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노르웨이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르웨이어는 덴마크어, 스웨덴어와 어휘, 형태론적으로 유사하며, 중세 저지 독일어의 영향을 받았다. 1380년부터 덴마크의 지배를 받았으며, 1814년 독립 이후 노르웨이어 문어를 확립하기 위한 두 가지 시도가 있었고, 그 결과 북몰(bokmål)과 뉘노르스크(nynorsk)가 생겨났다. 노르웨이어는 29개의 문자를 사용하며, 보크몰과 뉘노르스크는 법적으로 인정되는 두 가지 서면 노르웨이어 형태이다. 노르웨이어는 다양한 방언을 가지며, 각 지역마다 독특한 문법, 구문, 어휘, 발음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어 - 러시아노르웨이어
    러시아노르웨이어는 18세기에서 20세기 초 노르웨이 북부와 러시아 간의 무역에서 발생한 피진으로, 노르웨이어와 러시아어 어휘가 혼합되어 물물교환에 사용되다가 1920년대에 소멸되어 현재는 언어학 연구 대상이다.
  • 노르웨이어 - 뉘노르스크
    뉘노르스크는 이바르 오센이 노르웨이어 방언을 기반으로 창안하여 덴마크어 영향을 받은 기존 문어에 대한 반발과 민족주의 운동의 결과로 탄생한 노르웨이의 두 공식 서면어 중 하나이며, 특히 서부 노르웨이 지역에서 널리 사용된다.
  • 노르웨이의 언어 - 크벤어
    크벤어는 노르웨이에서 사용되는 핀란드어 계열의 언어로, 동화 정책으로 인해 사용이 위축되었으나, 2007년 표준 문자 제정 계획이 있었지만 젊은 세대의 화자 부족으로 멸종 위기에 놓여 있다.
  • 노르웨이의 언어 - 피테 사미어
    피테 사미어는 스웨덴 북부 아르예플로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서부 사미어에 속하는 사미어 방언으로, 룰레 사미어와 가장 가깝고 남부, 우메 사미어와도 공통점을 가지며, 2019년 공식 정자법이 승인되었고, 복잡한 동사 활용 체계와 9개의 격을 사용하는 특징을 가진다.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노르웨이어
지도 정보
노르웨이어 사용 지역 (미국 노스다코타, 위스콘신 서부, 미네소타 포함).
기본 정보
언어 이름노르웨이어
사용 국가노르웨이
사용 지역북유럽
사용자 수432만 명 (2012년)
민족노르웨이인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게르만어파
북서게르만어
북게르만어군
서 스칸디나비아 (논쟁 중)
조상 언어고대 노르드어
고대 서노르드어
고대 노르웨이어
중세 노르웨이어
문자라틴 문자 (노르웨이어 알파벳)
노르웨이어 점자
공용 국가노르웨이
언어 관리 기관노르웨이어 위원회 (보크몰뉘노르스크)
노르웨이 아카데미 (릭스몰)
이바르 오센 연합 (회그노르스크)
ISO 639-1no
ISO 639-2nor
ISO 639-3nor
Glottolognorw1258
Glottolog 이름Norwegian
Linguasphere52-AAA-ba ~ -be
52-AAA-cf ~ -cg
표준 형태
언어 정보
ISO 639-1 (보크몰)nb
ISO 639-1 (뉘노르스크)nn
ISO 639-2 (보크몰)nob
ISO 639-2 (뉘노르스크)nno
ISO 639-macrolanguagenor
ISO 639-개별어 (보크몰)nob
ISO 639-개별어 (뉘노르스크)nno
언어 코드 (보크몰)nob
언어 이름 (보크몰)보크몰
언어 코드 (뉘노르스크)nno
언어 이름 (뉘노르스크)뉘노르스크
기타
관련 협약http://www.norden.org/avtal/utbildning/sk/sprak.asp
http://www.norden.org/webb/news/news.asp?id=6777&lang=6

2. 역사

노르웨이어는 덴마크어, 스웨덴어와 어휘 및 형태론적으로 공통점이 많은데, 이는 북유럽 한자 동맹 상인들의 공통 상업 언어인 Middle Low German|중세 저지 독일어영어의 영향 때문이다.

1349년 흑사병 유행으로 인구가 급감한 노르웨이는 1380년부터 덴마크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덴마크-노르웨이 연합 왕국). 15세기 후반에는 덴마크어가 행정 용어가 되었고, 1537년 종교 개혁 이후에는 문어도 덴마크어가 되었다. 덴마크 지배 시기에는 노르웨이어가 독립된 언어로 인식되지 않았지만, 크리스텐 옌손, 에릭 폰트피단, 요르겐 토마손 등은 노르웨이어를 덴마크어와 다르게 기술하려 했다.

18세기 후반, 독립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1771년 역사학자 Gerhard Schøning|겔하르트 셰닝영어의 『노르웨이 국가사』가 노르웨이인의 국가 의식의 싹을 틔웠고, 1772년 코펜하겐의 노르웨이 문화인들이 Norwegian Society|노르웨이 협회영어를 설립하여 노르웨이 특유의 어휘와 어형을 도입한 시와 희곡을 발표했다.

1814년 킬 조약으로 덴마크로부터 독립한 노르웨이는 "모든 법률은 노르웨이어로 시행된다"는 헌법을 제정했지만, 당시 문어로서의 노르웨이어는 미성숙했고 덴마크는 이에 이의를 제기했다.

1830년 이후, 문어로서의 노르웨이어를 확립하기 위한 두 가지 시도가 있었다. 헨리크 베르겔란은 덴마크어에 노르웨이 특유의 어휘와 구문론을 섞어 독자적인 문어를 만들려 했고, 이바르 아우센은 역사학자 Peter Andreas Munch|페테르 안드레아스 문크영어의 생각을 따라 보수적인 노르웨이 방언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어 규범을 확립하려 했다. 전자는 리크스몰(Riksmål), 후자는 란드스몰(Landsmål)이라고 불렸으며, 각각 오늘날 북몰(bokmål), 뉘노르스크(nynorsk)라고 불린다. 이들은 1885년에 동등하게 취급되도록 공식적으로 정해졌고, 1929년 이후 명칭이 변경되었다.

1905년 독립 후, 1906년에는 란드스몰을 다루는 노르웨이 몰라르그가, 1907년에는 리크스몰을 다루는 리크스몰 협회가 설립되었다. 1907년에는 Knud Knudsen (linguist)|크누트 크누트센영어의 주장에 따라 리크스몰의 정서법 개혁이 이루어졌고, 1917년1938년에는 두 언어 형태를 접근시키려는 정서법 개혁이 이루어졌다.

두 언어 형태를 통합하려는 움직임(Samnorsk|삼노르스크no)에 대한 비판도 있어,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51년에는 삼노르스크에 반대하는 학부모 단체가 설립되었다. 같은 해 국회에서 설립이 의결되어 다음 해 활동을 시작한 노르웨이 언어 위원회는 북몰 진영과 뉘노르스크 진영의 위원 각 15명이 언어 정책 과제에 임했고, 1959년 양 언어 형태 각각에 정해진 새로운 교과서 규범을 만들었다.

1972년 노르웨이 언어 위원회는 노르웨이 언어 자문 위원회로 대체되었고, 북몰 진영과 뉘노르스크 진영의 위원 각 21명에 언어 관련 기관의 대표도 참가하게 되었다. 1981년에는 여기서 제창된 북몰의 새로운 정서법이 국회에서 승인되었고, 2005년에 언어 자문 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 1. 기원

대부분의 유럽 언어와 마찬가지로, 노르웨이어는 프로토-인도유럽어에서 유래했다. 초기 인도유럽인들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면서 서로 고립되었고, 새로운 언어들이 발달했다. 북서 유럽에서는 게르만어족이 진화하여, 다시 북게르만어족으로 분화되었고, 노르웨이어는 그중 하나이다.

