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하 인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하 인종은 서하의 황제이다. 그는 금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한족 대신을 등용하는 등 문화 정책을 펼쳤다. 학교를 정비하고 과거 제도를 시행하여 인재를 등용했으며, 유교와 불교를 장려하고 법전을 편찬했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군사력 약화로 이어져 대외 전쟁에서 패배하고 외척 세력이 대두되면서 서하의 국세가 쇠퇴했다. 그의 가족으로는 황후 왕씨, 장헌흠자황후 뤄씨, 아들 이순우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24년 출생 - 이고 (고려 중기)
이고는 고려 중기의 무신으로, 1170년 정중부, 이의방 등과 함께 경인년의 난을 일으켜 의종을 폐위하고 명종을 옹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이듬해 왕위 찬탈을 꾀하다 이의방에게 제거되었다. - 1193년 사망 - 살라딘
쿠르드족 출신 살라딘은 아이유브 왕조의 창시자이자 술탄으로, 이집트 장악과 시리아 정복, 십자군과의 전쟁에서 승리, 그리고 관용과 용맹함으로 이슬람 세계와 서구 세계 모두에게 존경받는 인물이다. - 1193년 사망 - 발리앙 디블랭
발리앙 디블랭은 12세기 예루살렘 왕국의 귀족으로 몽기사르 전투에서 살라딘을 격파하는 데 기여했고, 아모리 1세의 미망인과 결혼하여 나블루스 영지를 받았으며, 보두앵 4세와 5세의 섭정을 지지하고 예루살렘 방어에 힘쓰다 1193년에 사망했다. - 서하의 황제 - 서하 혜종
서하 혜종은 서하의 제3대 황제이며,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량씨의 섭정을 받았고, 16세에 친정을 시작했으나 26세에 사망했다. - 서하의 황제 - 서하 숭종
서하 숭종은 혜종의 급사로 즉위하여 량태후의 섭정을 받다가 친정을 시작하여 개혁 정치를 펼치고 요나라 멸망에 기여하여 영토를 확장한 서하의 제4대 황제이다.
서하 인종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위명인효 (嵬名仁孝) |
성 | 이 (李) |
휘 | 인효 (仁孝) |
묘호 | 인종 (仁宗) |
시호 | 성덕황제 (聖德皇帝) |
존호 | 봉천현도광요무선문신모예제의거사순목의공황제 (奉天顯道光耀武宣文神謀睿制義去邪惇睦懿恭皇帝) |
탕구트어 존호 (단축) | 호성황제 (護城皇帝) |
탕구트어 존호 (전체) | 호성성덕지공황제 (護城聖德至懿皇帝) |
능묘 | 수릉 (壽陵, 탕구트어: ; 서하 왕릉 7호묘) |
생애 | |
출생 | 1124년 |
사망 | 1193년 10월 16일 |
부황 | 숭종 |
모후 | 미상 (한족) |
배우자 | 왕황후 |
재위 | |
즉위일 | 1139년 7월 1일 |
퇴위일 | 1193년 10월 16일 |
후계자 | 환종 |
연호 | |
대경 (大慶) | 1140년 ~ 1143년 |
인경 (人慶) | 1144년 ~ 1148년 |
천성 (天盛) | 1149년 ~ 1169년 |
건우 (乾祐) | 1170년 ~ 1193년 |
2. 생애
인종은 금과 우호적인 관계를 맺으며 한족 출신 대신을 등용하는 등 문화 정책에 힘썼다. 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결과적으로 군사력을 경시하게 만들어, 인종의 치세 말년에는 대외 전쟁에서 패전이 이어졌다. 또한 외척의 대두도 나타나, 서하는 이후 국세가 쇠퇴하게 된다.[1]
2. 1. 문화 정책
인종은 금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한족 출신 대신들을 등용하는 등 여러 문화 정책을 펼쳤다. 국내 학교를 정비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과거 제도를 시행하여 인재를 등용하였다. 유교와 관련해서는 공자묘를 보수하였고, 불교에서는 티베트에서 승려를 초빙하여 많은 불교 경전을 출판하게 했다. 이 외에도 한림학사원을 설치하여 역사 기록을 남기게 했으며, 《신률》과 《천성년개신률령》 등 법률 및 예악 정비에도 힘썼다.[1]이러한 정책은 결과적으로 군사력을 소홀히 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하여, 인종의 통치 기간 말년에는 대외 전쟁에서 패배가 잦았다. 또한 외척 세력이 커지면서, 서하는 이후 국력이 쇠퇴하게 되었다.[1]
