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대기권, 수권, 암석권, 생물권, 토양권 등 지구 시스템의 주요 영역 간에 일어나는 물질의 순환을 의미한다. 탄소, 질소, 인, 황, 물, 산소 등 다양한 원소들이 이러한 순환을 통해 생태계 내에서 이동하며, 해양 산성화, 기후 변화와 같은 요인들이 순환에 영향을 미친다. 주요 순환 외에도 수은, 아트라진과 같은 물질의 순환도 연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순환을 이해하고 예측하기 위해 상자 모델과 같은 다양한 모델링 기법이 활용된다.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빠른 순환과 느린 순환으로 구분되며, 빠른 순환은 생물권을 통해, 느린 순환은 암석권을 통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 물의 순환
    물의 순환은 태양 에너지와 중력에 의해 지구 상의 물이 증발, 응결, 강수, 유출, 침투 과정을 거쳐 다양한 저수 영역 사이를 끊임없이 이동하는 현상으로, 기후 변화와 인간 활동에 의해 가속화될 수 있다.
  • 지구화학 - 기후변화 완화
    기후변화 완화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과 흡수원 증진을 통해 지구 온난화를 억제하고,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 효율 향상, 농업 및 산업 정책, 탄소 흡수원 강화, 이산화탄소 제거 기술 개발 등 다양한 조치로 지구 온도 상승을 제한하는 노력이다.
  • 지구화학 - 미량 원소
    미량 원소는 지구과학에서 지각 내 극미량 원소를, 생물학에서 생명 활동에 필수적이나 함량이 적은 원소를 뜻하며, 두 분야의 정의는 다르나 극소량으로 존재하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고, 생물학적으로는 철보다 함량이 적은 원소를 지칭하며, 인체 필수 미량 원소 결핍 및 과다 섭취는 건강 문제를 야기하므로 적정량 섭취가 중요하다.
  • 생물지리학 - 곤드와나
    곤드와나는 고생대와 중생대에 존재했던 초대륙으로, 현재의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남극, 인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을 포함했으며, 판게아 분열 이후 서곤드와나와 동곤드와나로 나뉘어 각 대륙이 이동하면서 생물 지리학적 분포 패턴에도 영향을 미쳤다.
  • 생물지리학 - 삼림한계선
    삼림한계선은 수목 생장의 한계선으로, 기온, 강수량 등 환경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기후 변화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개요
물 순환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생물학적, 지질학적, 화학적 과정에 의한 화학 원소 또는 분자의 순환 경로이다.
정의생물학적, 지질학적, 화학적 과정을 통해 화학 원소나 분자가 순환하는 경로
중요성지구상의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과정
관련 분야생물학
지질학
화학
생태학
순환 과정
탄소 순환대기, 해양, 육지, 생물 사이의 탄소 이동
질소 순환질소 고정, 질산화, 탈질산화 등의 과정을 포함
산소 순환광합성, 호흡, 부패 등을 통해 산소 이동
인 순환암석의 풍화, 생물의 흡수, 분해 등을 통해 인 이동
황 순환화산 활동, 생물의 분해 등을 통해 황 이동
물 순환증발, 강수, 침투, 유출 등을 통해 물 이동
인간의 영향
영향화석 연료 사용으로 인한 탄소 순환 교란
비료 사용으로 인한 질소 순환 교란
삼림 벌채로 인한 물 순환 교란
결과지구 온난화
산성비
생태계 파괴
추가 정보
관련 용어생태계
생물 다양성
환경 오염

2. 역사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개념은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20세기 중반 이후 과학적 연구가 본격화되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었다. 특히 지구 온난화, 산성비, 오존층 파괴 등 전 지구적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에 대한 이해는 환경 문제 해결의 핵심 과제로 떠올랐다.