프로토 노르드어는 기원후 초기 수세기 동안 오늘날의 남부 스웨덴에서 원시 게르만어의 북부 방언으로 진화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특징적으로 북게르만어적인 언어의 가장 초기 단계이며, 증언된 언어로서 고대 푸타르크 문자, 즉 룬 문자의 가장 오래된 형태에 기록되어 있다. 많은 비문이 죽은 자를 위한 기념물인 반면, 다른 것들은 마법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은 흩어진 물건에 새겨진 것이고, 나중 것들은 룬석에 새겨져 있다.[5] 이것들은 게르만어족 언어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 -* 서고대 노르드어 방언
  • 동고대 노르드어 방언
  • 고대 괴트랜드어 방언
  • 고대 영어
  • 크리미아 고트어
  • 고대 노르드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을 유지했던 다른 게르만어족 언어]]


서기 800년경, 문자는 젊은 푸타르크로 단순화되었고, 비문은 더욱 풍부해졌다. 동시에 바이킹 시대의 시작은 고대 노르드어아이슬란드, 그린란드페로 제도로 확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바이킹 식민지는 영국 제도, 프랑스(노르망디), 북아메리카 및 키예프 루스의 일부 지역에도 존재했다. 아이슬란드와 페로 제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고대 노르드어 사용자들은 멸종하거나 현지 주민들에게 흡수되었다.[5]

2. 2. 바이킹 시대와 고대 노르드어


  • -* 서고대 노르드어 방언da
  • 동고대 노르드어 방언da
  • 고대 괴트랜드어 방언da
  • 고대 영어da
  • 크리미아 고트어da
  • 고대 노르드어와 상호 이해 가능성을 유지했던 다른 게르만어족 언어da

]]

대부분의 유럽 언어와 마찬가지로, 노르웨이어는 프로토-인도유럽어에서 유래했다. 초기 인도유럽인들이 유럽 전역으로 퍼져나가면서 서로 고립되었고, 새로운 언어들이 발달했다. 북서 유럽에서는 게르만어족이 진화하여, 다시 북게르만어족으로 분화되었고, 노르웨이어는 그중 하나이다.

프로토 노르드어는 기원후 초기 수세기 동안 오늘날의 남부 스웨덴에서 원시 게르만어의 북부 방언으로 진화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는 특징적으로 북게르만어적인 언어의 가장 초기 단계이며, 증언된 언어로서 고대 푸타르크 문자, 즉 룬 문자의 가장 오래된 형태에 기록되어 있다. 많은 비문이 죽은 자를 위한 기념물인 반면, 다른 것들은 마법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가장 오래된 것은 흩어진 물건에 새겨진 것이고, 나중 것들은 룬석에 새겨져 있다.[5] 이것들은 게르만어족 언어 중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서기 800년경, 문자는 젊은 푸타르크로 단순화되었고, 비문은 더욱 풍부해졌다. 동시에 바이킹 시대의 시작은 고대 노르드어아이슬란드, 그린란드페로 제도로 확산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바이킹 식민지는 영국 제도, 프랑스(노르망디), 북아메리카 및 키예프 루스의 일부 지역에도 존재했다. 아이슬란드와 페로 제도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고대 노르드어 사용자들은 멸종하거나 현지 주민들에게 흡수되었다.[5]

2. 3. 로마자 도입과 중세 노르웨이어

1030년경, 기독교스칸디나비아에 전래되면서 라틴어 차용어와 로마자가 대량으로 유입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단어들은 교회의 관습과 의식과 관련이 있었지만, 일반 문화와 관련된 많은 다른 차용어들도 언어에 들어왔다.[1]

당시 스칸디나비아 언어는 별개의 언어로 간주되지 않았지만, 고대 아이슬란드어, 고대 노르웨이어, 고대 갓니쉬어, 고대 덴마크어, 고대 스웨덴어라고 불리는 언어들 사이에는 사소한 차이가 있었다.[1]

2. 4. 저지 독일어의 영향

1250년부터 1450년까지 주요 스칸디나비아 도시들에서 한자 동맹의 경제적, 정치적 지배는 노르웨이에 많은 중부 저지 독일어(Mittelniederdeutsch)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불러들였다. 그들의 언어가 스칸디나비아 언어에 미친 영향은 노르만 정복 이후 프랑스어가 영어에 미친 영향과 비슷하다.[5]

2. 5. 덴마크-노르웨이 연합과 덴마크어의 지배

중세 후기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인구가 농촌에 집중되어 이동이 적었기 때문에 여러 방언이 발달하기 시작했다.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이후, 상고독일어로 번역된 성경이 스웨덴어, 덴마크어, 아이슬란드어로 빠르게 번역되었다. 노르웨이는 1397년 덴마크와 연합을 맺었고, 시간이 지나면서 덴마크어가 엘리트, 교회, 문학, 법률의 언어로서 중세 노르웨이어를 대체했다. 1814년 덴마크와의 연합이 끝났을 때, 다노-노르웨이어 공통어(koiné)는 인구의 약 1% 정도의 모어가 되었다.[6]

1349년 흑사병의 유행 등으로 인구가 급감했던 노르웨이는 정치적, 경제적으로 취약한 입장에 놓여 1380년부터 덴마크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6] 그 후 15세기 후반에 덴마크어가 행정 용어가 되었고, 1537년 종교 개혁 이후에는 문어도 덴마크어가 되었다.[6]

덴마크의 지배하에 있던 시대에는 노르웨이어가 독립된 언어로 인식되지 않았지만, 크리스텐 옌손, 에릭 폰트피단, 요르겐 토마손 등 몇몇 사람들은 노르웨이어를 덴마크어와 다른 것으로 기술하려고 시도했다.[6]

2. 6. 19세기 노르웨이어 부흥 운동

1840년대부터 일부 작가들은 노르웨이 풍경과 민중 생활을 묘사하는 단어들을 통합하고 노르웨이어 문법을 더 많이 채택하여 노르웨이식 데니시어(Danish)를 실험했다. 크누트 크누센은 "일상어(cultivated everyday speech)"로 알려진 다노-노르웨이어 공통어(koiné)에 따라 철자와 어미를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방향으로의 작은 조정은 1862년 노르웨이에서 데니시어(Danish)의 첫 번째 공식 개혁에서, 그리고 그의 사후 1907년과 1917년 두 차례의 공식 개혁에서 더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한편, 민족주의 운동은 새로운 서면 노르웨이어 개발을 위해 노력했다. 식물학자이자 독학 언어학자인 이바르 아센은 22세에 새로운 노르웨이어를 만들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다. 그는 전국을 여행하며 방언에서 단어와 문법 예를 수집하고 여러 지역의 방언들을 비교했다. 그는 노르웨이어가 받은 영향에서 크게 벗어난 아이슬란드어의 발전을 조사했다. 그는 1848년부터 1873년까지 여러 책으로 출판된 자신의 작품을 람스몰(Landsmål)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국어'를 의미한다.[7] '람스몰(Landsmål)'이라는 이름은 때때로 '시골 언어' 또는 '농촌 언어'로 해석되지만, 이는 분명히 아센이 의도한 의미가 아니다.

19세기 내내 노르웨이에서의 데니시어(Danish)의 명칭은 뜨거운 논쟁의 주제였다. 옹호자들은 그것이 노르웨이와 덴마크에 공통된 언어이며 노르웨이어보다 데니시어(Danish)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람스몰(Landsmål)의 옹호자들은 그 언어의 데니시어(Danish)적 특성을 감추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1899년, 비외른스테르네 비외른손은 람스몰(Landsmål)과 마찬가지로 '국어'를 의미하는 중립적인 이름인 릭스몰(Riksmål)을 제안했고, 이는 1907년 철자 개혁과 함께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릭스몰(Riksmål)'이라는 이름은 때때로 '국어'로 해석되지만, 이 의미는 기껏해야 부차적이다.(이름이 차용된 덴마크어 ''rigsmål''와 비교하십시오.)

1830년 이후에는 문어로서의 노르웨이어를 확립하기 위한 두 가지 시도가 시작되었다. 하나는 덴마크어에 노르웨이 특유의 어휘와 구문론을 섞어 노르웨이 독자적인 문어를 만들어내려는 시도로, 헨리크 베르겔란이 중심이 되었다. 또 다른 하나는 보수적인 노르웨이 방언을 바탕으로 새로운 문어의 규범을 확립해야 한다는 역사학자 페테르 안드레아스 문크의 생각을 실현하려고 했던 이바르 아센의 시도이다.

