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게르만어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르만어파는 인도유럽어족에 속하는 언어들의 한 갈래로, 기원전 500년경 원게르만어에서 분화되어 서, 동, 북 게르만어파로 나뉘었다. 오늘날 영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등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으로 약 5억 1500만 명이 사용하며, 영어는 국제 공용어로서, 독일어는 유럽 연합 내에서 중요한 언어로서 그 위상을 지닌다. 게르만어파는 그림의 법칙과 베르너의 법칙과 같은 음운 변화, 약변화와 강변화로 구분되는 동사 활용, 그리고 다양한 명사 격 변화 등 고유한 문법적 특징을 보인다. 한국에서는 영어와 독일어가 주요 외국어로 교육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게르만어파 - 게르만조어
    게르만조어는 기원전 5세기에 성립된 게르만어파의 조상 언어이며, 게르만족의 이동과 함께 주변 언어에 영향을 주고 서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으로 분화되었다.
  • 게르만어파 - 고대 작센어
    고대 작센어는 5세기경 작센인에 의해 사용되었으며, 고대 영어, 고대 프리지아어와 관련이 있고, 중세 저지 독일어로 진화했으며, 굴절어이며 헬리안트 등의 문학 텍스트가 존재한다.
  • 인도유럽어족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는 이탈리아와 산마리노를 중심으로 사용되며 바티칸 시국과 스위스 일부 지역에서도 공용어인, 토스카나 방언 기반으로 표준어가 형성된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
  • 인도유럽어족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언어에 관한 - 네팔어
    네팔어는 데바나가리 문자로 표기되며, 산스크리트어와 프라크리트어의 영향을 받았으며, 10세기에서 14세기 사이에 나타나, 20세기 이후 표준화 과정을 거쳐 현대 네팔어로 자리 잡았으며, 인도 내 네팔어 사용자들의 권익 신장에 기여했다.
  • 언어에 관한 - 슬로바키아어
    슬로바키아어는 슬로바키아의 공용어이자 약 500만 명이 사용하는 서슬라브어군 언어로, 라틴 문자 기반의 고유한 문자를 사용하며 체코어와 유사하고 폴란드어 등 다른 슬라브어와도 연관성을 가진다.
게르만어파
지도 정보
유럽 게르만어파 언어 지도
유럽 게르만어파 언어
게르만어파 언어 분포 지도
세계 게르만어파 언어 분포
언어 정보
언어 계통인도유럽어족
조상 언어원시 게르만어
주요 지역전 세계, 주로 북부, 서부, 중부 유럽, 아메리카, 남아프리카, 남아시아, 동남아시아, 오세아니아
ISO 639-2gem
ISO 639-5gem
글롯톨로그germ1287
링구아리스트52- (phylozone)
하위 언어
주요 분파북게르만어군
서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사어)
언어 계통 (별도 표기)
어족인도유럽어족
하위 분파동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
서게르만어군

2. 역사

게르만어파는 모두 가상의 게르만 조어에서 파생된 것으로 생각된다. 게르만어파에 속하는 언어 간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며 보통 연속체를 이루어 가까운 방언은 서로 알아들을 수 있는 반면, 멀리 떨어진 방언은 서로 알아듣기 힘든 경향이 있다.

게르만족은 혈통적으로 비인도유럽어계 스칸디나비아 원주민, 구형 암포라 문화의 담당자 등 다양한 혼혈이다. 게르만어를 가져온 집단은 야므나 문화에서 분화하여 발칸반도, 중앙유럽을 경유하여 스칸디나비아 반도 남부에 온 집단(켈트어나 이탈리아어의 담당자와 근연)이라는 설, 전투 도끼 문화의 담당자이며 발트-슬라브어파에 근연이라는 설, 또는 그 혼합이라는 설이 있다.[75] 다른 인도유럽어와 다른 기원의 어휘가 많다는 점에서, 게르만어의 성립에 비인도유럽어계의 기층 언어를 인정하는 설(게르만어 기층 언어설)도 있다.[76]

게르만 민족의 대이동 추이 (기원전 750년-1년, 펭귄 세계 역사 지도책 1988에서 인용)


게르만족은 기원전 750년경부터 이동을 시작하여 기원전 5세기에 게르만 원어가 성립하고, 그 후 서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으로 분화되었다.

10세기 초 게르만어의 대략적인 분포

  • 빨강: 고대 서노르드어
  • 주황: 고대 동노르드어
  • 분홍: 고대 갓니쉬어
  • 노랑: 고대 영어 (서게르만어족)
  • 초록: 대륙 서게르만어파 (프리스어, 고대 작센어, 고대 네덜란드어, 고대 고지 독일어)
  • 파랑: 크리미아 고트어 (동게르만어족)


후에 게르만어파가 그 안에서 발생한 인도유럽어족의 북서어군은 그 존재와 기원을 매우 오래 전 시대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게르만 원어 자체는 그렇게 오래된 것이 될 수 없다. 게르만 원어는 북부 독일의 야스트로프 문화(기원전 7세기-기원전 1세기)에서 게르만어파에만 특징적인 음성 변화(사투리)로 여겨지는 것이 기원전 5세기부터 발생하여 성립했다고 추정된다.[77] 그 후 이 야스트로프 문화가 주변에 전파되는 과정에서 이 음성 변화의 유행도 함께 전파됨으로써 게르만어파의 각지 언어가 성립한 것으로 생각된다. 북서어군 중 이 음성 변화의 전파에서 벗어난 것들도 있으며, 예를 들어 슬라브어파발트어파의 여러 언어가 그것으로 생각된다. 슬라브어파나 발트어파는 이란어군의 음성적 특징의 영향을 강하게 받아 사템화하고 있다.

고트어의 신약 성경 이후, 서게르만어의 초기 증거는 고대 프랑크어/고대 네덜란드어(5세기 베르가커 비문), 고대 고지 독일어(산발적인 단어와 문장 6세기, 일관된 텍스트 9세기), 그리고 고대 영어(가장 오래된 텍스트 650년, 일관된 텍스트 10세기)에 있다. 북게르만어는 약 800년까지 원노르드어로 발전하기 전까지는 산발적인 룬 문자 비문으로만 증명된다.