일반화된 생물지구화학적 순환


생태계는 에너지와 물질 순환을 통해 유지된다. 에너지는 햇빛 형태로 유입되어 생태계 내에서 여러 단계를 거치며 열로 방출되지만,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은 보존되고 재활용된다.[2] 탄소, 질소, 수소, 산소, , 등 생명체에 필수적인 원소들은 다양한 형태로 지구 표면, 대기, 물속에 존재하며,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을 통해 끊임없이 순환한다.[2]

풍화 작용, 침식, 배수, 대륙판의 섭입지질학적 과정은 이러한 물질 재활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생물권, 지권, 대기권, 수권 등 지구 시스템 전체를 아우르는 복잡한 과정이다.

3. 구성 영역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지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영역들 사이에서 일어난다. 지구는 크게 5개의 영역(권)으로 나눌 수 있다.



토양권은 생물권 또는 암석권에 포함되기도 한다.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각 권 내에서의 물질 이동·축적, 그리고 각 권 간의 물질 이동으로 이루어진다.[21][22]

생물권의 주요 부분은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에서 화학 원소와 화합물의 흐름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순환 대부분에서 생물군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구 내부 물질은 화산 활동으로 방출된다. 대기는 일부 화합물과 원소를 생물군 및 바다와 빠르게 교환한다. 암석, 토양 및 바다 사이의 물질 교환은 비교적 느리게 일어난다.[5]

4. 주요 순환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지구 상의 화학 물질이 생물권, 대기권, 수권, 암석권을 통해 순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 순환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며, 다양한 화학 물질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중 가장 잘 알려져 있고 중요한 순환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수은의 순환[60]과 같이 새롭게 연구되는 순환도 있으며, 사람이 만들어낸 아트라진과 같이 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순환도 연구 대상이다.

생태계는 에너지가 햇빛(또는 화학독립영양생물을 위한 무기 분자)으로 유입되어 영양 단계 간의 여러 이동 과정에서 열로 방출되면서 방향성을 가지고 흐른다. 그러나 살아있는 유기체를 구성하는 물질은 보존되고 재활용된다. 유기 분자와 관련된 6가지 가장 흔한 원소(탄소, 질소, 수소, 산소, 인, 황)는 다양한 화학적 형태를 취하며 대기, 육지, 물 또는 지구 표면 아래에서 오랫동안 존재할 수 있다.[2] 풍화 작용, 침식, 배수, 그리고 대륙판의 섭입과 같은 지질학적 과정은 모두 이러한 물질의 재활용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2]

앞서 언급한 6가지 원소는 유기체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된다. 수소와 산소는 물과 유기 분자에서 발견되며, 둘 다 생명에 필수적이다. 탄소는 모든 유기 분자에서 발견되며, 질소는 핵산단백질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인은 핵산과 생물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황은 단백질의 3차원 구조에 중요하며, 이러한 원소들의 순환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3] 광물은 생물권 내에서 생물학적 구성 요소와 비생물학적 구성 요소 사이에서, 그리고 한 유기체에서 다른 유기체로 순환한다.[3]

생태계는 시스템의 일부로 작동하는 많은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을 가지고 있으며, 유기체에서 발생하는 모든 화학 원소는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의 일부이다. 이러한 화학 원소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일부일 뿐만 아니라 물(수권), 육지(지권), 그리고/또는 공기(대기권)과 같은 생태계의 비생물적 요소를 통해서도 순환한다.[4] 행성의 생물적 요소는 집합적으로 생물권이라고 할 수 있으며, 살아있는 유기체에 의해 생태계에서 사용되는 모든 영양소는 '폐쇄 시스템'의 일부이므로, 이러한 화학 물질은 재활용된다.[4]

생물권의 주요 부분은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에서 화학 원소와 화합물의 흐름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순환의 대부분에서 생물군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지구 내부의 물질은 화산에 의해 방출되며, 대기는 일부 화합물과 원소를 생물군 및 바다와 빠르게 교환한다. 암석, 토양 및 바다 사이의 물질 교환은 비교적 느리다.[5]

