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수의 세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수의 세례는 예수의 공생애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사건으로,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푼 사건을 의미한다. 역사적 배경에 따르면, 세례자 요한은 요르단 강에서 활동하며 죄 사함을 위한 회개의 세례를 전파했고, 예수는 그의 세례 직후 공생애를 시작했다. 복음서에는 예수의 세례 장면이 묘사되어 있으며, 하늘에서 성령이 비둘기처럼 내려오고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는 음성이 들리는 내용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예수의 세례는 기독교 미술에서 중요한 주제로 다루어졌으며, 삼위일체의 상징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해석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례 - 세례명
    세례명은 기독교에서 세례를 받을 때 받는 새로운 이름으로,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롭게 태어남을 의미하며, 성경 속 인물들의 이름 변화에서 유래하여 중세 이후 유럽에서 일반적인 이름 형태로 정착되었고, 수호성인의 이름에서 따와 이름 축일로 기념되기도 한다.
  • 세례 - 유아세례
    유아세례는 유아에게 행하는 세례로, 기독교 교파에 따라 역사, 신학적 근거, 절차 및 입장이 다르며, 찬반 논쟁과 세례복, 견진성사, 아동 인권, 안전 문제 등과 관련한 논쟁이 존재한다.
  • 마르코의 복음서 - 바라바
    바라바는 4개의 정경 복음서에 모두 등장하는 인물로, 유월절에 죄수를 석방하는 관습에 따라 예수 대신 군중의 선택으로 풀려났으며, 그의 이름이 '예수 바라바'로 기록된 사본이 존재하고 역사적 실존 여부와 이야기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논쟁이 있다.
  • 마르코의 복음서 - 그리스도의 유혹
    그리스도의 유혹은 성경에 기록된 이야기로, 예수가 광야에서 40일 동안 금식하며 사탄에게 세 가지 시험을 받는 내용이며, 역사적 사실 여부와 해석에 대한 논쟁이 있고, 다양한 분야에 영감을 주었으며, 기독교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 교회력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교회력 - 성모 승천
    성모 승천은 가톨릭교회에서 교리로 선포한, 성모 마리아의 육체와 영혼이 하늘로 올라간 사건으로, 외경과 전승을 통해 전해져 여러 교회에서 기념하며 예술 작품의 주제로 활용되지만, 개신교에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진다.
예수의 세례
사건 개요
사건예수의 세례
시기서기 1세기 초 (대략 서기 28/29년)
참여자예수, 세례자 요한
위치현재의 알-마그타스, 요르단
관련 정보
그리스도의 세례, 안드레아 델 베로키오와 레오나르도 다 빈치, 기원후 1475년경

2. 역사적 배경

예수의 세례는 예수의 사역의 시작으로, 세례자 요한의 사역 직후에 일어난 역사적 사건이다. 누가복음 3장 1-2절에 따르면, 이 사건은 티베리우스 카이사르 통치 15년째, 본디오 빌라도가 유대 총독으로 있을 때 일어났다.[45][46][47] 티베리우스의 통치 시작 시점에 대해서는 두 가지 견해가 있는데, 전통적으로는 기원후 11년을 기준으로 세례자 요한의 사역 시작을 기원후 26년경으로 본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기원후 14년을 기준으로 기원후 29년에 요한의 사역이 시작되었다고 주장한다.[48]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견해는 세례자 요한의 사역이 기원후 28-29년경에 시작되었고, 예수의 세례는 그 직후에 이루어졌다는 것이다.[46][47][49][50][51]

티파니의 예수 세례 스테인드글라스


대부분의 학자들은 세례자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풀었다는 것을 역사적 사실로 인정한다.[52][53][54][67] 제임스 던은 예수의 세례와 예수의 십자가 처형이 "거의 보편적인 동의"를 얻는다고 말하며, 이 두 사건은 역사 연구의 출발점으로 자주 사용된다고 언급한다.[55] 존 도미닉 크로산 역시 예수가 요한에게 세례를 받았다는 사실을 역사적으로 확실하다고 주장한다.[56]