8세기와 9세기의 더 긴 룬 문자 비문(에그줌석, 뢰크석)이 남아 있으며, 라틴 알파벳으로 된 더 긴 텍스트는 12세기부터 남아 있다(Íslendingabókis). 그리고 일부 스칼드 시는 9세기 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0세기경에는 다양한 방언들이 충분히 발산하여 상호 이해력이 어려워졌다. 바이킹 정착민들의 데인로에서 앵글로색슨족과의 언어적 접촉은 영어에 흔적을 남겼고, 로망스어 고대 프랑스어 어휘의 유입과 결합하여 노르만 정복 이후에 12세기부터 중세 영어를 만들어낸 고대 영어 문법의 붕괴를 촉진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동게르만어는 대이동 시대 말부터 주변부로 밀려났다. 부르군디아인, 고트족, 반달족은 약 7세기까지 각각의 이웃에 의해 언어적으로 동화되었고, 크리미아 고트어만이 18세기까지 남아 있었다.

초기 중세 시대에 서게르만어는 한편으로는 중세 영어의 섬 개발과 다른 한편으로는 대륙의 고지 독일어 자음 변화에 의해 분리되어, 상부 독일어저지 작센어를 만들어내고, 중간 단계의 중부 독일어 변종을 만들어 냈다. 근대 초기에는 남부의 최고 알레만어에서 북부의 북부 저지 작센어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차이로 이어졌고, 두 극단 모두 독일어로 간주되지만 상호 이해하기 어렵다. 가장 남쪽의 변종은 두 번째 음운 변화를 완료했지만, 북쪽의 변종은 자음 변화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

반면, 북게르만어는 서기 1000년 이후까지 통합된 상태를 유지했으며, 사실 본토 스칸디나비아 언어는 현대에도 여전히 상당한 상호 이해력을 유지하고 있다. 이들 언어의 주요 분열은 본토 언어와 서쪽의 섬 언어, 특히 고대 노르드어의 문법을 거의 변하지 않은 채 유지해 온 아이슬란드어 사이에 있다. 본토 언어는 크게 발산했다.

라틴 문자 이전에는 룬 문자를 사용하여 기록되었다. 프랑스어에 많은 영향을 주었고, 다른 로망스어에도 게르만 기원의 어휘가 보인다.

2. 1. 고대

모든 게르만어는 가설적인 원게르만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겨지며, 그림의 법칙베르너의 법칙의 음운 변화를 받았다는 공통점이 있다.[36] 이러한 변화는 기원전 500년경 북유럽의 로마 이전 철기 시대에 일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원게르만어 자체는 기원전 500년 이후에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높고, 기원후 2세기 이후의 원노르드어는 재구성된 원게르만어와 매우 유사하지만, 게르만어를 원인도유럽어와 구분하는 다른 공통적인 혁신은 북유럽 청동기 시대 전반에 걸쳐 원게르만어 화자의 공통된 역사를 시사한다.

최초로 증명된 시점부터 게르만어 변종은 서, 동, 북 게르만어의 세 그룹으로 나뉜다. 룬 문자 비문의 부족한 증거로 그들의 정확한 관계를 결정하기는 어렵다.

서부 그룹은 후기 야스토르프 문화에서 형성되었을 것이며, 동부 그룹은 1세기 방언의 갓랜드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으며, 남부 스웨덴을 북부 그룹의 원래 위치로 남긴다. 최초의 옛 푸타르크 시대(2세기~4세기)는 지역 문자 변종의 분열 이전 시대이며, 언어적으로는 본질적으로 여전히 공통 게르만어 단계를 반영한다. 빔오세 비문에는 기원후 160년경부터 시작되는 가장 오래된 연대가 확인된 게르만어 비문이 포함되어 있다.

보존된 가장 오래된 일관된 게르만어 텍스트는 4세기 울필라스가 번역한 고트어의 신약 성경이다.

2. 2. 중세

민족 대이동 시기에 동게르만어군은 쇠퇴하고 서게르만어군북게르만어군이 발전했다. 8세기 이후, 룬 문자 대신 라틴 문자가 게르만어파 언어를 표기하는 데 사용되기 시작했다.[36]

2. 3. 근대

16세기 종교 개혁 이후, 마르틴 루터성경 번역으로 독일어 표준화가 이루어졌다.[36] 대항해시대 이후, 영어가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2. 4. 현대

현재 유럽의 게르만어 분포

  • '''북게르만어족'''


  • '''서게르만어족'''



점은 원어민이 게르만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이웃 게르만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선은 원어민이 게르만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게르만어가 아닌 언어 또는 다른 이웃 게르만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3. 특징

게르만어파는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들과 비교하여 몇 가지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37]


  • 인도유럽 조어의 시제 체계는 과거와 현재(또는 공통시제)로 단순화되었다.
  • 과거형을 나타내기 위해 모음 전환 대신 치음 접미사(/d/ 또는 /t/)를 사용한다.
  • 약변화 동사와 강변화 동사의 두 가지 동사 활용 유형이 구별된다. 영어에는 161개의 강변화 동사가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영어 고유의 낱말이다.
  • 약변화·강변화 형용사의 구별이 있다. 현대 영어의 형용사는 비교급·최상급 이외에는 어형이 변화하지 않지만, 고대 영어에는 형용사 앞에 관사가 있는지, 지시사가 있는지, 둘 다 없는지에 따라 어형이 바뀌었다.
  • 비(非)인도유럽어 어근이 상당히 많다. 즉 게르만어 어근 중에는 다른 인도유럽어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이 많다. 여기에는 "물다(bite)", "씹다(chew)" 등의 보편적인 행동을 뜻하는 낱말과 {"배(boat)"를 제외하고} 배, 바다에 관련된 모든 낱말이 포함된다.
  • 강세가 어근으로 옮겨졌다. 영어는 강세가 불규칙하지만 영어에 고유한 낱말은 어근에 무엇이 첨가되든 언제나 강세를 받는 음절이 동일하다.
  • 담화 표지어. 화자들이 발화나 청자에 대한 자신의 태도를 표현하는 데 사용하는 짧고 무강세의 단어의 종류이다. 이 단어 범주는 게르만어 이외의 언어에서는 드물게 보이는 것 같다. 예를 들어, 화자가 놀라움을 표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just'라는 단어가 있다.[39]


게르만어에 존재하는 일부 특징은 원시 게르만어에는 없었지만, 언어 간에 퍼진 지역적 특징으로 나중에 발달한 것이다.