전자는 릭스몰(Riksmål), 후자는 란스몰(Landsmål)이라고 불렸으며, 각각 오늘날 북몰(bokmål), 뉘노르스크(nynorsk)라고 불린다. 이러한 언어 형태는 1885년에 동등하게 취급하도록 공식적으로 정해졌고, 1929년 이후에 명칭이 변경되었다.

2. 7. 20세기 언어 개혁과 통합 시도

1840년대부터 일부 작가들은 노르웨이 풍경과 민중 생활을 묘사하는 단어들을 통합하고 노르웨이어 문법을 더 많이 채택하여 노르웨이식 데니시어(Danish)를 실험했다. 크누트 크누센은 "일상어"로 알려진 다노-노르웨이어 공통어(koiné)에 따라 철자와 어미를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방향으로의 작은 조정은 1862년 노르웨이에서 데니시어의 첫 번째 공식 개혁에서, 그리고 그의 사후 1907년과 1917년 두 차례의 공식 개혁에서 더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한편, 민족주의 운동은 새로운 서면 노르웨이어 개발을 위해 노력했다. 이바르 아센은 22세에 새로운 노르웨이어를 만들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다. 그는 전국을 여행하며 방언에서 단어와 문법 예를 수집하고 여러 지역의 방언들을 비교했다. 그는 노르웨이어가 받은 영향에서 크게 벗어난 아이슬란드어의 발전을 조사했다. 그는 1848년부터 1873년까지 여러 책으로 출판된 자신의 작품을 람스몰(Landsmål)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국어'를 의미한다.[7]

19세기 내내 노르웨이에서의 데니시어의 명칭은 뜨거운 논쟁의 주제였다. 1899년, 비외른스테르네 비외른손은 람스몰과 마찬가지로 '국어'를 의미하는 중립적인 이름인 릭스몰(Riksmål)을 제안했고, 이는 1907년 철자 개혁과 함께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1905년 스웨덴과의 동군연합이 해소된 후, 두 언어 모두 더 발전하여 1917년 개혁 후 현재 그 고전적인 형태로 여겨지는 것에 도달했다. 릭스몰은 1929년 공식적으로 ''보크몰(Bokmål)''(문자 그대로 '책 언어')로, 람스몰은 ''뉘노르스크(Nynorsk)''(문자 그대로 '새로운 노르웨이어')로 개명되었다. 보크몰을 대신하여 데니시-노르웨이어(dansk-norskno)를 사용하자는 제안은 의회에서 단 한 표 차이로 부결되었다.[7]

보크몰과 뉘노르스크는 1938년 개혁으로 더 가까워졌다. 이는 뉘노르스크와 보크몰을 ''삼노르스크(Samnorsk)''라는 단일 언어로 통합하겠다는 국가 정책의 결과였다. 1946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당시 노르웨이인의 79%가 이 정책을 지지했다. 그러나 공식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1950년대에 삼노르스크에 대한 대규모 항의 운동을 일으켜 특히 학교 교과서의 보크몰에서 "급진적" 형태의 사용에 반대했다. 1959년 개혁에서 1938년 개혁은 보크몰에서 부분적으로 되돌려졌지만, 뉘노르스크는 보크몰쪽으로 더 변화했다. 그 이후로 보크몰은 전통적인 릭스몰로 더욱 회귀했지만, 뉘노르스크는 여전히 1959년 표준을 고수한다. 따라서 소수의 뉘노르스크 열성가들은 호그노르스크(Høgnorsk)라고 하는 더 보수적인 표준을 사용한다. 삼노르스크 정책은 1960년 이후 거의 영향력이 없었고 2002년에 공식적으로 폐기되었다.

1906년에 란드스몰을 다루는 기관으로 노르웨이 몰라르그가, 1907년에 리크스몰을 다루는 기관으로 리크스몰 협회가 설립되었다. 1907년은 또한, 크누트 크누센이 주장하는 교양인의 말에 가깝게 하려고 리크스몰의 정서법 개혁이 이루어졌고, 1917년에는 서로의 언어 형태를 접근시키려는 정서법 개혁이 이루어졌으며, 1938년의 정서법 개혁에서는 서로의 언어 형태가 더욱 가까워졌다.

이러한 두 가지 언어 형태를 하나로 통합하려는 움직임(삼노르스크)에는 비판도 있어, 제2차 세계 대전 후인 1951년에는 삼노르스크에 반대하는 학부모 단체가 설립되었다. 1951년에 국회에서 설립이 의결되어 다음 해에 활동을 시작한 노르웨이 언어 위원회에서는 북몰 진영과 뉘노르스크 진영의 위원 각 15명이 언어 정책 과제에 임했고, 그 노력은 1959년에 양 언어 형태 각각에 정해진 새로운 교과서 규범이라는 형태로 결실을 맺었다.

노르웨이 언어 위원회는 1972년에 노르웨이 언어 자문 위원회로 대체되었고, 북몰 진영과 뉘노르스크 진영의 위원 각 21명에 언어 관련 기관의 대표도 참가할 수 있게 되었다. 여기서 제창된 북몰의 새로운 정서법이 1981년에 국회에서 승인되는 등의 활동을 거쳐 2005년에 언어 자문 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3. 문자

노르웨이어에서 쓰이는 알파벳은 29자이다. 첫 26자는 영어에서 쓰는 로마 문자와 같고, 마지막 세 글자는 æ, ø, å이다. 또한 á, à, â, é, è, ê, ó, ò, ô와 같이 글자에 발음 구별 부호를 쓰기도 한다. 발음 구별 기호가 있는 문자를 제외하면 문자 순서가 덴마크어와 동일하다.[8]

Æ, Ø, Å 키가 있는 노르웨이 키보드


'c', 'q', 'w', 'x', 'z'는 외래어에서만 사용된다. 외래어가 노르웨이어에 동화되면서, 노르웨이어 발음과 철자법 원칙을 반영하여 철자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르웨이어의 '얼룩말(zebra)'은 sebrano로 표기된다. 역사적 이유로, 일부 노르웨이어 성씨도 이러한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된다.

일부 문자는 구별 부호로 수정될 수 있다: 'é', 'è', 'ê', 'ó', 'ò', 'ô'.[9][10] 외래어는 다른 구별 부호, 특히 'ï, ü[10]', 'á', 'à'를 사용하여 철자될 수 있다. 구별 부호는 필수는 아니지만, 몇몇 경우 단어의 다른 의미를 구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예: forno ('for/to'), fórno ('went'), fòrno ('furrow'), fôrno ('fodder').[10]

노르웨이어 알파벳
ABCDEFGHIJKLMNOPQRSTUVWXYZÆØÅ
abcdefghijklmnopqrstuvwxyzæøå


4.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1840년대부터 일부 작가들은 노르웨이 풍경과 민중 생활을 묘사하는 단어들을 통합하고 노르웨이어 문법을 더 많이 채택하여 노르웨이식 덴마크어를 실험했다. 크누트 크누센은 "일상어"로 알려진 다노-노르웨이어 공통어에 따라 철자와 어미를 변경할 것을 제안했다. 이러한 방향으로의 작은 조정은 1862년 노르웨이에서 데니시어의 첫 번째 공식 개혁에서, 그리고 그의 사후 1907년과 1917년 두 차례의 공식 개혁에서 더 광범위하게 이루어졌다.

한편, 민족주의 운동은 새로운 서면 노르웨이어 개발을 위해 노력했다. 식물학자이자 독학 언어학자인 이바르 아센은 22세에 새로운 노르웨이어를 만들기 위한 작업을 시작했다. 그는 전국을 여행하며 방언에서 단어와 문법 예를 수집하고 여러 지역의 방언들을 비교했다. 그는 노르웨이어가 받은 영향에서 크게 벗어난 아이슬란드어의 발전을 조사했다. 그는 1848년부터 1873년까지 여러 책으로 출판된 자신의 작품을 람스몰(Landsmål)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국어'를 의미한다.

