는 강수량이 적어 평균 791mm이다.[20]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아 강설이 발생할 수 있으며, 낮은 증발산이 이를 촉진한다.[20] 봄철에는 눈이 녹고 기온이 낮아 습한 환경이 조성되어 울창한 숲과 농업 활동을 촉진한다.[20]

호수의 수온은 항상 낮으며, 12°C에서 15°C 사이이다.[20] 이는 호수가 크고, 큰 열용량으로 인해 태양의 영향을 받기 어렵기 때문이다.[20] 더 작은 호수는 겨울철에 얼 수 있으며, 특히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한 호수에서 그러하다.[2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연간
평균 최고 기온 (°C)21.52219.014.610.16.76.47.910.714.017.319.714.3
평균 최저 기온 (°C)6.45.74.01.80.6-1.0-1.4-0.9-0.51.13.55.42
평균 기온 (°C)13.913.811.58.25.32.72.53.55.17.511.312.58.1
평균 강수량 (mm)22.221.729.253.5134.0140.7128.7115.657.838.824.832.0779

[37]

바릴로체의 주변 풍경인 나우엘 우아피 국립공원의 모습


여름철 호숫가에서 바라본 도시의 모습


세로 오토 정상에서 촬영한 나우엘 우아피 호수의 여름 모습


7월의 세로 카테드랄 스키 리조트

3. 2. 식생

바릴로체는 파타고니아 스텝과 발디비아 숲 사이의 전이 지역에 위치해 있어 다양한 종류의 토종 식물이 풍부하다.[31]

산의 숲의 일부


다음은 그 목록이다.[31]

학명일반명
피츠로이아 (Fitzroya cupressoides)알레르세
드라이미스 윈테리 (Drimys winteri)카넬로
로마티아 히르수타 (Lomatia hirsuta)라달
노토파구스 네르보사 (Nothofagus nervosa)라울리
노토파구스 돔베이 (Nothofagus dombeyi)코이유
노토파구스 베툴로이데스 (Nothofagus betuloides)마젤란 코이유
노토파구스 안타르티카 (Nothofagus antarctica)니레
노토파구스 푸밀리오 (Nothofagus pumilio)렌가
노토파구스 오블리쿠아 (Nothofagus obliqua)로블레 펠린
추스케아 쿨레우 (Chusquea culeou)카냐 콜리우에
마이테누스 보아리아 (Maytenus boaria)마이텐
아우스트로세드루스 칠렌시스 (Austrocedrus chilensis)시프레스
루마 아피쿨라타 (Luma apiculata)아라얀
엠보트리움 코키네움 (Embothrium coccineum)노트로
아라우카리아 아라우카나 (Araucaria araucana)아라우카리아
게부이나 아벨라나 (Gevuina avellana)아벨라노
알스트로에메리아 아우레아 (Alstroemeria aurea)아마카이
푸크시아 마젤라니카 (Fuchsia magellanica)칠코


4. 교통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이하 바릴로체)는 항공, 육상, 철도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 국제공항은 바릴로체의 주요 관문이며, 주변 국가에서도 스키 시즌을 맞아 많은 관광객이 이용한다.

바릴로체는 칠레 국경과 가까워 안데스 산맥을 넘는 카르데날 안토니오 사모레 고개를 통해 칠레와 연결되는 등 국제 교통도 편리하다.

