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우나는 "목욕"을 뜻하는 핀란드어에서 유래된 것으로, 고온의 공간에서 땀을 내는 목욕 형태를 말한다. 핀란드에서는 전통적인 사우나 문화가 발달했으며,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사우나는 건강 증진, 기분 전환 등의 효과가 있으며, 핀란드에서는 사우나를 통해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의식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고혈압, 심장 질환자 등 특정 질환자나 과도한 음주 후에는 사우나 이용에 주의해야 한다. 사우나의 종류는 훈제 사우나, 열 저장식 사우나, 전기 스토브 사우나, 원적외선 사우나 등 다양하며, 세계 각지에서 사우나를 소재로 한 다양한 작품과 미디어가 제작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우나 - 목욕
목욕은 고대부터 현대까지 개인 위생, 건강, 종교 의식, 치료, 레크리에이션을 위해 다양한 문화권에서 활용되었으며, 현대에는 욕조나 샤워를 이용한 개인 목욕과 다양한 형태의 공중 목욕이 널리 보급되었다. - 사우나 - 목욕탕
목욕탕은 공중이 이용하는 목욕 시설을 의미하며, 고대 로마, 이슬람, 한국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발전해 왔고, 1990년대까지 전성기를 누렸으나 개인 샤워 시설 보급과 찜질방 등장으로 쇠퇴하는 추세이다. - 핀란드의 발명품 - 단문 메시지 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는 휴대전화로 짧은 텍스트 메시지를 주고받는 서비스이며, 1980년대 초에 시작되어 2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표준으로 채택되었고, 개인 간 통신 및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스팸, 스미싱 등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 핀란드의 발명품 - 리눅스 커널
리눅스 커널은 1991년 리누스 토르발스가 개발을 시작한 UNIX에서 영감을 받은 운영 체제 커널로, GPLv2 라이선스를 채택하여 자유로운 사용과 배포를 허용하며 다양한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지원하고 모듈형 구조를 통해 장치 드라이버 추가가 가능하다. - 핀란드의 문화 - 핀란드의 국기 게양일
핀란드의 국기 게양일은 법적으로 국기 의무 게양일과 국가달력에 따른 국기 게양 권장일로 나뉘며, 의무 게양일에는 칼레발라의 날, 대통령 취임일 등이, 권장일에는 루네베리 탄신일, 평등의 날 등이 있다. - 핀란드의 문화 - 페르켈레
페르켈레는 인도유럽어 기원의 단어로 천둥의 신을 뜻하는 Perkwunos와 관련 있으며, 핀란드 신화의 우코의 원래 이름이라는 주장과 함께 기독교화 이후 악마를 지칭하는 단어로도 사용되었다.
| 사우나 | |
|---|---|
| 지도 | |
| 기본 정보 | |
| 종류 | 목욕탕 |
| 언어 | 핀란드어 영어 |
| 로마자 표기 | sauna |
| 핀란드어 표기 | sauna |
| 일본어 표기 | サウナ |
| 설명 | |
| 정의 | 작은 방 또는 건물 |
| 용도 | 목욕을 위한 고온의 공간 |
| 역사 | |
| 기원 | 핀란드 |
| 특징 | |
| 온도 | 높음 |
| 습도 | 낮음 |
| 기타 | |
| 관련 행사 | 사우나 오픈 에어 메탈 페스티벌 |
2. 용어 및 어원
사우나는 "목욕"을 뜻하는 핀란드어 단어이며, 초기 원시 독일어 stakna-에서 기원한다. 사우나는 전통적인 핀란드식 목욕탕과 목욕탕 건물 자체를 모두 가리키는 고대 핀란드어 단어이다.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를 제외한 다른 핀우그리아어족 언어에서는 목욕을 위해 지어진 건물이나 공간뿐만 아니라, 어부의 오두막과 같은 작은 오두막이나 별장을 의미하기도 한다.[17]
스코틀랜드 오크니 제도의 고대 석조 건축물은 기원전 약 4000년경 신석기 시대 유적으로, 불을 지피고 목욕할 수 있는 공간이 있어 사우나와 유사한 방식으로 증기를 사용했을 가능성이 있다.[4] 그린란드와 뉴펀들랜드 유적에서도 전통적인 스칸디나비아 농가 사우나와 매우 유사한 구조물이 발견되었다.[5]
발트발트핀어에서 사우나는 꼭 목욕을 위한 건물이 아니라, 어부를 위한 오두막집과 같은 조그마한 집을 뜻할 수도 있다. "사우나"라는 단어는 이러한 설비를 갖추고 간이 숙박도 가능한 대규모 공중목욕탕을 가리키기도 한다. 이 단어는 많은 언어에서 가장 잘 알려진 핀란드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이다.[17]
3. 사우나의 역사
한국의 전통 사우나인 ''한증막''은 돌로 만든 돔 구조물로, 15세기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에 처음 언급되었다.[6][7] 세종대왕의 지원을 받은 ''한증막''은 질병 치료에도 사용되었다.[6] 15세기 초, 불교 승려들은 ''한증소''라는 ''한증막'' 진료소를 운영하며 병든 가난한 사람들을 치료했고, 남녀를 위한 별도 시설을 운영했다.[8] 오늘날에도 한국식 사우나는 인기가 많다.[9]

서양식 사우나는 핀란드에서 유래했으며, 가장 오래된 사우나는 경사면에 파낸 구덩이 형태였다. 사우나에는 돌을 가열하는 벽난로가 있었고, 뜨거운 돌에 물을 뿌려 증기를 발생시켰다. 최초의 핀란드식 사우나는 ''사우사우나''(savusauna, 연기 사우나)였다.[59] ''키우아스''(kiuas)라는 돌 더미를 6~8시간 태워 가열하고 연기를 빼낸 후 ''뢰율뤼''(löyly, 사우나의 증기와 열)를 즐겼다.[11] 제대로 가열된 "사우사우나"는 최대 12시간 동안 열을 유지한다.
산업혁명으로 사우나는 ''키우아스''(kiuas)와 굴뚝을 사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했다. 핀란드식 사우나 기온은 평균 75–100°C였다.[12] 1938년에는 전기 사우나 스토브가 도입되었다.[13] 핀란드와 발트 국가는 사우나 전통을 소중히 여겨왔다.
제2차 세계 대전 후, 독일군은 핀란드식 사우나를 경험하고 독일과 오스트리아로 가져와 인기를 얻었다.[14] 독일 사우나 문화는 인접 국가에도 퍼졌다.[15]
사우나 문화는 인류 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버로마아의 연기 사우나 전통"(2014년)과 "핀란드의 사우나 문화"(2020년) 두 가지가 등재되었다.[55][16]
찜질방 문화는 고대부터 세계 각지에 존재했다. 세토내이의 석탕, 교토의 가마솥탕, 시가현의 통목욕탕, 고대 로마 제국의 테피다리움과 라코니쿰, 오스만 제국 등 이슬람교 지역의 하맘, 러시아의 반야, 멕시코의 테마스칼, 조선반도의 한증(汗蒸, 한증한국어) 등이 있다.[83]
고대 그리스 역사가 헤로도토스의 『역사』(기원전 5세기)에는 스키타이족의 찜질방 기록이 있다.[84]
핀란드 사우나는 뜨겁게 달궈진 돌 위에 물을 뿌려 수증기를 발생시켜 체감 온도를 높인다. 이것을 뢰이뤼(löyly)라고 한다. 핀란드에서는 자작나무 가지를 묶어 몸을 두드리는 마사지를 하기도 한다.
SAUNA는 세계 공통으로 사용되는 유일한 핀란드어이다.[111]
핀란드는 인구 500만 명당 사우나 300만 개를 보유한 세계 최고의 사우나 국가이다. 탐페레는 "사우나의 수도"라고도 불린다.[112][113]
에스토니아 볼주의 굴뚝 없는 사우나 전통과 핀란드의 사우나 문화는 유네스코 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 유네스코는 "핀란드의 사우나 문화는 대부분 사람들의 삶에 필수적인 것"이며, "단순히 몸을 씻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사우나에서 사람들은 몸과 마음을 정화하고 내면의 평온함을 느낀다"고 설명했다.[164]
핀란드 사우나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핀란드 민족이 중앙아시아에서부터 사우나를 즐겼다는 설이 있다. '더그아웃 사우나'에서 마사우나(지열 사우나), 스모크 사우나로 발전했다.[115]
고대 로마인과 고대 그리스인은 목욕을 좋아했지만, 야만족 침입과 기독교 문화로 목욕 문화가 쇠퇴하였다.[116] 핀란드는 13세기부터 스웨덴령이 되었지만, 핀란드 교회는 사우나를 장려했다.[117]
1900년대에 굴뚝을 이용한 스토브가 등장했고, 1950~60년대 전기 스토브가 보급되며 사우나가 다시 인기를 얻었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핀란드 선수단이 사우나를 설치하여 주목받았다.[118]
3. 1. 사우나의 어원
사우나는 "목욕"이라는 뜻으로 핀란드어이다. 이 용어의 기원은 초기 원시 독일어 stakna-에서 비롯된다. 핀란드어 외에 발트발트핀어에서 사우나는 꼭 목욕을 위해 설립된 건물이나 공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어부를 위한 오두막집과 같은 같은 조그마한 집을 뜻할 수도 있다.
"사우나"라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설비가 있어서 간이 숙박도 할 수 있는 대규모 공중목욕탕도 가리킨다. 단어 "사우나"는 전통적인 핀란드식 목욕탕과 목욕탕 건물 자체를 모두 가리키는 고대 핀란드어 단어이다. 핀란드어와 에스토니아어를 제외한 다른 핀우그리아어족 언어에서 "sauna"와 그와 관련된 단어들은 반드시 목욕을 위해 지어진 건물이나 공간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어부의 오두막과 같은 작은 오두막이나 별장을 의미할 수도 있다.[17] 이 단어는 많은 언어에서 가장 잘 알려진 핀란드어에서 유래한 외래어이다.
4. 현대 사우나
오늘날 서구 세계에서 알려진 사우나는 북유럽에서 유래했다. 핀란드에서는 거의 모든 주택에 사우나가 내장되어 있으며, 오래된 아파트 건물에는 공동 사우나가 있다. 1980년대 이후로는 핀란드의 일반적인 아파트, 심지어 기숙사에도 사우나가 욕실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18] 핀란드에는 라야포르틴 사우나(Rajaportin Sauna)와 같이 여러 공공 사우나가 있다. 탐페레에 위치한 이 사우나는 1906년 헤르만니와 마리아 라티넨에 의해 처음 설립되었다.[19] 심지어 헬싱키에는 대관람차인 스카이휠 헬싱키(SkyWheel Helsinki)의 곤돌라 중 하나에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다.[20]
많은 경우, 100°C에 가까운 또는 그 이상의 온도는 사람이 장시간 노출될 경우 완전히 견딜 수 없고 치명적일 수 있다. 사우나는 습도를 조절하여 이 문제를 극복한다. 가장 뜨거운 핀란드식 사우나는 뜨거운 돌에 물을 뿌려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비교적 낮은 습도 수준을 유지한다. 이를 통해 물을 증발시킬 수 있는 공기 온도를 더 오랜 시간 동안 견딜 수 있고 즐길 수 있다. 하맘과 같은 습도가 거의 100%에 달하는 증기탕은 보상하기 위해 50°C 정도의 훨씬 낮은 온도로 설정된다. 온도가 훨씬 높으면 "습열"로 인해 화상을 입을 수 있다.
일반적인 핀란드식 사우나에서는 뜨거운 돌에 물을 뿌리고 증기가 발생하더라도 공기, 방, 벤치의 온도가 이슬점 이상이다. 따라서 건조하게 유지된다. 반대로 사우나 이용객은 60-80°C 정도의 이슬점보다 낮은 온도에 있으므로 물이 이용객의 피부에 응축된다. 이 과정에서 열이 방출되어 수증기가 뜨겁게 느껴진다.[21][22] 핀란드식 사우나는 습도 10~15%, 온도 80~90℃에서 뜨거운 돌에 물을 뿌려 습도를 70%까지 높여 땀을 내고 자작나무 가지와 잎으로 피부를 자극하는 방식이다.
더 뜨거운 경험을 원하는 사람은 높은 수준의 벤치를, 온화한 온도를 원하는 사람은 낮은 수준의 벤치를 선택하여 인지되는 온도를 더욱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좋은 사우나는 다양한 좌석 높이 사이의 온도 차이가 비교적 작다. 온도를 유지하고 수증기를 내부에 유지하려면 문을 닫아두고 신속하게 사용해야 한다.
일부 북아메리카, 서유럽, 일본, 러시아 및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공 스포츠 센터와 체육관에는 사우나 시설이 포함되어 있다. 공공 및 민간 수영장에도 설치될 수 있다. 부가적인 시설로 사우나에는 하나 이상의 자쿠지가 있을 수 있다. 일부 스파 센터에는 소위 특별 "눈방" 또는 냉각 사우나 또는 냉각요법으로 알려진 것이 있다. -110°C의 온도에서 작동하며 사용자는 약 3분 동안만 사우나에 있게 된다.[23]
기네스북에 따르면 세계에서 가장 큰 사우나는 독일 짐스하임(Sinsheim)에 있는 테르멘 & 바데벨트(Thermen & Badewelt)의 코이 사우나이다. 166제곱미터의 면적으로 150명을 수용할 수 있으며 코이 수족관이 있다. 이 기록은 현재 스웨덴 하파란다(Haparanda)에 있는 케이프 이스트 스파(Cape East Spa)[24]가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데, 이곳 또한 150명을 수용하지만 더 넓다.
그러나 폴란드 남부 첼라츠(Czeladz)에는 조명 쇼, 극장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여러 사우나 관리자가 필요한 300명 수용 규모의 사우나가 있다.[25]
사우나는 온수욕과 같이 전신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기분 전환에 도움을 준다. 2018년 조사에 따르면,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 9건의 온열 요법 연구에서 표준 치료보다 지표가 개선되었고, 만성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2건의 연구에서는 두통 감소 및 직장 복귀 증가가 확인되었다. 감기에 대한 효과는 크지 않았다.[147]
장기간 핀란드식 사우나를 이용하면 돌연사 위험이 감소한다는 증거가 있다.[40][41][42] 그리고 위험 감소는 사용 빈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 증가하며,[41] 사우나를 운동과 병행할 경우 각각의 방법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위험 감소 효과가 더욱 두드러진다.[43][42] 사우나의 열 스트레스는 혈압과 동맥 경직도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심혈관 질환 위험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잠정적인 증거가 있다.[44][40][41]
임신부는 체온이 39°C를 넘지 않는 한 사우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보다 높은 온도는 기형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53] 고혈압 환자의 장시간 고온욕, 생활습관병(당뇨병, 뇌졸중의 과거력, 심장병,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의 온냉교대욕, 음주·만취 상태에서의 입욕은 금기시된다. 이 외에도 극도의 피로, 발열 시나 입욕 중에 이상을 느꼈을 때도 입욕은 삼가야 한다. 식후 포만 상태에서의 입욕은 위장 등의 소화기계에 집중되어 있는 혈액이 분산되어 건강상 좋지 않으므로 1~2시간 정도의 식사 후 휴식을 취한 후 입욕하는 것이 권장된다.[95] 냉욕 시에는 자연 호수나 하천에 들어가는 경우를 포함하여, 익사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96]
5. 사우나 이용 방법
현대식 사우나는 전기 스토브를 사용하여 보통 15~30분 정도 가열 시간이 필요하다. 일부 사용자는 땀을 더 빨리 흘리기 위해 미리 샤워를 하기도 한다. 사우나 내에서는 위생을 위해 수건 위에 앉고, 얼굴이 뜨거우면 수건으로 덮기도 한다. 러시아식 사우나인 반야에서는 펠트 모자를 써서 머리를 보호하고 신체 다른 부위에 더 많은 열을 가할 수 있다.[26][27]
사우나 온도는 스토브에 붓는 물의 양, 사우나에 머무르는 시간, 위치 등으로 조절한다. 위쪽 벤치는 더 뜨겁고 아래쪽 벤치는 더 시원하며, 아이들은 주로 아래쪽 벤치에 앉는다. 스토브에 물을 붓는 것은 습도를 높여 땀을 더 나게 하지만, 대류를 통해 열을 공기에 전달하여 사우나를 더 따뜻하게 만든다. 뜨거운 공기는 위로 상승하므로 아래쪽 벤치는 덜 뜨겁다. 증기는 위로 올라가 천장에 퍼진 후 모서리로 이동하여 아래로 내려오기 때문에, 신선한 증기의 열은 때때로 가장 먼 구석에서 가장 강하게 느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적응하면서 점차 시간과 열을 높인다.[26][27]
발한은 신체 냉각을 위한 자율 반응이다. 열이 견디기 어렵거나 어지럽거나 몸이 좋지 않으면 사우나를 나가는 것이 좋다. 온도 조절 장치가 있는 사우나도 있지만, 변경 전에는 다른 사람들과 상의해야 한다. 사우나 스토브와 돌은 매우 뜨거우므로 화상을 피하려면, 특히 돌에 물을 뿌릴 때 스토브에서 멀리 떨어져 있어야 한다. 가연성 물질은 화재를 유발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열에 말라붙고, 안경 등 금속 물질은 뜨거워져 화상을 유발할 수 있다.[26][27]
수건으로 신체를 가려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얼굴을 가리면 열감이 줄고,[28][29] 머리에 수건이나 특수 모자를 착용하여 건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복사열 때문에 스토브 바로 앞에 앉는 사람은 거의 없지만, 이것이 전반적인 체온을 반영하지 않을 수 있다. 증기는 종종 사우나실에서 가장 차가운 물체인 피부에 물로 응결되어 발한과 혼동될 수 있다.
