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산 조반니 세례당 (피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 조반니 세례당 (피사)은 이탈리아 피사에 있는 세례당으로, 높이 54.86m, 지름 34.13m에 달하는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세례당이다. 로마네스크 양식에서 고딕 양식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건축물로, 2색 카라라 대리석으로 지어졌다. 1200년경에 지어진 동쪽 포털은 비잔틴 양식의 부조로 장식되어 있으며, 내부에는 팔각형 세례반과 니콜라 피사노가 조각한 설교단이 있다. 대성당과 마찬가지로 기울어져 있으며, 내부의 돔은 음향적으로 완벽하여 공명실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례당 - 산 조반니 세례당 (피렌체)
    산 조반니 세례당은 11~12세기에 로마네스크 양식으로 지어진 피렌체의 팔각형 건물로, 수호성인 세례자 요한에게 봉헌되었으며, 특히 "천국의 문"으로 알려진 청동문과 비잔틴 양식의 모자이크 천장이 유명하다.
  • 피사의 교회당 - 피사 대성당
    피사 대성당은 1063년 부셰토가 건설을 시작하여 다양한 건축 양식이 혼합된 로마네스크 양식의 대주교좌 성당으로, 아름다운 외관과 화려한 내부 장식, 조반니 피사노의 설교단 등으로 유명하며 피사의 사탑과 함께 피사의 경이로운 광장을 구성하는 중요한 건축 유산이다.
산 조반니 세례당 (피사)
개요
피사 대성당 및 피사의 사탑이 있는 세례당
피사 대성당피사의 사탑이 있는 세례당
위치이탈리아 피사 두오모 광장 23
종교로마 가톨릭교회
스타일해당 없음
완공 년도1363년
명칭
이탈리아어 명칭Battistero di San Giovanni
한국어 명칭산 조반니 세례당
건축
건축가정보 없음
기타
좌표43°43′24″N 10°23′38″E

2. 역사

2. 1. 건립 배경

2. 2. 건축 양식의 변화

2. 3. 완공과 이후

3. 건축

피사 세례당 2002


피사 세례당은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세례당으로, 높이는 54.86m, 지름은 34.13m이다.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에서 고딕 건축 양식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하부 부분은 둥근 아치 형태의 로마네스크 양식이며, 상부 부분은 뾰족한 심벽과 풍부한 조형 프로그램이 있는 고딕 양식이다. 대성당종탑과 마찬가지로 세례당은 2색 카라라 대리석으로 지어졌으며, 흰색 바탕에 푸르스름한 회색 돌로 가로 줄무늬가 반복적으로 사용되었고, 추상적인 꽃무늬와 그래픽 장식에도 사용되었다. 이는 토스카나의 가장 중요한 종교 건축물들의 특징이다. (인접한 피렌체와 피스토이아에서는 프라토에서 채석된 어두운 ''녹색 대리석''이 사용되었다.)

1200년경에 지어진 동쪽 포털대성당의 정면을 마주보고 있다. 문은 고전적인 모델을 직접 복사한 잎 장식의 두 개의 기둥으로 양쪽을 감싸고 있다.[2] 포털 프레임에 연결된 두 개의 작은 3/4 기둥은 더 단순하고 덜 깊은 꽃 장식으로 장식되어 있다. 각 기둥 쌍 사이의 내부 문설주는 비잔틴 양식으로 제작된 11개의 조형 부조로 각각 장식되어 있다. 왼쪽에는 1월을 시작으로 달을 묘사한 그림이 있으며 (9월과 10월은 하나의 패널로 결합), 오른쪽 상단에는 그리스도의 승천이 있고, 천사, 손을 든 마리아, 짝을 이루어 올려다보는 사도들이 있으며, 두 번째 아래에는 지옥 하강이 묘사되어 있다. 가장 낮은 부조는 다윗 왕을 보여준다. 세 부분으로 나뉜 형태는 24명의 장로가 메달에 있고 어린 양이 핵심 돌인 세 개의 뒤로 물러나는 아치볼트로 아치에 전달된다.