4. 1. 항공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 국제공항(IATA BRC/ICAO SAZS)은 도시의 항공 운송을 담당하며, 모든 종류의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아르헨티나의 여러 주요 항공사가 바릴로체로 정기 항공편을 운행하며, 특히 스키 시즌에는 인접 국가에서 오는 일부 국제선도 운항한다. 부에노스아이레스와 연결되는 항공편이 있다.[2]

4. 2. 육상

바릴로체는 버스 및 자가용으로도 접근할 수 있다. 북쪽에서 오는 주요 육상 노선은 빌라 라 안고스투라, 산 마르틴 데 로스 안데스, 멘도사주에서 오는 국도 40호선과 네우켄주에서 들어와 부에노스아이레스 및 아르헨티나 동부/중부와 아르헨티나 노선 시스템을 통해 연결되는 국도 237호선이다. 다른 옵션으로는 동쪽에서 비에드마 (''Línea Sur'')까지 철도를 가로지르는 국도 23호선(부분 포장), 또는 남쪽에서 엘 볼손에서 오는 국도 40호선(2003년까지 이 도로는 국도 258호선으로 지정)이 있다.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는 칠레 국경 근처에 있으며, 안데스 산맥을 가로지르는 카르데날 안토니오 사모레 고개 (바릴로체에서 북서쪽으로 125km, 빌라 라 안고스투라 근처)를 통해 칠레와 연결되어 있다.

육로로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등으로 향하는 장거리 버스가 다수 운행되며, 칠레의 푸에르토몬트를 오가는 국제 장거리 버스도 있다.

4. 3. 철도

비에드마와 파타고니아 열차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 열차는 안데스 산맥에서 대서양까지 아르헨티나를 가로지른다. 로카 장군 철도의 종착역 중 하나가 시내에 있으며, 비에드마 간에는 리오네그로 주가 운영하는 SEFEPA사가 여객 열차 및 관광 열차 "Tren Patagonico"를 운행하고 있어, 연선 주민은 물론 관광객들에게도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1][2] 겨울철에는 도로가 적설로 통행 금지되는 날이 있으며, 이럴 때는 바릴로체로 연결되는 유일한 생명선인 열차의 수요가 더욱 증가한다.[2]

4. 4. 시내 교통

산카를로스데바릴로체 시내에서는 Mibus가 유일한 대중교통 버스 회사로 운영되며, 이 버스 노선은 SUBE 카드로 운행된다. 바릴로체와 디나 우아피를 연결하는 라스 그루타스(Las Grutas) 회사도 시내 일부를 경유하며, 이 노선은 자체 카드로 운영된다.

5. 관광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1720km 떨어져 있으며, 표고는 770m이다. 도시 정면에는 나우엘우아피 호수가 있고, 2000m∼3000m에 달하는 산들이 솟아 있다. 19세기 후반에 스위스인들이 많이 이주해 왔고 자연환경도 비슷하여 '남미의 스위스'라고 불린다. 아름답고 안락한 자연환경으로 아르헨티나 최대의 리조트 지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여름철에는 피서, 겨울에는 스키를 즐기려는 관광객들로 항상 붐빈다. 바릴로체의 웅장한 자연은 아르헨티나 최대의 나우엘우아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국내외 관광은 연중 바릴로체 경제의 주요 산업이다. 주 스키장은 세로 카테드랄에 있다. 여름에는 플라야 보니타와 비야 타쿨과 같은 아름다운 해변이 피서객을 반기며, 일부는 눈 녹은 차가운 호수 물에서 수영을 즐기기도 한다. 나우엘우아피 호수는 여름에 평균 14°C 정도의 수온을 유지한다. 낚시 시즌은 바릴로체의 또 다른 성수기 중 하나이다. 바릴로체는 큰 호수 지역을 가진 가장 큰 도시로, 이 지역의 휴양지 역할을 한다. 클럽 안디노 바릴로체에서 운영하는 몇몇 고산 오두막을 제외하면 완벽한 야생과 무인 지역으로, 산악 트레킹이 특히 인기 있는 체험 활동이다. 이 도시는 초콜릿이 특산품으로 유명하다.

카스타뇨 오베로 빙하가 세로 트로나도르의 절벽 위로 물과 얼음을 쏟아내고 있다.


1935년부터 1940년까지 아르헨티나 국립공원 관리국은 도시의 독특한 건축 양식을 부여하는 여러 도시 공공 사업을 수행했다.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것은 시민 센터일 것이다.

