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사는 불교에서 유래한 용어로, 수행 승려에 대한 존칭으로 사용되며, 특히 선(禪) 수행을 통해 높은 경지에 이른 승려를 지칭한다. 일본에서는 역사적으로 산림 수행자나 치료 활동을 한 승려에게도 사용되었으며, 중국에서는 당나라 시대 신수의 시호인 "대통"이 처음으로 선사 칭호가 사용된 것으로 여겨진다. 선사는 임제종과 조동종 등 선종의 각 종파에서 감독 자격을 갖춘 스승을 지칭하기도 하며, 한국 선종에서는 스승으로부터 제자에게 전법을 인정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서양에서는 선(Zen) 수행과 관련된 인물이나, 정신적, 심리적으로 뛰어난 사람을 비유하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승 - 보디다르마
보리달마는 5~6세기경 인도에서 중국으로 건너가 선종을 전파한 승려로, 남인도 출신으로 추정되며, 양나라 무제와의 문답, 소림사 9년 면벽좌선, 혜가에게 법을 전한 이야기 등으로 유명하고, 좌선과 벽관을 강조하며 돈오와 불성을 중요시하여 동아시아 선불교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선승 - 지도림
지도림은 동진 시대의 승려로, 불교와 노장사상을 융합하여 격의불교 발전에 기여했으며, 《장자》에 주석을 달고 왕희지 등과 교류하며 불교 사상을 전파하여 한국 불교, 특히 선불교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평가받는다. - 불교의 칭호 - 부처
부처는 '깨달은 자'를 뜻하는 말로, 불교에서는 고통의 소멸의 길을 찾고 더 이상 배울 필요가 없는 경지에 이른 존재를 가리키며, 부처의 본성과 성불 과정에 대한 견해는 불교 종파에 따라 다양하게 해석된다. - 불교의 칭호 - 전륜성왕
전륜성왕은 고대 인도에서 이상적인 군주로 여겨진 존재로, 불교, 힌두교, 자이나교에서 각기 다른 의미를 부여받았으며, 특히 불교에서는 법에 따라 세계를 통치하는 이상적인 제왕으로 묘사된다.
선사 | |
---|---|
기본 정보 | |
구분 | 종교 지도자 |
종교 | 불교 (선불교) |
인물 | |
설명 | 선을 수행하고 가르치는 승려 또는 재가자. |
다른 용어 | 선사 (禪師), 선덕 (禪德), 선객 (禪客), 선납(禪衲) |
영어 | Zen master |
2. 역사
선사(禪師)는 원래 참선(선(禪))에 능숙한 승려를 가리키는 말로, 경전이나 계율에 특화된 승려와 구별되었다.[1] 당나라 이전에는 지의와 같은 천태종 승려도 선사로 불렸다.
현대 중국에서 '선(禪)'은 다양한 참선 형태를 포괄하는 용어이며, 중국 선종(Chan)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많은 사찰들이 천태종, 정토종, 화엄종, 중국 밀교, 유가종 등 다양한 불교 전통을 통합하여 '중국 불교'라는 범주 아래 포괄한다.
'선사(chánshī)'는 선에 특화된 숙련된 승려에게 붙이는 존칭이며, '선종대사(Chánzōng Dàshī)'는 더 구체적인 칭호이지만 드물게 사용된다. '대사(Dàshī)'는 특정 기술의 달인에게 사용되는 칭호로, 제자들이 사후에 스승에게 추서하기도 한다. (혜운처럼 예외도 있다.) 불교 스승을 부르는 일반적인 용어로는 '사부(Sifu, 스승)'와 '법사(Făshī)'가 있으며, '라오스(Lǎoshī, 스승)'는 모든 과목의 교사에게 사용될 만큼 일반적인 용어이다.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산림 수행을 한 승려나 승려 의원에게 선사 칭호를 사용했다. 도경에게 주어진 '태정대신선사'가 그 예다. 선승에게 시호로 선사호를 추증한 것은 고우다 천황이 란계도륭에게 '대각' 선사호를 추증한 것이 처음이다. 생전에 선사호를 받은 첫 사례는 무로마치 시대의 양수종이이다. 중국에서는 당나라 초 신수의 시호인 '대통'이 최초로 여겨진다. 승려에게 주어지는 시호로는 대사, 국사 등이 있다.
