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사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사군은 중국의 행정 구역으로, 진나라 시기에 처음 설치되었다. 전한 시대에는 장사국으로, 후한 시대에는 장사군으로 불리며 형주에 속했다. 삼국 시대에는 손오에 의해 분할되었고, 서진 시대에는 10개 현을 관할했다. 이후 유송, 남제를 거쳐 수나라, 당나라 시기에는 담주로 개칭되었다가, 당 현종 때 잠시 장사군으로 불리기도 했다.
진나라 시황제는 중국 통일 후, 초나라를 멸하고 검중군을 나누어 장사군을 처음 설치했다.[16] 이야진간(里耶秦簡)에서 동정군·창오군이 발견되면서, 장사군의 실제 존재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장사군이 없었다고 보는 견해에서는 기존에 장사군으로 알려진 지역을 동정군[11] 혹은 창오군[12]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동정군 및 창오군과는 별개로 장사군이 존재했을 것이라고 보기도 하며, 이때 장사군의 속현은 임상(臨湘)·하준(下隽)·애(艾)·예릉(醴陵)·나(羅)현으로 추정한다.[13]
기원전 202년, 한고조는 오예를 장사왕에 봉하여 장사국을 설치했다.[1] 장사국은 오예와 그 후손들이 대대로 통치하였으며, 이는 이성 제후국 중 가장 오랜 기간 존속한 사례이다. 기원전 157년, 장사왕 오저가 후사 없이 사망하면서 장사국은 폐지되고, 장사군은 한나라의 직할 군현으로 복귀했다.[2] 기원전 155년, 경제는 유발을 장사왕에 봉하여 다시 장사국을 설치했다.[3] 전한 시대 장사국은 형주에 속했으며, 13개 현을 관할했다. 왕망이 신나라를 건국하면서 장사군은 전만군(塡蠻郡)으로 개칭되었다.[4]
37년, 장사국이 폐지되고 장사군이 설치되었다. 장사군은 13개 현, 25만 5854호, 159만 1372명을 관할했다.[15]
손오 때 장사군의 일부를 분할해 형양군과 상동군을 신설하고, 손호 시기 안성군을 신설하면서 군역이 크게 축소되었다. 서진 시대에는 10개 현, 3만 3천 호를 통치했다.[16] 307년(진 회제 영가 원년), 형양군, 상동군, 소릉군, 영양군, 강주의 계양군을 상주로 분리했다.
328년(동진 성제 함화 3년) 이후 상주가 폐지와 복구를 반복하면서 장사군은 상주와 다른 지역 사이에서 소속이 변경되었다.[17][18] 유송 시기 하준현, 포기현, 파릉현이 파릉군으로 분리되었다. 장사군은 7개 현, 5,684호, 46,213명을 관할했다.[17][18] 남제 시기 장사군은 7개 현을 관할했다.
589년(개황 9년), 수나라가 남진을 멸망시키고 상주에 '''담주총관부(潭州總管府)'''를 설치하면서, 주의 명칭이 담주로 바뀌었다. 형양군은 담주에 통폐합되었다. 수양제 초기, 총관부가 폐지되고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담주는 다시 장사군으로 개칭되었다.[19] 장사군은 다음 4개 현을 관할했다.[19]
621년(당 고조 무덕 4년), 당군이 소선(蕭銑)을 토벌하고 담주에 총관부를 설치했다. 담주총관부는 담주, 형주, 영주, 침주, 연주, 남량주, 남운주, 남영주를 통치했다. 624년(당 고조 무덕 7년), 운주가 폐지되자 남량주는 소주(邵州)로, 남영주는 도주(道州)로 개명되었다. 이로써 담주총관부는 담주, 형주, 침주, 연주, 영주, 소주, 도주의 7개 주를 통치하게 되었다. 742년(당 현종 천보 원년), 군현제가 실시되면서 담주가 장사군으로 개칭되었으나, 758년(당 숙종 건원 원년) 주현제로 복귀하면서 다시 담주로 바뀌었다. 이로써 장사군이라는 명칭은 사라졌다.[20]
장사승상(長沙丞相|장사승상중국어)은 전한 제후왕국 시절 장사국의 행정을 총괄하는 상국이었다. 기원전 189년에는 이창(利蒼)이, 기원전 184년부터는 월(越)이 재임했다.