바릴로체는 칠레와의 무역에 의존하는 가축 거래 중심지에서 아르헨티나 엘리트들을 위한 관광 중심지로 성장했다. 이 도시는 국제적인 건축 및 도시적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도시의 관광 산업 성장은 1930년대에 시작되었는데, 1934년 1,550명의 관광객이던 지역 호텔 점유율이 1940년에는 4,000명으로 증가했다.[10] 1934년 당시 국립공원 관리국장이었던 에제키엘 부스틸로는 그의 형제인 알레한드로 부스틸로에게 이과수 국립공원과 나우엘 우아피 국립공원 (바릴로체는 공원 내 주요 정착지였다)에 여러 건물을 짓도록 계약했다. 아열대 이과수 국립공원과는 대조적으로, 계획가와 개발자들은 온화한 기후를 가진 나우엘 우아피 국립공원이 유럽의 관광 산업과 경쟁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바릴로체와 함께, 국립 관광 개발 계획에 따라 우선 순위 프로젝트로 지정되었다.[10]

세로 카테드랄의 케이블카


알레한드로 부스틸로는 에디피시오 모빌리다드, 페리토 모레노 광장, 고딕 리바이벌 건축 양식의 산 카를로스 데 바릴로체 대성당, 그리고 야오 야오 호텔을 설계했다. 건축가 에르네스토 데 에스트라다는 1940년에 개장한 바릴로체의 시민 센터를 설계했다. 시민 센터의 응회암, 슬레이트 및 ''피츠로이아'' 구조에는 도밍고 사르미엔토 도서관, 파타고니아 프란시스코 모레노 박물관, 시청, 우체국, 경찰서 및 세관이 포함되어 있다.

미국 대통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는 1960년 아르투로 프론디지 대통령의 초청으로 바릴로체를 방문했다. 클래식 바이올리니스트 알베르토 리시는 1967년에 현악 4중주단 카메라타 바릴로체를 창단했다.

관광은 국내 및 국제적으로 일년 내내 바릴로체의 주요 경제 활동이다. 이 도시는 브라질, 유럽, 이스라엘 관광객들에게 매우 인기가 높다. 가장 인기 있는 활동 중 하나는 스키이며, 대부분의 관광객은 겨울(6월~9월)에 바릴로체를 방문한다. LAN 항공 및 아르헨티나 항공을 통해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정기 항공편이 연중 운행된다. 주요 스키 슬로프는 남아메리카와 남반구에서 가장 큰 스키 리조트인 세로 카테드랄에 있다. 여름에는 플라야 보니타와 빌라 타쿨과 같은 아름다운 해변이 일광욕객을 맞이하며, 용감한 호수 수영객들은 차가운 물(녹는 눈에 의해 차갑게 됨)로 모험을 떠난다. 나우엘 우아피 호수는 여름철 평균 14°C를 유지한다. 바릴로체는 거대한 호수 지역에서 가장 큰 도시이며, 이 지역의 많은 여행의 기지로 사용된다. 낚시, 급류 래프팅, 조류 관찰과 같은 활동은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있다. 인근 산악 황야의 산길을 따라 트레킹하는 것은 클럽 안디노 바릴로체가 운영하는 몇 개의 고산 산장에서 지원된다. 이 도시는 초콜릿과 스위스 스타일의 건축물로 유명하다. 아르헨티나의 많은 고등학생들이 바릴로체로 졸업 여행을 가며, 이 도시는 이러한 종류의 그룹을 수용할 준비가 잘 되어 있다.[18] 2012년 11월, 바릴로체는 아르헨티나 국회에서 승인한 법률 26802에 따라 "모험 관광의 국가 수도"로 지정되었다.[19]

주요 산업은 인근에 위치한 나우엘 우아피 국립공원과 관련된 관광업으로, 인구 약 12만 명의 도시에 연간 약 80만 명이 방문한다.