생태계에서 에너지의 흐름은 '개방 시스템'이며, 태양은 끊임없이 빛의 형태로 행성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반면, 결국 음식망의 영양 단계를 통해 열의 형태로 사용되고 손실된다. 탄소는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 즉 음식 에너지의 주요 공급원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이러한 화합물은 산화되어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며, 이산화탄소는 식물이 유기 화합물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이 화학 반응은 햇빛의 에너지로 구동된다. 햇빛은 탄소를 수소 및 산소와 결합하여 에너지원을 만드는 데 필요하지만, 햇빛이 전혀 침투할 수 없는 심해의 생태계는 황으로부터 에너지를 얻는다. 황 순환에서 황은 에너지원으로 영원히 재활용될 수 있다.[5]

지구는 끊임없이 에너지태양으로부터 받지만, 추가 물질이 운석에 의해 가끔 추가되기 때문에 그 화학적 구성은 본질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화학 물질에 의존하는 모든 과정은 재활용되어야 하며, 이러한 순환에는 살아있는 생물권뿐만 아니라 무생물적 지권, 대기권 및 수권도 포함된다.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지구화학적 순환과 대조될 수 있다.

생물지구화학에서는 지구를 크게 5개의 영역(권)으로 나누어 생각한다.

단, 토양권은 생물권 또는 암석권에 포함되는 경우도 많다.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각 권 내에서의 물질의 이동·축적, 그리고 각 권 간의 물질의 이동으로 이루어진다. 어떤 화학 물질이 한 장소에 유지되는 기간은 체류 시간(residence time)으로 표현되며,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는 경우부터 짧은 시간 안에 교환되는 경우까지 폭넓다. 예를 들어 석탄 광상은 탄소를 억 년 단위로 저장하며, 이처럼 장기적으로 체류하는 장소는 저장고(reservoir)라고 불린다. 이에 비해 비교적 단기간만 체류하는 장소는 교환 풀(exchange pools)이라고 불린다.

4. 1. 탄소 순환

탄소는 모든 유기물의 기본 구성 요소이며, 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순환한다.[3] 탄소 순환은 생태학 및 대기 과학 연구와 관련이 깊다.[53]

탄소는 광합성을 통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형태로 생물체 내로 유입되어 유기물로 전환된다. 이렇게 생산된 유기물은 먹이 사슬을 통해 다른 생물에게 전달된다.[2] 생물은 호흡을 통해 유기물을 분해하여 에너지를 얻고, 이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다시 대기로 방출한다. 생물이 죽으면 분해자에 의해 분해되어 이산화탄소 형태로 대기로 돌아간다.[4]

화석 연료의 연소도 대기 중으로 이산화탄소를 방출하는 주요 과정 중 하나이다. 특히 산업화 이후 화석 연료 사용이 증가하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격히 증가했고, 이는 지구 온난화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6]

석탄 광상과 같이 탄소를 억 년 단위로 장기간 저장하는 장소를 저장고(reservoir)라고 한다.[54] 반면, 동물이나 식물과 같이 비교적 짧은 기간 동안 탄소를 저장하는 장소를 교환 풀(exchange pools)이라고 하며, 생물은 탄소를 이용하여 단백질이나 지질 등 생체 물질을 합성한다.[54]

4. 2. 질소 순환

질소는 핵산단백질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3] 미생물은 지구 시스템에서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의 많은 부분을 주도한다.[21][22]

4. 3. 인 순환

인은 생명체에게 필수적인 원소로, 핵산, 인지질 등 생체 분자를 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은 주로 암석의 풍화 작용을 통해 생태계로 유입된다.[2] 인 순환은 다른 생물지구화학적 순환과 연결되어 있는데, 물의 이동은 인을 강으로 용출시켜 바다로 운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3]

인은 생물에게 꼭 필요한 영양소이지만, 과도하게 유입될 경우 부영양화와 같은 수질 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

인의 순환

4. 4. 황 순환

황은 단백질의 3차원 구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3] 황 순환에서 황은 에너지원으로 영원히 재활용될 수 있다. 에너지는 황 화합물의 산화 및 산화 환원을 통해 방출될 수 있다(예: 원소 황을 아황산염으로 산화한 다음 황산염으로 산화).[5]

황 순환은 화산 활동, 광물의 풍화, 생물의 분해 등 다양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화석 연료 연소 과정에서 발생하는 황산화물은 산성비의 주요 원인 물질이며, 대기 오염을 일으킨다.