1세기 역사가 요세푸스는 ''유대 고대사''(18.5.2)에서 세례자 요한과 그의 죽음에 대해 기록했다.[57][58] 요세푸스의 기록은 세례자 요한의 활동에 대한 신뢰할 만한 역사적 자료로 평가받는다.[61][62] 요세푸스는 요한의 인기와 세례 설교에 대해 언급하지만, 복음서와는 달리 요한과 예수를 직접 연결 짓지 않고, 요한의 세례가 죄 사함을 위한 것이라고 명시하지 않는다.[61][62][63]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요한에 대한 요세푸스의 기록이 진정성이 있다고 보며, 복음서와의 차이점은 오히려 요세푸스 기록의 신빙성을 높여준다고 해석한다.[64][65]

예수의 세례가 역사적 사건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 중 하나는 '난처함의 기준'이다. 초기 기독교 공동체는 죄가 없다고 믿었던 예수가 죄 사함을 위한 세례를 받았다는 이야기를 만들 이유가 없었을 것이며, 이는 요한을 예수보다 높은 위치에 놓는 것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67][56][66] 마태복음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한이 예수에게 세례를 베푸는 것을 주저하고, 예수가 이를 허락하는 장면을 추가했다(마태복음 3:14-15).[69][72]

사도행전에서 베드로가 예수의 사역이 "요한이 전파한 세례"를 따랐다고 언급하는 등(다중 증언 기준) 여러 기록에서 예수의 세례가 언급된다는 점도 역사성을 뒷받침한다.[70][71][72]

2. 1. 세례자 요한의 활동

세례자 요한은 1세기 초 요르단 강 일대에서 활동했던 유대교 예언자였다. 그는 죄 사함을 위한 회개의 세례를 선포하며, 메시아의 도래를 준비했다. 요세푸스의 기록을 통해 그의 활동과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다.[12] 요한은 유다 광야에서 가르쳤는데, 이곳은 사해에서 고지대로 올라간 건조한 지역으로 사람이 거의 살지 않았다. 광야는 종종 사막과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사막만큼 건조하지는 않았고, 목축이 이루어졌다. 플리니우스는 이 지역이 에세네파가 사는 지역이었다고 말했으며, 실제로 세례자 요한이 에세네파 지도자 중 한 명이었다는 설도 있다. 성서학자 도널드 구스리에 따르면, 당시 도시보다 광야가 신에게 더 가까운 곳으로 여겨졌다고 한다.[26]

2. 2. 예수의 세례 장소

요한복음(1장 28절)[34]세례자 요한이 "요르단 강 건너편 베다니"에서 세례를 베풀었다고 전한다.[20][21] 이 곳은 일반적으로 요르단 강 동쪽 기슭, 예리코 근처 페레아에 있는 베다니(베다바라라고도 불림) 마을로 여겨진다.[21] 3세기에 오리게네스는 베다바라를 그 장소로 제시했다.[35] 4세기에 카이사레아의 유세비우스는 그 장소가 요르단 강 서쪽 기슭에 있다고 언급했고, 그를 따라 초기 비잔틴 건축 시대의 마다바 지도는 베다바라를 (Βέθαβαρά|베타바라grc)로 표시한다.[35]

요르단 강 동쪽에 있는 베다바라를 보여주는 고대 마다바 지도의 일부


요르단 강의 요르단 쪽에 있는 알마그타스 유적은 예수의 세례와 세례자 요한의 사역이 있었던 장소이다.


성경에 나오는 세례는 요르단 강 동쪽 지역에 있는 샘과 와디(알-카라르)와 관련이 있으며,[36] 요르단 강 자체와는 관련이 없다.[37] 기독교인과 유대교인 모두에게 중요한 순례지는 역사를 통틀어 장소가 바뀌었다. 요르단 강 동쪽에 있는 요르단의 알마그타스(아랍어로 '세례' 또는 '침수'라는 뜻) 유적지는 가장 오래된 예배 장소로 여겨진다. 이 유적지는 유네스코가 후원하는 발굴 작업을 통해 발견되었다.[38] 알마그타스는 2000년 3월 요한 바오로 2세가 방문하여 "저는 예수님께서 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으시려고 이곳에서 멀지 않은 요르단 강으로 오시는 모습을 마음속으로 그려봅니다"라고 말했다.[39] 초기 이슬람 정복으로 요르단 강 동쪽 기슭에 있는 비잔틴 건물들은 멸망했다. 그 후 경건한 마음을 갖는 행위는 강 건너편 서안의 카세르 엘 야후드에서 이루어졌다.[40]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는 요르단 강에서 요한을 만났다. 예수의 세례 장소로 여겨져 온 지역 중 하나는 알렌비 계곡 남쪽, 카세르 엘 야후드라고 불리는 요르단 강 서안이다. 현대에는 이곳에 정교회 수도원이 있지만, 이스라엘 군의 군사 감시 지역이어서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예수와 관련된 요르단 강에서 세례를 받고자 하는 사람들이 많이 모이기 때문에 일부 지역은 개방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같은 지역의 요르단 강 동안도 고대부터 기독교인들에게 존중되어 왔다. 요르단 정부 관광청은 동안이 예수의 세례 장소라고 홍보하고 있으며, 실제로 동안의 유적 알마그타스는 예수의 세례 장소로서 2015년에 유네스코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