6. 과학

바릴로체 원자력 센터의 RA-6 훈련 및 연구용 원자로 코어


바릴로체는 관광 및 관련 서비스 외에도 첨단 과학 및 기술 활동의 중심지이다. 국가 원자력 위원회의 연구 센터인 바릴로체 원자력 센터(Centro Atómico Bariloche)에서는 물리 과학의 여러 분야에서 기초 및 응용 연구가 수행된다. 이 단지에는 쿠요 국립 대학교의 고등 교육 기관인 발세이로 연구소(Instituto Balseiro)도 있는데, 소수의 엄선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한다. 이 연구소는 물리학, 핵공학, 기계공학, 통신공학 학위와 물리학 및 공학 석사 및 박사 학위를 수여한다. 또한, 바릴로체에는 핵 반응로, 최첨단 레이더 및 우주 위성을 설계 및 제작하는 첨단 기술 회사인 인바프(INVAP)가 있다.

민간 비영리 단체인 바릴로체 재단은 1963년부터 대학원 교육 및 연구를 장려하며 도시의 과학 연구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코마우 국립 대학교에도 여러 학과 및 연구소가 있다.

7. 스포츠

안데스 바릴로체 클럽(Club Andino Bariloche-CABes)은 제1회와 제3회 남아메리카 스키 산악 선수권 대회의 공동 주최자였다.[1]

크루스 델 수르 스포츠 클럽은 아르헨티나 축구 리그 시스템의 4부 리그인 토르네오 페데랄 B에 참가한다.[1] ''에스투디안테스 우니도스''와 ''에스트레야 델 수르'' 팀 또한 하위 아르헨티나 리그에 참가했다.[1]

8. 자매 도시

바릴로체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33]



템플릿은 유지하고, flagicon 템플릿은 제거했습니다. 또한, 국가명을 ISO 639-1 코드로 변경하여 표를 간소화했습니다. 중복되는 도시들은 제거하였습니다.