사우나 후에는 샤워, 호수, 수영장 등 물에 몸을 담가 냉각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가열만큼 중요하다. 그러나 뜨거운 방에서 나온 직후 매우 차가운 물에 뛰어들면 급격한 냉각으로 순환계에 스트레스를 줄 수 있으므로, 건강한 사람과 심장병 환자 모두 주의해야 한다. 사우나 후 몇 분 정도 휴식을 취하고 냉수 풀이나 호수에 들어갈 때는 점차적으로 들어가는 것이 좋다.[30][31] 여름에는 시원한 샤워로 시작하기도 한다.[27][32]
체육관, 공공 수영장, 스포츠 센터, 리조트 등에서 사우나를 이용할 수 있다. 치료용 사우나는 물리 치료나 수치료와 함께 증상을 악화시키지 않는 부드러운 운동으로 수행되기도 한다.[33][34][35] 사우나는 두꺼운 천 가운이나 전라 외에 수영복이나 수건을 착용하고 고온으로 설정된 사우나실에 들어가 몸을 따뜻하게 하고 발한을 촉진한다. 온냉 교대욕이 일반적이다.
다량의 땀으로 탈수 증상이나 급격한 온도 변화로 히트 쇼크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학 전문가 및 일본 업계 단체는 목적과 건강 상태에 맞춰 무리하지 않고,[85] 사우나, 냉수욕, 휴식을 반복하는[86] 이용을 권장한다.
고혈압 환자의 장시간 고온욕, 생활습관병(당뇨병, 뇌졸중 과거력, 심장병, 고혈압 등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의 온냉교대욕, 음주·만취 상태 입욕은 금기시된다. 극도의 피로, 발열 시나 입욕 중 이상을 느껴도 입욕은 삼가야 한다. 식후 포만 상태는 소화기계에 혈액이 집중되어 건강상 좋지 않으므로, 1~2시간 휴식 후 입욕이 권장된다.[95] 냉욕 시에는 익사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96]
5. 1. 건강 효과
고혈압, 당뇨병, 뇌졸중, 심장병 등 만성질환을 앓고 있거나 음주, 만취 상태, 극도의 피로, 발열 시에는 사우나 이용을 삼가야 한다. 식후 포만 상태에서는 위장 등 소화기계에 집중된 혈액이 분산되어 건강에 좋지 않으므로, 식후 1~2시간 정도 휴식을 취한 후 사우나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95] 냉욕 시에는 익사 사고에 주의해야 한다.[96]사우나는 온수욕과 같이 전신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기분 전환에 도움을 준다.
2018년 조사에 따르면, 심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한 9건의 온열 요법 연구에서 표준 치료보다 지표가 개선되었고, 만성 통증 환자를 대상으로 한 2건의 연구에서는 두통 감소 및 직장 복귀 증가가 확인되었다. 감기에 대한 효과는 크지 않았다.[147] 핀란드에서 사우나를 자주 이용하는 2315명을 20년 이상 추적 조사한 결과, 치매 66%, 알츠하이머병 65%의 위험 감소, 심장 관련 돌연사 63% 감소,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 40% 감소가 관찰되었다. 10여 건의 예비 연구에서는 류머티즘 및 강직성 척추염의 통증 및 피로 감소, 만성 피로 증후군 환자를 대상으로 한 2건의 연구에서는 피로감과 불안한 기분 등이 개선되었다. 각성제 해독에서는 증상 감소를 보였으나, 지용성 독극물에는 효과가 없었다. 고온으로 인해 정자 수가 감소했다가 사우나 중단 6개월 후 정상화된 사례, 경미한 부작용 보고, 폐쇄 공포증으로 인한 중단 사례도 있었다. 핀란드식 사우나는 습도 10~15%, 온도 80~90℃에서 뜨거운 돌에 물을 뿌려 습도를 70%까지 높여 땀을 내고 자작나무 가지와 잎으로 피부를 자극하는 방식이다. 일본의 건식 사우나는 100℃로, 심박수가 급격히 상승하므로 실험 방법이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시드니 대학교 연구(1984년)에 따르면, 85℃, 습도 10%의 건식 사우나에서 20분 동안 있으면 정자 수가 약 2/3 감소하고 5주 후에 정상으로 돌아왔다. 정자 기형도 일부 확인되었지만 6주 후에 정상화되었다. 1998년 태국 연구에서는 80~90℃ 사우나에 30분씩 2주 동안 매일 있으면 사우나 직후 정자 운동 속도가 저하되었으나, 1주일 후 정상으로 돌아왔다.
미스트 사우나는 일반적인 입욕과 달리 코 알레르기 증상 개선 효과가 90분 후에도 지속되었다.[148]
정기적인 사우나 사용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표피 장벽 기능과 각질 수분량이 좋다.[149]
5. 1. 1. 잠재적인 건강 이점
사우나 사용으로 인한 건강상의 이점과 위험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36][37] 대부분의 연구는 특히 핀란드식 사우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38] 사우나를 이용하면 가벼운 열 스트레스가 발생하여, 열충격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데, 이는 잘못 접힌 단백질을 복구하고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근육 위축 및 만성 질환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39]장기간 핀란드식 사우나를 이용하면 돌연사 위험이 감소한다는 증거가 있다.[40][41][42] 그리고 위험 감소는 사용 빈도와 지속 시간에 따라 증가하며,[41] 사우나를 운동과 병행할 경우 각각의 방법만 사용하는 경우보다 위험 감소 효과가 더욱 두드러진다.[43][42] 사우나의 열 스트레스는 혈압과 동맥 경직도를 감소시키고, 따라서 심혈관 질환 위험도 감소시키는 것과 관련이 있다는 잠정적인 증거가 있다.[44][40][41] 이러한 이점은 심혈관 기능이 낮은 사람들에게서 더욱 두드러진다.[45] 심부전 환자에게 사우나가 도움이 된다는 증거가 있다.[46][47][48] 핀란드식 사우나를 자주 이용하는 경우(주 4~7회) 알츠하이머병과 뇌졸중을 포함한 신경 혈관 질환의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1][44] (주 1회 사용하는 사람들에 비해) 근골격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사우나를 통해 증상이 호전될 수 있으며,[41] 녹내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49] 또한 호흡기 질환의 위험 감소 및 증상 완화와 관련이 있다.[50][40][41] 비만인 사람들의 체중 감량과 정상 체중을 가진 사람들의 식욕 부진 개선도 사우나를 통해 달성할 수 있다.[51]
우울증이나 피부 질환에 사우나를 사용하는 것에 대한 증거는 불충분하지만, 사우나 이용 빈도는 정신병 발병 위험 감소와 관련이 있으며, 건선에 도움이 될 수도 있다.[41]
5. 1. 2. 잠재적인 건강 위험
사우나 이용과 알코올 섭취 또는 탈수는 돌연사 위험을 증가시키며,[42] 코카인과 같은 마약류 사용 또한 위험을 증가시킨다.[52] 심한 비만, 고혈압 또는 당뇨병이 있는 경우 사우나 이용 시간을 줄여야 한다.[52] 기립성 저혈압이나 심한 판막성 심장 질환이 있는 사람은 혈압 저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사우나를 주의해서 이용해야 한다.[40] 심혈관 질환이 있는 사람의 경우, 상태가 안정적이라면 사우나 이용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40][42] 하지만 불안정형 협심증과 중증 대동맥판 협착증이 있는 사람에게는 사우나 이용이 금기이다.[36] 핀란드에서 1년간 진행된 연구에 따르면 사우나에서 발생한 돌연사 67건(2.6%)만이 사고사가 아니었으며, 대부분 관상동맥 질환으로 인한 것이었다.[36]임신부는 체온이 39°C를 넘지 않는 한 사우나를 이용할 수 있다. 이보다 높은 온도는 기형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53]
한 연구에 따르면 잦은 사우나 이용으로 인한 생식기 열 스트레스는 남성 불임을 유발할 수 있다.[54]
고혈압 환자의 장시간 고온욕, 생활습관병(당뇨병, 뇌졸중의 과거력, 심장병,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의 온냉교대욕, 음주·만취 상태에서의 입욕은 금기시된다. 이 외에도 극도의 피로, 발열 시나 입욕 중에 이상을 느꼈을 때도 입욕은 삼가야 한다. 식후 포만 상태에서의 입욕은 위장 등의 소화기계에 집중되어 있는 혈액이 분산되어 건강상 좋지 않으므로 1~2시간 정도의 식사 후 휴식을 취한 후 입욕하는 것이 권장된다.[95]
냉욕 시에는 자연 호수나 하천에 들어가는 경우를 포함하여, 익사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96]
6. 사우나의 종류
오늘날 다양한 사우나 종류가 있다. 열원으로는 나무, 전기, 가스, 그리고 태양열과 같은 보다 특이한 방법들이 있다. 습식 사우나, 건식 사우나, 적외선 사우나, 훈제 사우나, 증기 사우나가 있다. 스토브는 크게 두 가지 유형이 있는데, 연속 가열식과 열 저장식이다.
훈제 사우나(사부사우나/savusaunafi, 수이트사운/suitsusaunet, 사부산/savvusannvro)는 가장 오래된 사우나 형태 중 하나이다. 굴뚝이 없는 방에 돌무더기가 있는 구조로, 돌 아래에 직접 불을 지피고 일정 시간 후 불을 끈다. 돌에 남아 있는 열과 이전에 지핀 불이 사우나를 가열하는 주된 열원이 된다. 이 과정이 끝나면, 화덕에서 재와 숯을 제거하고, 벤치와 바닥을 청소하며, 일정 시간 동안 방을 환기시켜 공기를 정화한다. 연기는 모든 표면에 그을음을 남기므로, 불을 지필 때 벤치와 등받이를 제거할 수 있다면 필요한 청소량을 줄일 수 있다. 난로 크기와 환기 시간에 따라 온도는 약 60°C 정도로 낮을 수 있지만, 습도는 상대적으로 높다.[11] 핀란드에서 1000년 동안 주요 사우나로 사용되어 왔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기가 없어지면서 쇠퇴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에 열성적인 사람들에 의해 부활되었고, 현재 핀란드 사우나 총 수의 1%에 불과한 약 3만 개 정도만이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11] 훈제 사우나는 에스토니아 남부에서 인기가 있으며, 뵈르마의 훈제 사우나 전통은 2014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55] 일본 나가노현의 핀란드 빌리지에 스모크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다.[100]
연기식 사우나 스토브는 밀폐된 돌 구획과 굴뚝(열 저장 스토브)과 함께 사용되어 연기 냄새와 눈의 자극을 없애준다. 열 저장 스토브는 돌 구획에 단열 뚜껑이 있기 때문에 목욕 전까지 사우나에서 많은 열을 방출하지 않는다. 사우나 목욕을 시작하고 뢰일뤼(löyly) 셔터를 열면 비교적 차가운(60°C) 사우나에 부드러운 온기가 흘러들어온다. 이 열은 연소 덕분에 스토브 돌이 빨갛게, 심지어 흰색으로 달아오르고 동시에 먼지가 제거되기 때문에 부드럽고 깨끗하다. 목욕할 때 열 저장 사우나는 지속적인 화력식 사우나(80–110°C)만큼 뜨거워지지만 습도는 더 높다. 돌은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뛰어난 내열성 및 보온성을 가진 사문암이다. 스토브 상단은 종종 암면과 내화벽돌로 단열된다. 열 저장 스토브는 전기 가열 방식으로도 제공되며, 서비스는 유사하지만 불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연속 가열식 스토브는 열 용량이 작아서 필요에 따라 빠르게 가열할 수 있는 반면, 열 저장식 스토브는 열(돌) 용량이 커서 가열하는 데 시간이 훨씬 오래 걸린다. 연속 가열식 사우나는 핀란드식 사우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전기를 이용해 가열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사우나는 정해진 온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꺼지고, 다시 온도가 내려가면 켜지는 방식으로 온도를 유지한다. 사우나 안에는 많은 양의 돌이 들어있는데, 이 돌들은 전기로 가열되어 열을 저장하고, 이 열을 통해 사우나 내부 공기를 데운다. 사용자는 뜨겁게 달궈진 돌에 물을 뿌려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증기는 사우나의 습도를 높여 더욱 뜨겁게 느껴지도록 한다. 연속 가열식 사우나는 한국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찜질방이나 목욕탕 등에서 흔히 사용된다.
연속 화력 사우나는 저장식 열을 사용하는 사우나와 달리 비교적 최근에 발명된 방식이다. 화덕과 연통이 있으며, 화덕 바로 위 칸에 돌을 놓는다. 저장식 사우나보다 가열 시간이 짧아 약 1시간 정도 걸린다. 불로 가열하는 사우나는 목욕하는 동안 불을 계속 지펴야 하는 수고가 필요하며, 화재 위험도 존재한다. 불로 가열하는 사우나는 별도로 불을 지피는 추가적인 작업이 문제되지 않는 별장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장작난로를 사용하는 사우나를 말한다. 일본의 공중목욕탕 사우나에서는 장작난로를 사용한 사우나는 거의 볼 수 없다. 반대로 텐트 사우나에서는 장작난로를 많이 사용한다.
현대 사우나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전기 스토브를 사용하는 사우나이다. 전기 히터를 사용하여 돌을 가열하고 온도를 유지한다. 스토브에는 온도 조절 장치와 타이머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최대 8시간 지연 시간 후 1시간 연속 가열 시간을 갖는다. 이러한 난방 방식은 일반적으로 도시 사우나에서만 사용된다.
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한 건식 사우나의 한 종류인 원적외선 사우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공기를 가열하거나 가열된 표면으로부터 전도를 통해 신체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전통적인 사우나와 달리, 원적외선 사우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패널이나 사우나 담요[56]와 같은 다른 방법을 사용하며, 이는 피부 표면에 흡수된다. 원적외선 사우나에서 발생하는 열은 일반적으로 더 낮아 전통적인 사우나의 고온을 견딜 수 없는 사람들에게 더 견딜 만하다.[57] 적외선 열은 지방과 신경근육계에 더 깊이 침투하여 전통적인 사우나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 활발한 발한을 유발한다.[57] 이러한 효과는 신경근육계가 최대 지구력 운동으로부터 회복하는 데 유리하다.[58] 일본에서 가장 흔한 유형이며, 온도는 70~100℃ 정도인 것이 많으며, 증기판 등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것은 컴포트 사우나(Comfort Sauna)라고도 불린다.[102][103]
6. 1. 열 저장식 사우나
열 저장식 사우나는 한 번 가열하면 오랜 시간 동안 열을 유지하는 사우나이다. 이러한 사우나는 일반적으로 두꺼운 벽돌이나 돌로 만들어져 열을 흡수하고 저장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한 번 가열하면 몇 시간, 심지어 하루 종일 열을 유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성이 높다.열 저장식 사우나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우나 내부에 있는 돌이나 벽돌을 가열한다. 이 과정은 몇 시간이 걸릴 수 있다. 가열된 돌이나 벽돌은 열을 천천히 방출하며 사우나 내부 온도를 높게 유지한다.
