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어근은 단어의 핵심적인 의미를 나타내는 부분으로, 다양한 언어에서 나타난다. 어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접사나 어미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생성하기도 하며, 언어에 따라 어근의 형태와 사용 방식에 차이가 있다. 영어는 'run'과 같이 어근이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는 반면, 'rupt'처럼 다른 형태와 결합해야 의미를 갖는 경우도 있다. 셈어족 언어는 자음 어근을 기반으로 모음과 접사를 결합하여 단어를 생성하며, 2차 어근은 어근의 변형을 통해 파생된다. 또한, 어근이 문법적 정보를 거의 담고 있지 않은 '범주 중립적'으로 간주되기도 하며, 언어에 따라 어근의 해석 방식이 다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형태론 - 첩어
첩어는 형태소의 반복 또는 유사 형태를 통해 복수, 강조, 반복 동작, 의미 축소, 신규 단어 형성, 어조 및 뉘앙스 부여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여러 어족과 언어에서 나타나는 보편적인 언어 현상이다. - 형태론 - 형태소
의미를 가지는 최소 단위인 형태소는 실질/형식 형태소, 자립/의존 형태소 등으로 나뉘며, 근원 형태소, 불구 형태소, 영 형태소 등이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2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어근 | |
---|---|
언어학적 정보 | |
정의 | 단어의 의미를 전달하는 최소 단위 |
구성 요소 | 음운 형태소 |
형태론적 지위 | 단어를 구성하는 기본 요소 |
관련 개념 | 바탕꼴 파생어 굴절 접사 단어 |
예시 | 한국어의 '먹-' (먹다, 먹었다, 먹을 것이다 등) |
추가 정보 | |
설명 | 어근은 단어의 핵심 의미를 담고 있으며,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를 형성함. 어근은 단어의 기저를 이루는 형태로, 더 이상 분석할 수 없는 가장 기본적인 의미 단위임. |
특징 | 어근은 단어의 의미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함. 어근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음. 어근은 언어마다 다양한 형태와 의미를 가질 수 있음. |
2. 어근과 어간의 관계
어간은 단어에서 활용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어근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국어의 예를 들면, '먹다'의 어간은 '먹-'이고, '먹었다'의 어간은 '먹었-'이다. 이때, '먹-'은 어근에 해당한다.
언어별로 어근의 형태와 기능은 다르게 나타난다.
3. 다양한 언어의 어근
영어의 어근은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한 것('run')과 불가능한 것('-rupt')으로 나뉜다. 셈어의 어근은 주로 3개의 자음으로 구성되며(자음 어근), 모음을 삽입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든다. 예를 들어, 히브리어 자음 어근 ג-ד-ל (ג-ד-ל|g-d-lhe)는 '크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다양한 단어를 파생시킨다.
인도・유럽어족에서는 동사 활용이나 명사 변화 시 어간 부분의 모음이 교체되는 현상(아프라우트, 움라우트)이 나타난다. 예를 들어 영어 'mouse'의 복수형은 'mice'이다. 일본어에서도 「か'''ざ'''むき」는 「か'''ぜ'''」와 「むき」로 이루어져 모음 교체가 일어난다.
셈어족의 어근은 3개의 자음으로 구성되며, 모음이나 접사를 추가하여 다양한 단어를 만든다. 히브리어 어근 "ג ד ל (g-d-l)"은 '크다'라는 개념을 나타내며, "גדל(gadal, 그는 자랐다)" 등의 단어가 파생된다. 아랍어의 경우도 이와 유사하다.
어근을 명확히 하는 것은 어원 연구에서 중요하며, 어근은 재구성된 어근과 함께 어원의 도구가 될 수 있다.[4]
3. 1. 영어
영어의 어근은 주로 라틴어나 그리스어에서 유래한 것이 많으며,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와 그렇지 않은 형태로 나뉜다.