아치트레이브는 두 개의 층으로 나뉜다. 위쪽 층은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마리아와 성 요한 사이에 그리스도가 있고, 천사와 복음사가가 옆에 있다. 아래층은 세례당의 자연적 수호성인인 세례자 성 요한의 생애의 여러 에피소드를 묘사한다. 그의 설교, 그리스도의 세례, 헤롯을 위한 그의 투옥, 살로메가 헤롯 앞에서 춤을 추는 장면, 그의 참수와 매장. 아치트레이브는 포일 기둥과 문설주의 부조를 만든 동일한 예술가들의 작품일 것이다.

북쪽 포털만이 아치트레이브에 조형 장식이 있으며, 성 요한의 부모인 즈가리아와 성 엘리자베스에게 전해진 수태고지를 묘사하고 있으며, 두 명의 예언자와 칼을 든 갑옷을 입은 두 명의 천사가 옆에 있다.

세례당 내부


내부는 압도적이며 장식이 부족하다. 중앙에 있는 팔각형 세례반은 1246년에 제작되었으며, 구이도 비가렐리 다 코모가 만들었다. 세례반 중앙에 있는 세례자 요한의 청동 조각상은 이탈로 그리셀리의 작품이다.

유명한 설교단은 1255년에서 1260년 사이에 니콜라 피사노가 조각했는데, 그는 조반니의 아버지로, 조반니는 두오모의 설교단을 제작한 예술가이다. 설교단의 장면, 특히 누드 헤라클레스의 고전적인 형태는 니콜라 피사노가 고대 표현을 부활시키면서 이탈리아 르네상스 조각의 가장 중요한 선구자임을 보여준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대한 연구는 종종 니콜라 피사노가 이 설교단의 제작 연도로 표기한 1260년부터 시작한다.

대성당과 같은 불안정한 모래 위에 건설된 세례당은 대성당을 향해 0.6도 기울어져 있다. 원래 디오티살비의 설계에 따르면 세례당의 모양은 달랐을 것이다. 아마도 피사의 성묘 교회와 유사하게 피라미드형 지붕이었을 것이다. 건축가의 사망 후 니콜라 피사노가 작업을 이어받아 더욱 현대적인 고딕 양식으로 스타일을 변경했다. 또한 외부 지붕을 추가하여 돔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두 지붕, 즉 피라미드형 내부 지붕과 돔형 외부 지붕의 부수적인 효과로 인해 내부는 음향적으로 완벽하여[3] 해당 공간을 공명실로 만들었다.

돔 외부의 동쪽 면(대성당을 마주보는 면)은 납판으로 덮여 있고 서쪽 면(바다를 마주보는 면)은 붉은색 타일로 덮여 있어 남쪽에서 보면 반은 회색이고 반은 붉은색으로 보인다.[4]

현재 해독되지 않은 비문이 세례당 문설주의 왼쪽에 위치해 있다.[5] [6]

세례당 세례반


3. 1. 외관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세례당으로, 높이는 54.86m, 지름은 34.13m이다. 피사 세례당은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에서 고딕 건축 양식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하부 부분은 둥근 아치 형태의 로마네스크 양식이며, 상부 부분은 뾰족한 심벽과 풍부한 조형 프로그램이 있는 고딕 양식이다. 대성당종탑과 마찬가지로 세례당은 2색 카라라 대리석으로 지어졌으며, 흰색 바탕에 푸르스름한 회색 돌로 가로 줄무늬가 반복적으로 사용되었고, 추상적인 꽃무늬와 그래픽 장식에도 사용되었다. 이는 토스카나의 가장 중요한 종교 건축물들의 특징이다. (인접한 피렌체와 피스토이아에서는 프라토에서 채석된 어두운 ''녹색 대리석''이 사용되었다.)

1200년경에 지어진 동쪽 포털대성당의 정면을 마주보고 있다. 문은 고전적인 모델을 직접 복사한 잎 장식의 두 개의 기둥으로 양쪽을 감싸고 있다.[2] 포털 프레임에 연결된 두 개의 작은 3/4 기둥은 더 단순하고 덜 깊은 꽃 장식으로 장식되어 있다. 각 기둥 쌍 사이의 내부 문설주는 비잔틴 양식으로 제작된 11개의 조형 부조로 각각 장식되어 있다. 왼쪽에는 1월을 시작으로 달을 묘사한 그림이 있으며 (9월과 10월은 하나의 패널로 결합), 오른쪽 상단에는 그리스도의 승천이 있고, 천사, 손을 든 마리아, 짝을 이루어 올려다보는 사도들이 있으며, 두 번째 아래에는 지옥 하강이 묘사되어 있다. 가장 낮은 부조는 다윗 왕을 보여준다. 세 부분으로 나뉜 형태는 24명의 장로가 메달에 있고 어린 양이 핵심 돌인 세 개의 뒤로 물러나는 아치볼트로 아치에 전달된다.