이러한 방식은 전통적인 핀란드식 사우나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핀란드식 사우나는 돌을 쌓아 만든 스토브를 사용하며, 스토브가 가열되면 돌에서 발생하는 증기를 즐기는 방식이다.
6. 1. 1. 훈제 사우나
훈제 사우나(사부사우나/savusaunafi, 수이트사운/suitsusaunet, 사부산/savvusannvro)는 가장 오래된 사우나 형태 중 하나이다. 간단히 말해, 굴뚝이 없는 방에 돌무더기가 있는 구조이다. 돌 아래에 직접 불을 지피고, 한동안 지핀 후 불을 끈다. 돌에 남아 있는 열과 이전에 지핀 불이 사우나를 가열하는 주된 열원이 된다. 이 과정이 끝나면, 화덕에서 재와 숯을 제거하고, 벤치와 바닥을 청소하며, 일정 시간 동안 방을 환기시켜 공기를 정화한다. 연기는 모든 표면에 그을음을 남기므로, 불을 지필 때 벤치와 등받이를 제거할 수 있다면 필요한 청소량을 줄일 수 있다.난로의 크기와 환기 시간에 따라 온도는 약 60°C 정도로 낮을 수 있지만, 습도는 상대적으로 높다. 이 전통은 핀란드에서 거의 사라졌지만, 1980년대 열성적인 사람들에 의해 부활되었다. 현재 핀란드에서는 여전히 일부 열성적인 사람들이 사용하지만, 보통 크리스마스, 새해, 부활절, 유한누스(중여름)와 같은 특별한 날에만 사용한다.[11] 훈제 사우나는 에스토니아 남부에서 인기가 있으며, 뵈르마의 훈제 사우나 전통은 2014년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목록에 등재되었다.[55]
핀란드에서는 1000년 동안 주요 사우나로 사용되어 왔지만,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인기가 없어지면서 쇠퇴하였다. 그러나 1980년대에 다시 부활하였지만, 현재 핀란드 사우나 총 수의 1%에 불과한 약 3만 개 정도만이 남아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나가노현의 핀란드 빌리지에 스모크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다.[100]
6. 1. 2. 열 저장식 사우나
연기식 사우나 스토브는 밀폐된 돌 구획과 굴뚝(열 저장 스토브)과 함께 사용되어 연기 냄새와 눈의 자극을 없애준다. 열 저장 스토브는 돌 구획에 단열 뚜껑이 있기 때문에 목욕 전까지 사우나에서 많은 열을 방출하지 않는다. 사우나 목욕을 시작하고 뢰일뤼(löyly) 셔터를 열면 비교적 차가운(60°C) 사우나에 부드러운 온기가 흘러들어온다. 이 열은 연소 덕분에 스토브 돌이 빨갛게, 심지어 흰색으로 달아오르고 동시에 먼지가 제거되기 때문에 부드럽고 깨끗하다.목욕할 때 열 저장 사우나는 지속적인 화력식 사우나(80–110°C)만큼 뜨거워지지만 습도는 더 높다. 돌은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뛰어난 내열성 및 보온성을 가진 사문암이다. 스토브 상단은 종종 암면과 내화벽돌로 단열된다. 열 저장 스토브는 전기 가열 방식으로도 제공되며, 서비스는 유사하지만 불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6. 2. 연속 가열식 사우나
연속 가열식 사우나는 핀란드식 사우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으로, 전기를 이용해 가열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사우나는 정해진 온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꺼지고, 다시 온도가 내려가면 켜지는 방식으로 온도를 유지한다.사우나 안에는 많은 양의 돌이 들어있는데, 이 돌들은 전기로 가열되어 열을 저장하고, 이 열을 통해 사우나 내부 공기를 데운다. 사용자는 뜨겁게 달궈진 돌에 물을 뿌려 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증기는 사우나의 습도를 높여 더욱 뜨겁게 느껴지도록 한다.
연속 가열식 사우나는 한국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찜질방이나 목욕탕 등에서 흔히 사용된다. 특히, 핀란드식 사우나 문화를 경험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인기가 높다.
6. 2. 1. 연속 화력 사우나
연속 화력 사우나는 저장식 열을 사용하는 사우나와 달리 비교적 최근에 발명된 방식이다. 화덕과 연통이 있으며, 화덕 바로 위 칸에 돌을 놓는다. 저장식 사우나보다 가열 시간이 짧아 약 1시간 정도 걸린다. 불로 가열하는 사우나는 목욕하는 동안 불을 계속 지펴야 하는 수고가 필요하며, 화재 위험도 존재한다.불로 가열하는 사우나는 별도로 불을 지피는 추가적인 작업이 문제되지 않는 별장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장작난로를 사용하는 사우나를 말한다. 일본의 공중목욕탕 사우나에서는 장작난로를 사용한 사우나는 거의 볼 수 없다. 반대로 텐트 사우나에서는 장작난로를 많이 사용한다.
6. 2. 2. 전기 스토브 사우나
현대 사우나에서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전기 스토브를 사용하는 사우나이다. 전기 히터를 사용하여 돌을 가열하고 온도를 유지한다. 스토브에는 온도 조절 장치와 타이머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최대 8시간 지연 시간 후 1시간 연속 가열 시간을 갖는다. 이러한 난방 방식은 일반적으로 도시 사우나에서만 사용된다.6. 2. 3. 원적외선 사우나
원적외선 사우나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킨다. 공기를 가열하거나 가열된 표면으로부터 전도를 통해 신체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전통적인 사우나와 달리, 원적외선 사우나는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원적외선 패널이나 사우나 담요[56]와 같은 다른 방법을 사용하며, 이는 피부 표면에 흡수된다. 원적외선 사우나에서 발생하는 열은 일반적으로 더 낮아 전통적인 사우나의 고온을 견딜 수 없는 사람들에게 더 견딜 만하다.[57] 적외선 열은 지방과 신경근육계에 더 깊이 침투하여 전통적인 사우나보다 낮은 온도에서 더 활발한 발한을 유발한다.[57] 이러한 효과는 신경근육계가 최대 지구력 운동으로부터 회복하는 데 유리하다.[58]원적외선 히터를 사용한 건식 사우나의 한 종류로, 일본에서 가장 흔한 유형이다. 원적외선으로 입욕자를 직접 데운다. 온도는 70~100℃ 정도인 것이 많으며, 증기판 등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것은 컴포트 사우나(Comfort Sauna)라고도 불린다.[102][103]
7. 기타 발한 시설

많은 문화권에서 땀을 빼는 목욕탕이 있지만, 일부는 영적인 용도로 사용하는 반면 다른 일부는 순전히 세속적인 용도로 사용한다. 고대 로마에는 ''테르마이'' 또는 ''발네아이''(그리스어 βαλανεῖον ''발라네이온''에서 유래)가 있었는데, 그 특징은 터키 또는 아랍의 ''함맘''과 빅토리아 시대 터키식 목욕탕(건조한 열기만 사용)에 남아 있다.[83] 아메리카 대륙에는 나우아틀(아즈텍) ''테마즈칼리'' , 마야 ''숨풀체'', 그리고 믹스텍 ''니히''가 있다. 캐나다와 미국에서는 여러 원주민과 미국 원주민 문화권에서 다양한 종류의 영적인 스웨트 롯지( 라코타어: ''이니피'', 아니시나아베모윈: ''마도디스완'')가 있다.[83] 유럽에서는 에스토니아의 ''사우나''(핀란드 사우나와 거의 동일), 러시아의 ''반야'', 라트비아의 ''피르츠'', 유럽 유대인의 ''슈비츠'', 그리고 스웨덴의 ''바스투''가 있다. 아시아에는 일본의 ''무시부로''와 한국의 ''찜질방''이 있다.[83] 카로족은 인도네시아의 ''오쿠프''를 가지고 있다.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는 ''시푸투''가 있다.[83]
찜질방 문화는 고대부터 일본을 포함한 세계 여러 지역에 존재했다. 세토내이의 석탕, 교토의 가마솥탕, 시가현의 통목욕탕, 고대 로마 제국의 테피다리움(온탕)과 라코니쿰(발한실), 오스만 제국 등 이슬람교 지역의 하맘, 러시아의 반야, 멕시코의 테마스칼, 조선반도의 한증(汗蒸, 한증한국어) 등이 그 예이다.[83]
발한욕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전 5세기,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온다. 땅을 파서 구덩이를 만들고 그 안에 달군 돌을 깔고, 위를 펠트로 만든 천막으로 덮은 스키타이족의 찜질방이 전통적인 매장 및 시체 세척에 사용되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84]
- 아프리카: 아프리카에서 사우나 시설은 대부분 고급 호텔, 스파, 헬스클럽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유럽에서 사용되는 사우나 히터 기술과 디자인 컨셉을 주로 공유한다. 야외 온도가 더 따뜻하고 습한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이는 전통 사우나 또는 스팀 샤워를 제공하는 이러한 상업 시설에서 제공되는 일반적인 적용이나 의도된 사우나 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아시아:
- 이란: 대부분의 체육관, 호텔, 그리고 거의 모든 공공 수영장에 실내 사우나가 있다. 수영장에는 건식 사우나/سونای خشکfa와 습식 사우나/سونای بخارfa로 알려진 두 종류의 사우나가 있는 경우가 매우 흔하며, 건식 사우나의 온도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차가운 물 풀(그리고/또는 최근에는 차가운 자쿠지)이 거의 항상 딸려 있으며, 수건도 보통 제공된다. 돌에 치료 또는 이완 효과가 있는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란에서는 핀란드와 달리 사우나에 앉는 것은 주로 목욕 의식이라기보다는 스파/클럽 문화의 일부로 여겨진다. 대부분 휴식이나 발한(땀 배출)을 통한 해독 수단으로 인식된다. 사유지에 사우나실을 갖추는 것은 필수품이라기보다는 사치품으로 여겨진다. 공공 사우나는 성별이 분리되며 나체는 금지된다.
- 일본: 많은 스포츠 센터와 공중목욕탕(센토)에 사우나가 있다. 사우나는 거의 항상 성별이 분리되며, 종종 법률로 요구되며, 나체는 적절한 사우나 에티켓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에는 공중목욕탕이 일본에서 흔했지만, 국민들이 더 부유해짐에 따라 개인 욕조가 갖춰진 주택과 아파트를 살 여유가 생기면서 고객 수가 줄었다. 그 결과 많은 센토는 살아남기 위해 사우나와 같은 더 많은 시설을 추가했다.
아우프구스(독일어: aufguss)란 사우나실 안에서 로우류를 한 후, 상승한 수증기를 수건 등으로 사우나실 안에 수증기를 교반시키면서 부채질하여 사우나 이용객에게 뜨거운 바람을 보내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초기에는 아우프구스를 로우류라고 불렀던 적이 있어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최근에는 정확한 표기를 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구분되고 있다.
아우프구스를 하는 사람은 아우프구스 마스터나 아우프기서(aufgießer) 등으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시설이나 사람에 따라 아우프구스를 열파(熱波), 아우프기서를 열파사(熱波師)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 한국: 사우나가 본질적으로 공중목욕탕이다. 소규모 모깃탕, 야외 온천, 그리고 정교한 찜질방과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사우나'라는 단어는 '영어식 매력'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만,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원래의 페노스칸디아식 증기탕을 엄밀히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콩글리시 단어 '사우나'(사우나)는 일반적으로 자쿠지, 온수 욕조, 샤워실, 증기실 및 관련 시설을 갖춘 목욕탕을 가리킨다.
- 라오스: 허브 증기 사우나 또는 hom yaalo가 특히 여성들에게 매우 인기 있으며 모든 마을에서 이용 가능하다. 많은 여성들이 미용 치료로 요구르트 또는 타마린드를 기본으로 한 페이스트 블렌드를 피부에 바른다. 사우나는 항상 나무 불로 가열되며 허브는 끓는 물이나 실내 증기 분출구에 직접 첨가된다. 휴식 공간은 남녀 혼용이지만 증기실은 성별이 분리된다. muktamlo 차로 알려진 바엘 열매 차가 보통 제공된다.
-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
-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에서는 사우나가 주로 호텔, 수영장, 헬스클럽에서 발견되며, 남녀 모두 이용하는 경우에는 암묵적으로라도 노출이 금지되는 경우가 많다. 남녀 탈의실이 분리된 체육관이나 헬스클럽에서는 노출이 허용되지만, 회원들에게는 사우나 이용 전에 샤워를 하고 수건을 깔고 앉도록 요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 캐나다에서는 사우나가 점점 별장 문화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핀란드의 뫼키(mökki) 문화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한다.
- 유럽:
- 유럽의 사우나 문화는 지역별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
- 핀란드: 사우나의 종주국으로 여겨지며, 핀란드식 사우나는 건식 사우나로 높은 온도와 낮은 습도가 특징이다. 핀란드인들에게 사우나는 단순한 목욕 시설이 아닌, 휴식과 사교, 정신 수양의 공간으로 여겨진다. 핀란드에는 인구 대비 사우나 수가 매우 많으며, 가정집은 물론이고 회사, 공공기관 등에도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다.
- 스웨덴: 핀란드와 유사한 사우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스웨덴어로는 바스투(bastu)라고 불리며, 핀란드와 마찬가지로 건식 사우나가 일반적이다. 스웨덴의 사우나도 휴식과 사교의 장으로 활용되며, 특히 겨울철에는 추위를 피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독일어권 국가: 사우나가 남녀 혼용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국의 사우나 문화와는 다른 점으로,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독일의 사우나는 대체로 습식 사우나이며, 다양한 온도와 습도의 사우나 시설이 제공된다.
- 러시아: 바냐(баня)는 습식 사우나로, 뜨거운 증기를 이용하여 몸을 데우는 방식이다. 바냐는 러시아인들의 전통적인 목욕 문화로, 단순한 목욕 시설을 넘어 사교와 휴식의 공간으로 여겨진다. 바냐에서는 자작나무 가지 묶음(베닉, веник)으로 몸을 두드리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피부를 깨끗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핀란드와 유사한 사우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들 국가의 사우나는 건식 사우나가 일반적이며, 높은 온도와 낮은 습도가 특징이다. 발트 3국의 사우나는 핀란드와 마찬가지로 휴식과 사교, 정신 수양의 공간으로 여겨진다.
- 북유럽 및 발트해 연안 국가:
- 핀란드: 세계에서 가장 사우나 시설이 많은 나라이다. 인구 550만 명에 330만 개의 사우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핀란드인들은 집, 사무실, 공장, 스포츠 센터, 호텔, 선박, 심지어 버스 등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우나를 즐긴다. 핀란드 사우나는 단순한 목욕 시설이 아니라,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의식과 같은 공간으로 여겨진다. 핀란드식 사우나는 건식으로, 뜨겁게 달궈진 돌에 물을 뿌려 발생하는 증기를 이용한다.
- 에스토니아: 사우나 문화도 핀란드와 유사하다. 에스토니아에서는 2023년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스모크 사우나 전통이 유명하다. 스모크 사우나는 굴뚝이 없는 특별한 사우나로, 나무를 태워 실내를 데우고 연기를 가득 채운 후 환기시켜 즐기는 방식이다.

- 라트비아: 사우나를 '피르츠'(Pirts)라고 부르며, 전통적인 피르츠는 핀란드식 사우나와 유사하지만, 자작나무 가지 등으로 몸을 두드리는 독특한 풍습이 있다.