  • 게르만 변이는 북게르만어파와 서게르만어파 (모든 현대 게르만어를 나타냄)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현재는 멸종된 동게르만어파 (예: 고트어) 나 모든 게르만어의 공통 조상인 원시 게르만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많은 수의 모음의 질은 게르만 변이와 많은 게르만어에서 원래 동일한 질의 장모음/단모음 쌍이 서로 다른 질을 발달시키는 경향(때로는 길이 구분이 결국 사라짐)의 결합으로 인해 나중에 발달한 것이다. 원시 게르만어는 길이와 아마도 비음성이 음소였기 때문에 실제 모음 음소는 더 많았지만, 5가지의 구별되는 모음의 질만 있었다. 현대 독일어에서는 장단 모음 쌍이 여전히 존재하지만 질적으로도 다르다.
  • 원시 게르만어는 아마 더 일반적인 S-O-V-I 어순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V2 어순에 대한 경향은 잠재적인 형태로 이미 존재했을 수 있으며, 문장 클리틱은 두 번째 위치에 있어야 한다는 인도유럽어 법칙인 바케르나겔의 법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40]


대략적으로 말해서, 게르만어는 분석적 언어로의 전반적인 경향에 대해 각 언어가 얼마나 보수적인지 또는 얼마나 진보적인지에 따라 다르다. 아이슬란드어와 어느 정도 독일어와 같이 일부는 원시 게르만어(그리고 다시 원시 인도유럽어에서)로부터 물려받은 복잡한 굴절 형태론의 많은 부분을 보존했다. 다른 것들, 예를 들어 영어, 스웨덴어, 아프리칸스어는 대부분 분석적인 유형으로 이동했다.

3. 1. 음운론적 특징

그림의 법칙베르너의 법칙으로 알려진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 이 변화는 모든 인도유럽어의 파찰음 값을 바꾸었다. 예를 들어, 원래 *는 대부분의 경우 게르만어 *가 되었다. 'three'를 라틴어 tres|트레스la, 'two'를 라틴어 duo|두오la, 'do'를 산스크리트어 dhā-|다-sa와 비교해 볼 수 있다. 이 두 가지 음운 법칙의 인식은 언어 음운 변화의 규칙적인 본질과 현대 비교 언어학의 기초를 형성하는 비교 방법에 대한 이해에 있어서 중요한 사건이었다.[37]

단어의 첫 음절에 강한 강세가 발달하여 다른 모든 음절의 음운적 축약이 일어났다. 이는 대부분의 기본적인 영어,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스웨덴어 단어가 단음절로 축약되고, 현대 영어와 독일어가 자음이 많은 언어라는 일반적인 인상을 주는 원인이 되었다. 예를 들어 원시 게르만어 *는 'strength'(영어), *는 'ant'(영어), *는 'head'(영어), *는 'hear'(영어), *는 Herbst|헤르프스트de(독일어, "가을, 추수"), *는 Hexe|헥세de(독일어, "마녀") 등이 되었다.

다음 음절에 높은 전설 모음 (, 또는 )이 뒤따를 때 모음의 질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게르만 변이가 일어났다. 일반적으로 후설 모음은 전설화되고, 전설 모음은 고양화되었다. 많은 언어에서 변화된 모음은 변이 부호로 표시된다 (예: 독일어 ä ö ü|애 외 위de는 각각 로 발음됨). 이러한 변화는 관련 단어에서 광범위한 교체를 초래했는데, 현대 독일어에서 두드러지며 현대 영어에서도 더 적은 정도로 나타난다 (예: 'mouse/mice', 'goose/geese', 'broad/breadth', 'tell/told', 'old/elder', 'foul/filth', 'gold/gild').[37]

많은 수의 모음의 질을 가진다. 영어는 대부분의 방언에서 11~12개의 모음(이중모음 제외)을 가지고 있으며, 표준 스웨덴어는 17개의 단모음을 가지고 있다. 표준 독일어와 네덜란드어는 14개, 덴마크어는 최소 11개를 가지고 있다. 바이에른 방언의 암슈테텐 방언은 장모음만 해도 13개의 구별이 있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의 장모음 재고 중 하나이다.[38]

최초의 게르만어들은 원시 게르만어로부터 물려받았다고 여겨지는 여러 특징들을 공유한다. 음운론적으로는, 많은 마찰음을 도입한 그림의 법칙베르너의 법칙으로 알려진 중요한 음운 변화를 포함한다. 후기 원시 인도유럽어에는 /s/ 하나만 있었다.

주요 모음 발달은 대부분의 경우 장음과 단음 /a/와 /o/의 합병으로, 단음 /a/와 장음 /ō/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는 이중모음에도 영향을 미쳐, PIE /ai/와 /oi/는 /ai/로, PIE /au/와 /ou/는 /au/로 합쳐졌다. PIE /ei/는 장음 /ī/로 발전했다. PIE 장음 /ē/는 /ē1/로 표기되는 모음(종종 음성적으로 로 여겨짐)으로 발전했고, 다양하고 완전히 이해되지 않은 상황에서 새로운, 상당히 드문 장음 /ē2/가 발달했다. 원시 게르만어에는 전설 원순 모음이 없었지만, 고트어를 제외한 모든 게르만어는 그 후 i-변화 과정을 통해 이들을 발달시켰다.