참조

[1] 웹사이트 Datos provisorios del censo: Bariloche tiene 108.205 habitantes | ANB :: Agencia de Noticias Bariloche - Diario online con noticias e información de Bariloche https://www.anbarilo[...]
[2] 웹사이트 San Carlos de Bariloche · Población http://poblacion.pop[...]
[3] 웹사이트 La Nacion Mapuche http://www.bariloche[...] 2022-01-11
[4] 웹사이트 El Destino Del Desierto http://bariloche.com[...] 2022-01-11
[5] 서적 Historia de la Compañía de Jesús en Chile
[6] 간행물 The frustrated strategic mission of Nahuelhuapi, a point in Patagonia's immensity http://www.scielo.cl[...] 2013-04-26
[7] 간행물 La rebelión indígena de 1712: los tributarios de Chiloé contra la encomienda http://www.memoriach[...] El Departamento
[8] 간행물 Carlos Weiderhold y la "fundación" de Bariloche
[9] 간행물 Relaciones de dependencia entre trabajadores y empresas chilenas situadas en el extranjero. San Carlos de Bariloche, Argentina (1895-1920) http://aprendeenline[...] 2019-01-03
[10] 문서 Tourism Policy in 20th-century Argentina http://nulan.mdp.edu[...]
[11] 서적 The Last Days of Hitler: The Legends, The Evidence, The Truth Brockhampton Press
[12] 뉴스 Is Hitler Dead or Alive? https://www.national[...] 2022-03-20
[13] 웹사이트 Dividing the Spoils https://www.smithson[...] 2018-09-14
[14] 웹사이트 Un libro asegura que Hitler se refugió en la Patagonia http://www.absurddia[...] 2011-11-05
[15] 웹사이트 Argentina - Bariloche Was Hitler and Eva Braun's Final Refuge http://www.rense.com[...]
[16] 웹사이트 FBI – Adolf Hitler Part 01 of 04 – File No 105-410 http://vault.fbi.gov[...] vault.fbi.gov 2014-09-03
[17] 서적 Grey Wolf: The Escape of Adolf Hitler Sterling Publishing
[18] 서적 Argentina Travel Guide Lonely Planet Publishing
[19] 웹사이트 Bariloche Travel Guide: Most Important Information https://sayhueque.co[...] 2021-12-21
[20] 웹사이트 Clima de Bariloche y Río Manso Inferior http://sipan.inta.go[...] Instituto Nacional de Tecnología Agropecuaria 2018-10-10
[21] 웹사이트 Estadísticas Climatológicas Normales - período 1991-2020 https://ssl.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5-01
[22] 웹사이트 Estadísticas Climatológicas Normales – período 1991–2020 http://repositorio.s[...]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7-08
[23] 웹사이트 Clima en la Argentina: Guia Climática por Variloche Aero https://www.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5-01
[24] 웹사이트 INFORME ESPECIAL POR FRÍO EXTREMO Y NEVADAS: Período del 14 al 20 de julio de 2017 http://www3.smn.gob.[...] Servicio Meteorólogico Nacional 2017-07-20
[25] 웹사이트 Fin de febrero: lo destacado del mes https://www.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19-03-03
[26] 웹사이트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Climate Normals for 1981–2010 https://www.ncei.noa[...]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1-10-05
[27] 웹사이트 Bariloche Aero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6-26
[28] 웹사이트 Caracterizacíon Termopluviométrica de Algunas Estaciones Meteorológicas de Rio Negro Y Neuquén http://anterior.inta[...] Instituto Nacional de Tecnología Agropecuaria 2014-06-26
[29] 웹사이트 Provincia de Rio Negro − Clima Y Meteorologia: Datos Meteorologicos Y Pluviometicos http://www.mineria.g[...] Secretaria de Mineria de la Nacion (Argentina) 2013-04-07
[30] 서적 Moraines and Varves
[31] 웹사이트 Parque Nacional Nahuel Huapi - Perfil de Parque - Referencias https://www.parkswat[...] 2020-05-26
[32] 문서 http://www.ejercito.mil.ar/sitio/_noticias/noticia_full.asp?Id=814 http://www.ejercito.[...]
[33] 웹사이트 Sister Cities Bariloche https://ciudadesherm[...] Comité de Ciudades Hermanas Bariloche 2022-04-09
[34] 웹사이트 Purranque y Bariloche se unieron en acuerdo de hermanamiento para fomentar el turismo https://www.soychile[...] Soy Chile 2021-12-21
[35] 문서 라テン・アメリカを知る事典
[36] 웹사이트 アルゼンチンの地理 https://www.ar.emb-j[...]
[37] 웹사이트 Climate figures http://www.worldweat[...] 2007-09-04
[38] 웹인용 Caracterizacíon Termopluviométrica de Algunas Estaciones Meteorológicas de Rio Negro Y Neuquén http://anterior.inta[...] Instituto Nacional de Tecnología Agropecuaria 2014-06-26
[39] 웹인용 Provincia de Rio Negro − Clima Y Meteorologia: Datos Meteorologicos Y Pluviometicos http://www.mineria.g[...] Secretaria de Mineria de la Nacion (Argentina) 2013-04-07
[40] 웹인용 Estadísticas Climatológicas Normales - período 1981-2010 https://ssl.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18-01-18
[41] 웹인용 INFORME ESPECIAL POR FRÍO EXTREMO Y NEVADAS: Período del 14 al 20 de julio de 2017 http://www3.smn.gob.[...] Servicio Meteorólogico Nacional 2017-07-20
[42] 웹인용 Bariloche Aero Climate Normals 1961–1990 ftp://ftp.atdd.noaa.[...]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4-06-26
[43] 웹인용 Bariloche, Rio Negro http://www.ora.gov.a[...] Oficina de Riesgo Agropecuario 2015-06-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