셈어의 어근은 자음 어근이라고 불리며, 영어와는 다른 특징을 보인다. 자음 어근은 보통 3개(최소 2개, 최대 5개)의 자음으로 구성되며, 모음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새로운 단어를 만든다. 예를 들어, 히브리어의 자음 어근 ג-ד-ל (ג-ד-ל|g-d-lhe)는 '크다'라는 의미를 가지며, גָּדוֹל|'''g'''a'''d'''o'''l'''he (큰, 남성형), גְּדוֹלָה|'''g'''d'''o'''l'''a'''he (큰, 여성형), גָּדַל|'''g'''a'''d'''a'''l'''he (그는 자랐다), הִגְדִּיל|'''hi'''g'''d'''i'''l'''he (그는 확대했다), מַגְדֶּלֶת|'''ma'''g'''d'''e'''l'''et'''he (확대경), גֹּדֶל|'''g'''o'''d'''e'''l'''he (크기), מִגְדָּל|'''mi'''g'''d'''a'''l'''he (탑) 등의 단어를 파생시킨다.
어근과 재구성된 어근은 어원 연구에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4]
3. 2. 일본어
인도・유럽어족에서는 동사의 활용이나 명사의 변화를 수반하는 어간 부분의 모음교체 (아프라우트, 움라우트)가 나타난다. 예를 들어 영어에서 'mouse'의 복수형은 'mice'이며, 이 경우의 어근은 'mouse'이다. 일본어에서도 예를 들어 「か'''ざ'''むき」는 「か'''ぜ'''」와 「むき」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결에 의한 모음 교체가 있다.
3. 3. 셈어족 (히브리어, 아랍어 등)
셈어족의 어근은 주로 3개의 자음으로 구성되며, 이 자음 어근에 모음을 붙이거나 접사(관통 접사, 접두사, 접미사)를 추가하여 다양한 단어를 파생시킨다.[4] 자음 어근은 추상적인 의미를 나타내며, 구체적인 단어의 형태는 모음과 접사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히브리어의 어근 "ג ד ל (g-d-l)"은 '크다'라는 개념을 나타내며, 여기서 "גדל(gadal, 그는 자랐다)", "הגדיל(higdil, 그는 과장해서 말했다)" 등의 단어가 파생된다.
아랍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이와 유사한 경우는 셈어족의 다른 언어, 예를 들어 히브리어, 시리아어, 아람어, 말타어 그리고 다소 적은 정도로 암하라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히브리어에서도 유사한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현대 히브리어(이스라엘 히브리어) מ-ק-מ|m-q-mhe '위치시키다'는 구약 히브리어 מקום|måqomhe '장소'에서 유래하며, 그 어근은 ק-ו-מ|q-w-mhe '서다'이다. 히브리어 학회에서 최근 도입한 예로는 מדרוג|midrúghe '평점'이 있는데, 이는 מדרג|midrághe에서 유래하며, 그 어근은 ד-ר-ג|d-r-ghe '등급을 매기다'이다.[6]
4. 2차 어근
2차 어근은 기존 어근에 변화를 주어 새로운 의미를 가진 단어를 생성하는 어근이다. 주로 아랍어와 히브리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모음 변화, 장모음 추가/제거, 접사 추가 등의 방법으로 생성된다.[6] 아브자드 문자를 사용하는 언어에서는 2차 어근이 언어의 기본을 이루며, 단일 어근에서 파생될 수 있는 2차 어근의 수에는 규칙이 없다. 어떤 어근은 몇 개의 2차 어근만 가지지만, 다른 어근은 많은 2차 어근을 가지며, 이 중 일부는 현재 사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영어의 '지휘하다'에서 파생된 '지휘자(conductor)'도 2차 어근의 예시로 볼 수 있다.
4. 1. 아랍어의 예시
아랍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مركز|mrkz|markazaar는 '중앙의(남성, 단수)'를 의미하며, [markaz] '중심'에서 유래하고, [rakaza] '땅에 심다, (창을) 세우다'(ر-ك-ز | r-k-z)에서 유래한다. 여기에서 파생된 단어로는 مركزي|markaziyar('중앙의'), مركزية|markaziy:ahar('중앙주의' 또는 '중앙집중화'), 그리고 لامركزية|la:markaziy:ahar('분권화')가 있다.[5]
- أرجح|rjh|ta'arjaħaar는 '흔들리다(남성, 단수)'를 의미하며, ['urju:ħa] '흔들림(명사)'에서 유래하고, [rajaħa] '무게가 실리다, 우세하다(남성, 단수)'(ر-ج-ح | r-j-ħ)에서 유래한다.