원시 게르만어는 어근의 첫 음절에 강세를 두었지만, 베르너의 법칙 때문에 원래의 자유로운 PIE 강세의 잔재가 보였다. 이는 무강세 음절의 모음의 꾸준한 침식을 야기했다. 원시 게르만어에서는 절대적으로 최종적인 단모음(/i/와 /u/ 제외)이 소실되고 절대적으로 최종적인 장모음이 단축될 정도로만 진행되었지만, 초기 문자 언어들은 더욱 발전된 모음 소실 상태를 보여준다. 이는 궁극적으로 일부 언어(현대 영어와 같이)에서 주 강세 다음의 거의 모든 모음을 소실시키고 그 결과 매우 많은 수의 단음절어가 생겨나는 결과를 초래했다.

다음 표는 여러 고대 게르만어에서 원시 게르만어 모음과 자음의 주요 결과를 보여준다. 모음의 경우, 강세 모음만 표시된다. 무강세 모음의 결과는 상당히 다르며, 언어마다 다르고 여러 다른 요인(예: 음절이 중간 음절인지, 말음인지, 개방 음절인지 폐쇄 음절인지, 그리고 (경우에 따라) 앞 음절이 경음절인지 중음절인지 등)에 따라 달라진다.

  • ''C-''는 모음 앞(단어 앞이나 때로는 자음 뒤)을 의미한다.
  • ''-C-''는 모음 사이를 의미한다.
  • ''-C''는 모음 뒤(단어 끝이나 자음 앞)를 의미한다. 단어 끝 결과는 일반적으로 원시 게르만어 이후 곧 발생한 단어 끝 짧은 모음 삭제 ''후에'' 발생했으며, 원시 노르드어를 제외한 모든 기록된 언어의 역사에 반영된다.
  • 위의 세 가지는 ''C-'', ''-C-'', ''-C'' 순서로 제시된다. 하나가 생략되면 이전 항목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f, -[v]-''는 ''[v]''가 뒤에 오는 것에 관계없이 모음 뒤에 온다는 것을 의미한다.
  • ''a(…u)''와 같은 것은 다음 음절에 /u/가 있는 경우 "''a''"를 의미한다.
  • ''a(n)''과 같은 것은 /n/이 바로 뒤에 오는 경우 "''a''"를 의미한다.
  • ''(n)a''와 같은 것은 /n/이 바로 앞에 오는 경우 "''a''"를 의미한다.


게르만어 음운 변화
원시 게르만어(원시)고트어[43]고대 노르드어고대 영어고대 고지 독일어
aaa, ɔ(...u)[44]æ, a(...a),[45] a/o(n), æ̆ă(h,rC,lC)[46]a
a(...i)[47]e, ø(...u)[44]e, æ, ĭy̆(h,rC,lC)[46]e, a(hs,ht,Cw)
ãː
ãː(...i)[47]æːäː
æːeː, ɛː(V)æː, æa(h)[46]
æː(...i)[47]æːæːäː
ei, ɛ(h,hʷ,r)ja,[48] jø(...u),[44] (w,r,l)e, (w,r,l)ø(...u)[44]e, ĕŏ(h,w,rC)[46]e, i(...u)
e(...i)[47]i, y(...w)[44]ii
eː, ɛː(V)
ii, ɛ(h,hʷ,r)i, y(...w)[44]i, ĭŭ(h,w,rC)[46]i
iː, iu(h)
oː, ɔː(V)uo
oː(...i)[47]øːüö
uu, ɔ(h,hʷ,r)u, o(...a)[45]u, o(...a)[45]u, o(...a)[45]
u(...i)[47]yyü
uː, ɔː(V)
uː(...i)[47]üː
aiai[43]ei, ey(...w),[44] aː(h,r)[49]ei, eː(r,h,w,#)[50]
ai(...i)[47]ei, æː(h,r)æː
auau[43]au, oː(h)æaou, oː(h,T)[51]
au(...i)[47]ey, øː(h)iyöü, öː(h,T)[51]
euiujuː, joː(T)[52]eoio, iu(...i/u)[45]
eu(...i)[47]iy
pppppf-, -ff-, -f
ttttts-, -ss-, -s[53]
kkkk, tʃ(i,e,æ)-, -k-, -(i)tʃ-, -tʃ(i)-[54]k-, -xx-, -x
kv, -kkw-, -k-, -(i)tʃ-, -tʃ(i)-[54]kw-, -xx-, -x
b-, -[β]-[55]b-, -[β]-, -fb-, -[v]-b-, -[v]-, -fb
d-, -[ð]-[55]d-, -[ð]-, -þd-, -[ð]-dt
[ɣ]-, -[ɣ]-[55]g-, -[ɣ]-, -[x]g-, -[ɣ]-g-, j(æ,e,i)-, -[ɣ]-, -j(æ,e,i)-, -(æ,e,i)j-[54]g
fff, -[v]-f, -[v]-, -ff, p
þþþ, -[ð]-þ, -[ð]-, -þd
xhh, -∅-h, -∅-, -hh
xv, -∅-hw, -∅-, -hhw, -h-
sss-, -[z]-s-, -[z]-, -sṣ-, -[ẓ]-, -ṣ[53]
z-z-, -sr-r-, -∅-r-, -∅
r[56]rrrr
lllll
nnn-, -∅(s,p,t,k),[57] -∅[58]n, -∅(f,s,þ)[57]n
mmmmm
j[59]j∅-, -j-, -∅jj
w[59]w∅-, v-(a,e,i), -v-, -∅ww


3. 2. 문법적 특징

인도유럽 조어의 시제 체계는 과거와 현재(또는 공통시제)로 단순화되었다.[37] 과거형을 나타내기 위해 모음 전환 대신 치음 접미사(/d/ 또는 /t/)를 썼다.[37] 약변화 동사와 강변화 동사의 두 가지 동사 활용 유형이 구별된다.[37] 영어에는 161개의 강변화 동사가 있는데, 이들은 대부분 영어 고유의 낱말이다.[37]