- 리투아니아: 사우나는 중요한 문화 중 하나이며, '피르티스'(Pirtis)라고 불린다. 리투아니아의 전통 사우나는 핀란드식 사우나와 유사하며, 가족, 친구들과 함께 사우나를 즐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 이처럼 북유럽 및 발트해 연안 국가에서 사우나는 단순한 목욕 시설을 넘어, 사회적 교류와 휴식, 그리고 전통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핀란드의 사우나 문화는 다른 북유럽 및 발트해 연안 국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핀란드식 사우나는 이 지역 사우나 문화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 네덜란드어권 지역: 네덜란드어권의 사우나 문서를 참고하면,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전역의 대도시 및 소규모 지방 자치 단체에서 공중 사우나를 찾아볼 수 있으며, 남녀 혼탕은 일반적으로 허용된다. 일부 사우나는 남녀 혼탕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해 여성 전용(또는 "수영복 전용") 시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2008년 ''알헤메인 다흐블라트(Algemeen Dagblad)''는 여성 전용 수영복 착용 시간이 네덜란드의 무슬림 여성을 사우나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보도했다.[72]
- 영국, 대서양 및 지중해 연안 유럽:
- 영국과 많은 남유럽 지역에서는 단일 성별 사우나가 가장 흔한 유형이다. 성별이 분리된 사우나에서는 나체가 일반적이지만, 혼용 사우나에서는 대체로 금지된다. 사우나 이용 시간은 비교적 짧은 편이며, 대부분 냉수 샤워는 하지 않는다. 공중 사우나가 점점 인기를 얻고 있는 영국에서는 짧은 시간 동안 사우나와 자쿠지를 번갈아 이용하는 관행이 나타났는데, 이는 북유럽에서는 실례로 여겨지는 새로운 현상이다.
- 영국 전역에는 '야생' 야외 스파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새로운 영국 사우나 문화가 있다.[73]
- 포르투갈: 로마인들이 이베리아 반도 서부에 도착하기 전에 카스트레호스 사람들이 증기 욕조를 흔히 사용했다.[74] 역사학자 스트라보는 증기 욕조를 이용한 후 냉수 욕조를 하는 관습이 있었던 루시타니아인들의 전통을 언급했다. 페드라 포르모사는 로마 시대 이전 증기 욕조 중앙 부분에 붙여진 원래 이름이다.
- 독일어권 국가:

- 독일,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남티롤, 롬바르디아에서는 대부분의 공중 수영장 시설에 사우나 공간이 있으며, 이러한 지역에서는 나체가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규칙이다.[14] 벤치는 사람들의 수건으로 덮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부 공공 사우나에서는 이러한 규칙이 엄격하게 시행된다. 남녀 각각을 위한 별도의 단일 성별 사우나 공간은 드물며, 대부분의 장소에서는 여성 전용 사우나와 남녀 혼용 사우나를 제공하거나 일주일에 한 번 여성 전용 사우나를 운영한다. 사우나는 사교의 장소라기보다는 치유의 장소로 여겨지기 때문에 큰 소리로 대화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 러시아와 북유럽 국가들과 달리, 습도를 높이기 위해 뜨거운 돌에 물을 붓는 행위(''Aufguss'', 독일어로 "붓기"라는 뜻)는 일반적으로 사우나 이용객이 직접 하지 않는다. 대형 사우나 공간에는 사우나 시설 직원이나 자원봉사자 등 담당자(''Saunameister'')가 있으며, 이들은 아우프구스를 담당한다. 아우프구스 세션은 최대 10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일정에 따라 진행된다. 아우프구스 세션 중에 Saunameister는 큰 수건을 사용하여 사우나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순환시켜 땀을 더 많이 흘리게 하고 열감을 증폭시킨다. 아우프구스 세션이 시작되면 문을 열면 열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사우나에 들어가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고 여겨진다(사우나 이용객들은 아우프구스 직전에 사우나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너무 뜨겁거나 불편하다면 세션을 떠나는 것이 허용되며 권장된다.[75] 아우프구스 세션은 일반적으로 사우나 문에 있는 일정표에 의해 알려진다. 진행 중인 아우프구스 세션은 사우나 입구 위에 불이 켜지거나 표지판이 걸려 있을 수 있다.
- 사우나 후 곧바로 차가운 샤워나 목욕을 하는 것과 특별한 발코니, 정원 또는 야외 공간(''Frischluftraum'')에서 신선한 공기에 노출되는 것은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독일어권 스위스에서는 관습이 일반적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와 같지만, 가족(자녀와 함께하는 부모)과 젊은이들을 더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사우나에서의 사교와 관련하여 스위스 사람들은 핀란드, 스칸디나비아 또는 러시아 사람들과 더 유사한 경향이 있다.
-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사우나 이용 후 세척을 위한 많은 시설이 있으며, '던킹 풀'(사우나 이용 후 사람이 몸을 담그는 매우 차가운 물의 풀)이나 샤워 시설이 있다. 일부 사우나와 찜질방에서는 향기로운 소금을 제공하여 피부에 문질러 추가적인 향과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양한 아로마를 사용하고, 수건을 저글링처럼 돌리며 그 기술을 쇼처럼 음악이나 영상과 동기화시킨 엔터테인먼트성이 높은 퍼포먼스를 하는 아우프기서도 있으며, 이것은 쇼 아우프구스라고 불린다.[89]
- 헝가리: 헝가리인들은 사우나를 더 넓은 스파 문화의 일부로 여긴다. 대부분의 경우 남녀가 함께 수영복을 입고 사우나를 이용한다. 단일 성별 사우나나 나체를 강요하는 사우나는 드물지만, 이러한 관행은 확산되고 있으며 여러 스파에서는 특정일에 수건만 허용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사우나 종류는 매우 뜨겁고 건조한 핀란드식 사우나(finn szauna), 습식 사우나(gőzkabin), 그리고 원적외선 사우나(infraszauna)이다. 많은 대형 스파에서는 별도의 입장권으로만 이용할 수 있는 별도의 사우나 구역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시설은 종종 사우나 월드(szaunavilág)라고 불리며, 차가운 냉수 풀, 휴식 공간, 자쿠지, 샤워 시설, 얼음 조각 통 등의 추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격을 갖춘 사우나 마스터가 진행하는 아우구스트 세션(Aufguss sessions)이 인기를 얻고 있다.
- 체코 및 슬로바키아: 사우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레크리에이션 시설이나 공공 수영장의 일부로 자주 발견된다. 많은 사람들이 정기적으로 사우나를 이용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많다. 2000년 이후 대형 아쿠아파크와 웰니스 센터가 사우나를 포함하기 시작하면서 사우나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 나체는 점점 더 허용되는 추세이며, 일부 장소에서는 수영복 착용을 금지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건으로 몸을 가린다. 샤워실은 일반적으로 반(半) 개인적인 공간이다. 과거에는 남성 전용일과 여성 전용일이 일반적이었지만, 오늘날 남성 전용 시설은 드물고 여성 전용 시간이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 러시아:

러시아의 많은 지역에서 사우나 이용은 중추적인 사회적 역할을 한다. 이들 국가에는 잎이 무성한 젖은 자작나무 가지로 사우나 이용객을 마사지하는 전통이 있는데, 러시아어로는 ''베니크(venik)''(веник)이라고 한다.[76] 러시아어권 사회에서는 바냐(banya)''(러시아어: Баня)라는 단어가 공중목욕탕을 가리킬 때도 널리 사용된다.[76] 러시아의 공중 바냐탕은 남녀가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다. 겨울에는 사우나 이용객들이 종종 얼음물 수영을 하거나, 호수가 없으면 벌거벗은 채 눈 속에서 구른 다음 다시 안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러시아 전통 바냐는 핀란드 사우나와 매우 유사하지만, 핀란드 사우나가 매우 건조하다는 일반적인 오해와는 다르다.
현대 러시아에는 세 가지 유형의 사우나가 있다.
- 첫 번째 유형은 20세기 특히 인기가 많았던 공중 사우나 또는 바냐(현지인들은 러시아 바냐라고도 부른다)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중 목욕탕과 유사한 맥락을 지닌다. 바냐는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된 큰 시설이다. 핀란드식 사우나가 최소한 하나 있으며, 차가운 물 풀, 휴식 공간, 사우나 이용객들이 서로 잎이 무성한 자작나무 가지로 때리는 사우나, 샤워실, TV와 음료를 제공하는 작은 카페테리아, 그리고 다른 구역으로 이어지는 넓은 공용 공간이 있다. 이 넓은 공간에는 사람들이 누워 다른 사우나 이용객이나 지정된 마사지사에게 마사지를 받는 대리석 침대와 같은 구조물이 있다. 휴식 공간에는 바닥에 고정된 대리석이나 돌로 만든 다른 침대와 같은 구조물도 있어서 사람들이 사우나를 여러 번 한 후 또는 바냐 세션이 끝날 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옷을 보관하는 넓은 공용 사물함 구역과 두 개의 개별 문으로 잠글 수 있는 더 사적인 개인 사물함 구역이 두 개 있다.
- 두 번째 유형은 전 세계의 어떤 체육관이나 호텔에서도 찾을 수 있는 핀란드식 사우나이다. 탈의실에 있거나 남녀 혼용일 수 있다. 노출에 대한 태도는 매우 자유롭고 사람들은 자신의 나체에 대해 덜 의식한다.
- 세 번째 유형은 친구들이 함께 빌리는 사우나이다. 공중 바냐탕과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더 현대적이고 고급스러우며, 종종 친구들이 파티와 사교를 위해 시간 단위로 빌린다. 여기서는 남녀 단일 성별 또는 혼성일 수 있다.
발트 3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비히타(러시아어: 베니크)를 사용한 사우나 트리트먼트 서비스인 위스킹(wisking)을 제공하고 있다. 자작나무 외에도 다양한 식물이 사용된다.[90]
- 북미 및 중앙 아메리카:


- 미국에서는 식민지 개척자들과 함께 스웨덴의 '바스투(bastu)'가 델라웨어 강 주변의 뉴 스웨덴 식민지에 처음 도착했다. 당시 스웨덴 총독은 티니컴 섬에 목욕탕을 가지고 있었다.[5] 오늘날 사우나 문화는 특히 미시간주 어퍼 페닌슐라, 특히 키위노 반도와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아이오와주 일부 지역에서 가장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이 지역에는 많은 스웨덴계 미국인, 특히 핀란드계 미국인들이 거주하고 있다.[77] 미네소타주 덜루스는 최고조에 달했을 때 무려 14개의 공중 사우나를 보유하고 있었다.[5] 실제로, 문화 지리학자 마티 카웁스는 북미 대호수 지역의 핀란드계 농장들 사이에서 핀란드 농장보다도 더 많은 90%가 사우나 시설을 갖추고 있음을 발견했다. 다른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건강 클럽이나 호텔에서 사우나 시설을 제공하지만, 이를 사용하는 데 있어 전통이나 의식은 없다.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많은 사우나가 적당한 온도에서만 운영되며 돌에 물을 붓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남녀 혼용 사우나에서는 수영복과 같은 의류를 착용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미국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더 넓은 범위의 사우나 에티켓이 일반적으로 허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우나는 작은 개인실이거나 건강 클럽이나 체육관의 탈의실에 있기 때문에 이는 드물다. 제한이 거의 없고 사용이 편안하며, 목욕하는 사람들은 알몸으로든, 수건을 두르고든, 수영복을 입고 젖은 채로든, 심지어 운동복을 입고서든(후자는 매우 드물다) 원하는 대로 사우나에 출입할 수 있다. 미국의 문화의 많은 측면과 마찬가지로, 규정된 관례가 거의 없으며 목욕하는 사람은 특정 가족이나 지역 사회의 기대를 "읽는" 데 있어 기민해야 한다. 핀란드계 미국인 외에도, 나이 든 한국계 미국인들은 여전히 사우나를 이용하고 있다. 미국 전역의 대학에서 사우나 모임이 생겨나고 있으며, 최초의 모임은 구스타부스 아돌푸스 대학교에서 결성되었다.
- 미국 동유럽 유대인들의 문화 유산은 과거 동부 해안과 때때로 태평양 서해안에 널리 퍼져 있던 '슈비츠(shvitz)' 문화이다.[78]
- 많은 북아메리카 원주민과 캐나다 원주민의 전통적인 의식 문화에서 사용되는 발한 의식장(sweat lodge)은 영적 의식을 위한 장소이다. 초점은 의식에 있으며, 발한은 부차적인 것이다. 사우나 전통과 달리, 특히 이니피(Inipi)의 경우 발한 의식장 의식은 오락 활동이 아닌 원주민의 독점적인 영성 표현으로 강력하게 옹호되어 왔다.[79][80]
8. 세계의 사우나 문화
세계 각지의 문화권에서 사우나가 도입되고 변형되었지만, 많은 전통 관습은 그 과정에서 사라졌다. 오늘날 사우나에 대한 대중의 인식, "에티켓", 그리고 사우나 관습은 국가마다 크게 다르다. 많은 국가에서 사우나는 최근의 유행이며 사우나에 대한 태도가 변화하고 있는 반면, 다른 국가에서는 여러 세대에 걸쳐 전통이 유지되고 있다.[91][92]
핀란드의 공중 사우나에서는 남녀가 구분되어 있으며, 수영복을 착용하지 않고 알몸으로 입욕한다. 남녀 혼탕 사우나에서는 수영복 착용이 의무적이다. 개인 사우나나 전세 사우나에서는 혼탕이 가능하지만, 가족이나 친한 친구들과만 가능하다. 독일에서는 공중 사우나에서도 알몸으로 남녀 혼탕을 한다.[91]
일본에서는 입욕 시설 내에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알몸으로 남녀 혼탕을 하는 경우는 없지만, 수영복 착용을 전제로 한 사우나 혼탕 시설은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92]
아시아이란에서는 대부분의 체육관, 호텔, 그리고 거의 모든 공공 수영장에 실내 사우나가 있다. 건식 사우나(سونای خشکfa)와 습식 사우나(سونای بخارfa)가 있으며, 건식 사우나의 온도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차가운 물 풀이나 자쿠지가 함께 제공되며, 수건도 보통 제공된다. 이란에서는 사우나가 스파/클럽 문화의 일부로 여겨지며, 휴식이나 발한을 통한 해독 수단으로 인식된다. 공공 사우나는 성별이 분리되며 나체는 금지된다.
일본에는 많은 스포츠 센터와 센토에 사우나가 있다. 사우나는 거의 항상 성별이 분리되며, 나체는 사우나 에티켓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에는 공중목욕탕이 일본에서 흔했지만, 개인 욕조가 갖춰진 주택과 아파트가 늘면서 센토는 사우나와 같은 시설을 추가하여 생존을 도모했다.
한국에서는 사우나가 공중목욕탕의 일종으로, 모깃탕, 온천, 찜질방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사우나'라는 단어는 콩글리시로, 목욕탕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라오스에서는 허브 증기 사우나(hom yaalo)가 여성들에게 인기 있으며, 나무 불로 가열되고 허브를 끓는 물이나 증기 분출구에 첨가한다. 휴식 공간은 남녀 혼용이지만 증기실은 성별이 분리된다. muktamlo 차가 보통 제공된다.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에서는 사우나가 주로 호텔, 수영장, 헬스클럽에서 발견되며, 남녀 모두 이용하는 경우에는 노출이 금지되는 경우가 많다. 남녀 탈의실이 분리된 체육관이나 헬스클럽에서는 노출이 허용되지만, 수건을 깔고 앉도록 요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캐나다에서는 사우나가 별장 문화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유럽유럽의 사우나 문화는 지역별로 다양하다.
핀란드는 사우나의 종주국으로, 핀란드식 사우나는 건식 사우나로 높은 온도와 낮은 습도가 특징이다. 핀란드인들에게 사우나는 휴식, 사교, 정신 수양의 공간이다. 핀란드에는 인구 대비 사우나 수가 매우 많다.
스웨덴 역시 핀란드와 유사한 사우나 문화(bastusv)를 가지고 있다. 스웨덴의 사우나도 휴식과 사교의 장으로 활용된다.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사우나가 남녀 혼용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독일의 사우나는 대체로 습식 사우나이다.
러시아의 바냐(баня)는 습식 사우나로, 뜨거운 증기를 이용한다. 바냐는 러시아인들의 전통적인 목욕 문화로, 베니크(веник)로 몸을 두드리는 것이 특징이다.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역시 핀란드와 유사한 사우나 문화를 가지고 있다.