19세기 내내 노르웨이에서의 데니시어의 명칭은 뜨거운 논쟁의 주제였다. 옹호자들은 그것이 노르웨이와 덴마크에 공통된 언어이며 노르웨이어보다 데니시어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람스몰의 옹호자들은 그 언어의 데니시어적 특성을 감추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1899년, 비외른스테르네 비외른손은 람스몰과 마찬가지로 '국어'를 의미하는 중립적인 이름인 릭스몰(Riksmål)을 제안했고, 이는 1907년 철자 개혁과 함께 공식적으로 채택되었다.

1905년 스웨덴과의 동군연합이 해소된 후, 두 언어 모두 더 발전하여 1917년 개혁 후 현재 그 고전적인 형태로 여겨지는 것에 도달했다. 릭스몰은 1929년 공식적으로 ''보크몰(Bokmål)''(문자 그대로 '책 언어')로, 람스몰은 ''뉘노르스크(Nynorsk)''(문자 그대로 '새로운 노르웨이어')로 개명되었다. 현대 노르웨이어에 대한 언어학적 용어인 ''뉘노르스크''는 데니시어와 대조하고 옛 노르웨이어와의 역사적 연관성을 강조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오늘날 이러한 의미는 종종 상실되고, 보크몰이라는 "진짜" 노르웨이어와 대조되는 "새로운" 노르웨이어로 잘못 이해되기도 한다.

보크몰과 뉘노르스크는 1938년 개혁으로 더 가까워졌다. 이는 뉘노르스크와 보크몰을 ''삼노르스크(Samnorsk)''라는 단일 언어로 통합하겠다는 국가 정책의 결과였다. 1946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당시 노르웨이인의 79%가 이 정책을 지지했다. 그러나 공식 정책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1950년대에 ''삼노르스크''에 대한 대규모 항의 운동을 일으켜 특히 학교 교과서의 보크몰에서 "급진적" 형태의 사용에 반대했다. 1959년 개혁에서 1938년 개혁은 보크몰에서 부분적으로 되돌려졌지만, 뉘노르스크는 보크몰쪽으로 더 변화했다. 그 이후로 보크몰은 전통적인 릭스몰로 더욱 회귀했지만, 뉘노르스크는 여전히 1959년 표준을 고수한다. 따라서 소수의 뉘노르스크 열성가들은 호그노르스크(Høgnorsk)라고 하는 더 보수적인 표준을 사용한다. 삼노르스크 정책은 1960년 이후 거의 영향력이 없었고 2002년에 공식적으로 폐기되었다.

노르웨이 지방 자치 단체의 공식 언어 형태 지도: 빨간색은 보크몰, 파란색은 뉘노르스크, 회색은 중립 지역을 나타냅니다.


법적으로 인정되는 두 가지 ''서면'' 노르웨이어는 보크몰(직역하면 '책 언어')과 뉘노르스크('새로운 노르웨이어')이며, 이들은 노르웨이어 위원회(Språkrådet|노르웨이어 위원회no)에 의해 규정된다.[11] 공식 지위가 없는 다른 두 가지 서면 형태도 존재한다. 하나는 릭스몰('국가 언어')이라고 불리는데, 오늘날 대부분 보크몰과 같은 언어이지만 덴마크어에 다소 가깝다. 비공식적인 노르웨이 아카데미에 의해 규정된다. 다른 하나는 호그노르스크('고급 노르웨이어')로, 순수주의적인 뉘노르스크 형태이며, 이바르 아센이 제시한 원래 형태로 언어를 유지하고 20세기의 대부분의 개혁을 거부한다. 이 형태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뉘노르스크와 보크몰은 노르웨이어를 쓰는 방법에 대한 표준을 제공하지만, 말하는 방법에 대한 표준은 제공하지 않는다. 구어 노르웨이어의 표준은 공식적으로 승인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노르웨이인들은 모든 상황에서 자신의 방언을 사용한다. 그러나 동부 노르웨이 방언이 사용되는 지역에서는 이 특정 지역 방언에 대한 사실상의 구어 표준인 도시 동부 노르웨이어 또는 표준 동부 노르웨이어(Standard østnorsk|표준 동부 노르웨이어no)를 받아들이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어휘가 보크몰과 일치한다.[12][13] 동부 노르웨이 이외의 지역에서는 이러한 구어 변형이 사용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보크몰은 덴마크어의 노르웨이화된 변종인 반면, 뉘노르스크는 노르웨이 방언을 기반으로 하고 덴마크어에 대한 순수주의적 반대를 보이는 언어 형태이다. ''삼노르스크''라는 공통 언어로 보크몰과 뉘노르스크를 병합하기 위한 일련의 철자 개혁을 통해 폐지된 공식 정책은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모두의 다양한 변종을 만들어냈다. ''릭스몰''로 알려진 비공식적인 형태는 보크몰보다 더 보수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덴마크어에 훨씬 더 가까운 반면, 비공식적인 ''호그노르스크''는 뉘노르스크보다 더 보수적이며 페로어, 아이슬란드어고대 노르드어에 훨씬 더 가깝다.

노르웨이인들은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모두를 교육받는다. 각 학생은 다니는 학교에 따라 모국어 형태가 배정되며, 다른 형태(Sidemål|시데몰no)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필수 학교 과목이 된다.[14] 2005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86.3%가 주로 보크몰을 일상적인 서면 언어로 사용하고, 5.5%가 보크몰과 뉘노르스크를 모두 사용하며, 7.5%가 주로 뉘노르스크를 사용한다. 따라서 13%가 자주 뉘노르스크를 ''쓰고'' 있지만, 대다수는 보크몰보다 뉘노르스크와 더 유사한 방언을 ''말한다''.[15] 일반적으로 뉘노르스크는 서부 노르웨이에서 널리 사용되지만 주요 도시 지역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노르웨이 남부와 동부의 산악 계곡 상류 지역에서도 사용된다. 예를 들어 세테스달, 텔레마르크주(fylke|퓔케no)의 서부 지역 및 할링달, 발드레스, 구드브란달스달렌의 여러 지방 자치 단체가 있다. 다른 곳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지만, 30~40년 전에는 트뢴델라그(노르웨이 중부)와 노르웨이 북부 남부(노르란주)의 많은 농촌 지역에서도 강세를 보였다. 오늘날 뉘노르스크는 19개 노르웨이 주 중 4개 주뿐만 아니라 다른 5개 주의 여러 지방 자치 단체의 공식 언어이다. 노르웨이 방송 공사인 NRK는 보크몰과 뉘노르스크로 방송하며, 모든 정부 기관은 두 가지 서면 언어를 모두 지원해야 한다. 보크몰은 모든 서면 출판물의 92%, 뉘노르스크는 8%(2000)를 차지한다.

보크몰과 뉘노르스크는 모두 다양한 선택적 형태를 가지고 있다. 릭스몰에 가까운 형태를 사용하는 보크몰은 관점에 따라 ''온건한'' 또는 ''보수적인'' 것으로 불리는 반면, 뉘노르스크에 가까운 형태를 사용하는 보크몰은 ''급진적인'' 것으로 불립니다. 뉘노르스크는 원래의 란드스몰에 가까운 형태와 보크몰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고 있다.

5. 음운론

노르웨이어와 스웨덴어의 음성 체계는 유사하지만 방언 간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노르웨이어는 스웨덴어처럼 두 가지 구별되는 음높이 패턴을 가진 높낮이 억양 언어이다. 이러한 패턴은 발음이 동일한 이음절 단어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많은 동부 노르웨이 방언에서 '농부들'을 뜻하는 bønderno는 더 간단한 톤 1을 사용하여 발음되는 반면, '콩' 또는 '기도'를 뜻하는 bønnerno는 더 복잡한 톤 2를 사용한다.[1] 철자법의 차이가 때때로 단어를 구별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최소 쌍은 노르웨이어 표기에는 명시적인 악센트 표시가 없기 때문에 똑같이 쓰여진다.

대부분의 동부 저음 방언에서 억양 1은 첫 음절에 낮고 평평한 음높이를 사용하는 반면, 억양 2는 첫 음절에 높고 급격히 떨어지는 음높이와 두 번째 음절의 시작 부분에 낮은 음높이를 사용한다. 두 억양 모두에서 이러한 음높이 변화는 억양적 성격의 상승(구 억양)에 이어지는데, 이 상승의 크기(및 존재 여부)는 강조 또는 초점을 나타내고, 영어와 같이 어휘 억양이 없는 언어의 일반적인 억양과 기능적으로 일치한다. 그 상승은 억양 구의 마지막 음절에서 절정에 달하고, 대부분의 언어에서 일반적인 발화 종결 하강은 매우 작거나 없어진다.