약변화·강변화 형용사의 구별이 있다. 현대 영어의 형용사는 비교급·최상급 이외에는 어형이 변화하지 않지만, 고대 영어에는 형용사 앞에 관사가 있는지, 지시사가 있는지, 둘 다 없는지에 따라 어형이 바뀌었다.[37]

다른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인도유럽어 동사 체계의 다양한 시제와 상의 결합이 현재 시제와 과거 시제 (또는 과거 시제) 두 가지로 축소되었다.[39]
  • 어미 (, 또는 )를 사용하여 과거 시제를 나타내는 새로운 종류의 약동사가 발달했다. 모음 교체 (인도유럽어 음운 변화) 대신에 말이다. 모든 게르만어에서 대부분의 동사는 약동사이며, 모음 교체를 사용하는 나머지 동사는 강동사이다. 이러한 구분은 아프리칸스어에서는 사라졌다.[39]
  • 명사구의 정성 구분이, 소위 강한 형태와 약한 형태의 어미가 다른 형용사의 어미에 의해 표시된다. 비슷한 발달이 발트-슬라브어파에서도 일어났다. 이 구분은 현대 영어에서는 사라졌지만, 고대 영어에는 존재했으며 다른 모든 게르만어에서 다양한 정도로 남아 있다.[39]


원시 게르만어의 주요 혁신에는 과거 현재 동사(현재 시제가 다른 동사의 과거 시제처럼 보이는 특수한 동사 집합이며, 영어의 대부분의 조동사의 기원임), 과거 시제 어미(소위 "약동사"에서 영어로 ''-ed''로 표시됨)가 /d/ 또는 /t/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종종 "하다"라는 동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고, 원래는 부정적인 의미("한 남자", 인도유럽어족 형용사와 대명사 어미의 결합)와 긍정적인 의미("그 남자", 인도유럽어족 ''n''-어간 명사에서 유래한 어미)를 구분하는 두 가지 별개의 형용사 어미 집합이 있다.

대부분의 현대 게르만어는 강한 초기 강세로 인해 무강세 어미의 꾸준한 감소로 인해 상속된 굴절 형태론의 대부분을 상실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인도유럽어족 높낮이 악센트를 대부분 유지하고 결과적으로 상속된 형태론의 대부분을 보존한 발트-슬라브어족과 대조). 아이슬란드어는 현대 독일어보다 더 큰 정도로 원시 게르만어 굴절 체계를 가장 잘 보존하고 있으며, 네 가지 명사격, 세 가지 성과 잘 표시된 동사를 가지고 있다. 영어와 아프리칸스어는 거의 남아 있는 굴절 형태론이 없는 반대쪽 극단에 있다.

다음은 전형적인 남성 'a' 어간 명사인 원시 게르만어 ''*fiskaz''("물고기")와 다양한 고대 문학 언어에서의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표이다.

''a'' 어간 명사 ''*fiskaz'' "물고기"의 여러 언어에서의 격변화
colspan=2 |원시 게르만어고트어고대 노르웨이어고대 고지 독일어중세 고지 독일어현대 독일어고대 영어고대 작센어고대 프리지아어
단수주격*fisk-azfisk-sfisk-rviskvischFischfiscfiscfisk
호격*fiskfisk
대격*fisk-ąfiskfisk
속격*fisk-as, -isfisk-isfisk-svisk-esvisch-esFisch-es[60]fisc-es < fisc-æsfisc-as, -esfisk-is, -es
여격*fisk-aifisk-afisk-ivisk-avisch-eFisch-(e)[61]fisc-e < fisc-æfisc-a, -efisk-a, -i, -e
처격*fisk-ōfisk-avisk-ufisc-e < fisc-i[62]fisc-u
복수주격, 호격*fisk-ôs, -ôzfisk-ōsfisk-arvisk-avisch-eFisch-efisc-asfisc-ōs, -āsfisk-ar, -a
대격*fisk-anzfisk-ansfisk-avisk-ā
속격*fisk-ǫ̂fisk-ēfisk-avisk-ōfisc-afisc-ō, -āfisk-a
여격*fisk-amazfisk-amfisk-um, -omvisk-umvisch-enFisch-enfisc-umfisc-un, -onfisk-um, -on, -em
처격*fisk-amiz


3. 3. 어휘적 특징

다른 인도유럽어족 언어들에서는 찾을 수 없는 고유한 어근이 많다. 여기에는 "물다(bite)", "씹다(chew)" 등의 보편적인 행동을 뜻하는 낱말과 "배(boat)"를 제외한 배, 바다에 관련된 모든 낱말이 포함된다.[39]

4. 분류

게르만어파는 게르만 조어에서 파생되었으며, 크게 서게르만어군, 동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의 세 그룹으로 나뉜다. 이들 언어 간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으며, 가까운 방언은 서로 알아들을 수 있지만 멀리 떨어진 방언은 서로 알아듣기 힘든 경향이 있다.

북서 게르만어(고트어를 제외한 모든 언어)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다음 음절의 /a/ 앞에서 초기 음절의 /u/가 /o/로 변환[42]
  • 무강세 중간 음절에서의 "순음 변화"
  • 강세 음절에서 /ē1/이 /ā/로 변환
  • 최종 /ō/의 /u/로의 상승
  • 초기 음절이 아닌 곳에서 /ai/와 /au/의 /ē/와 /ō/로의 단모음화
  • /s/에서 강화된 지시형 어미의 발달
  • 7류 강세 동사에서 강화된 어근 등급의 도입[42]


지역적 변화를 나타내는 북서 게르만어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원시 게르만어 /z/ > /r/
  • 게르만 변화