4. 5. 물 순환

물은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적인 물질이며, 증발, 응결, 강수 등 다양한 과정을 통해 지구 상에서 순환한다. 이러한 물 순환은 다른 물질 순환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기후 변화와 인간 활동에 의해 큰 영향을 받는다.[3]

물의 순환


지구상에서 물은 끊임없이 순환하며, 그 과정은 다음과 같다.

  • 증발: 태양 에너지에 의해 지표면의 물이 수증기로 변하여 대기 중으로 이동한다.
  • 응결: 대기 중의 수증기가 냉각되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변한다.
  • 강수: 응결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충분히 커지면 비, 눈, 우박 등의 형태로 지표면에 떨어진다.
  • 침투: 지표면에 떨어진 물의 일부는 땅속으로 스며들어 지하수가 된다.
  • 흐름: 지표면이나 지하의 물은 강, 호수, 바다 등으로 흘러간다.


물의 순환은 지구의 기후 시스템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태계 내에서 다양한 생물학적, 화학적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4. 6. 산소 순환

산소는 대부분의 생물이 호흡에 사용하는 기체이며, 광합성과 호흡 과정을 통해 순환한다. 대기 중 산소 농도는 생물 활동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지구 환경 변화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4. 7. 수은 순환

Mercury cycle영어은 독성이 강한 중금속인 수은의 순환을 말한다. 수은은 화산 활동과 같은 자연적인 발생원과 산업 활동과 같은 인위적인 발생원을 통해 환경으로 배출된다.[60][49] 수은은 먹이 사슬을 통해 농축되는 경향이 있어 생태계와 인간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다.

5. 모델링

상자 모델은 생물지구화학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데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다.[24][25] 이 모델은 복잡한 시스템을 단순화하여, 화학 물질을 담는 상자(저장소)와 물질의 흐름(플럭스)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표현한다. 간단한 상자 모델은 부피와 같은 속성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소수의 상자로 구성되며, 각 상자 안의 물질은 균일하게 섞여 있다고 가정한다.[25] 이러한 모델은 종종 관련 화학 종의 역학과 정상 상태의 양을 설명하는 분석 공식을 도출하는 데 사용된다.

기본적인 1-상자 모델


위 그림은 기본적인 1-상자 모델을 나타낸다. 저장소에는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고려 중인 물질 ''M''의 양이 포함된다. 소스 ''Q''는 저장소로 들어오는 물질의 흐름이고, 싱크 ''S''는 저장소에서 나가는 물질의 흐름이다. 저장소 내 물질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는 소스와 싱크를 점검하고 균형을 맞추는 것을 예산이라고 한다. ''Q'' = ''S''인 경우, 즉 소스와 싱크가 균형을 이루어 시간에 따른 변화가 없는 경우 저장소는 정상 상태에 있다고 한다.[25]

물질이 저장소에 머무르는 평균 시간을 체류 시간 또는 회전 시간이라고 한다. 저장소가 정상 상태에 있다면, 이는 저장소를 채우거나 비우는 데 걸리는 시간과 같다. 따라서 τ가 회전 시간일 때, τ = ''M''/''S''이다.[25] 저장소 내용물의 변화율을 설명하는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frac{dM}{dt} = Q - S = Q - \frac{M}{\tau}.

둘 이상의 저장소가 연결되면 물질은 저장소 사이를 순환하며, 순환 흐름에는 예측 가능한 패턴이 나타날 수 있다.[25] 더 복잡한 다중 상자 모델은 일반적으로 수치 기법을 사용하여 해결한다.