3. 복음서의 기록과 해석

마가복음, 마태복음, 누가복음 (공관복음)은 예수의 세례 장면을 비슷하게 묘사하고 있다. 세 복음서 모두 성령(누가복음), "영"(마가복음), "하나님의 영"(마태복음)이 예수의 세례 직후에 그 위로 내려오며, 하늘의 음성이 함께 들렸다고 기록한다. 누가와 마가의 기록에서는 하늘의 음성이 예수에게 "너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라고 말하는 반면, 마태복음에서는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그를 기뻐하노라"라고 기록하고 있다.[9][10]

요한복음은 세례 장면을 직접 묘사하지 않지만, 세례자 요한성령이 비둘기처럼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고 증언한다. 나사렛 복음서에는 예수가 세례를 받는 것에 대해 처음에는 반대했지만, 가족들의 권유로 마지못해 받아들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예수는 죄가 없었음에도 세례를 받음으로써 겸손과 순종의 모범을 보였고, 물을 통해 죄 사함을 받는 세례 성사를 제정했다. 또한, 하늘이 열리고 성령이 비둘기 형상으로 내려온 것은 삼위일체를 상징한다고 여겨진다.

3. 1. 공관복음서의 기록

마가복음, 마태복음, 누가복음은 예수의 세례 장면을 비슷하게 묘사하고 있다. 세 복음서 모두에서 성령(누가복음), "영"(마가복음), "하나님의 영"(마태복음)이 예수의 세례 직후에 그 위로 내려오는 것으로 묘사되며, 하늘의 음성이 함께한다. 누가와 마가의 기록에서는 하늘의 음성이 예수에게 "너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너를 기뻐하노라"라고 말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 반면, 마태복음에서는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라. 내가 그를 기뻐하노라"라고 기록하고 있다.(마태복음 3:13–17; 마가복음 1:9–11; 누가복음 3:21–23)[9][10]

세례 후, 공관복음서에서는 예수가 유대 광야로 물러가 사십 주야를 금식하며 시험을 받았다고 서술한다.

에티오피아 악숨(Axum)의 예수 세례 묘사


마태복음의 기록은 여러 면에서 독특하다. 마태복음은 예수가 요한에게 세례를 받기 위해 갈릴리에서 요단강으로 왔다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요한과 예수 사이의 대화를 기록하고 있는데, 14절에서 요한은 “내가 당신에게 세례를 받아야 할 터인데 당신이 내게 오시는 것이오?”라고 말했고, 예수는 “모든 의를 이루려고” (15절) 요한을 설득하여 자신에게 세례를 베풀게 한다.[9][10] 마태복음은 하늘에서 들려온 음성이 “이는 내 사랑하는 아들이요 내가 기뻐하는 자라”고 말했지만, 누구에게 말하는지는 밝히지 않는다.

마가의 기록은 마태복음과 거의 비슷하지만, 요한이 예수의 세례를 주저하다가 결국 동의하는 과정을 묘사하는 마태복음 3:14-15는 나오지 않는다. 마가는 하늘이 열림을 묘사하는 데 σχιζομένους|schizomenousgrc라는 특이한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는 "찢어짐" 또는 "갈라짐"을 의미한다(마가복음 1:10). 이 단어는 마가복음 15:38에 나오는 성소(聖所)의 휘장이 찢어짐(ἐσχίσθη|eschisthēgrc)과 어휘 반복(Leitwortstil)을 이루며, 두 사건을 비교하도록 유도한다.[11]