서게르만어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최종 /z/의 소실
  • 모든 환경에서 \[ð](/d/의 마찰음 동소)를 파열음 \[d]로 변경
  • /lþ/를 파열음 /ld/로 변경
  • /j/ 앞에서 자음의 서게르만어 겹자음화
  • 초기 음절이 아닌 경우 순순음 자음이 단순 유음으로 됨
  • 특정 유형의 변화 /e-u-i/ > /i-u-i/
  • 2인칭 단수 과거 시제의 변화
  • "서다"와 "가다" 동사의 단축형
  • 동명사의 발달


잉그바에온어 하위 그룹인 서게르만어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잉그바에온어 비음 마찰음 법칙
  • 게르만어 재귀 대명사 의 소실
  • 세 가지 게르만어 동사 복수 형태를 ''-þ''로 끝나는 하나의 형태로 축소
  • 3류 약동사가 네 개의 동사로 구성된 잔류 류로 발전
  • 2류 약동사 어미 ''*-ō-''의 ''*-ō-/-ōja-''로의 분할
  • a-어간 명사에서 복수 어미 '''*-ōs'''의 발달
  • 게르만어 ''*ai''의 ''ē/ā''로의 단모음화


잉그바에온어의 앵글로-프리지아어 하위 그룹의 공통적인 특징은 다음과 같다.

  • 비강화 ''a, ā''의 ''o, ō''로의 상승
  • 앵글로-프리지아어 광채
  • ''CrV''의 ''CVr''로의 운율 변화
  • ''ai''의 ''ā''로의 단모음화


'''북게르만어군'''

'''서게르만어군'''

]]

동게르만어군은 현재 모두 사어가 되었다.

북게르만어군고대 노르드어를 기준으로 동 스칸디나비아어군과 서 스칸디나비아어군으로 나누거나, 대륙 북게르만어와 도서 북게르만어로 나눌 수 있다.[71][72]

구분해당 언어
동 스칸디나비아어군[71]덴마크어, 스웨덴어
서 스칸디나비아어군[71]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대륙 북게르만어[72]덴마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보크몰, 뉘노르스크)
도서 북게르만어[72]아이슬란드어, 페로어, 노른어


4. 1. 서게르만어군

서게르만어군은 앵글로프리지아어군과 대륙 서게르만어군으로 나뉜다.

앵글로프리지아어군은 영어(고대영어·중세영어·근대영어(초기근대영어·후기근대영어))에서 파생된 영국영어(잉글랜드(영국)), 웨일스영어(웨일스), 스코틀랜드영어(스코틀랜드), 아일랜드영어(아일랜드), 미국영어(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 캐나다영어(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영어(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영어(뉴질랜드), 남아프리카영어(남아프리카) 등과 스코틀랜드어(스코틀랜드), 소멸된 유트어(Jutes language영어, 유틀란트반도), Yola language영어(소멸, 앙겔른반도), (소멸), 그리고 프리지아어(프리스란트)에서 파생된 서프리지아어, 북프리지아어, 동프리지아어 등이 있다.

대륙 서게르만어군은 저지 독일어(독일 북부)에서 파생된 저작센어(서저지독일어), , 네덜란드 저작센어(네덜란드)에서 파생된 그로닝언어(네덜란드), 등이 있으며, 저지 프랑크어에서 파생된 네덜란드어(네덜란드), 아프리칸스어(남아프리카, 나미비아), 플라망어(벨기에)에서 파생된 서플라망어(벨기에), 젤란트어(네덜란드), 림뷔르흐어(네덜란드·벨기에에서는 중부독일어의 일파로 보고 있음)가 있다. 고지 독일어(표준독일어)에서 파생된 중부 독일어(독일 중부), 에서 파생된 , 룩셈부르크어(룩셈부르크), 립아리아어에서 파생된 쾰른어, 팔츠어에서 파생된 , 에서 파생된 튀링겐·오버작센어(상부작센어·상작센어), 하부실레시아어(하부슐레지엔어), 빌라모비안어가 있다. 상부 독일어(독일 남부)에서 파생된 알레만어군(독일 남서부), 슈바벤어(독일 남중부·리히텐슈타인·오스트리아 서부), 스위스독일어(스위스(독일어권)), , 알자스어(프랑스·알자스 지방), 펜실베이니아 독일어(미국독일어, 미국 중서부), 바이에른·오스트리아어군(독일 남동부)에서 파생된 (Hutterischde, 후터파), 오스트리아독일어(오스트리아 전역), (독일 중남부)에서 파생된 , 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디시어(아슈케나짐의 언어, 이스라엘·미국)가 있다.

4. 1. 1. 앵글로프리지아어군

영어영국, 미국,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등에서 사용되는 국제어이다.[14] 스코틀랜드어는 스코틀랜드 저지대(로랜드)와 얼스터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그 지역 방언은 울스터 스코틀랜드어로 알려져 있다.[20] 프리지아어는 네덜란드독일북해 남쪽 가장자리에 사는 50만 명의 사람들 사이에서 사용된다.

4. 1. 2. 대륙 서게르만어군

독일어는 오스트리아, 벨기에, 독일, 리히텐슈타인, 룩셈부르크, 스위스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며, 이탈리아, 폴란드, 나미비아, 덴마크에서도 지역 언어로서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 또한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중앙아메리카, 멕시코, 오스트레일리아의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소수 언어로 계속 사용되고 있다. 펜실베이니아 더치라고 불리는 독일어 방언은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의 여러 지역 주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 알자스어[15][16]로 불리는 알레만식 독일어 방언 집단은 현대 프랑스의 일부인 알자스에서 사용되고 있다.

네덜란드어는 아루바, 벨기에, 쿠라카오, 네덜란드, 신트마르턴, 수리남의 공용어이다.[17] 네덜란드는 인도네시아를 식민지화했지만, 인도네시아 독립 이후 네덜란드어는 공용어에서 제외되었다. 오늘날에는 고령자나 전통적인 교육을 받은 사람들만 사용한다. 네덜란드어는 1983년까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용어였지만, 부분적으로 상호 이해 가능한[18] 딸 언어인 아프리칸스어로 진화하여 대체되었다.