북유럽 및 발트해 연안 국가핀란드는 세계에서 가장 사우나 시설이 많은 나라이다. 핀란드인들은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우나를 즐긴다. 핀란드 사우나는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의식과 같은 공간으로 여겨진다.
에스토니아의 사우나 문화도 핀란드와 유사하며, 스모크 사우나 전통이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라트비아에서는 사우나를 '피르츠'(Pirts)라고 부르며, 자작나무 가지 등으로 몸을 두드리는 풍습이 있다.
리투아니아에서도 사우나는 '피르티스'(Pirtis)라고 불리며, 가족, 친구들과 함께 즐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네덜란드어권 지역네덜란드와 플랑드르에서는 공중 사우나가 남녀 혼탕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일부 사우나는 여성 전용 시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2008년 ''알헤메인 다흐블라트''는 여성 전용 수영복 착용 시간이 네덜란드의 무슬림 여성을 사우나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보도했다.[72]
영국, 대서양 및 지중해 연안 유럽영국과 많은 남유럽 지역에서는 단일 성별 사우나가 가장 흔하다. 혼용 사우나에서는 대체로 나체가 금지된다. 영국에서는 짧은 시간 동안 사우나와 자쿠지를 번갈아 이용하는 관행이 나타났는데, 이는 북유럽에서는 실례로 여겨진다.
포르투갈에서는 로마 시대 이전 카스트레호스 사람들이 증기 욕조를 사용했다.[74] 스트라보는 루시타니아인들의 증기 욕조와 냉수 욕조를 이용하는 전통을 언급했다.
독일어권 국가독일,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남티롤, 롬바르디아에서는 대부분의 공중 수영장 시설에 사우나 공간이 있으며, 나체가 일반적이다.[14] 남녀 각각을 위한 별도의 사우나 공간은 드물며, 대부분 여성 전용 사우나와 남녀 혼용 사우나를 제공한다. 사우나는 치유의 장소로 여겨지기 때문에 큰 소리로 대화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아우프구스(독일어: aufguss)는 사우나실 안에서 로우류를 한 후, 수증기를 수건 등으로 교반시켜 뜨거운 바람을 보내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아우프구스를 로우류라고 불렀던 적이 있지만, 최근에는 구분되고 있다. 아우프구스를 하는 사람은 아우프구스 마스터 또는 아우프기서(aufgießer) 등으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열파(熱波), 열파사(熱波師)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쇼 아우프구스는 엔터테인먼트성이 높은 퍼포먼스이다.[89]
헝가리헝가리인들은 사우나를 스파 문화의 일부로 여긴다. 대부분 남녀가 함께 수영복을 입고 사우나를 이용한다. 핀란드식 사우나(finn szauna), 습식 사우나(gőzkabin), 원적외선 사우나(infraszauna)가 일반적이다.
체코 및 슬로바키아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 사우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나체는 점점 더 허용되는 추세이며, 일부 장소에서는 수영복 착용을 금지하기도 한다.
러시아러시아의 많은 지역에서 사우나 이용은 중추적인 사회적 역할을 한다. 베니크(venik)로 사우나 이용객을 마사지하는 전통이 있다.[76] 바냐(banya)는 공중목욕탕을 가리킬 때도 사용된다.[76] 러시아의 공중 바냐탕은 남녀가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다. 겨울에는 사우나 이용객들이 얼음물 수영을 하거나 눈 속에서 구르기도 한다.
현대 러시아에는 세 가지 유형의 사우나가 있다. 공중 사우나(바냐), 핀란드식 사우나, 그리고 친구들이 빌리는 사우나이다.
발트 3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비히타(러시아어: 베니크)를 사용한 사우나 트리트먼트 서비스인 위스킹(wisking)을 제공하고 있다.[90]
북미 및 중앙 아메리카미국에서는 뉴 스웨덴 식민지에 스웨덴의 '바스투(bastu)'가 처음 도착했다.[5] 오늘날 사우나 문화는 미시간주 어퍼 페닌슐라,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아이오와주 일부 지역에서 가장 인기가 많다.[77] 덜루스는 최고조에 달했을 때 14개의 공중 사우나를 보유했다.[5] 미국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더 넓은 범위의 사우나 에티켓이 일반적으로 허용된다.
미국 동유럽 유대인들의 문화 유산은 '슈비츠(shvitz)' 문화이다.[78]
많은 북아메리카 원주민과 캐나다 원주민의 전통적인 의식 문화에서 사용되는 발한 의식장(sweat lodge)은 영적 의식을 위한 장소이다. 발한 의식장 의식은 원주민의 독점적인 영성 표현으로 옹호되어 왔다.[79][80]
8. 1. 아프리카
아프리카에서 사우나 시설은 대부분 고급 호텔, 스파, 헬스클럽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유럽에서 사용되는 사우나 히터 기술과 디자인 컨셉을 주로 공유한다. 야외 온도가 더 따뜻하고 습한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이는 전통 사우나 또는 스팀 샤워를 제공하는 이러한 상업 시설에서 제공되는 일반적인 적용이나 의도된 사우나 경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8. 2. 아시아
이란에서는 대부분의 체육관, 호텔, 그리고 거의 모든 공공 수영장에 실내 사우나가 있다. 수영장에는 건식 사우나/سونای خشکfa와 습식 사우나/سونای بخارfa로 알려진 두 종류의 사우나가 있는 경우가 매우 흔하며, 건식 사우나의 온도가 일반적으로 더 높다. 차가운 물 풀(그리고/또는 최근에는 차가운 자쿠지)이 거의 항상 딸려 있으며, 수건도 보통 제공된다. 돌에 치료 또는 이완 효과가 있는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란에서는 핀란드와 달리 사우나에 앉는 것은 주로 목욕 의식이라기보다는 스파/클럽 문화의 일부로 여겨진다. 대부분 휴식이나 발한(땀 배출)을 통한 해독 수단으로 인식된다. 사유지에 사우나실을 갖추는 것은 필수품이라기보다는 사치품으로 여겨진다. 공공 사우나는 성별이 분리되며 나체는 금지된다.일본에는 많은 스포츠 센터와 공중목욕탕(센토)에 사우나가 있다. 사우나는 거의 항상 성별이 분리되며, 종종 법률로 요구되며, 나체는 적절한 사우나 에티켓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직후에는 공중목욕탕이 일본에서 흔했지만, 국민들이 더 부유해짐에 따라 개인 욕조가 갖춰진 주택과 아파트를 살 여유가 생기면서 고객 수가 줄었다. 그 결과 많은 센토는 살아남기 위해 사우나와 같은 더 많은 시설을 추가했다.
한국에서는 사우나가 본질적으로 공중목욕탕이다. 소규모 모깃탕, 야외 온천, 그리고 정교한 찜질방과 같이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사우나'라는 단어는 '영어식 매력' 때문에 많이 사용되지만,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은 원래의 페노스칸디아식 증기탕을 엄밀히 가리키는 것은 아니다. 콩글리시 단어 '사우나'(사우나)는 일반적으로 자쿠지, 온수 욕조, 샤워실, 증기실 및 관련 시설을 갖춘 목욕탕을 가리킨다.
라오스에서는 허브 증기 사우나 또는 hom yaalo가 특히 여성들에게 매우 인기 있으며 모든 마을에서 이용 가능하다. 많은 여성들이 미용 치료로 요구르트 또는 타마린드를 기본으로 한 페이스트 블렌드를 피부에 바른다. 사우나는 항상 나무 불로 가열되며 허브는 끓는 물이나 실내 증기 분출구에 직접 첨가된다. 휴식 공간은 남녀 혼용이지만 증기실은 성별이 분리된다. muktamlo 차로 알려진 바엘 열매 차가 보통 제공된다.
8. 3.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
오스트레일리아와 캐나다에서는 사우나가 주로 호텔, 수영장, 헬스클럽에서 발견되며, 남녀 모두 이용하는 경우에는 암묵적으로라도 노출이 금지되는 경우가 많다. 남녀 탈의실이 분리된 체육관이나 헬스클럽에서는 노출이 허용되지만, 회원들에게는 사우나 이용 전에 샤워를 하고 수건을 깔고 앉도록 요청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캐나다에서는 사우나가 점점 별장 문화의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으며, 이는 핀란드의 뫼키(mökki) 문화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한다.
8. 4. 유럽
유럽의 사우나 문화는 지역별로 다양한 특징을 보인다.핀란드는 사우나의 종주국으로 여겨지며, 핀란드식 사우나는 건식 사우나로 높은 온도와 낮은 습도가 특징이다. 핀란드인들에게 사우나는 단순한 목욕 시설이 아닌, 휴식과 사교, 정신 수양의 공간으로 여겨진다. 핀란드에는 인구 대비 사우나 수가 매우 많으며, 가정집은 물론이고 회사, 공공기관 등에도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다.
스웨덴 역시 핀란드와 유사한 사우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스웨덴어로는 바스투(bastu)라고 불리며, 핀란드와 마찬가지로 건식 사우나가 일반적이다. 스웨덴의 사우나도 휴식과 사교의 장으로 활용되며, 특히 겨울철에는 추위를 피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사우나가 남녀 혼용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한국의 사우나 문화와는 다른 점으로, 처음 방문하는 사람들에게는 다소 낯설게 느껴질 수 있다. 독일의 사우나는 대체로 습식 사우나이며, 다양한 온도와 습도의 사우나 시설이 제공된다.
러시아의 바냐(баня)는 습식 사우나로, 뜨거운 증기를 이용하여 몸을 데우는 방식이다. 바냐는 러시아인들의 전통적인 목욕 문화로, 단순한 목욕 시설을 넘어 사교와 휴식의 공간으로 여겨진다. 바냐에서는 자작나무 가지 묶음(베닉, веник)으로 몸을 두드리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피부를 깨끗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발트 3국(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역시 핀란드와 유사한 사우나 문화를 가지고 있다. 이들 국가의 사우나는 건식 사우나가 일반적이며, 높은 온도와 낮은 습도가 특징이다. 발트 3국의 사우나는 핀란드와 마찬가지로 휴식과 사교, 정신 수양의 공간으로 여겨진다.
8. 4. 1. 북유럽 및 발트해 연안 국가
핀란드는 세계에서 가장 사우나 시설이 많은 나라이다. 인구 550만 명에 330만 개의 사우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핀란드인들은 집, 사무실, 공장, 스포츠 센터, 호텔, 선박, 심지어 버스 등 거의 모든 곳에서 사우나를 즐긴다. 핀란드 사우나는 단순한 목욕 시설이 아니라, 몸과 마음을 정화하는 의식과 같은 공간으로 여겨진다. 핀란드식 사우나는 건식으로, 뜨겁게 달궈진 돌에 물을 뿌려 발생하는 증기를 이용한다.에스토니아의 사우나 문화도 핀란드와 유사하다. 에스토니아에서는 2023년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스모크 사우나 전통이 유명하다. 스모크 사우나는 굴뚝이 없는 특별한 사우나로, 나무를 태워 실내를 데우고 연기를 가득 채운 후 환기시켜 즐기는 방식이다.
라트비아에서는 사우나를 '피르츠'(Pirts)라고 부르며, 전통적인 피르츠는 핀란드식 사우나와 유사하지만, 자작나무 가지 등으로 몸을 두드리는 독특한 풍습이 있다.
리투아니아에서도 사우나는 중요한 문화 중 하나이며, '피르티스'(Pirtis)라고 불린다. 리투아니아의 전통 사우나는 핀란드식 사우나와 유사하며, 가족, 친구들과 함께 사우나를 즐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처럼 북유럽 및 발트해 연안 국가에서 사우나는 단순한 목욕 시설을 넘어, 사회적 교류와 휴식, 그리고 전통문화의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핀란드의 사우나 문화는 다른 북유럽 및 발트해 연안 국가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핀란드식 사우나는 이 지역 사우나 문화의 원형으로 여겨진다.
8. 4. 2. 네덜란드어권 지역
네덜란드어권의 사우나 문서를 참고하면, 네덜란드와 플랑드르 전역의 대도시 및 소규모 지방 자치 단체에서 공중 사우나를 찾아볼 수 있으며, 남녀 혼탕은 일반적으로 허용된다. 일부 사우나는 남녀 혼탕에 불편함을 느끼는 사람들을 위해 여성 전용(또는 "수영복 전용") 시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2008년 ''알헤메인 다흐블라트(Algemeen Dagblad)''는 여성 전용 수영복 착용 시간이 네덜란드의 무슬림 여성을 사우나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보도했다.[72]8. 4. 3. 영국, 대서양 및 지중해 연안 유럽
영국과 많은 남유럽 지역에서는 단일 성별 사우나가 가장 흔한 유형이다. 성별이 분리된 사우나에서는 나체가 일반적이지만, 혼용 사우나에서는 대체로 금지된다. 사우나 이용 시간은 비교적 짧은 편이며, 대부분 냉수 샤워는 하지 않는다. 공중 사우나가 점점 인기를 얻고 있는 영국에서는 짧은 시간 동안 사우나와 자쿠지를 번갈아 이용하는 관행이 나타났는데, 이는 북유럽에서는 실례로 여겨지는 새로운 현상이다.영국 전역에는 '야생' 야외 스파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는 새로운 영국 사우나 문화가 있다.[73]
포르투갈에서는 로마인들이 이베리아 반도 서부에 도착하기 전에 카스트레호스 사람들이 증기 욕조를 흔히 사용했다.[74] 역사학자 스트라보는 증기 욕조를 이용한 후 냉수 욕조를 하는 관습이 있었던 루시타니아인들의 전통을 언급했다. 페드라 포르모사는 로마 시대 이전 증기 욕조 중앙 부분에 붙여진 원래 이름이다.
8. 4. 4. 독일어권 국가
독일,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남티롤, 롬바르디아에서는 대부분의 공중 수영장 시설에 사우나 공간이 있으며, 이러한 지역에서는 나체가 일반적으로 허용되는 규칙이다.[14] 벤치는 사람들의 수건으로 덮는 것이 일반적이며, 일부 공공 사우나에서는 이러한 규칙이 엄격하게 시행된다. 남녀 각각을 위한 별도의 단일 성별 사우나 공간은 드물며, 대부분의 장소에서는 여성 전용 사우나와 남녀 혼용 사우나를 제공하거나 일주일에 한 번 여성 전용 사우나를 운영한다. 사우나는 사교의 장소라기보다는 치유의 장소로 여겨지기 때문에 큰 소리로 대화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
러시아와 북유럽 국가들과 달리, 습도를 높이기 위해 뜨거운 돌에 물을 붓는 행위(''Aufguss'', 독일어로 "붓기"라는 뜻)는 일반적으로 사우나 이용객이 직접 하지 않는다. 대형 사우나 공간에는 사우나 시설 직원이나 자원봉사자 등 담당자(''Saunameister'')가 있으며, 이들은 아우프구스를 담당한다. 아우프구스 세션은 최대 10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일정에 따라 진행된다. 아우프구스 세션 중에 Saunameister는 큰 수건을 사용하여 사우나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순환시켜 땀을 더 많이 흘리게 하고 열감을 증폭시킨다. 아우프구스 세션이 시작되면 문을 열면 열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사우나에 들어가는 것은 예의에 어긋난다고 여겨진다(사우나 이용객들은 아우프구스 직전에 사우나에 들어가는 것이 좋다). 너무 뜨겁거나 불편하다면 세션을 떠나는 것이 허용되며 권장된다.[75] 아우프구스 세션은 일반적으로 사우나 문에 있는 일정표에 의해 알려진다. 진행 중인 아우프구스 세션은 사우나 입구 위에 불이 켜지거나 표지판이 걸려 있을 수 있다.
사우나 후 곧바로 차가운 샤워나 목욕을 하는 것과 특별한 발코니, 정원 또는 야외 공간(''Frischluftraum'')에서 신선한 공기에 노출되는 것은 필수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독일어권 스위스에서는 관습이 일반적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와 같지만, 가족(자녀와 함께하는 부모)과 젊은이들을 더 많이 볼 수 있다. 또한 사우나에서의 사교와 관련하여 스위스 사람들은 핀란드, 스칸디나비아 또는 러시아 사람들과 더 유사한 경향이 있다.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사우나 이용 후 세척을 위한 많은 시설이 있으며, '던킹 풀'(사우나 이용 후 사람이 몸을 담그는 매우 차가운 물의 풀)이나 샤워 시설이 있다. 일부 사우나와 찜질방에서는 향기로운 소금을 제공하여 피부에 문질러 추가적인 향과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아우프구스(독일어: aufguss)란 사우나실 안에서 로우류를 한 후, 상승한 수증기를 수건 등으로 사우나실 안에 수증기를 교반시키면서 부채질하여 사우나 이용객에게 뜨거운 바람을 보내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초기에는 아우프구스를 로우류라고 불렀던 적이 있어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최근에는 정확한 표기를 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구분되고 있다.
