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동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상동군은 오나라 때 설치되어 서진, 동진, 남조 시대를 거치며 존속했던 중국의 군이다. 257년에 장사군 동부에 설치되었으며, 릉현에 치소를 두었다. 서진 시대에는 7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307년에는 상주에 소속되었다. 동진 시대에는 3개의 현을 폐지하고 5개의 현을 관할했으며, 남조 시대에도 동일한 현을 관할했다. 589년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키면서 폐지되어 형주에 통합되었다.
본래 장사군의 일부로 후한 말기 동부도위가 설치된 지역이었다. 오나라 건국 후 257년(오 폐제 태평 2년), 동부도위가 군으로 분리되면서 상동군이 설치되었다. 307년(진 회제 영가 원년), 장사군, 형양군, 소릉군, 영양군, 강주의 계양군과 함께 상주로 분리되었다.[6][7]
2. 역사
395년(동진 효무제 태원 2년) 영현이 폐지되었다. 이후 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킨 후 상동군이 폐지되고 그 자리에 형주가 설치되었다.[8]
2. 1. 오, 서진 시대
257년(오 폐제 태평 2년), 장사군 동부에 동부도위가 설치되었고, 이후 군으로 승격되면서 상동군이 설치되었다. 군 치소는 헝양 시 주후이 구 북쪽에 있던 릉현에 두었다. 서진 시대에는 7현 19,500호를 거느렸다.[6][7] 307년(진 회제 영가 원년), 장사군, 형양군, 소릉군, 영양군, 강주의 계양군과 함께 상주로 분리되었다.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현 | 酃縣 | 헝양 시 주후이 구 북 | |
차릉현 | 茶陵縣 | 주저우시 차링 현 북동 | |
임증현 | 臨烝縣 | 헝양 시 | 본래 형양군에 속했지만 서진대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
이양현 | 利陽縣 | 헝양 시 레이양 시 | |
음산현 | 陰山縣 | 헝양 시 헝둥 현 | |
신평현 | 新平縣 | 헝양 시 창닝 시 북동 | |
신녕현 | 新寧縣 | 헝양 시 창닝 시 서남 |
2. 2. 동진 이후
395년(동진 효무제 태원 2년), 영현, 이양현, 신평현이 폐지되었다.[7] 이후 임증현, 신녕현, 차릉현, 상음현, 음산현의 5개 현을 관할하게 되었고 1,396호 17,450명을 거느렸다.[7] 남조 송 시대에도 임증현, 신녕현, 차릉현, 상음현, 음산현의 5개 현을 관할했다.[3] 남조 제 시대에는 차릉현, 신녕현, 유현, 임증현, 중안현, 음산현의 6개 현을 관할했다.[4] 589년(수 문제 개황 9년), 수나라가 진나라를 멸망시키면서 상동군은 폐지되고 형주에 편입되었다.[8]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직위 | 비고 |
---|---|---|---|---|
임증현 | 臨烝縣 | 헝양 시 | 백상(伯相) | |
신녕현 | 新寧縣 | 헝양 시 창닝 시 서남 | 현령(縣令) | |
차릉현 | 茶陵縣 | 주저우시 차링 현 북동 | 자상(子相) | |
상음현 | 湘陰縣 | 남상(男相) | 474년(유욱 영휘 2년), 익양현, 나현, 파서에서 파와 협(硤)의 주민들이 본현에 정착했다. | |
음산현 | 陰山縣 | 헝양 시 헝둥 현 | 현령(縣令) |
西晉중국어 시대에는 7현 19,500호를 거느렸다. 307년 (진 회제 영가 원년), 장사군, 형양군, 소릉군, 영양군, 강주의 계양군과 함께 상주로 분리되었다.[6][7]
3. 행정 구역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영현 酃縣 헝양 시 주후이 구 북 차릉현 茶陵縣 주저우시 차링 현 북동 임증현 臨烝縣 헝양 시 본래 형양군에 속했지만 西晉중국어대에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이양현 利陽縣 헝양 시 레이양 시 음산현 陰山縣 헝양 시 헝둥 현 신평현 新平縣 헝양 시 창닝 시 북동 신녕현 新寧縣 헝양 시 창닝 시 서남
395년 (동진 효무제 태원 2년), 영현이 폐지되었다. 이후 상동군은 3현, 1,396호 17,450명을 거느렸다.[7]
3. 1. 서진
서진 시대에는 7현 19,500호를 거느렸다. 307년(진 회제 영가 원년), 장사군, 형양군, 소릉군, 영양군, 강주의 계양군과 함께 상주로 분리되었다.[6][7]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비고 |
---|---|---|---|
영현 | 酃縣 | 헝양 시 주후이 구 북 | |
차릉현 | 茶陵縣 | 주저우시 차링 현 북동 | |
임증현 | 臨烝縣 | 헝양 시 | 본래 형양군에 속했지만 서진대에 본군으로 내속되었다. |
이양현 | 利陽縣 | 헝양 시 레이양 시 | |
음산현 | 陰山縣 | 헝양 시 헝둥 현 | |
신평현 | 新平縣 | 헝양 시 창닝 시 북동 | |
신녕현 | 新寧縣 | 헝양 시 창닝 시 서남 |
3. 2. 동진, 남조
395년(동진 효무제 태원 2년), 영현이 폐지되었다. 상동군은 본래 5현을 통치했으나 이후 3현을 관할하게 되었고, 1,396호 17,450명을 거느렸다.[7]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직위 | 비고 |
---|---|---|---|---|
임증현 | 臨烝縣 | 헝양 시 | 백상(伯相) | |
신녕현 | 新寧縣 | 헝양 시 창닝 시 서남 | 현령(縣令) | |
차릉현 | 茶陵縣 | 주저우시 차링 현 북동 | 자상(子相) | |
상음현 | 湘陰縣 | 남상(男相) | 474년(유욱 영휘 2년), 익양현, 나현, 파서에서 파와 협(硤)의 주민들이 본 현에 정착했다. | |
음산현 | 陰山縣 | 헝양 시 헝둥 현 | 현령(縣令) |
참조
[1]
서적
삼국지
오서삼사주전
[2]
서적
진서
지리지하
[3]
서적
송서
주군지삼
[4]
서적
남제서
주군지하
[5]
서적
수서
지리지하
[6]
서적
진서 15권 지 제5 지리지 下 형주 상동군
https://zh.wikisourc[...]
[7]
서적
송서 27권 지 제 27 주군3 상주 상동군
https://zh.wikisourc[...]
[8]
서적
수서 31권 지 제26 지리下 형주 형산군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