2. 2. 유교 및 불교 장려
인종은 금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한족 출신 관리들을 등용하는 등 문화 정책에 힘썼다. 그 결과 학교를 정비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과거를 실시하여 인재 등용을 추진했다.[1] 유교 진흥을 위해 공자묘를 보수했고, 불교 진흥을 위해 티베트에서 승려를 초빙하여 많은 불교 경전을 출판하게 했다.[1] 한림학사원을 설치하여 역사 기록을 담당하게 했으며, 《신률》과 《천성년개신률령》 등 법률과 예악 제도를 정비하는 데에도 힘썼다.[1]2. 3. 법전 편찬
인종은 금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한족 출신 관료를 등용하는 등 여러 문화 정책을 펼쳤다. 국내 학교를 정비해 교육을 실시하고, 과거를 통해 인재를 등용했다. 유교와 관련해서는 공자묘를 보수했고, 불교에서는 티베트 승려를 초빙해 많은 불경을 출판하게 했다. 또한 한림학사원을 설치해 역사 기록을 남기게 했으며, 《신률》과 《천성년개신률령》 등 법전을 편찬하고 예악과 율령을 정비하는 데에도 힘썼다.[1]2. 4. 외치
인종의 치세는 금과의 우호적인 관계 아래 한족 대신을 등용하는 등 문화 정책에 힘썼다. 그 결과 국내에 학교를 정비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과거를 실시하여 인재 등용을 추진했다. 또한 유교에 대해서는 공자묘를 개수하고, 불교에서는 티베트에서 승려를 초빙하여 많은 불전을 출판하게 했다. 이 외에도 한림학사원을 설치하여 실록을 기록하게 한 외에, 《신률》과 《천성년개신률령》과 예악 및 율령의 정비에도 진력했다.이러한 정책은 결과적으로 군사력 경시로 이어져, 인종의 치세 만년에는 대외 전쟁에서 패전이 이어지게 되었다. 또한 외척의 대두도 인정되어, 서하는 이 이후 국세가 쇠퇴하게 된다.
2. 5. 외척 세력의 발호
인종의 치세에는 금과의 우호적인 관계를 바탕으로 한족 대신을 등용하는 등 여러 문화 정책이 추진되었다. 국내 학교를 정비하여 교육을 실시하고, 과거를 통해 인재를 등용했다. 유교에서는 공자묘를 개수하고, 불교에서는 티베트 승려를 초빙하여 많은 불전을 출판하게 했다. 또한 한림학사원을 설치하여 실록을 기록하게 했으며, 《신률》과 《천성년개신률령》 등 예악 및 율령 정비에도 힘썼다.[1]그러나 이러한 정책은 결과적으로 군사력 경시로 이어져, 인종의 치세 말년에는 대외 전쟁에서 패전이 계속되었다. 또한 외척 세력의 발호도 나타나, 서하는 이후 국세가 쇠퇴하게 된다.[1]
3. 가족
배우자 | 자녀 |
---|---|
황후 왕씨 | |
황후 뤄씨 | 이순우 |
3. 1. 배우자
- 망황후(罔皇后)
- 나황후(羅皇后)
- 황후 왕씨 (1167년/1168년 사망)
- 장헌흠자황후 뤄씨 (章獻欽慈皇后)
3. 2. 형제
- 이인애
- 이인우
3. 3. 자녀
서하 인종에게는 아들 이순우가 있었다. 그는 뤄씨 소생으로 1177년에 태어나 1206년에 사망했다.[4]배우자 | 자녀 |
---|---|
황후 왕씨 | |
황후 뤄씨 | 이순우 |
3. 3. 1. 아들
이순우참조
[1]
뉴스
西夏王陵简介
http://www.nxxwl.com[...]
宁夏西夏陵
2012-12-14
[2]
서적
辞海:1999年版缩印本 [Ci hai: 1999 nian ban suo yin ben]
上海辞书出版社 [Shanghai ci shu chu ban she]
[3]
간행물
西夏皇帝尊号考略
http://rdbk1.ynlib.c[...]
[4]
서적
夏漢字典 [Tangut-Chinese Dictionary]
中國社會科學出版社 [Zhongguo shehui chubanshe]
[5]
서적
夏漢字典 [Tangut-Chinese Dictionary]
中國社會科學出版社 [Zhongguo shehui chubansh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