누가복음서는 요한이 세리들에게 공개적으로 친절을 베풀고 가난한 자들에게 구제를 베풀도록 격려했다는 점을 독특하게 묘사한다(누가복음 3:11 참조).[12] 누가복음서는 예수께서 기도하실 때 하늘이 열리고 성령이 그에게 내려왔다고 기록한다. 누가복음서는 성령이 비둘기의 "형상"으로 내려왔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 단순히 비둘기 "처럼" 내려왔다는 것과 구분한다. 사도행전 10:37–38[13]에서 예수의 사역은 "요한이 전파한 세례"를 따른 것으로 묘사된다.[26]

3. 2. 요한복음의 기록

ישוע|예슈아|예수he에 대한 요한복음의 기록은 다른 복음서들과는 달리 세례 장면을 직접적으로 묘사하지 않는다. 대신, 세례자 요한성령이 비둘기처럼 내려오는 것을 보았다고 증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요한복음 1:29-33)[16][17][31]



요한은 요한복음 1장 28절[18]에서 ישוע|예슈아|예수he가 제자들을 선택하기 시작했을 때, 자신이 세례를 베풀던 장소가 요르단 강 건너편 베다바라(Bethabara beyond Jordan), 즉 페레아(Perea)의 베다니(Bethany)라고 명시한다. 또한 요한복음 3장 23절[19]에서는 "물이 많았기" 때문에 에논(Ænon)에서 추가로 세례를 베풀었다고 언급한다.[20][21]

요한복음 1장 35-37절[22]은 ישוע|예슈아|예수he와 그의 미래 제자 두 명(당시에는 세례자 요한의 제자였음)[23][24] 사이의 만남을 보여준다. 세례자 요한이 예수를 "하나님의 어린 양"이라고 부르자, "두 제자가 그의 말을 듣고 예수를 따랐다."[26][27][28] 이 두 제자 중 한 명은 안드레아로 밝혀졌지만, 다른 한 명은 이름이 나오지 않는다. 레이먼드 이. 브라운(Raymond E. Brown)은 이 익명의 제자가 요한복음 저자일 가능성을 제기한다.[31][29] 사도행전 18장 24절-19장 6절[30]은 요한의 제자들이 결국 ישוע|예슈아|예수he의 추종자들과 합쳐지는 것을 보여준다.[31][23]

3. 3. 나사렛 복음서의 기록

나사렛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세례자 요한에게 세례를 받는다는 생각은 예수의 어머니와 형제들로부터 나왔고, 예수 자신은 원래 반대했지만 마지못해 받아들였다.[32] 벤자민 우르티아는 이러한 버전이 당혹감의 기준에 부합한다고 보았다. 즉, 예수의 추종자들이 예수가 자신의 생각을 바꾸고 다른 사람의 계획을 받아들이는 이야기를 만들어내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이야기는 예수의 가족을 포함한 공동체에서 유래했는데, 그들은 이 이야기의 진정성을 보장했을 것이다.[33]

3. 4. 세례의 신학적 의미

예수는 죄가 없었음에도 참회할 필요가 없었지만, 세례를 받음으로써 몇 가지 중요한 의미를 보여주었다.[77]

첫째, 예수는 자신을 낮추고 죄인들과 같이 세례를 받음으로써, 우리에게 겸손과 순종의 모범을 보여주었다.[77] 이를 통해 하나님의 모든 명령에 신속히 순종해야 함을 가르쳐 주었다.[77]

둘째, 예수의 세례는 물을 거룩하게 하고, 인간의 영혼을 정화하고 거룩하게 하는 능력을 부여했다.[77] 즉, 물을 통해 죄 사함을 받는 세례 성사를 제정하신 것이다.[77]

셋째, "하늘의 열림"은 아담하와의 타락 이후 닫혔던 하늘이 예수를 통해 다시 열렸음을 의미한다.[77]

로저 베이컨은 그리스도의 세례가 하나님의 일에 종사하는 자들은 순결하고 부패하지 않은 마음을 가져야 함을 보여준다고 묵상했다.[78]

또한, 죄 없는 예수가 세례를 받은 이유에 대해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은 해석이 제시된다.

  • 예수가 인간에게 세례의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해.
  • 예수가 전 인류의 죄를 속죄하는 과정의 일부로서 세례를 받음.