아우프구스를 하는 사람은 아우프구스 마스터나 아우프기서(aufgießer) 등으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시설이나 사람에 따라 아우프구스를 열파(熱波), 아우프기서를 열파사(熱波師)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다양한 아로마를 사용하고, 수건을 저글링처럼 돌리며 그 기술을 쇼처럼 음악이나 영상과 동기화시킨 엔터테인먼트성이 높은 퍼포먼스를 하는 아우프기서도 있으며, 이것은 쇼 아우프구스라고 불린다.[89]
8. 4. 5. 헝가리
헝가리인들은 사우나를 더 넓은 스파 문화의 일부로 여긴다. 대부분의 경우 남녀가 함께 수영복을 입고 사우나를 이용한다. 단일 성별 사우나나 나체를 강요하는 사우나는 드물지만, 이러한 관행은 확산되고 있으며 여러 스파에서는 특정일에 수건만 허용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가장 일반적인 사우나 종류는 매우 뜨겁고 건조한 핀란드식 사우나(finn szauna), 습식 사우나(gőzkabin), 그리고 원적외선 사우나(infraszauna)이다. 많은 대형 스파에서는 별도의 입장권으로만 이용할 수 있는 별도의 사우나 구역을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시설은 종종 사우나 월드(szaunavilág)라고 불리며, 차가운 냉수 풀, 휴식 공간, 자쿠지, 샤워 시설, 얼음 조각 통 등의 추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자격을 갖춘 사우나 마스터가 진행하는 아우구스트 세션(Aufguss sessions)이 인기를 얻고 있다.
8. 4. 6. 체코 및 슬로바키아
체코와 슬로바키아에서 사우나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며, 레크리에이션 시설이나 공공 수영장의 일부로 자주 발견된다. 많은 사람들이 정기적으로 사우나를 이용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많다. 2000년 이후 대형 아쿠아파크와 웰니스 센터가 사우나를 포함하기 시작하면서 사우나의 인기는 더욱 높아졌다.나체는 점점 더 허용되는 추세이며, 일부 장소에서는 수영복 착용을 금지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수건으로 몸을 가린다. 샤워실은 일반적으로 반(半) 개인적인 공간이다. 과거에는 남성 전용일과 여성 전용일이 일반적이었지만, 오늘날 남성 전용 시설은 드물고 여성 전용 시간이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8. 4. 7. 러시아
러시아의 많은 지역에서 사우나 이용은 중추적인 사회적 역할을 한다. 이들 국가에는 잎이 무성한 젖은 자작나무 가지로 사우나 이용객을 마사지하는 전통이 있는데, 러시아어로는 ''베니크(venik)''(веник)이라고 한다.[76] 러시아어권 사회에서는 바냐(banya)''(러시아어: Баня)라는 단어가 공중목욕탕을 가리킬 때도 널리 사용된다.[76] 러시아의 공중 바냐탕은 남녀가 엄격하게 분리되어 있다. 겨울에는 사우나 이용객들이 종종 얼음물 수영을 하거나, 호수가 없으면 벌거벗은 채 눈 속에서 구른 다음 다시 안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러시아 전통 바냐는 핀란드 사우나와 매우 유사하지만, 핀란드 사우나가 매우 건조하다는 일반적인 오해와는 다르다.
현대 러시아에는 세 가지 유형의 사우나가 있다. 첫 번째 유형은 20세기 특히 인기가 많았던 공중 사우나 또는 바냐(현지인들은 러시아 바냐라고도 부른다)로,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의 공중 목욕탕과 유사한 맥락을 지닌다. 바냐는 여러 개의 방으로 구성된 큰 시설이다. 핀란드식 사우나가 최소한 하나 있으며, 차가운 물 풀, 휴식 공간, 사우나 이용객들이 서로 잎이 무성한 자작나무 가지로 때리는 사우나, 샤워실, TV와 음료를 제공하는 작은 카페테리아, 그리고 다른 구역으로 이어지는 넓은 공용 공간이 있다. 이 넓은 공간에는 사람들이 누워 다른 사우나 이용객이나 지정된 마사지사에게 마사지를 받는 대리석 침대와 같은 구조물이 있다. 휴식 공간에는 바닥에 고정된 대리석이나 돌로 만든 다른 침대와 같은 구조물도 있어서 사람들이 사우나를 여러 번 한 후 또는 바냐 세션이 끝날 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옷을 보관하는 넓은 공용 사물함 구역과 두 개의 개별 문으로 잠글 수 있는 더 사적인 개인 사물함 구역이 두 개 있다.
두 번째 유형은 전 세계의 어떤 체육관이나 호텔에서도 찾을 수 있는 핀란드식 사우나이다. 탈의실에 있거나 남녀 혼용일 수 있다. 노출에 대한 태도는 매우 자유롭고 사람들은 자신의 나체에 대해 덜 의식한다.
세 번째 유형은 친구들이 함께 빌리는 사우나이다. 공중 바냐탕과 유사하지만 일반적으로 더 현대적이고 고급스러우며, 종종 친구들이 파티와 사교를 위해 시간 단위로 빌린다. 여기서는 남녀 단일 성별 또는 혼성일 수 있다.
발트 3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비히타(러시아어: 베니크)를 사용한 사우나 트리트먼트 서비스인 위스킹(wisking)을 제공하고 있다. 자작나무 외에도 다양한 식물이 사용된다.[90]
8. 5. 북미 및 중앙 아메리카
미국에서는 식민지 개척자들과 함께 스웨덴의 '바스투(bastu)'가 델라웨어 강 주변의 뉴 스웨덴 식민지에 처음 도착했다. 당시 스웨덴 총독은 티니컴 섬에 목욕탕을 가지고 있었다.[5] 오늘날 사우나 문화는 특히 미시간주 어퍼 페닌슐라, 특히 키위노 반도와 미네소타주, 위스콘신주, 아이오와주 일부 지역에서 가장 큰 인기를 누리고 있는데, 이 지역에는 많은 스웨덴계 미국인, 특히 핀란드계 미국인들이 거주하고 있다.[77] 미네소타주 덜루스는 최고조에 달했을 때 무려 14개의 공중 사우나를 보유하고 있었다.[5] 실제로, 문화 지리학자 마티 카웁스는 북미 대호수 지역의 핀란드계 농장들 사이에서 핀란드 농장보다도 더 많은 90%가 사우나 시설을 갖추고 있음을 발견했다. 다른 지역에서는 일반적으로 건강 클럽이나 호텔에서 사우나 시설을 제공하지만, 이를 사용하는 데 있어 전통이나 의식은 없다. 책임을 회피하기 위해 많은 사우나가 적당한 온도에서만 운영되며 돌에 물을 붓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대부분의 남녀 혼용 사우나에서는 수영복과 같은 의류를 착용해야 한다는 점을 제외하면 미국에서는 다른 국가에 비해 더 넓은 범위의 사우나 에티켓이 일반적으로 허용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우나는 작은 개인실이거나 건강 클럽이나 체육관의 탈의실에 있기 때문에 이는 드물다. 제한이 거의 없고 사용이 편안하며, 목욕하는 사람들은 알몸으로든, 수건을 두르고든, 수영복을 입고 젖은 채로든, 심지어 운동복을 입고서든(후자는 매우 드물다) 원하는 대로 사우나에 출입할 수 있다. 미국의 문화의 많은 측면과 마찬가지로, 규정된 관례가 거의 없으며 목욕하는 사람은 특정 가족이나 지역 사회의 기대를 "읽는" 데 있어 기민해야 한다. 핀란드계 미국인 외에도, 나이 든 한국계 미국인들은 여전히 사우나를 이용하고 있다. 미국 전역의 대학에서 사우나 모임이 생겨나고 있으며, 최초의 모임은 구스타부스 아돌푸스 대학교에서 결성되었다.
미국 동유럽 유대인들의 문화 유산은 과거 동부 해안과 때때로 태평양 서해안에 널리 퍼져 있던 '슈비츠(shvitz)' 문화이다.[78]
많은 북아메리카 원주민과 캐나다 원주민의 전통적인 의식 문화에서 사용되는 발한 의식장(sweat lodge)은 영적 의식을 위한 장소이다. 초점은 의식에 있으며, 발한은 부차적인 것이다. 사우나 전통과 달리, 특히 이니피(Inipi)의 경우 발한 의식장 의식은 오락 활동이 아닌 원주민의 독점적인 영성 표현으로 강력하게 옹호되어 왔다.[79][80]
9. 전통과 오래된 믿음
핀란드어 단어인 ''로윌뤼/löylyfi'' 는 사우나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사우나 증기"로 번역될 수 있으며, 뜨겁게 달궈진 돌에 물을 뿌려 생성되는 수증기를 가리킨다. 에스토니아어의 ''leil''처럼 핀우그리아어족 언어 전반에서도 비슷한 의미로 사용된다. 원래 이 단어는 "정신" 또는 "생명"을 의미했는데, 예를 들어 헝가리어 ''lélek''과 칸트어 ''lil''은 모두 "영혼"을 의미하며, 사우나의 오래된 정신적인 본질을 나타낸다. "정신"과 "(사우나) 증기"라는 이중적인 의미는 라트비아어 단어 ''gars''에도 보존되어 있다. "사우나에서는 교회에서처럼 행동해야 한다"는 오래된 핀란드 속담이 있다("saunassa ollaan kuin kirkossa").
''사우나톤투(Saunatonttu)''는 직역하면 "사우나 요정"으로, 사우나에 산다고 믿어지는 작은 요정이나 수호령이다. 항상 존중하는 대우를 받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사람들에게 큰 곤경을 초래할 수 있었다. 때때로 ''톤투''를 위해 사우나를 따로 데우거나, 그를 위해 음식을 밖에 두는 것이 관례였다. 사우나에 화재의 위험이 있을 경우 사람들에게 경고를 하거나, 사우나에서 부적절하게 행동하는 사람들(예: 잠을 자거나 게임을 하거나, 다투거나, 시끄럽게 굴거나, 비도덕적인 행동을 하는 사람들)을 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존재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존재하는 것으로 믿어진다. 러시아식 사우나인 바냐(banya)에도 ''반닉(bannik)''이라는 완전히 대응되는 존재가 있다.
톤투(tonttu)는 북유럽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요정이다. 사우나 톤투(Saunatonttu)는 사우나에 사는 요정으로, 사우나와 거의 같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핀란드의 옛 전설에 따르면 사우나 톤투는 검은색에 눈이 하나뿐이며 키는 약 50cm 정도이고, 항상 사우나 스토브 뒤에 산다고 한다. 사우나와 사우나를 이용하는 사람을 지키는 것을 중요한 임무로 여기며, 사우나의 수호신으로 여겨진다. 사우나 톤투는 모든 사람이 사우나를 이용한 후에 사우나를 사용한다고 한다.[119] 사우나 톤투가 마지막으로 들어가므로, 항상 사우나를 깨끗하게 청소해 두도록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경우도 있다. 특히 크리스마스 이브에는 사우나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평소보다 일찍 나와 나중에 톤투들이 사우나를 즐길 수 있도록 해 준다는 관습도 있다.
태국에서는 여성들이 출산 후 한 달 동안 임시 사우나 텐트에서 수 시간을 보낸다. 수증기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가지 약초가 함께 사용된다. 사우나가 산모의 신체가 정상 상태로 더 빨리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믿어진다.
연기와 열로 살균된 사우나실은 마을이나 집 안에서 가장 깨끗한 장소로, 옛날부터 출산이나 치료, 수술, 매장 전 시신을 씻는 장소로 사용되어 왔다. 사우나는 신성한 장소로 여겨지며, 오늘날에도 잔재로 큰 소리로 말하거나 웃거나, 손뼉을 치는 행위나 휘파람, 욕설은 금지되고 있다。
10. 일본의 사우나 문화
두꺼운 천으로 만든 가운이나 전라 외에 수영복이나 수건을 착용하고 고온으로 설정된 사우나실에 들어가 몸을 따뜻하게 하고 발한을 촉진한다. 온냉 교대욕이 일반적이다.[85]
다량의 땀을 흘리기 때문에 수분 섭취가 부족하면 탈수 증상에 빠지거나, 온냉 교대에 따른 급격한 온도 변화로 히트 쇼크 현상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의학 전문가 및 일본의 업계 단체가 목적과 건강 상태에 맞춰 무리하지 않고, 사우나, 냉수욕, 휴식을 순서대로 여러 번 반복하는 이용을 권장하고 있다.[86]
“토토노우(ととのう)”는 사우나 애호가이자 블로거인 누레즈킨짱(濡れ頭巾ちゃん)이 사우나 후의 행복감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용어로, 처음에는 “整う”라는 한자 표기였다.[142] 이러한 상태는 그 전까지는 황홀경, 사우나 트랜스(의식), 니르바나(涅槃) 등으로 불렸다. 타나카 카츠키(タナカカツキ)가 SNS에서 “토토노우”라는 단어를 발견하고 자신의 작품인 『사도(サ道)』에서 소개했다.[143]
일본 사우나 학회의 가토 요우스케(加藤容崇)는 의학적으로 “토토노이(ととのい)”란 “혈중에는 흥분 상태일 때 나오는 아드레날린(アドレナリン)이 남아 있지만, 자율신경은 이완 상태인 부교감신경(副交感神経)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드문 상태”라고 설명한다. “사우나→냉탕→옥외 휴식”을 반복함으로써 평소에는 얻을 수 없는 부교감신경 우위 상태가 되고,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ノルアドレナリン), 엔돌핀(エンドルフィン)도 짧은 시간 동안 공존하게 된다. 옥외 휴식 중에는 몸은 이완되어 있지만 머리는 맑아지고 행복감에 싸여 있는 상태가 된다고 저서에서 설명하고 있다.
핀란드어나 영어에는 사우나 후의 행복감을 나타내는 말이 없으며, 일본에서 탄생한 사우나 용어로 소개되고 있다. “마치 천연 마약과 같은, 사우나가 가져다주는 행복감이나 상쾌한 기분을 의미한다”라고 핀란드 공영 방송 뉴스에서 소개된 것은 일본에서 탄생한 사우나 용어인 “토토노우(TOTONOU)”이다.[144]
2021년 유캔 신어·유행어 대상(ユーキャン新語・流行語大賞)에 토토노우가 노미네이트되었다.[145]
공익사단법인 사우나·스파협회가 1984년에 숫자의 음을 따서 3월 7일을 '''사우나의 날'''로 일본기념일협회에 등록했다.
사우나 전문 브랜드 「TTNE PRO SAUNNER」를 운영하는 TTNE 주식회사가 사우나에서의 「토토노에(ととのえ)」 경험을 통해 건강하게 지내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1」이 네 개가 나란히 늘어서고 1년 중 가장 토토노에(ととのえ)한 날로 여겨지는 11월 11일을 일본기념일협회에 등록했다.[146]
- '''아마미''': 피부에 나타나는 붉은 얼룩덜룩한 반점[87]을 가리킨다. 토야마현의 방언으로, 원래는 불 등을 이용하여 화상을 입었을 때 생기는 반점이나 붉은 자국을 가리키는 말이다. 아마미는 바로 사라지기도 하고, 2일 정도 남는 경우도 있다. 아마미의 발현은 일본이나 핀란드에서 좋은 사우나인지, 몸이 제대로 따뜻해졌는지 여부의 척도로 보는[88] 사람도 있다.
- '''로우류(로윌뤼/löylyfi)''': 가열된 사우나 스톤에 물을 뿌려 수증기를 발생시켜 습도를 높이는 행위, 또는 그 수증기 자체를 의미한다. 로우류에 의해 사우나실 내에 수증기가 발생하면 습도가 상승하고 체감 온도가 순식간에 높아진다. 로우류의 효과는 발한 작용, 습도 상승에 의한 숨 막힘이나 피부의 따끔거림을 억제하여 신체 부담 경감, 아로마수 등을 사용함으로써 향기를 즐기는 이완 효과가 있다.