저지 독일어는 네덜란드 북동부와 독일 북부에서 사용되는 매우 다양한 방언들의 집합이다. 동 폼머니아어와 같은 일부 방언은 남아메리카로 전래되었다.[19]

림뷔르흐어 변이체는 네덜란드-벨기에-독일 국경을 따라 림뷔르흐와 라인란트 지역에서 사용된다.

4. 2. 동게르만어군

고트어(우크라이나) - 사어

크리미아고트어(크리미아) - 사어

Vandalic language|반달어영어 - 사어(반달족이 슬라브족을 주축으로 한 부족이었다면, 공용어 또는 피진어였을 가능성)

Burgundian language (Germanic)|부르군드어영어 - 사어(부르군드족이 켈트족을 주축으로 한 부족이었다면, 공용어 또는 피진어였을 가능성)

롬바르드어 - 사어(롬바르드족이 켈트족을 주축으로 한 부족이었다면, 공용어 또는 피진어였을 가능성)

4. 3. 북게르만어군

북게르만어군고대 노르드어에서 파생되었으며, 크게 서노르드어(섬 노르드어)와 동노르드어(대륙 노르드어)로 나뉜다.[23] 서노르드어에는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노른어(사어), 노르웨이어 뉘노르스크가 속한다. 동노르드어에는 덴마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보크몰이 속한다.[23]

고대 노르드어를 기준으로 동 스칸디나비아어군과 서 스칸디나비아어군으로 나누거나, 대륙 북게르만어와 도서 북게르만어로 나누기도 한다.[71][72]

구분해당 언어
동 스칸디나비아어군[71]덴마크어, 스웨덴어
서 스칸디나비아어군[71]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
대륙 북게르만어[72]덴마크어, 스웨덴어, 노르웨이어(보크몰, 뉘노르스크)
도서 북게르만어[72]아이슬란드어, 페로어, 노른어


4. 3. 1. 서노르드어

아이슬란드어아이슬란드의 공식 언어이다.[23]

페로어페로 제도의 공식 언어이며, 덴마크에서도 일부 사람들이 사용한다.[23]

노르웨이어노르웨이의 공식 언어이다 (\[\[보크몰]]과 뉘노르스크 모두). 노르웨이어는 또한 스발바르, 얀마옌, 부베 섬, 퀸 모드 랜드, 페터 1세 섬과 같은 노르웨이의 해외 영토에서도 공식 언어이다.[23]

4. 3. 2. 동노르드어

덴마크어덴마크와 그 해외 영토인 페로 제도의 공식 언어이며, 다른 해외 영토인 그린란드에서는 공용어이자 교육 언어이다 (2009년까지는 공식 언어 중 하나였다). 덴마크어는 독일 슐레스비히홀슈타인 주에 거주하는 덴마크계 소수 민족이 모국어로 사용하는 지역적으로 인정받는 소수 언어이기도 하다.[23]

스웨덴어스웨덴의 공식 언어일 뿐만 아니라, 핀란드의 스웨덴어 사용 소수 민족(핀란드 인구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서부 및 남부 해안 지역에 거주)에 의해서도 모국어로 사용된다. 스웨덴어는 핀란드어와 함께 핀란드의 두 가지 공식 언어 중 하나이며, 올란드에서는 유일한 공식 언어이다. 에스토니아에서도 일부 사람들이 스웨덴어를 사용한다.[23]

노르웨이어노르웨이의 공식 언어이다 (보크몰뉘노르스크 모두). 노르웨이어는 스발바르, 얀마옌, 부베 섬, 퀸 모드 랜드, 페터 1세 섬과 같은 노르웨이의 해외 영토에서도 공식 언어이다.

5. 문자

초기에는 룬 문자를 사용했으나, 기독교 전파 이후 라틴 문자를 받아들여 사용하고 있다. 독일어는 20세기 중반까지 프락투어라는 독특한 인쇄체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디시어는 각색된 히브리 문자를 사용하여 쓰여진다.[64]

6. 어휘 비교

게르만어파재구성된
원게르만어[65]앵글로프리지아어파대륙 서게르만어파서북게르만어파동북게르만어파영어서프리지아어네덜란드어저지독일어[66]독일어아이슬란드어노르웨이어
(뉴노르스크)
스웨덴어덴마크어고트어 †사과apelappelAppelApfelepliepleäppleæbleapel[67]*ap(u)laz할 수 있다kinnekunnenkänenkönnenkunnakunne, kunnakunnakunnekunnan*kanna딸dochterdochterDochterTochterdóttirdotterdotterdatterdauhtar*đuχtēr죽은deadooddodtotdauðurdauddöddøddauþs*đauđaz깊은djipdiepdeiptiefdjúpurdjupdjupdybdiups*đeupaz땅ierdeaardeIr(d)Erdejörðjordjordjordairþa*erþō알[68]aei, aaieiEiEieggeggäggæg*addi[69]*ajjaz물고기fiskvisFischFischfiskurfiskfiskfiskfisks*fiskaz가다geangaangahngehengangagågå(nga)gå (gange)gaggan*ȝanȝanan좋은goedgoedgaudgutgóð(ur)godgodgodgōþ(is)*ȝōđaz듣다hearrehorenhürenhörenheyrahøyra, høyrehörahørehausjan*χauzjanan,
*χausjanan나ikikickichégegjagjegik*eka살다libjelevenlewenlebenlifalevalevaleveliban*liƀēnan밤nachtnachtNachtNachtnóttnattnattnatnahts*naχtz하나ienéénein, eneinseinneinenenáins*ainaz산등성이rêchrugRügg(en)Rückenhryggurryggryggryg–*χruȝjaz앉다sittezittensittensitzensitjasitja, sittasittasiddesitan*setjanan찾다sykjezoekensäukensuchensækjasøkjasökasøgesōkjan*sōkjanan저datdatdatdasþaðdetdetdetþata*þat감사(명사)tankdankDankDankþökktakktacktakþagks*þankaz참된troutrouwtrutreutryggurtryggtryggtrygtriggws*trewwaz둘twatweetweizwei, zwotveir, tvær, tvöto[70]två, tutotwái, twós, twa*twō(u)우리úsonsunsunsossossossosuns*uns-길weiwegWegWegvegurvegvägvejwigsweȝaz흰wytwitwittweißhvíturkvitvithvidƕeitsgot*χwītaz단어wurdwoordWurdWortorðordordordwaurd*wurđan해jierjaarJohrJahrárårårårjēr*jēran