방언 간의 높낮이 억양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서부 및 북부 노르웨이 대부분(소위 고음 방언)에서 억양 1은 하강하는 반면, 억양 2는 첫 음절에서 상승하고 두 번째 음절이나 음절 경계 부근에서 하강한다. 높낮이 억양(그리고 저음 방언의 특이한 구 억양)은 노르웨이어에 다른 언어와 구별하기 쉬운 "노래하는" 품질을 부여한다. 억양 1은 일반적으로 고대 노르드어에서 단음절이었던 단어에 나타나고, 억양 2는 다음절이었던 단어에 나타난다.

5. 1. 자음

도시 동부 노르웨이어의 자음 음소
순음치음/
치경음
치경구개음후설음연구개음성문음
비음mn(ɳ)ŋ
파열음p bt d(ʈ ɖ)k ɡ
마찰음fsʃ(ʂ)çh
유음ʋl(ɭ)j
탄음ɾ(ɽ)



후설음은 동부 노르웨이 방언에서만 나타나는데, 이는 ɾ와 d, l, n, s, t가 결합하는 연음의 결과이다.

유음 ɾ의 발음은 방언에 따라 다르다. 동부, 중부, 북부 노르웨이 방언에서는 탄음 ɾ이지만, 서부와 남부 노르웨이, 그리고 일부 동부 노르웨이 화자들에게는 연구개음 ʁ 또는 χ이다. 노르웨이 북서부 방언에서는 스페인어의 ㄹ 발음과 같은 떨림소리 r로 발음된다.

5. 2. 모음

우르반 동부 노르웨이어의 모음 음소
철자법IPA설명
a열린 후설 비원순 모음
ai
au
e (단모음),중간 열린 전설 비원순 모음
e (장모음),중간 좁은 전설 비원순 모음
e (약모음)중립모음 (중간 중앙 비원순 모음)
ei,
i (단모음)좁은 전설 비원순 모음
i (장모음)좁은 전설 비원순 모음
o (단모음),좁은 후설 원순 모음
o (장모음),좁은 후설 원순 모음
oi
u좁은 중앙 원순 모음 (좁은 전설 내순 모음)
y (단모음)좁은 전설 원순 모음 (좁은 전설 외순 모음)
y (장모음)좁은 전설 원순 모음 (좁은 전설 외순 모음)
æ (단모음),거의 열린 전설 비원순 모음, 중간 열린 전설 비원순 모음
æ (장모음),거의 열린 전설 비원순 모음, 중간 좁은 전설 비원순 모음
ø (단모음)중간 열린 전설 원순 모음
ø (장모음)중간 좁은 전설 원순 모음
øy
å (단모음)중간 열린 후설 원순 모음
å (장모음)중간 좁은 후설 원순 모음


5. 3. 억양

노르웨이어는 스웨덴어처럼 두 가지 구별되는 음높이 패턴을 가진 높낮이 억양 언어이다. 이러한 패턴은 발음이 동일한 이음절 단어를 구별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많은 동부 노르웨이 방언에서 '농부들'을 뜻하는 bønderno는 더 간단한 톤 1을 사용하여 발음되는 반면, '콩' 또는 '기도'를 뜻하는 bønnerno는 더 복잡한 톤 2를 사용한다.[1] 철자법의 차이가 때때로 단어를 구별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최소 쌍은 노르웨이어 표기에는 명시적인 악센트 표시가 없기 때문에 똑같이 쓰여진다. 대부분의 동부 저음 방언에서 억양 1은 첫 음절에 낮고 평평한 음높이를 사용하는 반면, 억양 2는 첫 음절에 높고 급격히 떨어지는 음높이와 두 번째 음절의 시작 부분에 낮은 음높이를 사용한다. 두 억양 모두에서 이러한 음높이 변화는 억양적 성격의 상승(구 억양)에 이어지는데, 이 상승의 크기(및 존재 여부)는 강조 또는 초점을 나타내고, 영어와 같이 어휘 억양이 없는 언어의 일반적인 억양과 기능적으로 일치한다. 그 상승은 억양 구의 마지막 음절에서 절정에 달하고, 대부분의 언어에서 일반적인 발화 종결 하강은 매우 작거나 없어진다.

방언 간의 높낮이 억양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서부 및 북부 노르웨이 대부분(소위 고음 방언)에서 억양 1은 하강하는 반면, 억양 2는 첫 음절에서 상승하고 두 번째 음절이나 음절 경계 부근에서 하강한다. 높낮이 억양(그리고 저음 방언의 특이한 구 억양)은 노르웨이어에 다른 언어와 구별하기 쉬운 "노래하는" 품질을 부여한다. 억양 1은 일반적으로 고대 노르드어에서 단음절이었던 단어에 나타나고, 억양 2는 다음절이었던 단어에 나타난다.

6. 문법

부크몰(Bokmål)의 egennb (자신의)남성여성중성복수egen/eigennbegen/eiganbeget/eigenbegne/eignenb



관사 형태
뉘노르스크(Nynorsk)의 eigennn (자신의)
남성여성중성복수
eigennneiganneigenneignenn



부크몰의 명사는 보통성과 중성의 두 가지로 분류되지만, 뉘노르스크에서는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 최근에는 뉘노르스크의 영향을 받아 부크몰도 세 가지 성을 구분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성의 차이는 명사에 붙는 관사와 형용사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작은”을 의미하는 형용사는 부크몰에서는 보통성과 중성 명사에 lille|릴레nb를, 남성 명사에 lille/små|릴레/스모nb를 사용하는 반면, 뉘노르스크에서는 남성 명사에 liten|리텐nn, 여성 명사에 lita|리타nn, 중성 명사에 lite|리테nn를 사용한다.

동사는 인칭과 시제에 따라 어미가 변화하지만, 영어에 비하면 불규칙 변화는 적다. 어순은 기본적으로 SVO이지만, V2 규칙에 따라 어느 정도 바뀔 수 있다.

6. 1. 명사

노르웨이어 명사는 수(단수/복수)와 정성(부정/정)에 따라 활용된다. 일부 방언에서는 정명사가 여격으로도 활용된다.

노르웨이어 명사는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명사 종류(성)에 속한다. 부크몰에서는 덴마크어의 영향으로 모든 여성 명사를 남성 명사처럼 활용할 수 있다.[19] 반면 뉘노르스크에서는 여성 명사를 포함한 세 가지 성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20]

모든 노르웨이어 방언은 고대 노르드어에서 유래한 세 가지 문법적 성을 어느 정도 유지해 왔다.[21] 여성 성을 완전히 잃어버린 베르겐 방언과 오슬로 서부의 일부 상류층 방언은 예외이다.[21][22]

마릿 베스테르가르드에 따르면 노르웨이어 명사의 약 80%가 남성이다.[23]

부크몰의 명사 예시
rowspan="2" |단수복수
부정부정
남성en båt|엔 보트nbbåten|보텐nbbåter|보테르nbbåtene|보테네nb
그 배배들그 배들
여성ei/en vogn|에이/엔 보근nbvogna/vognen|보그나/보그넨nbvogner|보그네르nbvognene|보그네네nb
마차그 마차마차들그 마차들
중성et hus|에트 후스nbhuset|후세트nbhus|후스nbhusa/husene|후사/후세네nb
그 집집들그 집들



노르웨이어와 다른 스칸디나비아 언어는 영어처럼 별도의 관사 'the'를 사용하지 않고, 명사의 정성을 나타내는 접미사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부크몰의 거의 모든 명사는 위 예시와 같은 패턴을 따른다.[24]

부크몰의 명사
rowspan="2" |단수복수
부정부정
남성en|엔nb-en|엔nb-er|에르nb-ene|에네nb
여성ei/en|에이/엔nb-a/-en|아/엔nb
중성et|에트nb-et|에트nb-/-er|/에르nb-a/-ene|아/에네nb