- '''아우프구스(독일어: aufguss)''': 사우나실 안에서 로우류를 한 후, 상승한 수증기를 수건 등으로 사우나실 안에 수증기를 교반시키면서 부채질하여 사우나 이용객에게 뜨거운 바람을 보내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초기에는 아우프구스를 로우류라고 불렀던 적이 있어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최근에는 정확한 표기를 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구분되고 있다. 아우프구스를 하는 사람은 아우프구스 마스터나 아우프기서(아우프기서/aufgießerde) 등으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시설이나 사람에 따라 아우프구스를 열파(熱波), 아우프기서를 열파사(熱波師)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다양한 아로마를 사용하고, 수건을 저글링처럼 돌리며 그 기술을 쇼처럼 음악이나 영상과 동기화시킨 엔터테인먼트성이 높은 퍼포먼스를 하는 아우프기서도 있으며, 이것은 쇼 아우프구스라고 불린다.[89]
- '''위스킹''': 비히타(러시아어: 베니크/веникru)를 사용한 사우나 트리트먼트 서비스인 위스킹은 발트 3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다. 위스킹에는 자작나무 외에도 다양한 식물이 사용된다.[90]
- '''사우나에서의 혼욕''': 핀란드의 공중 사우나에서는 탕이 남녀 구분되어 있으며, 수영복을 착용하지 않고 알몸으로 입욕한다. 남녀 혼탕 사우나에서는 수영복 착용이 의무적이다. 개인 사우나나 전세 사우나에서는 혼탕이 가능하지만, 가족이나 친한 친구들과만 가능하다. 독일에서는 공중 사우나에서도 알몸으로 남녀 혼탕을 한다.[91] 일본에서는 입욕 시설 내에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알몸으로 남녀 혼탕을 하는 경우는 없지만, 수영복 착용을 전제로 한 사우나 혼탕 시설은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92]
- '''어린이의 사우나 입욕''': 어린이의 사우나 입욕은 주의가 필요하다. 일본의 온천 및 사우나 시설에서는 어린이 출입을 제한하거나, 시설 출입은 허용하되 사우나실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다. 핀란드 연구에 따르면, 특히 5세 이하 어린이는 체온 조절 기능이 미숙하여 사우나와 냉탕 이용이 위험하다. 어린이는 신체 불편함을 자각하고 말로 표현하기 어려우므로 보호자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93] 한국 보건복지부는 2020년 12월, 어린이 공중목욕탕 혼탕 관련 위생 관리 지침을 개정하여, 혼탕 금지 연령을 "대체로 10세 이상"에서 "7세 이상"으로 낮추었다. 이에 따라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혼탕 가능 연령을 개정하였다.[94] 이 개정은 어린이의 안전과 성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루어진 조치로 평가할 수 있다.
- '''사우나 입욕 시 금기 및 주의점''': 고혈압 환자의 장시간 고온욕, 생활습관병(당뇨병, 뇌졸중의 과거력, 심장병,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의 온냉교대욕은 금기시된다. 음주·만취 상태에서의 입욕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 외에도 극도의 피로, 발열 시나 입욕 중에 이상을 느꼈을 때도 입욕은 삼가야 한다. 식후 포만 상태에서의 입욕은 위장 등의 소화기계에 집중되어 있는 혈액이 분산되어 건강상 좋지 않으므로 1~2시간 정도의 식사 후 휴식을 취한 후 입욕하는 것이 권장된다.[95] 냉욕 시에는 자연 호수나 하천에 들어가는 경우를 포함하여, 익사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96]
- '''사우나의 종류''': 습식 사우나와 건식 사우나가 있다.
- '''중세 이전의 사우나''': 최초의 사우나는 땅을 파서 만든 구덩이 형태였으며, 주로 겨울철에 사용되었다. 이 구덩이는 물을 데우기 위한 돌을 놓는 난로를 덮는 데 사용되었다. 난로에서 발생한 연기는 공간을 따뜻하게 하고 그을음을 축적시켰다. 핀란드식 사우나의 초기 형태는 "스모크 사우나"로 알려져 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목욕탕 문화가 발달했으며, 체육관의 일부로 공중 목욕탕이 설치되었다. 이 목욕탕은 미케네 문명 후기 궁전 유적에서 발견된 욕조와 샤워 시설을 갖춘 방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로마 제국에서는 테르마이(thermae)라고 불리는 대규모 공중 목욕탕이 건설되었다. 이 목욕탕은 단순한 목욕 시설을 넘어, 사교, 운동, 독서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이었다. 로마인들은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그는 칼다리움, 미지근한 물이 있는 테피다리움, 냉수욕을 즐기는 프리지다리움 등 다양한 형태의 목욕 시설을 이용했다.
10. 1. 사우나 관련 일본어 용어
사우나와 냉수욕을 번갈아 하는 것에 의해 피부에 나타나는 붉은 얼룩덜룩한 반점[87]을 가리키는 일본어는 아마미(あまみ) 이다. 토야마현의 방언으로, 원래는 불 등을 이용하여 화상을 입었을 때 생기는 반점이나 붉은 자국을 가리키는 말이다. 아마미는 바로 사라지기도 하고, 2일 정도 남는 경우도 있다. 아마미의 발현은 일본이나 핀란드에서 좋은 사우나인지, 몸이 제대로 따뜻해졌는지 여부의 척도로 보는[88] 사람도 있다.로우류()는 가열된 사우나 스톤에 물을 뿌려 수증기를 발생시켜 습도를 높이는 행위, 또는 그 수증기 자체를 의미한다. 로우류에 의해 사우나실 내에 수증기가 발생하면 습도가 상승하고 체감 온도가 순식간에 높아진다. 로우류는 발한 작용을 촉진하고, 습도 상승에 의한 숨 막힘이나 피부의 따끔거림을 억제하여 신체 부담을 경감시킨다. 아로마수 등을 사용함으로써 향기를 즐기는 이완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아우프구스(aufguss)란 사우나실 안에서 로우류를 한 후, 상승한 수증기를 수건 등으로 사우나실 안에 수증기를 교반시키면서 부채질하여 사우나 이용객에게 뜨거운 바람을 보내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초기에는 아우프구스를 로우류라고 불렀던 적이 있어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최근에는 정확한 표기를 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구분되고 있다. 아우프구스를 하는 사람은 아우프구스 마스터나 아우프기서(aufgießer) 등으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시설이나 사람에 따라 아우프구스를 열파(熱波), 아우프기서를 열파사(熱波師)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다양한 아로마를 사용하고, 수건을 저글링처럼 돌리며 그 기술을 쇼처럼 음악이나 영상과 동기화시킨 엔터테인먼트성이 높은 퍼포먼스를 하는 아우프기서도 있으며, 이것은 쇼 아우프구스라고 불린다.[89]
발트 3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비히타(베니크, веникru)를 사용한 사우나 트리트먼트 서비스인 위스킹(wisking)을 제공하고 있다. 자작나무 외에도 다양한 식물이 사용된다.[90]
토토노우(ととのう)는 사우나 애호가이자 블로거인 누레즈킨짱(濡れ頭巾ちゃん)이 사우나 후의 행복감을 표현하기 위해 만든 용어로, 처음에는 “整う”라는 한자 표기였다.[142] 이러한 상태는 그 전까지는 황홀경, 사우나 트랜스(의식), 니르바나(涅槃) 등으로 불렸다. 타나카 카츠키(タナカカツキ)가 SNS에서 “토토노우”라는 단어를 발견하고 자신의 작품인 『사도(サ道)』에서 소개했다.[143] 일본 사우나 학회의 가토 요우스케(加藤容崇)는 의학적으로 “토토노이(ととのい)”란 “혈중에는 흥분 상태일 때 나오는 아드레날린이 남아 있지만, 자율신경은 이완 상태인 부교감신경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드문 상태”라고 설명한다. “사우나→냉탕→옥외 휴식”을 반복함으로써 평소에는 얻을 수 없는 부교감신경 우위 상태가 되고, 아드레날린과 노르아드레날린, 엔도르핀도 짧은 시간 동안 공존하게 된다. 옥외 휴식 중에는 몸은 이완되어 있지만 머리는 맑아지고 행복감에 싸여 있는 상태가 된다고 설명한다. 핀란드어나 영어에는 사우나 후의 행복감을 나타내는 말이 없으며, 일본에서 탄생한 사우나 용어로 소개되고 있다.[144] 2021년 유캔 신어·유행어 대상(ユーキャン新語・流行語大賞)에 토토노우가 노미네이트되었다.[145]
10. 1. 1. 아마미
피부에 나타나는 붉은 얼룩덜룩한 반점[87]을 가리킨다. 토야마현의 방언으로, 원래는 불 등을 이용하여 화상을 입었을 때 생기는 반점이나 붉은 자국을 가리키는 말이다. 아마미는 바로 사라지기도 하고, 2일 정도 남는 경우도 있다. 아마미의 발현은 일본이나 핀란드에서 좋은 사우나인지, 몸이 제대로 따뜻해졌는지 여부의 척도로 보는[88] 사람도 있다.10. 1. 2. 로우류
로우류(로윌뤼/löylyfi)는 가열된 사우나 스톤에 물을 뿌려 수증기를 발생시켜 습도를 높이는 행위, 또는 그 수증기 자체를 의미한다. 로우류에 의해 사우나실 내에 수증기가 발생하면 습도가 상승하고 체감 온도가 순식간에 높아진다.로우류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 발한 작용
- 습도 상승에 의한 숨 막힘이나 피부의 따끔거림을 억제하여 신체 부담 경감
- 아로마수 등을 사용함으로써 향기를 즐기는 이완 효과
10. 1. 3. 아우프구스
아우프구스(독일어: aufguss)란 사우나실 안에서 로우류를 한 후, 상승한 수증기를 수건 등으로 사우나실 안에 수증기를 교반시키면서 부채질하여 사우나 이용객에게 뜨거운 바람을 보내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초기에는 아우프구스를 로우류라고 불렀던 적이 있어 혼동되는 경우가 있지만, 최근에는 정확한 표기를 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구분되고 있다.아우프구스를 하는 사람은 아우프구스 마스터나 아우프기서(아우프기서/aufgießerde) 등으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시설이나 사람에 따라 아우프구스를 열파(熱波), 아우프기서를 열파사(熱波師)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다양한 아로마를 사용하고, 수건을 저글링처럼 돌리며 그 기술을 쇼처럼 음악이나 영상과 동기화시킨 엔터테인먼트성이 높은 퍼포먼스를 하는 아우프기서도 있으며, 이것은 쇼 아우프구스라고 불린다.[89]
10. 1. 4. 위스킹
비히타(러시아어: 베니크/веникru)를 사용한 사우나 트리트먼트 서비스인 위스킹은 발트 3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다. 위스킹에는 자작나무 외에도 다양한 식물이 사용된다.[90]10. 1. 5. 사우나에서의 혼욕
핀란드의 공중 사우나에서는 탕이 남녀 구분되어 있으며, 수영복을 착용하지 않고 알몸으로 입욕한다. 남녀 혼탕 사우나에서는 수영복 착용이 의무적이다. 개인 사우나나 전세 사우나에서는 혼탕이 가능하지만, 가족이나 친한 친구들과만 가능하다. 독일에서는 공중 사우나에서도 알몸으로 남녀 혼탕을 한다.[91]
일본에서는 입욕 시설 내에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알몸으로 남녀 혼탕을 하는 경우는 없지만, 수영복 착용을 전제로 한 사우나 혼탕 시설은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다.[92]
10. 1. 6. 어린이의 사우나 입욕
어린이의 사우나 입욕은 주의가 필요하다. 일본의 온천 및 사우나 시설에서는 어린이 출입을 제한하거나, 시설 출입은 허용하되 사우나실 이용을 제한하는 경우가 있다. 핀란드 연구에 따르면, 특히 5세 이하 어린이는 체온 조절 기능이 미숙하여 사우나와 냉탕 이용이 위험하다. 어린이는 신체 불편함을 자각하고 말로 표현하기 어려우므로 보호자가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93]한국 보건복지부는 2020년 12월, 어린이 공중목욕탕 혼탕 관련 위생 관리 지침을 개정하여, 혼탕 금지 연령을 "대체로 10세 이상"에서 "7세 이상"으로 낮추었다. 이에 따라 많은 지방자치단체가 혼탕 가능 연령을 개정하였다.[94] 이 개정은 어린이의 안전과 성장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이루어진 조치로 평가할 수 있다.
10. 1. 7. 사우나 입욕 시 금기 및 주의점
고혈압 환자의 장시간 고온욕, 생활습관병(당뇨병, 뇌졸중의 과거력, 심장병, 고혈압 등의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의 온냉교대욕은 금기시된다. 음주·만취 상태에서의 입욕 또한 마찬가지이다. 이 외에도 극도의 피로, 발열 시나 입욕 중에 이상을 느꼈을 때도 입욕은 삼가야 한다. 식후 포만 상태에서의 입욕은 위장 등의 소화기계에 집중되어 있는 혈액이 분산되어 건강상 좋지 않으므로 1~2시간 정도의 식사 후 휴식을 취한 후 입욕하는 것이 권장된다.[95]냉욕 시에는 자연 호수나 하천에 들어가는 경우를 포함하여, 익사하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96]
10. 2. 사우나의 종류
습식 사우나와 건식 사우나가 있다.10. 2. 1. 중세 이전의 사우나
최초의 사우나는 땅을 파서 만든 구덩이 형태였으며, 주로 겨울철에 사용되었다. 이 구덩이는 물을 데우기 위한 돌을 놓는 난로를 덮는 데 사용되었다. 난로에서 발생한 연기는 공간을 따뜻하게 하고 그을음을 축적시켰다. 핀란드식 사우나의 초기 형태는 "스모크 사우나"로 알려져 있다.고대 그리스에서는 목욕탕 문화가 발달했으며, 체육관의 일부로 공중 목욕탕이 설치되었다. 이 목욕탕은 미케네 문명 후기 궁전 유적에서 발견된 욕조와 샤워 시설을 갖춘 방들로 구성되어 있었다.
로마 제국에서는 테르마이(thermae)라고 불리는 대규모 공중 목욕탕이 건설되었다. 이 목욕탕은 단순한 목욕 시설을 넘어, 사교, 운동, 독서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는 복합 문화 공간이었다. 로마인들은 뜨거운 물에 몸을 담그는 칼다리움, 미지근한 물이 있는 테피다리움, 냉수욕을 즐기는 프리지다리움 등 다양한 형태의 목욕 시설을 이용했다.
10. 2. 2. 근현대의 사우나
1900년대가 되면서 다양한 사우나 스토브가 탄생했고, 굴뚝을 사용하는 장작 스토브도 사용되기 시작했다. 전기 스토브나 가스를 사용하는 스토브도 사용되기 시작하여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사우나는 건식(드라이 사우나)과 습식(웻 사우나)의 두 가지 종류로 크게 나눌 수 있다. 건식 사우나의 특징은 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다는 것이다. 일본에서는 이 드라이 사우나가 많다. 습식 사우나는 드라이 사우나와 비교하여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은 것을 가리킨다.[101]
10. 2. 3. 가정용 사우나
가정에서 사용하는 사우나. 전화 부스와 같은 1인용이나 소수 인원용이 주류를 이루며, 원적외선이나 미스트 사우나 등도 있으며, 많은 제조업체가 출시하고 있다.[107]
10. 2. 4. 간이 후드 사우나
간이 후드에 들어가 얼굴만 내놓고 사우나를 즐기는 방식이다. 가정용 사우나와 마찬가지로 원적외선 방식과 스팀 방식이 있다. 개인적으로 구매하는 사우나로서는 가장 간편하다.10. 2. 5. 텐트 사우나
이름 그대로 텐트 형태의 사우나로, 개인이 휴대하고 다닐 수 있다. 개인적인 야외 사용은 물론, 사우나 축제나 이벤트 등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단열성이 높은 텐트 내부를 스토브로 가열한다. 주의할 점은 환기가 필수이므로 반드시 사우나용 텐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일산화탄소 중독 대책으로 일산화탄소 감지기가 필요하다는 점이다.[108]10. 2. 6. 사우나 트레일러
피견인차를 사우나로 개조한 것으로, 텐트 사우나와 마찬가지로 개인이나 이벤트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 2022년에는 노선버스로 사용되었던 차체를 리노베이션한 사바스가 등장했다.[109]일본에서는 수영장 등에 설치되는 40~60℃로 설정된 난방실은 사우나에 해당하지 않지만,[110] 한국에서는 이와 관련된 논란이나 특별한 제한은 없다. 레저 시설 등에서 욕장으로 사우나를 설치하고 있는 곳도 한국에서는 흔히 볼 수 있다.