7. 현대적 지위



영어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게르만어파 언어이며, 국제적인 의사소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독일어유럽 연합(EU)에서 가장 많은 모어 화자를 가진 언어이며, 과학, 기술, 학문 분야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노르웨이어 등도 각 지역에서 중요한 언어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유럽의 게르만어 분포
북게르만어족서게르만어족
|



점은 원어민이 게르만어가 아닌 언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이웃 게르만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선은 원어민이 게르만어를 사용하는 지역에서 게르만어가 아닌 언어 또는 다른 이웃 게르만어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참조

[1] 서적 The Role of Migration in the History of the Eurasian Steppe: Sedentary Civilization v. "Barbarian" and Nomad Palgrave Macmillan
[2] 웹사이트 Germanic languages - Proto-Germanic, Indo-European, Germanic Diale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12-29
[3] 웹사이트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10 http://www.ne.se/spr[...] 2014-02-12
[4] 간행물 SIL Ethnologue (2006) SIL International 2006
[5] 웹사이트 Afrikaans http://www.ethnologu[...] 2016-08-03
[6] 간행물 Taaltelling Nedersaksisch https://www.stelling[...] 2005
[7] 간행물 Status und Gebrauch des Niederdeutschen 2016 https://www.ins-brem[...] 2016
[8] 웹사이트 Saxon, Low https://www.ethnolog[...]
[9] 서적 The Other Languages of Europe: Demographic, Sociolinguistic,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Multilingual Matters
[10] 논문 The Scandinavian languages http://www.dur.ac.uk[...] Oxford University Press
[11] 웹사이트 1 Cor. 13:1–12 https://lrc.la.utexa[...] 2016-08-03
[12] 웹사이트 Germanic https://www.ethnolog[...] 2016-08-03
[13] 뉴스 Sprache und Mundart: Das Aussterben der deutschen Dialekte https://www.welt.de/[...] 2017-11-16
[14] 일반
[15] 웹사이트 Office pour la langue et les cultures d'Alsace et de Moselle https://www.olcalsac[...] 2023-01-19
[16] 웹사이트 Le dialecte alsacien : vers l'oubli https://hal.science/[...] 2021-07-14
[17] 웹사이트 Feiten en cijfers – Taalunieversum http://taalunieversu[...] 2015-04-11
[18] 웹사이트 http://www.let.rug.n[...]
[19] 웹사이트 A co-oficialização da língua pomerana http://www.farese.ed[...] 2012-10-11
[20] 웹사이트 List of declarations made with respect to treaty No. 148 http://conventions.c[...] Conventions.coe.int 2012-09-09
[21] 웹사이트 An intro to 'Lëtzebuergesch' https://luxembourg.p[...] 2023-04-18
[22] 웹사이트 YIDDISH http://yivo.org/down[...] 2015-12-20
[23] 웹사이트 How Many People Speak Swedish, And Where Is It Spoken? https://www.babbel.c[...] 2018-04-29
[24] 뉴스 German 'should be a working language of EU', says Merkel's party https://www.telegrap[...] 2013-06-18
[25] 웹사이트 Nederlands, wereldtaal http://taalunieversu[...] Nederlandse Taalunie 2011-04-07
[26] 일반 Världens 100 största språk 2007
[27] 웹사이트 Afrikaans - Worldwide distribution https://www.worlddat[...] 2024-04-03
[28] 웹사이트 Danish https://www.ethnolog[...] 2014-06-18
[29] 웹사이트 Befolkningen https://www.ssb.no/b[...] 2018-11-29
[30] 웹사이트 Status und Gebrauch des Niederdeutschen 2016 https://www.ins-brem[...]
[31] 웹사이트 Scots https://www.ethnolog[...] 2015-03-12
[32] 웹사이트 Frisian https://www.ethnolog[...] 2014-06-18
[33] 일반
[34] 웹사이트 Statistics Iceland http://www.statice.i[...] 2014-06-18
[35] 웹사이트 Faroese https://www.ethnolog[...] 2014-06-18
[36] 웹사이트 Germanic languages {{!}} Definition, Language Tree, & List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4-06-11
[37] 일반
[38] 일반
[39] 서적 The Germanic languages https://www.worldca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40] 일반
[41] 일반
[42] 일반
[43] 일반
[44] 일반
[45] 일반
[46] 일반
[47] 일반
[48] 일반
[49] 웹사이트 Altenglisches Wörterbuch http://www.koeblerge[...]
[50] 일반
[51] 일반
[52] 일반
[53] 일반
[54] 일반
[55] 일반
[56] 일반
[57] 일반
[58] 일반
[59] 일반
[60] 일반
[61] 일반
[62] 일반
[63] 서적 Language Contact at the Romance–Germanic Language Border http://homepages.vub[...] Multilingual Matters
[64] 간행물
[65] 일반
[66] 서적 Das Fritz-Reuter-Wörterbuch http://www.niederdeu[...] Digitales Wörterbuch Niederdeutsch (dwn) 2021-10-22
[67] 서적
[68] 일반
[69] 서적
[70] 일반
[71] 웹사이트 Scandinavian languages https://www.britanni[...]
[72] 논문 ゲルマン語の歴史と構造(1): 歴史言語学と比較方法
[73] 서적 Archaeology and language https://books.google[...]
[74] 서적 The Foundations of Latin https://books.google[...]
[75] 웹사이트 The Germanic branch http://www.eupedia.c[...]
[76] 논문 The Origin of the Germanic Languages and the Europeanization of North Europe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77] 서적 Encyclopedia of Indo-European Culture Fitzroy Dearborn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