보고밀파와 같이 예수의 세례에 부정적인 의미를 부여하는 집단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기독교 교파에서는 예수의 세례를 중요한 사건으로 여긴다.[77] 재세례파처럼 예수가 받았던 세례 방식을 그대로 따라야 한다고 믿는 집단도 있으며, 이들은 예수의 30세 세례를 근거로 유아 세례를 부정하기도 한다.

복음서에 따르면, 예수가 세례를 받자 하늘이 열리고 성령비둘기 형상으로 내려왔으며, 예수가 하나님의 사랑하는 아들이라는 음성이 들렸다. 이는 삼위일체의 상징을 보여주는 구절로 여겨지기도 한다. 성서학자들은 비둘기라는 상징이 노아 이야기에서 새 생명의 상징, 호세아서에서 이스라엘의 상징, 그리스 문화에서 순결과 사랑의 신 아프로디테의 상징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고 해석한다.

4. 예수의 세례와 한국 교회

한국 교회, 특히 개신교에서는 예수의 세례를 중요한 신앙적 사건으로 인식하고, 침례식을 통해 그 의미를 되새긴다.

5. 예술 작품에서의 묘사

그리스도교 미술에서 성령을 나타내는 잘 알려진 상징은 비둘기이다.[79][80] 누가복음은 하나님의 영이 비둘기 모양으로 내려왔다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만, 마태복음의 표현은 모호하여 비둘기 형태로 내려왔다는 것을 암시하는 정도로 해석될 수 있다. 세례 장면을 묘사한 그림들은 보통 하늘이 열리고 성령이 비둘기 형상으로 예수께 내려오는 모습을 보여준다.[81]

예술가들은 물속에 서 있는 그리스도의 온몸을 보여주려고 노력했는데, 이는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었다. 라벤나의 아리아누스 세례당에 있는 6세기 모자이크 그림은 물이 두 개의 제방으로 둘러싸여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데, 서유럽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기술이 부족한 예술가들에 의해 복제되면서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시편집과 같이 물이 쌓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미지로 이어졌다.

중세 그림에서는 그리스도의 옷을 들고 있는 천사장 한 명 이상과 종종 수건을 든 다른 천사장 한 명이 일반적으로 등장한다.

동방 정교회 이콘


그리 고리 가가린 작품

5. 1. 초기 기독교 미술

초기 그리스도교 미술에서 예수의 세례는 중요한 주제 중 하나였다. 카타콤 벽화나 석관 부조 등에서 세례 장면을 찾아볼 수 있다.[79][80][81] 세례 장면을 묘사한 그림들은 보통 하늘이 열리고 성령이 비둘기 형상으로 예수께 내려오는 모습을 보여준다. 예술가들은 보통 물속에 서 있는 그리스도의 온몸을 보여주려고 노력했는데, 이는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었다. 라벤나의 아리아누스 세례당에 있는 6세기 모자이크 그림은 물이 두 개의 제방으로 둘러싸여 있는 모습을 보여준다. 서유럽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기술이 부족한 예술가들에 의해 복제되면서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시편집(Psalter of Eleanor of Aquitaine)에 있는 그림처럼 물이 쌓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미지로 이어졌다. 중세 그림에서는 그리스도의 옷을 들고 있는 천사장 한 명 이상과 종종 수건을 든 다른 천사장 한 명이 일반적으로 등장한다.

5. 2. 중세 및 르네상스 미술

그리스도교 미술에서 성령을 나타내는 잘 알려진 상징은 비둘기이다.[79][80] 세례 장면을 묘사한 그림들은 보통 하늘이 열리고 성령이 비둘기 형상으로 예수께 내려오는 모습을 보여준다.[81]

예술가들은 보통 물속에 서 있는 그리스도의 온몸을 보여주려고 노력했는데, 이는 어려움을 야기할 수 있었다. 라벤나의 아리아누스 세례당에 있는 6세기 모자이크 그림은 물이 두 개의 제방으로 둘러싸여 있는데, 서유럽에서 여러 세대에 걸쳐 기술이 부족한 예술가들에 의해 복제되면서 아키텐의 엘레오노르 시편집(Psalter of Eleanor of Aquitaine)에 있는 그림처럼 물이 쌓여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미지로 이어졌다.

중세 그림에서는 그리스도의 옷을 들고 있는 천사장 한 명 이상과 종종 수건을 든 다른 천사장 한 명이 일반적으로 등장한다.