반대로 뉘노르스크의 거의 모든 명사는 부크몰보다 명사 성의 구분이 더 뚜렷하며, 아래와 같은 패턴을 따른다.[20]

뉴노르스크의 명사
rowspan="2" |단수복수
부정부정
남성ein|에인nn-en|엔nn-ar|아르nn-ane|아네nn
여성ei|에이nn-a|아nn-er|에르nn-ene|에네nn
중성eit|에이트nn-et|에트nn-a|아nn



뉴노르스크의 명사 예시
rowspan="2" |단수복수
부정부정
남성ein båt|에인 보트nnbåten|보텐nnbåtar|보타르nnbåtane|보타네nn
그 배배들그 배들
여성ei vogn|에이 보근nnvogna|보그나nnvogner|보그네르nnvognene|보그네네nn
마차그 마차마차들그 마차들
중성eit hus|에이트 후스nnhuset|후세nnhus|후스nnhusa|후사nn
그 집집들그 집들



특정 명사의 문법적 성을 추론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없지만, 몇몇 패턴으로 추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ad'로 끝나는 모든 명사는 부크몰과 뉘노르스크 모두에서 남성이다(예: '구직 신청'을 의미하는 jobbsøknad|욥쇠크나드no). '-ing'으로 끝나는 대부분의 명사는 '기대'를 의미하는 forventning|포르벤트닝no처럼 여성이다.

부크몰과 뉘노르스크 모두에서 여러 가지 불규칙 명사가 존재한다.

불규칙 명사, fot(발)[25]
단수복수
부정부정
부크몰en fot|엔 포트nbfoten|포텐nbføtter|푀테르nbføttene|푀테네nb
뉴노르스크ein fot|에인 포트nnfoten|포텐nnføter|푀테르nnføtene|푀테네nn
영어a footthe footfeetthe feet



뉘노르스크에서 fot|포트nn는 남성이지만 복수형에서는 여성 단어처럼 활용된다. 같은 불규칙 활용을 하는 또 다른 단어는 son – søner|손 – 쇠네르nn('아들 – 아들들')이다.

뉘노르스크에서 '-ing'으로 끝나는 명사는 다음 표의 dronning|드론닝nn처럼 일반적으로 남성 복수형 활용을 하지만, 다른 모든 면에서는 여성 명사로 취급된다.[20]

뉴노르스크, 일부 불규칙 명사
-ing으로 끝나는 명사영어
여성ei dronning|에이 드론닝nndronninga|드론닝아nndronningar|드론닝아르nndronningane|드론닝아네nn여왕
움라우트를 사용한 복수형 (이러한 불규칙성은 부크몰에도 존재)
여성ei bok|에이 보크nnboka|보카nnbøker|뵈케르nnbøkene|뵈케네nn
ei hand|에이 한nnhanda|한아nnhender|헨데르nnhendene|헨데네nn
ei stong|에이 스통nnstonga|스통아nnstenger|스텡에르nnstengene|스텡에네nn막대기
ei tå|에이 토nntåa|토아nntær|테르nntærne|테르네nn발가락
어미가 없는 복수형 (이러한 불규칙성은 부크몰에도 존재)
남성ein ting|에인 팅nntingen|팅엔nnting|팅nntinga|팅아nn



현대 노르웨이어에서 소유격은 거의 사라졌고, til fjells|틸 피엘스no('산으로'), til sjøs|틸 셰스no('바다로')와 같은 특정 표현에만 일부 남아있다. 소유를 나타내기 위해 영어의 '-s'와 유사한 접미사 '-s'(첨가어)가 사용된다. Sondres flotte bil|손드레스 플로테 빌no('Sondre의 멋진 차', ''Sondre''는 이름). 또한 재귀 소유 대명사 sin|신no, si|시no, sitt|시트no, sine|시네no가 있다. Det er Sondre sitt|데 에르 손드레 시트no('그것은 Sondre의 것이다'). 보크몰과 현대 뉘노르스크 모두에서 소유를 표시하기 위해 이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지만, 뉘노르스크에서는 재귀 대명사를 사용하는 것이 더 일반적이다. 뉘노르스크에서는 접미사 '-s'와 역사적인 문법적 격의 잔재를 혼합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재귀 소유 대명사의 사용을 권장한다. 재귀 대명사는 성과 수에 따라 명사와 일치한다.

노르웨이어의 접미사 '-s'는 재귀 소유 대명사 sin|신no, si|시no, sitt|시트no, sine|시네no의 축약형으로 발전했다.

예시
노르웨이어 (대명사 사용)노르웨이어 (접미사 -s 사용)영어
Jenta sin bil|옌타 신 빌noJentas bil|옌타스 빌noThe girl's car
Mannen si kone|만넨 시 코네noMannens kone|만넨스 코네noThe man's wife
Gutten sitt leketøy|구텐 시트 레케퇴위noGuttens leketøy|구텐스 레케퇴위noThe boy's toy
Kona sine barn|코나 시네 바른noKonas barn|코나스 바른noThe wife's children
Det er statsministeren sitt|데 에르 스타츠미니스테렌 시트noDet er statsministerens|데 에르 스타츠미니스테렌스noIt is the prime minister's



부크몰어의 명사는 보통성과 중성의 두 가지로 분류되지만, 뉘노르스크어에서는 명사를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 최근에는 뉘노르스크어의 영향을 받아 부크몰어도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을 구분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성의 차이는 명사에 붙는 관사와 형용사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작은”을 의미하는 형용사는 부크몰어에서는 보통성과 중성 명사에 lille|릴레nb을, 남성 명사에 lille/små|릴레/스모nb를 사용하는 반면, 뉘노르스크어에서는 남성 명사에 liten|리텐nn, 여성 명사에 lita|리타nn, 중성 명사에 lite|리테nn를 사용한다.

6. 2. 형용사

노르웨이어 형용사스웨덴어덴마크어와 마찬가지로 정성, 성, 수 및 비교(긍정/비교/최상급)에 따라 어형이 변화한다. 정성에 따른 어형 변화는 게르만어족 언어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약한"과 "강한" 두 가지 패러다임을 따른다.[26]

다음 표는 노르웨이어 형용사의 어형 변화를 요약한 것이다. 부정 긍정 어형은 형용사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아래에 제시된 패러다임이 가장 일반적이다.[26]

노르웨이어 형용사의 어형 변화 패턴
rowspan="3" |긍정비교급최상급
부정정성
일반중성복수부정정성
보크몰--t-e-ere-est-este
뉘노르스크-are-ast-aste



술어 형용사는 부정 어형 표에만 따르며, 서술어 형용사와 달리 정성에 따라 어형이 변화하지 않는다.

형용사 형태, 예시: grønn|그뢴nb/grøn|그뢴nn ('녹색'), pen|펜no ('예쁜'), stjålet|스퇄레트nb/stolen|스톨렌nn ('훔친')
rowspan="3" |긍정비교급최상급
부정정성
일반중성복수부정정성
보크몰grønn|그뢴nbgrønt|그뢴트nbgrønne|그뢴네nbgrønnere|그뢴네레nbgrønnest|그뢴네스트nbgrønneste|그뢴네스테nb
뉘노르스크grøn|그뢴nngrøne|그뢰네nngrønare|그뢰나레nngrønast|그뢰나스트nngrønaste|그뢰나스테nn
영어greengreenergreenest
보크몰pen|펜nbpent|펜트nbpene|페네nbpenere|페네레nbpenest|페네스트nbpeneste|페네스테nb
뉘노르스크pen|펜nnpene|페네nnpenare|페나레nnpenast|페나스트nnpenaste|페나스테nn
영어prettyprettierprettiest
보크몰stjålet/stjålen|스퇄레트/스퇄렌nbstjålet|스퇄레트nbstjålne|스퇄네nb
뉘노르스크stolen|스톨렌nnstole|스톨레nnstolne|스톨네nn
영어stolen



대부분의 방언에서 형용사로 사용되는 일부 동사의 과거분사는 정성과 복수형에서 별도의 형태를 가지며,[27] 때로는 남성-여성 단수에서도 별도의 형태를 갖는다. 일부 남서부 방언에서는 정성 형용사가 여성과 복수형에 대한 하나의 형태와 남성과 중성에 대한 하나의 형태로 성과 수에 따라 어형이 변화하기도 한다.