2. 진
3. 전한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 기준으로 43,470호 235,825명을 거느렸다.[14]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임상현 臨湘縣 창사 시 나현 羅縣 웨양 시 미뤄 시 연도현 連道縣 뤄디 시 뤄싱 구 북 익양현 益陽縣 이양 시 하준현 下雋縣 셴닝 시 퉁청 현 유현 攸縣 주저우 시 유 현 북동 영현 酃縣 헝양 시 주후이 구 북 승양현 承陽縣 헝양 시 서북 상남현 湘南縣 샹탄 시 샹탄 현 서 소릉현 昭陵縣 사오양 시 다릉현 荼陵縣 주저우 시 차링 현 북동 용릉현 容陵縣 주저우 시 유 현 서 안성현 安城縣 지안 시 안푸 현 서
4. 후한
이름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임상현 臨湘縣 창사 시 유현 攸縣 주저우 시 유현 북동 다릉현 荼陵縣 주저우 시 차링 현 북동 안성현 安城縣 지안 시 안푸 현 서 영현 酃縣 헝양 시 주후이 구 북 《형주기》에 따르며 현내에 영호(酃湖)가 있다. 《상동기》에 따르면 모산(母山)이 있다. 상남후국 湘南候國 샹탄 시 샹탄 현 서 동남쪽에 헝 산이 있다. 연도현 連道縣 뤄디 시 뤄싱 구 북 소릉현 昭陵縣 사오양 시 익양현 益陽縣 이양 시 하준현 下雋縣 셴닝 시 퉁청 현 예릉현 醴陵縣 주저우 시 리링 시 나현 羅縣 웨양 시 미뤄 시 용릉현 容陵縣 주저우 시 유현 서
5. 손오, 서진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임상현 臨湘縣 변화없음 307년 상주가 분리되면서 상주의 치소가 되었다. 유현 攸縣 변화없음 하준현 下雋縣 변화없음 예릉현 醴陵縣 변화없음 유양현 劉陽縣 창사 시 류양 시 동북 오나라 시기 신설되었다. 건녕현 建寗縣 주저우 시 스펑 구 동남 270년, 주저우 시 감전진(淦田鎭) 동부 지역으로 이관되었다. 오창현 吳昌縣 웨양 시 핑장현 동남 나현 羅縣 변화없음 포기현 蒲沂縣 셴닝 시 츠비 시 동부 파릉현 巴陵縣 웨양 시
6. 유송, 남제
현명 한자 직위(유송) 비고 임상현 臨湘縣 후상(候相) 예릉현 醴陵縣 유양현 瀏陽縣 남제서에는 과거 이름인 유양현(劉陽縣)으로 기록되었다. 오창현 吳昌縣 나현 羅縣 유현 攸縣 자상(子相) 남제서에는 기록되지 않았다. 건녕현 建寗縣 상음현 湘陰縣 지금의 웨양 시 샹인현 북쪽에서 신설되었다.
7. 수
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장사현 長沙縣 창사 시 진나라를 멸망시킨 후 장사군을 폐지하고 임상현을 지금의 이름으로 바꿨다. 동산(銅山), 석산(錫山)이 현내에 있었다. 형산현 衡山縣 헝양 시 헝산현 서남 형양군의 속현이었는데, 상서현, 상향현, 신강현이 통폐합되었다. 익양현 益陽縣 이양 시 진나라 멸망 이후 신강현이 통폐합되었다. 현내에 부양산(浮梁山)이 있었다. 소양현 邵陽縣 사오양 시 진나라 멸망 이후 소릉군이 장사군에 통폐합되면서 부이현과 도량현이 통폐합되었다.