간단한 3-상자 모델. 해양 탄소 흐름의 단순화된 예산
[26]

전 지구적 생물지구화학적 상자 모델의 측정 단위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다.

항목단위
저장소 질량페타그램 (Pg)
흐름 플럭스연간 페타그램 (Pg yr−1)



왼쪽 그림은 해양 탄소 흐름의 단순화된 예산을 보여주는 3-상자 모델이다. 이 모델은 유광층, 해양 내부 (어두운 해양), 그리고 해양 퇴적물의 세 상자로 구성된다. 유광층에서는 순 식물 플랑크톤 생산이 매년 약 50Pg이다. 약 10Pg이 해양 내부로 유출되고, 나머지 40Pg은 호흡된다. 유기 탄소 분해는 입자 (해양 눈)가 해양 내부를 통과하여 가라앉으면서 발생한다. 결국 2Pg만이 해저에 도달하고, 나머지 8Pg은 어두운 해양에서 호흡된다. 퇴적물에서는 분해에 사용 가능한 시간 규모가 수십 배 증가하여 전달된 유기 탄소의 90%가 분해되고, 단지 0.2Pg만이 매몰되어 생물권에서 지권으로 이동한다.[26]

여러 개의 상호 작용하는 상자를 갖는 더 복잡한 모델. 해양에서 육상 유기 탄소의 수출 및 매몰률
[29]

오른쪽 그림은 여러 개의 상호 작용하는 상자를 갖는 더 복잡한 모델을 보여준다. 여기서 저장소 질량은 Pg C 단위로 측정된 ''탄소 재고''를 나타내며, Pg C yr−1 단위로 측정된 탄소 교환 플럭스는 대기권과 육지, 해양 사이에서 발생한다. 검은색 숫자와 화살표는 산업 혁명 직전인 1750년에 추정된 저장소 질량과 교환 플럭스를 나타낸다. 빨간색 화살표와 숫자는 2000–2009년 기간 동안 평균된 인위적 활동으로 인한 연간 플럭스 변화를 나타내며, 1750년 이후 탄소 순환이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준다. 저장소의 빨간색 숫자는 산업 시대 시작인 1750–2011년 이후 인위적 탄소의 누적 변화를 나타낸다.[27][28][29]

물질 순환 모델링에는 일반적으로 박스 모델이 사용된다.[57] 박스는 대기권, 생물권, 해양, 상부 맨틀, 해양성 지각 등 물질의 저장소를 나타낸다. 각 박스 사이는 물질의 흐름을 나타내는 화살표로 연결되며, 박스 내 물질 분포는 균일하다고 가정한다. 가장 단순한 1 박스 모델은 1개의 박스와 2개의 화살표로 구성되는데, 박스로 들어가는 화살표는 공급(source), 박스에서 나오는 화살표는 방출(sink)을 나타낸다.

박스 모델에 따르면, 어떤 물질의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서로 연결된 저장소의 집합으로 표현된다. 특정 시점에서의 순환 모습은 각 저장소의 크기(mol 또는 kg) 및 플럭스의 크기(단위 시간당 물질 이동량, mol y-1 또는 kg y-1)로 나타낼 수 있다.[57]

6. 빠른 순환과 느린 순환

생물지구화학적 순환은 속도에 따라 빠른 순환과 느린 순환으로 구분할 수 있다. 빠른 순환은 생물권에서 작동하며, 수년 내에 완료될 수 있다. 이 순환은 물질을 대기에서 생물권으로 이동시킨 후 다시 대기로 되돌린다.[31] 예를 들어, 빠른 탄소 순환은 환경과 생물권의 생물체 사이의 비교적 단기적인 생지화학적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에는 대기와 육상 및 해양 생태계, 토양 및 해저 퇴적물 사이의 탄소 이동이 포함된다. 빠른 순환에는 광합성을 포함하는 연간 순환과 식생 성장 및 분해를 포함하는 10년 주기 순환이 포함된다.[35][32][33][34]