- محور|mhwr|tamaħwaraar는 '중심을 이루다, 집중되다(남성, 단수)'를 의미하며, [mihwar] '축'에서 유래하고, [ħa:ra] '회전하다(남성, 단수)'(ح-و-ر | h-w-r)에서 유래한다.
- مسخر|msxr|tamasxaraar는 '조롱하다, 놀리다(남성, 단수)'를 의미하며, مسخرة|masxaraar '조롱'에서 유래하고, سخر|saxiraar '조롱하다(남성, 단수)'(س-خ-ر[s-x-r]에서 유래)에서 유래한다.[6]
이와 유사한 경우는 셈어족의 다른 언어, 예를 들어 히브리어, 시리아어, 아람어, 말타어 그리고 다소 적은 정도로 암하라어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4. 2. 히브리어의 예시
히브리어에서도 유사한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현대 히브리어(이스라엘 히브리어) מ-ק-מ|√m-q-mhe '위치시키다'는 구약 히브리어 מקום|måqomhe '장소'에서 유래하며, 그 어근은 ק-ו-מ|√q-w-mhe '서다'이다. 히브리어 학회에서 최근 도입한 예로는 מדרוג|midrúghe '평점'이 있는데, 이는 מדרג|midrághe에서 유래하며, 그 어근은 ד-ר-ג|√d-r-ghe '등급을 매기다'이다.[6]랍비 히브리어 ת-ר-מ|√t-r-mhe '기증하다, 기여하다'(미슈나: 트루모트 1:2: '제사장에게 드리는 몫을 따로 떼어놓다')는 구약 히브리어 תרומה|t'rūmåhe '헌금'에서 유래하며, 그 어근은 ר-ו-מ|√r-w-mhe '들어올리다'이다. 랍비 히브리어 ת-ר-ע|√t-r-'he '나팔을 불다, 뿔피리를 불다'는 구약 히브리어 תרועה|t'rū`åhe '외침, 울음, 큰 소리, 나팔 소리'에서 유래하며, 이는 다시 ר-ו-ע|√r-w-`he에서 유래한다.[6]
5. 범주 중립적 어근
일부 언어학 이론에서는 어근이 문법적 범주(명사, 동사 등)를 갖지 않고, 개념적 내용만 담고 있다는 "범주 중립적 어근" 개념을 제시한다.[7] 이러한 어근은 통사적 환경에 따라 명사나 동사 등 특정 범주로 기능하게 된다.[7] 분포 형태론과 외골격 모델에서 이러한 어근이 어휘 범주를 얻는 방식을 다룬다.
어근과 재구성된 어근은 어원의 도구가 될 수 있다.[4] 2020년 현재, 범주 중립적 접근 방식을 채택하는 이론들은 이러한 어근이 의미 유형은 포함하지만 논항 구조는 포함하지 않는지,[8] 의미 유형과 논항 구조 모두 포함하지 않는지,[9] 아니면 의미 유형과 논항 구조 모두 포함하는지에 대해 아직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10]
Alexiadou와 Lohndal (2017)은 어근과 그 의미에 관해서 언어가 유형론적 척도를 가지고 있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그리스어가 히브리어와 영어의 중간에 있다고 말한다.[12]
5. 1. 영어의 예시
영어에서 어근은 단어의 의미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영어는 형태론적 전략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며, 어근과 동일한 단어를 가지는 경향이 있다.분해적 생성적 틀에서는 어근이 거의 문법적 정보를 담고 있지 않으며 "범주 중립적"이라고 본다.[7] 범주 중립적 어근은 고유한 어휘 범주는 없지만, 통사적 환경에 따라 명확해지는 어떤 개념적 내용을 가진다.[7]
범주 중립적 접근 방식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영어에서는 동일한 기저 어근이 명사와 동사로 나타나는데, 명시적인 형태소가 있거나 없을 수 있다.[7]
어근 | 명사 | 동사 |
---|---|---|
advertise | advertisement (광고) | advertise (광고하다) |
character | character (등장인물) | characterize (특징짓다) |
employ | employment (고용) | employ (고용하다) |
alphabet | alphabet (알파벳) | alphabetize (알파벳 순으로 정리하다) |
어근 | 명사 | 동사 |
---|---|---|
dance | dance (춤) | dance (춤추다) |
walk | walk (산책) | walk (걷다) |
chair | chair (의자) | chair (의장을 맡다) |
wardrobe | wardrobe (옷장) | wardrobe (옷을 갈아입히다) |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명시적 형태소의 유무에 따라 어근은 명사 또는 동사로 기능할 수 있다.