2. 0. 1. 임제종 (일본)
임제종에서 감독 자격을 얻으려면 추가적인 수련이 필요하다. 일반적인 전법에는 인가증명(印可證明, ''inka shōmei'')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4] 즉심(則心, Sokun Tsushimoto) 로시에 따르면, 로시(老師, ''roshi'')라는 칭호는 선사(禪師, ''Zen master'') 및 시케(師家, ''shike'')와 동등하다.[4] 시케는 결혼하지 않으며, 선 수행 전통의 살아있는 상징으로 여겨진다.[6]즉심 로시에 따르면, 일본에는 이러한 인가증명 소지자가 약 50명[6]에서 80명[7] 정도 있다.
시케는 선 수행 전통의 살아있는 상징이며, 이상적으로 지혜, 영성, 엄격한 훈련, 개성, 그리고 온화한 사회적 성격을 구현하는 선의 덕목의 정수인 진정한 선사의 권위를 가지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존경을 받는다.[6]
시케는 또한 종파(임제종의 하위 종파, 자체 본찰을 가짐)의 수장이기도 하다. 그들은 승려들을 임명하고 해임하며, 계급 체계 내의 직책을 임명한다.[6] 그러나 "묘신사(妙心寺, Myōshinji)의 주지 직은 선거에 기초하며, 각 선출 기간은 4년이다".[6]
2. 0. 2. 조동종 (일본)
소토 선에서 “대오쇼(Dai-Osho)”는 승려 계급에서 최고의 사제 계급이다.[3] 이는 도겐(道元)과 계산(瑩山)(이 종파의 창시자) 그리고 이 종파의 두 본산의 현직 또는 전직 주지에게만 적용되는 “젠지(Zenji)”에 의해서만 능가된다.[3] 수행 승려를 감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자격이 필요하다.2. 0. 3. 한국 선종의 인가
한국 선종에서 인가(印可, In'ga)는 일반적으로 스승으로부터 제자에게 전법(傳法)을 사적으로 인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전법"은 동일한 인정에 대한 공개적인 의식을 가리키는 데 사용된다. 둘 다 권위와 "깨달음"에서 동등하게 여겨진다. 인가 또는 공개적인 "전법"을 받은 승려는 사찰의 선사(禪師, Soen Sa) 직책을 맡고 제자들에게 전법(인가 또는 공개적인 "전법")을 전할 자격이 있다. 한국의 선사 대부분은 인가만 받고 인가만 전하며, 공식적인 전법 의식은 훨씬 드물다.[11]2. 0. 4. 관음선원
승산(Seung Sahn)이 설립한 관음선원에서는 선사를 '선사님'(선사님|禪師님한국어)이라고 부를 수 있다. 관음선원은 선사의 두 "단계"를 명확하게 구분한다.[11]3. 서양 문화
"선사(禪師)"라는 용어는 여러 국가와 전통 출신의 개인을 지칭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 이 용어는 대중문화에 들어와 스포츠와 연예계의 여러 유명인사를 가리키는 데 사용되었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초연함과 통제력을 보이는 사람을 나타낸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영적 반문화의 인물들 중 일부는 실제 선 수련을 거의 또는 전혀 하지 않고도 이 용어를 채택하기도 했다. (예: 프레드릭 렌츠, 라즈니시)[1]
참조
[1]
웹사이트
The Chinese Buddhist Schools: Chan
https://web.archive.[...]
2010-04-18
[2]
웹사이트
Part 5: Sessa-takuma - ango as life in a rock grinder
http://antaiji.dogen[...]
[3]
웹사이트
Ten points to keep in mind about dharma transmission
http://antaiji.dogen[...]
[4]
뉴스
Rients Ritskes op beschuldiging: ‘Raksu formeel uitgereikt als bewijs van competent zenleiderschap’
https://web.archive.[...]
Boeddhistisch Dagblad
2013-04-17
[5]
웹사이트
Caring for body and soul. Interview with Sokun Tsushimoto
http://www.japantime[...]
The Japan Times online
[6]
웹사이트
Part 10: What does it take to become a full-fledged Sōtō-shu priest and is it really worth the whole deal?
http://antaiji.dogen[...]
[7]
웹사이트
Buddhadharma Dictionary: Roshi
http://archive.thebu[...]
[8]
웹사이트
Mugai Nyodai, First Woman to Head a Zen Order – Buddhism
http://www.bellaonli[...]
Bellaonline.com
2011-11-11
[9]
뉴스
Japanese Zen Master Honored by Her Followers – New York Time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11-11
[10]
서적
Handbook to life in medieval and ...
https://books.google[...]
Google Books
2011-11-11
[11]
웹사이트
Glossary of Terms
https://web.archive.[...]
2012-05-24
[12]
백과사전
선사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13]
백과사전
법계
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