8. 당
당나라 시기 담주(장사군)는 6개 현을 관할했으며, 초기에는 5현 9,031호 40,449명을 통치했으나 천보 연간에는 6현 32,272호 192,657명을 거느렸다.[20]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장사현 長沙縣 창사시 초기 담주의 6현 중 하나였다. 상담현 湘潭縣 헝양시 헝둥 현 서남 749년(당 현종 천보 8년) 치소가 낙구(洛口)로 옮겨지고 상남현(湘南縣)에서 상담현으로 개명되었다. 상향현 湘鄕縣 샹탄시 샹샹시 형산현 衡山縣 헝양시 헝산현 예릉현 醴陵縣 주저우시 리링시 621년 장사현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유양현 瀏陽縣 창사시 류양시 익양현 益陽縣 이양시 621년 신강현이 분리 신설되었지만 624년 폐지되었다. 신강현 新康縣 624년 폐지되었다.
9. 장관
9. 1. 전한
오예(吳芮)가 책봉된 이래로 장사국은 대부분 존속했으며, 가장 오랜 기간 동안 지속된 이성 제후국이었다. 오저(吳著)가 기원전 157년에 죽은 후 왕통이 끊어지면서 잠시 군으로 되돌려졌고, 2년 후 황족인 유발(劉發)이 책봉된 이래로 멸망 때까지 유지되었다. 원시 2년(2년)의 인구조사 기준으로 43,470호 235,825명을 거느렸고 13개 현을 관할했다.[14]현명 한자 대략적 위치 비고 임상현 臨湘縣 창사 시 나현 羅縣 웨양 시 미뤄 시 연도현 連道縣 뤄디 시 뤄싱 구 북 익양현 益陽縣 이양 시 하준현 下雋縣 셴닝 시 퉁청 현 유현 攸縣 주저우 시 유 현 북동 영현 酃縣 헝양 시 주후이 구 북 승양현 承陽縣 헝양 시 서북 상남현 湘南縣 샹탄 시 샹탄 현 서 소릉현 昭陵縣 사오양 시 다릉현 荼陵縣 주저우 시 차링 현 북동 용릉현 容陵縣 주저우 시 유 현 서 안성현 安城縣 지안 시 안푸 현 서
9. 1. 1. 장사승상
長沙丞相|장사승상중국어은 장사국의 상국으로, 전한 제후왕국 시절 장사국의 행정을 총괄하는 자리였다. 기원전 189년에는 이창(利蒼)이, 기원전 184년부터는 월(越)이 재임했다.
참조
[1]
서적
漢書 高帝紀下
[2]
서적
漢書 呉芮伝
[3]
서적
漢書 景帝紀
[4]
서적
漢書 地理志下
[5]
서적
後漢書 郡国志四
[6]
서적
晋書 地理志下
[7]
서적
宋書 州郡志三
[8]
서적
南斉書 州郡志下
[9]
서적
隋書 地理志下
[10]
서적
旧唐書 地理志三
[11]
논문
秦洞庭郡略论
2005
[12]
논문
秦代洞庭, 苍梧两郡悬想
2005
[13]
서적
秦代政区地理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9-01
[14]
서적
한서 28권 下 지리지 제 8 장사국
https://zh.wikisourc[...]
[15]
서적
후한서 112권 지 제 22 군국4 형주 장사군
https://zh.wikisourc[...]
[16]
서적
진서 권15 지제5
[17]
서적
송서 27권 지 제 27 주군3 상주 장사군
https://zh.wikisourc[...]
[18]
서적
남제서 15권 지 제 7 주군 下 상주 장사군
https://zh.wikisourc[...]
[19]
서적
수서 권30 지 제 26 지리 下 형주 장사군
https://zh.wikisourc[...]
[20]
서적
구당서 권40 지 제 20 지리 3 강남서도 담주
https://zh.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