삽간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삽간접사는 여러 언어에서 복합어를 형성할 때 두 단어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 요소를 의미한다. 특히 유럽 언어, 그중에서도 게르만어파에서 흔히 나타나며, 독일어,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 러시아어 등에서 다양한 형태의 삽간접사가 사용된다. 영어에서는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단어에서 '-o-'가 나타나며, 한국어의 사이시옷 현상 또한 삽간접사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삽간사 | |
|---|---|
| 언어학적 정보 | |
| 명칭 | 삽입 접사, 간투사, 사이 끼움소 |
| 언어 | 여러 언어 |
| 역할 | 형태소 연결 또는 의미 추가 |
| 정의 | |
| 삽간사 | 둘 이상의 형태소 사이에 나타나는 접사 |
| 기능 | 형태소 연결, 의미 추가, 단어 형성 |
| 위치 | |
| 위치 | 단어의 중간 (기존 형태소 사이) |
| 형태 | |
| 형태 | 음소, 음절, 형태소 |
| 예시 (독일어) | |
| Arbeitszimmer (작업실) | Arbeit (일) + -s- + Zimmer (방) |
| Schlafzimmer (침실) | Schlaf (잠) + -s- + Zimmer (방) |
| 추가 정보 | |
| 참고 | 접두사, 접미사, 접요사 등 다른 접사 유형과 구별됨 |
2. 유럽 언어의 삽간접사
유럽의 여러 언어, 특히 게르만어파에서 삽간접사는 흔히 사용된다.
2. 1. 독일어
독일어에서는 복합어를 만들 때 특정 명사 사이에 '-s-'를 연결 요소로 사용한다. 예를 들어 ''Arbeit'''s'''zimmer'' ("작업실")와 같이 사용되지만, 모든 명사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3] 이는 남성 및 중성 소유격 단수 접미사 '-s'에서 유래되었다.[3] 독일어에는 '-s-' 외에도 '-es-', '-(e)n-', '-er-', '-e-'와 같이 다양한 연결 요소가 있다.[3]2. 2. 네덜란드어
네덜란드어에서 연결 요소 '-e-'( 슈와)는 때때로 첫 번째 부분의 원래 형태가 현재는 사라진 '-e'로 끝나는 경우를 보여준다. 예를 들어 ''zielerust'' ("마음의 평화")는 중세 네덜란드어에서 ''ziele'' ("영혼")와 ''rust'' ("휴식, 평화")가 합쳐진 것이지만, 현대 네덜란드어에서는 "영혼"을 ''ziel''로 쓴다. 다른 복합어에서 '-e-'는 격 접미사에서 유래했다. ''petekind'' ("대자")는 ''peet'' ("대부")와 ''kind'' ("아이")가 합쳐진 것이다. 매우 흔한 연결 요소 '-s-'와 '-en-'은 원래 소유격 접미사였다. 복합어에서 덜 쓰이는 '-er-'은 원래 복수 접미사의 잔재로 볼 수 있다. ''rundergehakt''("다진 쇠고기")는 ''rund''(복수형 ''runderen'' "소(들)")에서 나왔다.[4]2. 3. 스웨덴어
스웨덴어에서는 복합 명사를 만들 때 연결 요소를 자주 사용하며, '-s-'가 가장 흔하게 사용된다. 예를 들어, 'fabrik'(공장)과 'arbetare'(노동자)를 결합하여 'fabriksarbetare'(공장 노동자)라는 단어를 만든다. '-e-'도 사용되는데, 'familj'(가족)와 'far'(아버지)를 결합한 'familjefar'(가장)가 그 예시이다. '-a-' 연결 요소는 'viking'(바이킹)과 'by'(마을)를 결합한 'vikingaby'(바이킹 마을)에서 볼 수 있다. 하지만, 모든 복합어가 연결 요소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sten'(돌)과 'ålder'(나이)를 결합한 'stenålder'(석기 시대)처럼 연결 요소 없이 결합되는 경우도 있다. 모음으로 끝나는 일부 단어는 마지막 글자가 탈락하기도 하는데, 'arbetare'(노동자)와 'klass'(계급)를 결합한 'arbetarklass'(노동 계급)가 그 예이다.[3]2. 4. 노르웨이어
노르웨이어는 스웨덴어와 유사하게 '-s-'를 주로 사용하지만, '-e-' 등의 삽간접사도 나타난다.2. 5. 세르보크로아티아어
세르보크로아티아어에서는 복합어를 만들 때 '-o-'와 '-e-'를 연결 요소로 꼭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brod'(배)와 'gradilište'(건설 현장)를 합치면 'brod'''o'''gradilište'(조선소)가 되고, 'kuća'(집)와 'pazitelj'(관리인)를 합치면 'kuć'''e'''pazitelj'(관리인)가 된다.[3] 연결 요소가 없으면 새로 만들어진 단어는 'zimzelen'(''zima'' + ''zelen'', "상록수")처럼 단어 결합으로 본다.[3]2. 6. 러시아어
러시아어에서 가장 흔한 삽간접사는 '-o-'와 '-e-'이다. 예를 들어, 'пар' (증기)와 'воз' (마차)를 결합하여 'паровоз' (기관차)를 만든다.[4]3. 영어의 삽간접사
영어에서는 기술 용어가 아닌 어근으로 기술 복합어를 형성할 때, 때때로 '-o-' 연결 요소가 사용된다. 이는 고대 그리스어 명사에서 유래되었으며, 이 명사의 어근에는 ''o''가 포함되어 있다. ''tacho-meter'', ''odo-meter''가 그 예시이며, 여기서 ''o''는 연결 모음으로 간주된다.
4. 한국어의 사이시옷
한국어의 사이시옷은 두 개의 명사가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룰 때, 앞말이 울림소리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뒷소리가 된소리로 나거나, 'ㄴ' 소리가 덧나는 현상이다. 예: '냇가', '빗물', '콧날'
참조
[1]
Q
[2]
서적
Word-Formation: An International Handbook of the Languages of Europ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GmbH & Co KG
2017-05-05
[3]
문서
Fugenelemente im Deutschen
Universität Stuttgart
[4]
웹사이트
Linking elements
http://taalportaal.o[...]
2017-05-05
[5]
간행물
言語文化教育素材としてのテクスト種ウィット —ウィットに見るドイツ語文法—
http://home.hiroshim[...]
広島大学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