아치트레이브는 두 개의 층으로 나뉜다. 위쪽 층은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마리아와 성 요한 사이에 그리스도가 있고, 천사와 복음사가가 옆에 있다. 아래층은 세례당의 자연적 수호성인인 세례자 성 요한의 생애의 여러 에피소드를 묘사한다. 그의 설교, 그리스도의 세례, 헤롯을 위한 그의 투옥, 살로메가 헤롯 앞에서 춤을 추는 장면, 그의 참수와 매장. 아치트레이브는 포일 기둥과 문설주의 부조를 만든 동일한 예술가들의 작품일 것이다.

북쪽 포털만이 아치트레이브에 조형 장식이 있으며, 성 요한의 부모인 즈가리아와 성 엘리자베스에게 전해진 수태고지를 묘사하고 있으며, 두 명의 예언자와 칼을 든 갑옷을 입은 두 명의 천사가 옆에 있다.

3. 1. 1. 정문

1200년경에 지어진 동쪽 포털대성당의 정면을 마주보고 있다. 문은 고전적인 모델을 직접 복사한 잎 장식의 두 개의 기둥으로 양쪽을 감싸고 있다.[2] 포털 프레임에 연결된 두 개의 작은 3/4 기둥은 더 단순하고 덜 깊은 꽃 장식으로 장식되어 있다. 각 기둥 쌍 사이의 내부 문설주는 비잔틴 양식으로 제작된 11개의 조형 부조로 각각 장식되어 있다. 왼쪽에는 1월을 시작으로 달을 묘사한 그림이 있으며 (9월과 10월은 하나의 패널로 결합), 오른쪽 상단에는 그리스도의 승천이 있고, 천사, 손을 든 마리아, 짝을 이루어 올려다보는 사도들이 있으며, 두 번째 아래에는 지옥 하강이 묘사되어 있다. 가장 낮은 부조는 다윗 왕을 보여준다. 세 부분으로 나뉜 형태는 24명의 장로가 메달에 있고 어린 양이 핵심 돌인 세 개의 뒤로 물러나는 아치볼트로 아치에 전달된다.

아치트레이브는 두 개의 층으로 나뉜다. 위쪽 층은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마리아와 성 요한 사이에 그리스도가 있고, 천사와 복음사가가 옆에 있다. 아래층은 세례당의 자연적 수호성인인 세례자 성 요한의 생애의 여러 에피소드를 묘사한다. 그의 설교, 그리스도의 세례, 헤롯을 위한 그의 투옥, 살로메가 헤롯 앞에서 춤을 추는 장면, 그의 참수와 매장. 아치트레이브는 포일 기둥과 문설주의 부조를 만든 동일한 예술가들의 작품일 것이다.

북쪽 포털만이 아치트레이브에 조형 장식이 있으며, 성 요한의 부모인 즈가리아와 성 엘리자베스에게 전해진 수태고지를 묘사하고 있으며, 두 명의 예언자와 칼을 든 갑옷을 입은 두 명의 천사가 옆에 있다.

3. 1. 2. 북문

북쪽 포털에는 조형 장식이 있는 아치트레이브가 있는데, 성 요한의 부모인 즈가리아와 성 엘리자베스에게 전해진 수태고지를 묘사하고 있으며, 두 명의 예언자와 칼을 든 갑옷을 입은 두 명의 천사가 옆에 있다.

