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구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제실은 사제와 봉사자들이 예배 전 예복을 착용하고 예배 후 예복을 벗고 예배에 사용된 물품을 보관하는 장소이다. 피스치나라는 특별한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주전자, 성작, 성합, 성반, 제단 린넨, 성유 등이 보관된다. 사제실은 라틴어 sacristia에서 유래되었으며, 사제실 관리인 또는 시스티안이 관리한다. 한국 교회에서도 예배 준비 및 물품 보관 공간으로 사용되며, 최근에는 다목적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건축 - 라브라
라브라는 개인 수행과 공동체 생활의 조화를 추구하는 반 은둔적 수도원 정착지를 지칭하며, 4세기 니트리아 사막에서 기원하여 다양한 지역에 설립되었고, 러시아 정교회에서는 규모가 큰 수도원을 라브라라고 칭한다. - 기독교 건축 - 소래교회
소래교회는 1883년 서상륜과 서경조에 의해 한국 최초로 한국인이 세운 개신교 교회이며, 이후 예배당 건축, 선교사 교육 장소, 동학군의 피신처로 사용되었고, 한국 개신교의 자생적 기원을 보여주는 유산으로 평가받아 총신대학교에 복원되었다. - 방 - 사우나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유래한 뜨거운 방에서 증기욕을 즐기는 시설 또는 행위로, 건식과 습식으로 나뉘며 혈액 순환 촉진, 스트레스 해소 등의 효과가 있어 전 세계적으로 이용되고 핀란드 문화의 중요한 요소이다. - 방 - 스튜디오
스튜디오는 예술, 미디어 제작, 교육, 훈련, 마스터링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작업 공간 또는 시설을 의미한다.
성구실 | |
---|---|
성구실 정보 | |
종류 | 교회 부속 공간 |
용도 | 성직자의 성복 보관, 성찬례 준비, 교회 물품 보관 |
다른 이름 | 제구실, 복사실 |
위치 | |
위치 | 교회 건물 내부, 제단 근처 |
접근성 | 성직자 및 지정된 사람만 접근 가능 |
기능 | |
보관 | 성직자의 성복 및 전례 용품 보관 |
준비 | 미사 또는 예배를 위한 준비 공간 |
회의 | 교회 운영진 회의 장소로 사용 |
특징 | |
크기 | 교회 규모에 따라 다양 |
설비 | 옷장, 서랍장, 거울, 세면대 등을 갖춤 |
장식 | 성경 구절, 성인 초상화, 십자고상 등으로 장식 |
2. 정의 및 역할
'''성구실'''(聖具室, Sacristy)은 사제와 봉사자들이 예배 전에 옷을 입고 준비하며, 예배가 끝난 후 예복을 벗고 사용된 그릇들을 정리하는 곳이다. 현수막, 제단 린넨, 교구 등록부 등이 보관되며, 교구 서기가 관리하기도 한다.
"성구실"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sacristia''에서 유래되었으며, ''sacrista''("성구실 관리인")를 거쳐 ''sacra''("성스러운")에서 유래되었다.[3][4] 성구실과 그 내용물을 관리하는 사람은 성구실 관리인 또는 시스티안이라고 불렀으며, 과거에는 교구 교회의 성직자에게 이 명칭이 주어졌다.[5]
모라비아 교회에서는 성구실에서 사랑의 만찬을 준비하여 신도들에게 분배하기도 한다.[2] 동방 기독교에서는 부제실과 전례대가 성구실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들은 성찬대(제단)에 인접해 있다.
웨스트민스터 사원에는 두 개의 성구실이 있었는데, 하나는 의식용 그릇을 보관하는 일반적인 성구실이고, 다른 하나는 행렬에 사용되는 "성구실의 갈릴리"였다.[6]
2. 1. 특수 설비
사제실에는 피스치나라고 하는 특별한 세면대가 있는데, 배수구는 사용된 세례수와 같은 성물을 하수도나 정화조로 흘려보내지 않고 땅으로 직접 흘러 들어가도록 설계되었다.[3][4] 피스치나는 미사와 성찬례 중에 사용된 린넨과 정화포를 씻는 데 사용된다.[3][4] 주전자, 성작, 성합, 성반, 제단 린넨, 때로는 성유가 사제실 안에 보관된다.3. 보관 물품
주전자, 성작, 성합, 성반, 제단 린넨, 때로는 성유가 성구실 안에 보관된다.[3][4] 성구실은 일반적으로 일반인에게는 공개되지 않는다.
4. 어원
"성구실"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sacristia''에서 유래되었으며, 때로는 ''sacrastia''로 표기되기도 한다. 이는 ''sacrista''("사제실 관리인", "시스티안")에서 유래되었으며, ''sacra''("성스러운")에서 유래되었다.[3][4]
5. 관리자
사제실과 그 내용물을 관리하는 사람을 사제실 관리인 또는 시스티안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교구 교회의 성직자가 이 건물과 부지를 관리하는 역할을 맡았다.[5]
6. 다른 기독교 교파
모라비아 교회에서는 준비실에서 사랑의 만찬이 신도들에게 분배될 수 있도록 준비한다.[2]
동방 기독교에서는 사제실의 기능이 부제실과 전례대에 의해 수행되며, 이 두 곳은 성찬대(제단)에 인접한 방 또는 구역이다.
7. 역사적 사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방영된 고고학 텔레비전 프로그램 ''타임 팀''의 한 에피소드에서는 헨리 3세의 중세 사제실을 찾던 중, 원래 사원에 두 개의 사제실이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6] 하나는 성작, 성반 등 의식용 그릇을 보관하는 일반적인 사제실이었고, 다른 하나는 15세기 문서에서 "사제실의 갈릴리"로 묘사된 곳으로 행렬에 쓰이는 의상과 대형을 갖추는 데 사용되었다.[6]
8. 한국 교회에서의 사제실
한국 교회에서도 사제실은 예배 준비와 성물 보관을 위한 필수적인 공간이다. 전통적으로 사제실은 사제의 개인적인 공간으로 여겨졌으나, 최근에는 교회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교회에서는 사제실을 회의 공간이나 소그룹 모임 장소로 활용하기도 한다. 한국 개신교, 특히 예장통합 교단에서는 목회실, 혹은 당회실이라는 용어를 더 많이 사용한다.
참조
[1]
웹사이트
Vestry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
서적
Litiz Moravian celebrates with mortgage-burning Lovefeast
The Moravian
2011
[3]
웹사이트
sacristy
2021-09-25
[4]
웹사이트
sacristy
2021-09-25
[5]
서적
Shorter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6]
웹사이트
"Time Team'' Series 17 Episode 1 - Westminster"
http://www.channel4.[...]
Channel 4
2011-06-06
[7]
문서
Catholic Encyclopedia
[8]
문서
"総則, 項105,119"
[9]
웹사이트
旧石巻ハリストス正教会教会堂
http://chiyukihirosi[...]
[10]
문서
"八木谷, 附録, 英和対照表"
[11]
웹사이트
教会委員会の由来 長坂聖マリヤ教会の週報(1/11,18)のコラム
http://michinori-man[...]
[12]
문서
"Britannica, Sacristy"
[13]
서적
公祈祷講話
正教会出版
[14]
문서
"ラウダーテ, 香部屋"
[15]
문서
"総則, 項19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