노르웨이어의 모든 방언과 문어체에서, 독일어네덜란드어와 같은 관련 언어와는 달리, 서술 형용사의 일치가 나타난다.[30] 이러한 서술 형용사의 일치는 스칸디나비아 언어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서술 형용사는, 관형 형용사와 달리, 정성에 따라 어형이 변화하지 않는다.

즉, 보어 동사가 사용될 때, 명사는 형용사와 일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보크몰에서 "være|베레nb"(~이다), "bli|블리nb"(~이 되다), "ser ut|세르 우트nb"(~처럼 보이다), "kjennes|셴네스nb"(~처럼 느껴지다) 등이 있다.

형용사 일치, 예시
노르웨이어 (보크몰)영어
남성Bilen var grønn|빌렌 바르 그뢴nbThe car was green
여성Døra er grønn|되라 에르 그뢴nbThe door is green
중성Flagget er grønt|플라게 에르 그뢴트nbThe flag is green
복수Blåbærene blir store|블로베레네 블리르 스투레nbThe blueberries will be big



보크몰어의 명사는 보통성과 중성의 두 가지로 분류되지만, 뉘노르스크어에서는 명사를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로 분류한다. 최근에는 뉘노르스크어의 영향을 받아 보크몰어도 남성, 여성, 중성의 세 가지 성을 구분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러한 성의 차이는 명사에 붙는 관사와 형용사의 변화에 영향을 준다. 예를 들어, “작은”을 의미하는 형용사는 보크몰어에서는 보통성과 중성 명사에 lille을, 남성 명사에 lille/små를 사용하는 반면, 뉘노르스크어에서는 남성 명사에 lille, 여성 명사에 lita, 중성 명사에 lite를 사용한다.

6. 3. 동사

노르웨이어 동사영어나 대부분의 유럽 언어와 달리 인칭이나 에 따라 활용되지 않는다. 다만, 몇몇 노르웨이 방언에서는 수에 따라 활용되는 경우가 있다. 노르웨이어 동사는 주로 직설법, 명령법, 가정법의 세 가지 법에 따라 활용된다. 하지만 가정법은 거의 사용되지 않으며, 몇몇 관용적인 표현에서만 주로 발견된다.[31] 명령법은 다른 스칸디나비아어와 마찬가지로 동사 원형의 마지막 모음을 제거하여 형성된다.

직설법 동사는 현재 시제, 과거 시제, 미래 시제와 같은 시제에 따라 활용된다. 현재 시제와 과거 시제는 동사 원형에 대한 수동태 형태도 가지고 있다.

비한정 동사 형태에는 원형, 수동태 원형, 그리고 완료 분사(과거 분사)와 미완료 분사(현재 분사)의 두 가지 분사가 있다.

분사는 동사 형용사이다. 미완료 분사는 활용되지 않지만, 완료 분사는 강세를 가진 긍정 형용사처럼 (단, 보크몰은 제외)과 에 따라 활용된다. 분사의 정관사 형태는 복수형과 동일하다.

다른 게르만어와 마찬가지로 노르웨이어 동사는 약동사와 강동사의 두 가지 활용 형태로 나눌 수 있다.

뉘노르스크어 동사 형태
levann ('살다')와 finnann ('찾다')
rowspan="4" |한정 동사비한정 동사
직설법가정법명령법동명사동사 형용사(분사)
현재 시제과거 시제원형미완료 분사완료 분사
남성여성중성복수/정관사
능동태levernnlevdennlevennlevnnlevannlevandennlevdnnlevtnnlevdenn
finnnnfannnnfinnnnfinnann(har) funnennfunnennnfunnenn
수동태levestnnlevdestnnlevastnn
finstnnfanstnnfinnastnn(har) funnestnn



보크몰어 동사 형태
å levenb ('살다')와 å finnenb ('찾다')
rowspan="4" |한정 동사비한정 동사
직설법가정법명령법동명사동사 형용사(분사)
현재 시제과거 시제원형미완료 분사완료 분사
단수복수/정관사
능동태levernblevde/levetnblevenblevnblevenblevendenblevdnblevde/levetnb
finnernbfantnbfinnnbfinnenb(har) funnetnbfunnetnbfunnenb
수동태levesnblevdesnblevesnb
fins/finnesnbfantesnbfinnesnb(har funnesnb



보크몰뉘노르스크에는 모두 능격 동사가 있는데,[32] 동사가 목적어를 취하는지 여부에 따라 두 가지 다른 활용 패턴이 있다. 보크몰에서는 강동사의 과거 시제에 대해 두 가지 활용만 있지만, 뉘노르스크스웨덴어와 대부분의 노르웨이 방언처럼 모든 시제에 대해 다른 활용을 한다. 일부 약동사도 능격 동사이며, 보크몰뉘노르스크 모두 모든 시제에서 구분된다. 예를 들어 ligge/leggenb는 모두 '눕다'라는 뜻이지만, liggenb는 목적어를 취하지 않고 leggenb는 목적어가 필요하다. Leggenb는 영어 동사 'lay'에 해당하고, liggenb는 영어 동사 'lie'에 해당한다. 그러나 영어 동사로 직접 번역할 수 없는 동사가 많다.

능격 동사 knekkenb ('crack', 깨뜨리다)
노르웨이 보크몰영어
Nøtta knakknbThe nut cracked (견과류가 갈라졌다)
Jeg knekte nøttanbI cracked the nut (내가 견과류를 갈랐다)
Jeg liggernbI'm lying down (나는 누워 있다)
Jeg legger det nednbI'll lay it down (내가 그것을 내려놓겠다)



동사는 인칭과 시제에 따라 어미가 변화하지만, 영어에 비하면 불규칙 변화는 적다. 어순은 기본적으로 SVO이지만, 어순을 어느 정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SVO인 것은 아니다.

6. 4. 대명사

노르웨이어의 인칭 대명사는 격에 따라 활용되며, 주격과 목적격이 있다. 영어와 마찬가지로, 보크몰과 뉘노르스크에서 대명사는 격 변화를 갖는 유일한 범주이다. 명사에서 여격을 보존한 일부 방언에서는 인칭 대명사에서 목적격 대신 여격을 사용하는 반면, 다른 방언에서는 대명사에 목적격을, 명사에 여격을 사용하여, 사실상 이러한 방언에 세 가지 뚜렷한 격을 부여한다.[33]

Norsk referansegrammatikk에서는 인칭, 성, 수에 따른 인칭 대명사의 분류를 굴절로 간주하지 않는다. 대명사는 노르웨이어에서 폐쇄어휘계열이다.

2017년 12월부터 중성 대명사 henno이 노르웨이어 학회 사전(NAOB)에 등재되었다.[33] 2022년 6월, 노르웨이 언어위원회(Språkrådet)[34][35]는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노르웨이어 표준 모두에 henno을 포함하기 시작했다.

보크몰의 대명사
colspan="3" rowspan="3" |주어 형태목적어 형태소유격
단수복수
남성여성중성
단수1인칭jegnbmegnbminnbminbmittnbminenb
2인칭dunbdegnbdinnbdinbdittnbdinenb
3인칭남성, 생동적hannbham/hannbhansnb
여성, 생동적hunnbhennenbhennesnb
중성, 생동적hennbhennbhensnb
남성/여성, 생명없는dennbdensnb
중성, 생명없는detnbdetsnb
재귀적segnbsinnbsinbsittnbsinenb
복수1인칭vinbossnbvårnbvårtnbvårenb
2인칭derenbderesnb
3인칭비재귀적denbdemnbderesnb
재귀적segnbsinnbsinbsittnbsinenb



뉘노르스크의 대명사
colspan="3" rowspan="3" |주어 형태목적어 형태소유격
단수복수
남성여성중성
단수1인칭egnnmegnnminnnminnmittnnminenn
2인칭dunndegnndinnndinndittnndinenn
3인칭남성hannnhannnhansnn
여성honnhonnhennarnn
중성, 생동적hennnhennnhensnn
중성, 생명없는detnndetnn(dessnn)
재귀적segnnsinnnsinnsittnnsinenn
복수1인칭vi/mennossnnvårnnvårtnnvårenn
2인칭de/dokkernndykk/dokkernndykkar/dokkarnn
3인칭비재귀적deinndeirann
재귀적segnnsinnnsinnsittnnsinenn



'나의', '너의' 등의 단어는 설명되는 명사의 성에 따라 달라진다. 형용사와 마찬가지로, 명사와 성에 일치해야 한다.