5. 3. 근현대 미술

그리스도교 미술에서 성령을 나타내는 잘 알려진 상징은 비둘기 이미지이다.[79][80] 세례 장면을 묘사한 그림들은 보통 하늘이 열리고 성령이 비둘기 형상으로 예수께 내려오는 모습을 보여준다.[81] 중세 그림에서는 그리스도의 옷을 들고 있는 천사장 한 명 이상과 종종 수건을 든 다른 천사장 한 명이 일반적으로 등장한다.

6. 추가 정보

(예수의 세례 문서의 추가 정보 섹션은 현재 비어있으며, 하위 섹션으로 "세례자 요한의 비판"이 존재한다. 제공된 원본 소스는 이 하위 섹션의 내용에 해당하므로, "추가 정보" 섹션에는 별도로 작성할 내용이 없다.)

6. 1. 세례자 요한의 비판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서 요한은 나타나자마자 모인 사람들을 "독사의 자식들"이라고 비난하며 회개를 촉구한다.[12] 마가복음에는 이러한 구절이 없다는 점에서 이 요한의 말은 Q 자료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마태복음과 누가복음에서도 차이가 있는데, 누가복음에서는 요한이 모든 사람들에게 비난의 말을 하는 반면, 마태복음에서는 바리새파사두개파로 한정한다.[12] 어떤 학자들에 따르면, 요한에게 다가간 바리사이파 사람들은 요한을 존경해서가 아니라, 자신들의 권위를 위협하는 존재로 경계하고 조사하려고 했기 때문에 비난받았다고 한다.[12] 역사적으로 볼 때, 이 시기에 바리사이파와 사두개파가 공동으로 나타나는 것은 어려운데, 성전 붕괴 이전 시기에는 양 파가 유대인 사회에서 주도권을 잡으려고 격렬하게 대립했기 때문이다.[12]

마태가 요한의 비난을 특정 집단에 국한한 이유에 대해 에두아르트 슈바이처(Eduard Schweizer)는 마태가 누가복음과 달리 유대인들을 독자로 상정했기 때문에, 유대인 전체를 비판하는 묘사를 피하고 싶었던 것으로 추정했다. 그래서 마태복음이 기록된 당시 기독교인들과 격렬하게 대립했던 바리사이파에 그 비난의 화살을 돌렸다는 것이다. 물론 모든 학자가 이러한 견해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바리사이파와 사두개파"라는 표현으로 유대인 전체를 지칭한 것에 불과하다는 견해도 있다.[12]

"독사의 자식들"이라는 표현은 아마도 창세기(3:14)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당시의 악담이었을 것이다.[12] 상대를 욕하는 표현으로 "독사의 자식들"이라는 표현은 여기서 생겨났고, 셰익스피어가 『트로일루스와 크레시다』(Troilus and Cressida)에서 사용했으며, 서머싯 몸(Somerset Maugham)이 쓴 『카탈리나』(Catalina)에도 용례가 있다.[12]