3. 1. 3. 돔



이탈리아에서 가장 큰 세례당으로, 높이는 54.86m, 지름은 34.13m이다. 피사 세례당은 로마네스크 건축 양식에서 고딕 건축 양식으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하부 부분은 둥근 아치 형태의 로마네스크 양식이며, 상부 부분은 뾰족한 심벽과 풍부한 조형 프로그램이 있는 고딕 양식이다. 대성당과 종탑과 마찬가지로 세례당은 2색 카라라 대리석으로 지어졌으며, 흰색 바탕에 푸르스름한 회색 돌로 가로 줄무늬가 반복적으로 사용되었고, 추상적인 꽃무늬와 그래픽 장식에도 사용되었다. 이는 토스카나의 가장 중요한 종교 건축물들의 특징이다. (인접한 피렌체와 피스토이아에서는 프라토에서 채석된 어두운 ''녹색 대리석''이 사용되었다.)

1200년경에 지어진 동쪽 포털은 대성당의 정면을 마주보고 있다. 문은 고전적인 모델을 직접 복사한 잎 장식의 두 개의 기둥으로 양쪽을 감싸고 있다.[2] 포털 프레임에 연결된 두 개의 작은 3/4 기둥은 더 단순하고 덜 깊은 꽃 장식으로 장식되어 있다. 각 기둥 쌍 사이의 내부 문설주는 비잔틴 양식으로 제작된 11개의 조형 부조로 각각 장식되어 있다. 왼쪽에는 1월을 시작으로 달을 묘사한 그림이 있으며 (9월과 10월은 하나의 패널로 결합), 오른쪽 상단에는 그리스도의 승천이 있고, 천사, 손을 든 마리아, 짝을 이루어 올려다보는 사도들이 있으며, 두 번째 아래에는 지옥 하강이 묘사되어 있다. 가장 낮은 부조는 다윗 왕을 보여준다. 세 부분으로 나뉜 형태는 24명의 장로가 메달에 있고 어린 양이 핵심 돌인 세 개의 뒤로 물러나는 아치볼트로 아치에 전달된다.

아치트레이브는 두 개의 층으로 나뉜다. 위쪽 층은 약간 기울어져 있으며 마리아와 성 요한 사이에 그리스도가 있고, 천사와 복음사가가 옆에 있다. 아래층은 세례당의 자연적 수호성인인 세례자 성 요한의 생애의 여러 에피소드를 묘사한다. 그의 설교, 그리스도의 세례, 헤롯을 위한 그의 투옥, 살로메가 헤롯 앞에서 춤을 추는 장면, 그의 참수와 매장. 아치트레이브는 포일 기둥과 문설주의 부조를 만든 동일한 예술가들의 작품일 것이다.

북쪽 포털만이 아치트레이브에 조형 장식이 있으며, 성 요한의 부모인 즈가리아와 성 엘리자베스에게 전해진 수태고지를 묘사하고 있으며, 두 명의 예언자와 칼을 든 갑옷을 입은 두 명의 천사가 옆에 있다.

3. 2. 내부



내부는 압도적이며 장식이 부족하다. 중앙에 있는 팔각형 세례반은 1246년에 제작되었으며, 구이도 비가렐리 다 코모가 만들었다. 세례반 중앙에 있는 세례자 요한의 청동 조각상은 이탈로 그리셀리의 작품이다.

유명한 설교단은 1255년에서 1260년 사이에 니콜라 피사노가 조각했는데, 그는 조반니의 아버지로, 조반니는 두오모의 설교단을 제작한 예술가이다. 설교단의 장면, 특히 누드 헤라클레스의 고전적인 형태는 니콜라 피사노가 고대 표현을 부활시키면서 이탈리아 르네상스 조각의 가장 중요한 선구자임을 보여준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대한 연구는 종종 니콜라 피사노가 이 설교단의 제작 연도로 표기한 1260년부터 시작한다.

탑과 대성당과 같은 불안정한 모래 위에 건설된 세례당은 대성당을 향해 0.6도 기울어져 있다. 원래 디오티살비의 설계에 따르면 세례당의 모양은 달랐을 것이다. 아마도 피사의 성묘 교회와 유사하게 피라미드형 지붕이었을 것이다. 건축가의 사망 후 니콜라 피사노가 작업을 이어받아 더욱 현대적인 고딕 양식으로 스타일을 변경했다. 또한 외부 지붕을 추가하여 돔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두 지붕, 즉 피라미드형 내부 지붕과 돔형 외부 지붕의 부수적인 효과로 인해 내부는 음향적으로 완벽하여[3] 해당 공간을 공명실로 만들었다.