보크몰에는 3인칭 대명사가 두 가지 있다. Hannb과 hunnb은 각각 남성과 여성 개인을 가리키고, dennb과 detnb은 각각 남성/여성 또는 중성의 비인칭 또는 생명 없는 명사를 가리킨다. 반대로, 뉘노르스크와 대부분의 방언은 독일어, 아이슬란드어, 고대 노르드어와 마찬가지로 인칭과 비인칭 참조 모두에 대해 hannn('그'), honn('그녀'), detnn('그것')과 같은 대명사 집합을 사용한다. Detno은 영어 예문 '''''it''' rains''와 '''''it''' was known by everyone '''(that) he had travelled the world'''''처럼 삽입 및 전향적 용법도 있다.

뉘노르스크와 보크몰에서 '그것' 대명사 사용 예
뉘노르스크보크몰영어
Kor er boka mi? Ho er hernnHvor er boka mi? Den er hernb내 책 어딨어? 그것 여기 있어.
Kor er bilen min? Han er hernnHvor er bilen min? Den er hernb내 차 어딨어? 그것 여기 있어.
Kor er brevet mitt? Det er hernnHvor er brevet mitt? Det er hernb내 편지 어딨어? 그것 여기 있어.



소유 대명사의 어순은 스웨덴어나 덴마크어보다 다소 자유롭다. 형용사가 없을 경우, 가장 일반적인 어순은 위 표의 예에서와 같이 소유 대명사가 명사 뒤에 오고 명사는 정관사 형태를 취하는 것이다. boka mino ('내 책'). 명사의 소유주를 강조하려면 일반적으로 소유 대명사를 먼저 배치한다. 그러나 부크몰(Bokmål)은 덴마크어의 영향을 받아 소유 대명사를 항상 먼저 쓸 수 있다: min bilnb ('내 차'), 하지만 이것은 매우 형식적으로 들릴 수 있다. 덴마크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일부 방언도 이렇게 한다. 베룸(Bærum)과 오슬로 서부의 일부 화자들은 항상 이 어순을 사용할 수 있다. 명사를 꾸미는 형용사가 있으면 소유 대명사는 항상 먼저 온다: min egen bilno ('내 자신의 차').

노르웨이어 (부크몰/뉴노르스크)영어
Det er mi bok!noIt is my book! (소유주 강조)
Kona mi er vakkernoMy wife is beautiful
dinno, dino, dittno (yours)


6. 5. 어순

노르웨이어 구문은 주로 SVO 어순을 따른다. 주어가 문장의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하고, 그 뒤에 동사, 그리고 목적어가 온다. 다른 많은 게르만어와 마찬가지로 V2 규칙을 따르는데, 이는 유한 동사가 문장에서 항상 두 번째 요소가 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V2 규칙의 예외는 종속절과 의문문 구절이다.

동사는 인칭과 시제에 따라 어미가 변화하지만, 영어에 비하면 불규칙 변화는 적다. 어순은 기본적으로 SVO이지만, 어순을 어느 정도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SVO인 것은 아니다.

7. 방언

지도는 주요 그룹 내 노르웨이 방언의 분포를 보여줍니다.


노르웨이 방언은 문법, 구문, 어휘 및 발음의 차이가 광범위하여 그 수를 추정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이러한 차이는 지리적 경계를 넘어 농장 단위 수준에서도 독특한 방언을 만들어낼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방언이 너무 달라서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많은 언어학자들은 지역 수준의 차이를 줄이는 방언의 지역화 경향을 지적하지만,[18] 최근에는 방언 보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노르웨이는 산악 지대와 피오르가 많은 지형적 특성으로 인해 각 지역마다 독특한 방언이 많다. 노르웨이 사람들은 출신 지역의 방언 어휘, 어형, 발음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며, 주변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방언의 사회적 지위도 높다.

주요 방언으로는 북노르웨이어 방언(Nordnorsk), 트론헤임 방언(Trøndersk), 서노르웨이어 방언(Vestlandsk), 동노르웨이어 방언(Østlandsk)의 4가지 또는 중부 노르웨이어 방언(Midlandsmål)을 포함한 5가지가 있으며, 하위 구분을 포함하면 훨씬 더 많은 방언이 있다.

참조

[1] 서적 The Norwegian Language in the Digital Age Springer Berlin Heidelberg 2012
[2] 웹사이트 Older Runic https://glottolog.or[...] 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 2022-11-13
[3] 웹사이트 Konvention mellan Sverige, Danmark, Finland, Island och Norge om nordiska medborgares rätt att använda sitt eget språk i annat nordiskt land http://www.norden.or[...] 2008-05-04
[4] 웹사이트 20th anniversary of the Nordic Language Convention http://www.norden.or[...] 2007-04-25
[5] 웹사이트 Scandinav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2016-09-11
[6] 웹사이트 The Norwegian language https://www.ntnu.edu[...] 2016-09-11
[7] 웹사이트 Norwegian Translation. Danish to Norwegian https://www.translat[...] 2024-07-28
[8] 간행물 Bokstaver og alfabet http://www.sprakrade[...] 2018-06-23
[9] 백과사전 circumflex https://snl.no/cirku[...] 2023-12-01
[10] 백과사전 aksenttegn og andre diakritiske tegn https://snl.no/aksen[...] 2023-12-01
[11] 웹사이트 Lov om språk (språklova) - Lovdata https://lovdata.no/d[...] 2024-02-29
[12] 간행물 Om begrepene språklig standard og språklig standardisering http://ojs.statsbibl[...] 2018-06-23
[13] 서적 The Phonology of Norwegian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4] 웹사이트 Læreplan i norsk (NOR1-05) https://www.udir.no/[...] 2018-07-19
[15] 간행물 Dialekt og normaltalemålet http://www.apollon.u[...] 2009-01-12
[16] 논문 Digital Language Death 2013
[17] 뉴스 How the Internet is killing the world's languages https://www.washingt[...] 2013
[18] 백과사전 dialekter i Norge 2017-02-01
[19] 웹사이트 Grammatisk kjønn og variasjon i norsk http://www.sprakrade[...] 2019-06-17
[20] 웹사이트 Språkrådet http://elevrom.sprak[...] 2018-07-14
[21] 백과사전 dialekter i Bergen http://snl.no/dialek[...] 2019-06-17
[22] 백과사전 dialekter og språk i Oslo http://snl.no/dialek[...] 2018-07-14
[23] 뉴스 Do we really need grammatical gender? https://partner.scie[...] 2019-10-11
[24] 웹사이트 Bøying https://www.ressurss[...] 2018-07-14
[25] 웹사이트 Bokmålsordboka Nynorskordboka https://ordbok.uib.n[...] 2018-07-14
[26] 웹사이트 Språkrådet http://elevrom.sprak[...] 2018-07-17
[27] 서적 Norwegian grammar Aschehoug 1977
[28] 웹사이트 1 Repetisjon https://www.ntnu.edu[...] 2018-07-14
[29] 웹사이트 Språkrådet http://elevrom.sprak[...] 2018-07-12
[30] 웹사이트 Predikativ https://ressurssiden[...] 2018-07-14
[31] 백과사전 modus – grammatikk http://snl.no/modus_[...] 2019-06-18
[32] 웹사이트 Språkrådet http://elevrom.sprak[...] 2018-07-14
[33] 웹사이트 Det Norske Akademis ordbok https://naob.no/ordb[...] 2022-09-14
[34] 웹사이트 Hen http://www.sprakrade[...] 2022-09-14
[35] 웹사이트 Ordbøkene.no – Bokmålsordboka og Nynorskordboka https://ordbokene.no[...] 2022-09-14
[36] 웹사이트 andre https://ordbokene.no[...] 2024-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