느린 순환은 암석에서 작동하며, 수백만 년이 걸릴 수 있다. 이 순환은 물질을 암석, 토양, 해양 및 대기 사이의 지구 지각을 통해 이동시킨다.[31] 예를 들어, 느린 탄소 순환은 암석 순환에 속하는 중장기적인 지화학적 과정을 포함한다. 해양과 대기 사이의 교환은 수 세기가 걸릴 수 있으며, 암석의 풍화는 수백만 년이 걸릴 수 있다. 해양의 탄소는 해저에 침전되어 퇴적암을 형성하고 섭입되어 지구의 맨틀로 들어갈 수 있다. 조산 작용은 이 지질학적 탄소를 지구 표면으로 되돌리는 결과를 낳는다. 그곳에서 암석은 풍화되고 탄소는 탈기에 의해 대기로, 강에 의해 해양으로 되돌아간다. 다른 지질학적 탄소는 칼슘 이온의 열수 방출을 통해 해양으로 되돌아갑니다. 주어진 해에 1,000만에서 1억 톤의 탄소가 이 느린 순환을 거친다.[31][35]

느린 순환은 화산 활동 및 지각 활동을 포함하여 암석을 통해 작동한다.


어떤 화학 물질이 한 장소에 유지되는 기간은 체류 시간(residence time)으로 표현되며, 장기간에 걸쳐 유지되는 경우부터 짧은 시간 안에 교환되는 경우까지 폭넓다. 예를 들어 석탄 광상은 탄소를 억 년 단위로 저장하며, 이처럼 장기적으로 체류하는 장소는 저장고(reservoir)라고 불린다. 이에 비해 비교적 단기간만 체류하는 장소는 교환 풀(exchange pools)이라고 불린다. 일반적으로 저장고는 비생물적인 요소이며, 반대로 교환 풀은 생물적 요소로 구성된다. 동물이나 식물 등의 생물은 교환 풀의 예이며, 생물은 탄소나 다른 원소를 이용하여 각종 생체 물질(단백질이나 지질 등)을 합성한다. 생체 물질은, 생체 내에서 대사에 의해 여러 가지로 (화학 물질로서) 형태를 바꾸면서, 최종적으로는 주변 환경으로 다시 방출된다.