참조

[1] 서적 Essays in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2
[2] 서적 The Melody of Faith: Theology in an Orthodox Key https://books.google[...] ‎Wm. B. Eerdmans Publishing 2010
[3] 성경 사도행전 19:1–7
[4] 웹사이트 Богоявление и Рождество Христово http://www.pravoslav[...]
[5] 성경 마태복음 3:13–17
[6] 성경 마가복음 1:9–11
[7] 성경 누가복음 3:21–23
[8] 서적 Eerdmans Commentary on the Bible W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3
[9] 서적 The Synoptics: Matthew, Mark, Luke
[10] 문서 마태복음에서의 δικαιοσύνη
[11] 서적 Mark as Story: An Introduction to the Narrative of a Gospel Fortress Press 2012
[12] 성경 누가복음 3:11
[13] 성경 사도행전 10:37–38
[14] 성경 요한복음 1:29
[15] 서적 The Lamb of God ‎St. Vladimir's Seminary Press 2008
[16] 성경 요한복음 1:29–33
[17] 서적 Jesus of History, Christ of Faith https://archive.org/[...] Paulist Press 2000
[18] 성경 요한복음 1:28
[19] 성경 요한복음 3:23
[20] 서적 Big Picture of the Bible – New Testament ‎David C. Cook 2009
[21] 서적 John Fortress Press 1987
[22] 성경 요한복음 1:35–37
[23] 서적 The People's New Testament Commentary https://books.goog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2010
[24] 서적 New Testament History 1992
[25] 성경 요한복음 1:35–37
[26] 서적 Jesus of Nazareth 1999
[27] 서적 The Life and Ministry of Jesus: The Gospels 2007
[28] 서적 A Summary of Christian History 2005
[29] 서적 The Disciple Whom Jesus Loved 2004
[30] 성경 사도행전 18:24–19:6
[31] 서적 The Gospel and Epistles of John: A Concise Commentary https://archive.org/[...] 1988
[32] 문서 Jerome quoting "The Gospel According to the Hebrews" in Dialogue Against Pelagius
[33] 서적 The Logia of Yeshua / The Sayings of Jesus 1996
[34] 성경 요한복음 1:28
[35] 서적 Jesus and Archaeology Eerdmans 2006
[36] 서적 The Synoptics
[37] 뉴스 Wo Johannes taufte http://www.zeit.de/1[...] Rosemarie Noack 1999-12-22
[38] 뉴스 Israel will reopen (Israeli) site of the baptism of Jesus http://www.asianews.[...] 2011-07-28
[39] 웹사이트 Visit to Al-Maghtas Speech of the Holy Father https://www.vatican.[...] Libreria Editrice Vaticana 2000-03-22
[40] 웹사이트 No evidence, but UN says Jesus baptized on Jordan's side of river, not Israel's http://www.timesofis[...] The Times of Israel 2015-07-13
[41] 웹사이트 Lowest Places on Earth - Death Valley National Park (U.S. National Park Service) https://www.nps.gov/[...]
[42] 서적 Jesus and the Gospels: An Introduction and Survey
[43] 서적 Christianity: An Introduction
[44] 서적 The Cradle, the Cross, and the Crown: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45] 성경 Luke 3:1–2
[46]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Amsterdam University Press
[47] 서적 The Bible Knowledge Background Commentary: Matthew-Luke, Volume 1
[48] 서적 Luke 1–5: New Testament Commentary
[49] 서적 The Cradle, the Cross, and the Crown: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50] 서적 Christianity and the Roman Empire: Background Texts
[51] 서적 Chronological Aspects of the Life of Christ https://books.google[...] Zondervan
[52] 서적 The Gospel of Matthew https://books.google[...]
[53] 서적 Christianity: A Biblical, Historical, and Theological Guide
[54] 서적 Studying the Historical Jesus: Evaluations of the State of Current Research
[55] 서적 Jesus Remembered
[56] 서적 Who Is Jesus?
[57]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58] 서적 Behold the Man: The Real Life of the Historical Jesus
[59]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Princeton Univ Press
[60] 서적 The New Complete Works of Josephus
[61] 서적 John the Baptist: Prophet of Purity for a New Age
[62] 서적 Jesus & the Rise of Early Christianity: A History of New Testament Times
[63] 서적 The Jewish Annotated New Testament
[64] 서적 The Historical Jesus in Context Princeton Univ Press
[65] 서적 The Jesus Legend: A Case for the Historical Reliability of the Synoptic Jesus Tradition
[66] 서적 Jesus of Nazareth: An Independent Historian's Account of His Life and Teaching
[67] 서적 Jesus as a Figure in History: How Modern Historians View the Man from Galilee
[68] 서적 The Historical Jesus: a Comprehensive Guide
[69] 성경 Matthew 3:14–15
[70] 성경 Acts 10:37–38
[71] 서적 Who is Jesus?: An Introduction to Christology
[72] 서적 John the Baptist: Prophet of Purity for a New Age
[73] 서적 Jesus and His Contemporaries: Comparative Studies
[74] 서적 An Introduction to the New Testament and the Origins of Christianity
[75] 서적 Who is Jesus?
[76] 서적 The Relationship between John the Baptist and Jesus of Nazareth: A Critical Study
[77] 서적 A Practical Commentary on Holy Scripture B. Herder
[78] 서적 Meditations For Every Day In The Year Benziger Brothers
[79] 서적 The Gospel of Matthew and its Readers: A Historical Introduction to the First Gospel Indiana University Press
[80] 서적 Matthew Doubleday & Company
[81] 서적 Medieval Art: A Topical Dictionar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