돔 외부의 동쪽 면(대성당을 마주보는 면)은 납판으로 덮여 있고 서쪽 면(바다를 마주보는 면)은 붉은색 타일로 덮여 있어 남쪽에서 보면 반은 회색이고 반은 붉은색으로 보인다.[4]

현재 해독되지 않은 비문이 세례당 문설주의 왼쪽에 위치해 있다.[5] [6]

3. 2. 1. 구조



내부는 압도적이며 장식이 부족하다. 중앙에 있는 팔각형 세례반은 1246년에 제작되었으며, 구이도 비가렐리 다 코모가 만들었다. 세례반 중앙에 있는 세례자 요한의 청동 조각상은 이탈로 그리셀리의 작품이다.

유명한 설교단은 1255년에서 1260년 사이에 니콜라 피사노가 조각했는데, 그는 조반니의 아버지로, 조반니는 두오모의 설교단을 제작한 예술가이다. 설교단의 장면, 특히 누드 헤라클레스의 고전적인 형태는 니콜라 피사노가 고대 표현을 부활시키면서 이탈리아 르네상스 조각의 가장 중요한 선구자임을 보여준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대한 연구는 종종 니콜라 피사노가 이 설교단의 제작 연도로 표기한 1260년부터 시작한다.

탑과 대성당과 같은 불안정한 모래 위에 건설된 세례당은 대성당을 향해 0.6도 기울어져 있다. 원래 디오티살비의 설계에 따르면 세례당의 모양은 달랐을 것이다. 아마도 피사의 성묘 교회와 유사하게 피라미드형 지붕이었을 것이다. 건축가의 사망 후 니콜라 피사노가 작업을 이어받아 더욱 현대적인 고딕 양식으로 스타일을 변경했다. 또한 외부 지붕을 추가하여 돔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두 지붕, 즉 피라미드형 내부 지붕과 돔형 외부 지붕의 부수적인 효과로 인해 내부는 음향적으로 완벽하여[3] 해당 공간을 공명실로 만들었다.

돔 외부의 동쪽 면(대성당을 마주보는 면)은 납판으로 덮여 있고 서쪽 면(바다를 마주보는 면)은 붉은색 타일로 덮여 있어 남쪽에서 보면 반은 회색이고 반은 붉은색으로 보인다.[4]

현재 해독되지 않은 비문이 세례당 문설주의 왼쪽에 위치해 있다.[5] [6]

3. 2. 2. 세례반



내부는 압도적이며 장식이 부족하다. 중앙에 있는 팔각형 세례반은 1246년에 제작되었으며, 구이도 비가렐리 다 코모가 만들었다. 세례반 중앙에 있는 세례자 요한의 청동 조각상은 이탈로 그리셀리의 작품이다.

3. 2. 3. 설교단

유명한 설교단은 1255년에서 1260년 사이에 니콜라 피사노가 조각했는데, 그는 조반니의 아버지로, 조반니는 두오모의 설교단을 제작한 예술가이다. 설교단의 장면, 특히 누드 헤라클레스의 고전적인 형태는 니콜라 피사노가 고대 표현을 부활시키면서 이탈리아 르네상스 조각의 가장 중요한 선구자임을 보여준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에 대한 연구는 종종 니콜라 피사노가 이 설교단의 제작 연도로 표기한 1260년부터 시작한다.

3. 2. 4. 음향 효과

두 지붕, 즉 피라미드형 내부 지붕과 돔형 외부 지붕의 부수적인 효과로 인해 내부는 음향적으로 완벽하여[3] 해당 공간을 공명실로 만들었다.

4. 기울기

5. 의의

참조

[1] 문서 In the medieval Pisan calendar, 1153 corresponded to 1152.
[2] 서적 Die Skulptur des Mittelalters in Italien, I: Romanik Hirmer, Munich 1998
[3] 웹사이트 Article about acoustics in the baptistery (in Italian) http://www.stilepisa[...] 2008-03-31
[4] 웹사이트 Opera della Primaziale Pisana http://opapisa.it/en[...]
[5] 논문 The Undeciphered Inscription of the Baptistery of Pisa
[6] 간행물 Ancora sull’epigrafe con triplice invocazione all’arcangelo Michele [Again on the Epigraph with the Triple Invocation to the Archangel Michael] https://www.navidipi[...]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