참조

[1] 웹사이트 CK12-Foundation https://flexbooks.ck[...] 2022-03-21
[2] 웹사이트 Biogeochemical Cycles https://cnx.org/cont[...]
[3] 서적 3.2 Biogeochemical Cycles https://openoregon.p[...] 2019
[4] 웹사이트 Biogeochemical Cycles http://www.envirolit[...] The Environmental Literacy Council 2017-11-20
[5] 웹사이트 Biogeochemical cycles http://editors.eol.o[...] 2012
[6] 논문 Relevance of carbon stocks of marine sediment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of maritime nations 2017
[7] 논문 Changing Biogeochemistry of the Southern Ocean and Its Ecosystem Implications
[8] 논문 The Census of Marine Life—evolution of worldwide marine biodiversity research
[9] 간행물 10th Meeting: report of the royal commission on metropolitan sewage https://www.proquest[...] 1884
[10] 논문 Cultural Eutrophication is Reversible
[11] 논문 A reevaluation of the magnitude and impacts of anthropogenic atmospheric nitrogen inputs on the ocean
[12] 논문 Exploring changes in river nitrogen export to the world's oceans
[13] 논문 Climate change and dead zones
[14] 논문 Declining oxygen in the global ocean and coastal waters
[15] 논문 Scientists' warning to humanity: Microorganisms and climate change
[16] 논문 Climate change microbiology — problems and perspectives
[17] 논문 Editorial: Marine Microbiome and Biogeochemical Cycles in Marine Productive Areas
[18] 논문 Biochemical adaptation to ocean acidification
[19] 논문 Microbial niches in marine oxygen minimum zones
[20] 논문 Microbial oceanography of anoxic oxygen minimum zones
[21] 논문 The Microbial Engines That Drive Earth's Biogeochemical Cycles
[22] 논문 Redox-informed models of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23] 웹사이트 Biogeochemical Cycles: Carbon Cycle http://csmgeo.csm.jm[...] James Madison University 2017-11-20
[24] 논문 A new model for the role of the oceans in determining atmospheric P CO 2
[25] 서적 Biogeochemistry of Estuaries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26] 서적 Marine carbon biogeochemistry: a primer for earth system scientists Springer Nature
[27] 논문 Sinks for Anthropogenic Carbon
[28] 논문 Carbon and Other Biogeochemical Cycles
[29] 논문 Perspectives on the Terrestrial Organic Matter Transport and Burial along the Land-Deep Sea Continuum: Caveats in Our Understanding of Biogeochemical Processes and Future Needs
[30] 웹사이트 The Carbon Cycle http://earthobservat[...] NASA 2011-06-16
[31] 서적 Blue planet: The role of the oceans in nutrient cycling, maintain the atmosphere system, and modulating climate chang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
[32] 논문 Atmospheric carbon dioxide levels for the last 500 million years
[33] 논문 Correlation between the Fluctuations in Worldwide Seismicity and Atmospheric Carbon Pollution
[34] 논문 Earth's carbon cycle: A mathematical perspective https://www.ams.org/[...] 2015-01
[35] 서적 Climate Change and Renewable Energy https://books.google[...]
[36] 논문 Weighing the deep continental biosphere
[37] 논문 Global distribution of microbial abundance and biomass in subseafloor sediment
[38] 논문 Status of the Archaeal and Bacterial Census: An Update
[39] 논문 Decoding molecular interactions in microbial communities
[40] 논문 Interaction networks for identifying coupled molecular processes in microbial communities
[41] 논문 Genetic characterization of denitrifier communities with contrasting intrinsic functional traits
[42] 논문 Critical biogeochemical functions in the subsurface are associated with bacteria from new phyla and little studied lineages https://escholarship[...] 2021-09-27
[43] 논문 Microbial community transcriptomes reveal microbes and metabolic pathways associated with dissolved organic matter turnover in the sea
[44] 논문 Networks of energetic and metabolic interactions define dynamics in microbial communities
[45] 논문 Microbial Metagenomics Reveals Climate-Relevant Subsurface Biogeochemical Processes
[46] 논문 Anvi'o: An advanced analysis and visualization platform for 'omics data
[47] 논문 Binning metagenomic contigs by coverage and composition
[48] 논문 Thousands of microbial genomes shed light on interconnected biogeochemical processes in an aquifer system
[49] 웹사이트 Mercury Cycling in the Environment http://wi.water.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 2013-01-10
[50] 서적 Organic contaminants that leave traces : sources, transport and fate Ifremer
[51] 논문 Global carbon export from the terrestrial biosphere controlled by erosion
[52] 논문 Comparative organic geochemistries of soils and marine sediments
[53] 서적 Northern Eurasia earth science partnership initiative (NEESPI), Science plan overview 2017-11-20
[54] 웹사이트 Distributed Active Archive Center for Biogeochemical Dynamics http://daac.ornl.gov[...] Oak Ridge National Laboratory 2017-11-20
[55] 웹사이트 Is the Earth Gaining or Losing Mass? https://astronomy.co[...] Astronomy 2021-09-26
[56] 웹사이트 The Earth-Atmosphere Energy Balance https://www.weather.[...] National Weather Service 2021-09-26
[57] 서적 Encyclopedia of ocean sciences https://www.worldcat[...] Academic Press 2001
[58] 문서 Prentice Hall Biology
[59] 웹사이트 Matter cycles http://www.lenntech.[...]
[60] 웹사이트 Mercury Cycling in the Environment - USGS Wisconsin Water Science Center http://wi.water.usg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