5. 2. 히브리어의 예시
히브리어에서 대부분의 어근은 자음군 √CCC로 구성된다. Arad (2003)는 자음 어근이 패턴 형태론에 의해 단어로 변형된다고 설명한다. 즉, 어근은 "v" 특징(패턴)을 지닌 머리가 있는 동사 환경에 배치될 때 동사로 변형된다.[11]√š-m-n (ש-מ-נ) 어근을 살펴보자.
패턴 | 발음되는 단어 | 의미 |
---|---|---|
CeCeC (n) | šemen | 기름, 그리스 |
CaCCeCet (n) | šamenet | 크림 |
CuCaC (n) | šuman | 지방 |
CaCeC (adj) | šamen | 기름진 |
hiCCiC (v) | hišmin | 살찌다/살찌게 하다 |
CiCCeC (n) | šimen | 기름 |
모든 단어의 의미는 다르지만, 기름지고 지방이 많은 물질이라는 일반적인 의미는 어근에 기인할 수 있다.
Arad는 어근 해석에 있어 두 가지 유형의 언어가 있다고 말한다. 영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어근에 하나의 해석이 할당되는 반면, 히브리어와 같은 언어에서는 어근의 해석이 환경에 따라 여러 개가 될 수 있다. 이는 두 언어 간의 언어 습득 차이를 보여준다. 영어 사용자는 서로 다른 두 단어를 이해하기 위해 두 개의 어근을 학습해야 하지만, 히브리어 사용자는 두 개 이상의 단어에 대해 하나의 어근만 학습하면 된다.[11]
영어 어근 | 영어 단어 | 히브리어 어근 | 히브리어 단어 | 의미 |
---|---|---|---|---|
√CREAM | 크림 | √š-m-n ש-מ-נ | šamenet | '크림' |
√FAT | 지방 | √š-m-n ש-מ-נ | šuman | '지방' |
6. 어원 연구와 어근
어근을 밝히는 것은 어원 연구에서 중요한 과정이다. 어근은 현재 또는 과거 어느 시점의 공시적 언어 분석에서 명확해지는 것도 있지만, 비교언어학 등의 통시적 분석에서 처음으로 명확해지는 어근도 있다.
참조
[1]
서적
Morphology
Palgrave Macmillan
2006
[2]
웹사이트
Root
https://glossary.sil[...]
2015-12-03
[3]
웹사이트
Words in English: Structure
http://www.ruf.rice.[...]
2018-12-26
[4]
서적
The Oxford Guide to Etymolog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5]
서적
Dictionary of Modern Written Arabic
https://archive.org/[...]
Spoken Language Services
2020-03-12
[6]
서적
Language Contact and Lexical Enrichment in Israeli Hebrew
http://www.palgrave.[...]
Palgrave Macmillan
2014-02-01
[7]
학술지
Syntactic Categorization of Roots
2020-02-28
[8]
학술지
The ontology of roots and verbs
2014-11-27
[9]
학술지
Roots and Lexicality in Distributed Morphology
http://hdl.handle.ne[...]
University of York. Department of Language and Linguistic Science
2009-05
[10]
학술지
Building verbs in Chuj: Consequences for the nature of roots
2019-02-01
[11]
학술지
Locality Constraints on the Interpretation of Roots: The Case of Hebrew Denominal Verbs
2003
[12]
학술지
On the division of labor between roots and functional structure
2017-05-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