10. 3. 핀란드의 사우나 문화
핀란드는 습식 사우나의 대표격이다. 핀란드 사우나에서는 뜨겁게 달궈진 돌 위에 물을 뿌려 수증기를 발생시켜 체감 온도를 높인다. 이것을 뢰이뤼(, 뢰윌뤼/löylyfi)라고 한다. 온도 조절은 물을 뿌리는 양으로 조절한다.핀란드에서는 잎이 붙은 채로 묶은 자작나무 가지를 빗자루처럼 만들어 이것으로 몸을 두드리면서 사우나를 즐긴다. 이것은 마사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일본에서는 이 핀란드식 사우나를 잘못하여 건식 사우나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다.
사우나(SAUNA)는 세계 공통으로 사용되는 단어이며, 다른 언어로 번역되지 않고 전 세계로 퍼져나간 유일한 핀란드어이다.[111]
핀란드는 인구 500만 명당 사우나 300만 개를 보유하고 있어 세계 최고의 사우나 국가로 여겨진다. 단독주택은 물론이고 도시의 작은 아파트에도 사우나가 있으며, 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호숫가의 별장이나 수영장, 체육관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핀란드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탐페레는 "사우나의 수도"라고도 불린다.[112][113] 한편, 헬싱키에는 2016년 세계 최초의 사우나 관람차가 등장했다.[114]
2020년 12월, 에스토니아 볼주의 굴뚝 없는 사우나 전통과 핀란드의 사우나 문화가 각각 유네스코 무형유산에 등재되었다.
사우나의 기원은 핀란드 국내에서도 여러 설이 있으며, 결정적인 기원은 알려져 있지 않다. 핀란드 민족의 기원이 수천 년 전 중앙아시아에 있으며, 그때부터 사우나를 즐겼다는 설이 있다. 단순한 천막 사우나와 같은 형태인 '더그아웃 사우나'(dugout sauna)가 그것이다. 유목 생활을 하던 핀란드 민족은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여 러시아 남부를 북상하여 리투아니아, 라트비아, 에스토니아를 거쳐 현재의 지역에 도달했다. 마사우나(지열 사우나, earth sauna)를 거쳐 스모크 사우나가 등장한다.[115]
고대 로마인과 고대 그리스인은 목욕을 좋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유럽 각지에 목욕 시설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야만족의 침입으로 상하수도 시설과 목욕탕이 파괴되었고, 기독교 문화에 의해 목욕 문화는 쇠퇴하였다. 교회는 신체의 청결을 정신적 청결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한 반면, 알몸으로 욕조에 들어가는 것을 육욕으로 연결시켜 부정적으로 생각했다. 중세 의학에서도 목욕을 통해 피부 표면에서 나쁜 성분이 체내로 들어온다고 믿었다.[116]
핀란드에서는 10세기경 이웃 국가인 스웨덴과 러시아의 간섭이 시작되어 13세기에 스웨덴령이 된다. 스웨덴은 핀란드에 기독교를 전파하여 핀란드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핀란드의 사우나 목욕에는 성적인 의미가 전혀 없었으며, 정신적 정화 작용을 목적으로 하는 신성한 행위로 인정되었다. 핀란드 교회 또한 사우나를 장려했다.[117]
1900년대에 굴뚝을 이용한 스토브가 등장하고,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스모크 사우나의 인기가 쇠퇴한다.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에 걸쳐 전기 스토브가 일반 가정에서도 사용되면서 편리함 때문에 사우나 기피 현상에서 회귀 현상이 나타났고, 도시의 고층 주택이나 해외에서도 사우나 설치가 용이해졌다.
핀란드 사우나가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된 것은 1936년 베를린 올림픽이 계기가 되었다. 핀란드 선수단이 선수촌에 사우나를 설치하여 주목을 받았다.[118]
연기와 열로 살균된 사우나실은 마을이나 집 안에서 가장 깨끗한 장소로, 옛날부터 출산이나 치료, 수술, 매장 전 시신을 씻는 장소로 사용되어 왔다. 사우나는 신성한 장소로 여겨지며, 오늘날에도 잔재로 큰 소리로 말하거나 웃거나, 손뼉을 치는 행위나 휘파람, 욕설은 금지되고 있다.
톤투()는 북유럽 민간 전승에 등장하는 요정이다. 사우나 톤투(Saunatonttu)는 사우나에 사는 요정으로, 사우나와 거의 같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고 여겨진다. 핀란드의 옛 전설에 따르면 사우나 톤투는 검은색에 눈이 하나뿐이며 키는 약 50cm 정도이고, 항상 사우나 스토브 뒤에 산다고 한다. 사우나와 사우나를 이용하는 사람을 지키는 것을 중요한 임무로 여기며, 사우나의 수호신으로 여겨진다. 사우나 톤투는 모든 사람이 사우나를 이용한 후에 사우나를 사용한다고 한다.[119] 사우나 톤투가 마지막으로 들어가므로, 항상 사우나를 깨끗하게 청소해 두도록 아이들에게 가르치는 경우도 있다. 특히 크리스마스 이브에는 사우나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평소보다 일찍 나와 나중에 톤투들이 사우나를 즐길 수 있도록 해 준다는 관습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핀란드는 패전국이 되어 의회 민주주의와 자본주의를 유지하면서도 공산권의 지배하에 놓이게 되었다.(핀란드화, 노르딕 균형 참조) 친소(親蘇) 노선의 외교 정책 속에서 사우나를 통해 개인적인 신뢰를 얻는 사우나 외교도 행해졌다. 핀란드의 우르호 케코넨은 세계적인 지도자와 관료들을 자신의 개인 사우나에 여러 차례 초대했다. 소련의 니키타 흐루쇼프와는 서로 오가며 사우나를 즐기는 사이였다.[120]
소련도 사우나 외교를 했다. 러시아의 보리스 옐친은 사우나 애호가로 사우나 외교를 활발히 펼쳤다. 1997년에 열린 크라스노야르스크 회담에서는 옐친이 하시모토 류타로를 자신이 소유한 다차에 초대하여, 취소되기는 했지만 사우나 회담이 열릴 예정이었다.[121]
일본을 포함한 핀란드 대사관에는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초대되고 있다.
최근에는 세계화와 효율성 향상을 요구하는 목소리와 여성의 정재계 진출로 사우나 외교는 쇠퇴하고 있다. 알몸을 받아들이지 않는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인물과의 협상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 기존의 풀뿌리 정치를 중심으로 한 흐름에서 전문 지식을 갖춘 정치인이 증가하고 효율성이 중시되고 있다는 점, 그리고 핀란드의 사우나는 남녀 구분하여 알몸으로 입욕하는 것이 기본이어서 여성 정치인이 사우나 외교를 하기 어렵다는 점 등이 그 이유로 제기되고 있다. 핀란드 최초의 여성 대통령인 타르야 할로넨은 2005년 블라디미르 푸틴이 방문했을 때 국빈을 사우나에 초대하는 관례를 처음으로 깨뜨렸다. 보도관은 "할로넨 대통령은 사우나를 좋아하지만 외국 요인과 함께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뿐입니다."라고 말했다. 참고로 푸틴은 이때 할로넨의 남편과 함께 사우나에 들어갔다.[122]
10. 4. 일본의 사우나 문화
일본에서는 1964년 도쿄 올림픽 때 핀란드 선수단이 선수촌에 설치한 것이 처음으로, 이를 계기로 핀란드식 사우나가 알려지게 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사우나 붐이 일어났다.1957년, 도쿄 긴자에 '도쿄 온천'이라는 이름의 상업 시설이 문을 열면서 일본 최초의 사우나가 등장했다. 이 시설은 핀란드식이 아닌, 증기를 쐬는 방식의 사우나였다.
1964년 도쿄 올림픽을 계기로 핀란드식 사우나가 보급되면서, 일본 전역에 사우나가 확산되기 시작했다. 특히 1966년에는 시즈오카현에 '사우나 회관'이라는 이름의 사우나 전문 시설이 등장하여 인기를 끌었다.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는 '슈퍼 센토(대형 목욕탕)' 붐과 함께 사우나가 다시 인기를 얻었다. 2000년대에는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젊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암반욕' 붐이 일어났다. 이와 함께 사우나도 다시 주목받게 되었다.
최근에는 '텐트 사우나'라는 새로운 형태의 사우나가 등장하여 인기를 얻고 있다. 텐트 사우나는 이동과 설치가 간편하여, 캠핑이나 야외 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에게 특히 인기다.
일본의 사우나 문화는 한국의 찜질방 문화와 유사한 점이 많지만, 핀란드식 사우나의 영향으로 건식 사우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또한, 일본에서는 사우나를 마친 후 물에 들어가는 문화가 일반적이다.
10. 4. 1. 일본 최초의 핀란드식 사우나
1792년, 홋카이도네무로 해안에 일본 최초의 핀란드식 사우나가 지어졌다. 회선問屋 선두 대흑야 고다유 일행이 탄 배가 에도로 향하던 중 표류하여, 당시 러시아령이었던 알류산 열도의 암치트카섬에 표착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고다유 일행은 고난 끝에 핀란드 출신의 박물학자 키릴 락스만을 만나, 키릴 등의 노력으로 차르스코예 셀로에서 예카테리나 2세를 알현하고 귀국을 허락받는다. 표류민의 반환과 일본과의 통상을 목적으로 한 遣日使節 아담 락스만(키릴의 차남)과 함께 1792년 네무로에 상륙하지만, 일본은 쇄국 중이었고, 아담은 수속 때문에 네무로 해안에서 한겨울을 보내야 했다. 당시 쇄국 정책을 고수하던 일본의 입장에서는 이러한 러시아와의 교류 시도는 매우 불편한 일이었을 것이다. 아담과 고다유 일행은 그곳에서 일본 최초의 핀란드식 사우나를 해안에 짓고, 추위와 고독을 견뎠다고 전해진다.[123][124]
10. 4. 2. 일본으로의 보급
1951년 허페이리(許斐氏利)가 개업한 긴자(銀座)의 도쿄온천(東京温泉)에서 처음으로 공중 사우나가 도입되었다.[125] 허페이리는 1956년 멜버른 올림픽에 선수로 출전했을 때 만난 핀란드 선수가 가져온 스팀 사우나/스팀 사우나영어(スチームサウナ)에서 힌트를 얻어, 1961년 사우나를 개설하였다.[125] 당시 핀란드식 사우나 건축에 대한 지식과 기술이 없어 사우나실 벽과 바닥에 증기 배관을 설치하고, 거기에 증기를 통과시켜 방을 데우는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현재 한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건식 사우나와는 달리 습식 사우나에 가까웠으며, 일본 대중에게 새로운 목욕 문화를 선보였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10. 4. 3. 제1차 사우나 붐
1964년 도쿄 올림픽 이후, 사우나는 전국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했다. 멜버른 올림픽과 마찬가지로 핀란드 선수단이 선수촌에 사우나를 설치하여 주목을 받았다.[126] 1966년에는 나카야마 산업(주식회사 메토스)이 시부야의 스칸디나비아 클럽에 핀란드식 사우나를 설치했다. 핀란드에서 설계도를 들여와 만들었지만, 샤워기와 욕조 등 일본식 시설도 함께 설치되었다. 로우류도 당시부터 가능했지만, 잘못된 사용법으로 인한 화상이 많이 발생하고 시설 측에도 핀란드식 사우나에 대한 지식이 부족했기 때문에 1971년경에는 사라졌다. 1971년에는 도쿄 도내에만 440곳의 사우나가 있었고, 1969년에는 사이타마현에 380곳의 목욕탕이 있었는데 그중 50곳에는 사우나가 설치되어 있었다.[127]고도 경제 성장기에 가정용 욕조가 보급되면서, 불황에 시달리던 목욕탕들이 가정에는 없는 사우나를 도입하며 사우나 설치가 급증했다. 대형 호텔·여관의 공중목욕탕, 캡슐호텔, 스포츠클럽 및 골프장 등 욕조를 갖춘 시설의 부대시설로도 확산되었다. 기존의 목욕 문화에 맞춰 사우나도 즐기는 것이 선호되었고, 단시간에 발한할 수 있는 고온저습의 건식 사우나가 주류가 되었다.[128] 목욕탕을 제외하고 대부분 남성 전용 시설이었고, 중장년 남성 이용자가 많은 골프장 클럽하우스나 캡슐호텔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사우나=아저씨", "중장년의 낙원"이라는 이미지가 있었다.[129][130]
1973년, 석유 파동의 영향으로 사우나 붐은 타격을 입었다. 정확한 데이터는 없지만, 전국에 약 4000곳이나 있던 사우나 시설이 절반으로 줄었다고 한다.[131]
10. 4. 4. 제2차 사우나 붐
1990년대부터 건강랜드, 슈퍼센토, 당일치기 온천 등의 온욕시설 붐에 맞춰 사우나가 증가했다. 비용이 저렴하고, 거리가 가깝고, 일정이 짧은 “싸고・가깝고・짧은(安・近・短)” 레저시설로서의 수요에 부합했고, 진입 장벽이 비교적 낮았기에 유휴지 활용 사업으로 붐을 이루었다.[132] 온욕시설은 “목욕탕+α”의 단순한 구조이며, 다양한 서비스를 결합하여 부가가치를 높여 갔다. 온욕시설 개발이 한 바퀴 돌고, 화제성이 저하되기 시작한 2000년대에 들어서는 암반욕 붐이 일어나 기존의 온욕시설에 속속 도입되었다. 한국의 찜질방의 황토사우나나 맥반석사우나, 전용 옷을 입은 채 입욕하는 공통점에서 땀 빼는 시설(汗蒸幕)도 함께 설치되기 시작했다. 온열 요법(温活)과 발한에 의한 디톡스 효과가 주목받으며 여성에게 확산되었다.[133] 아우프구스도 시작되었고, 마사지, 가열한 약초나 향유의 향기를 맡게 하는 아로마테라피, 이발소, 만화・잡지 및 TV가 갖춰진 리클라이닝 시트 설치, 노래방, 식당이나 푸드코트・바 등의 음식 공간, 미용 서비스 등과 결합한 시설도 있다.10. 4. 5. 제3차 사우나 붐
2009년경 SNS 붐을 계기로 사우나 이용자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사우나에 대한 지식, 이용 방법, '토토노우(ととのう)'와 같은 개념이 널리 공유되기 시작했다. 그중에는 후에 사우나 대사가 된 타나카 카츠키도 포함되어 있었고, 이는 "사도" 에세이가 탄생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2011년에는 서적으로 출판되었고, 2016년에는 만화로 제작되어 사우나에 관심이 없던 사람들에게까지 "사도"를 알리는 도구로 활용되었다. 사우나 시설 측도 SNS 붐의 영향을 받았다. 그때까지 사우나에 대한 지식이 없었던 관리인이나 오너들이 SNS를 통해 사우나 애호가들의 요구를 수렴하여 핀란드식 사우나로의 리뉴얼이나 매장 운영에 활용하게 되었다.[134]2017년에는 일본 최대 사우나 검색 사이트인 "사우나이키타이"가 개설되어 사우나 정보를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135]
2019년에는 "사도"가 드라마화되면서 직접적인 사우나 붐의 계기가 되었다. 특히 드라마에서 소개된 "토토노우"라는 단어가 사우나 붐을 주도하게 되었다.
10. 5. 효능
온수욕과 동등한 효과가 있으며, 전신 혈행 촉진 및 기분 전환 효과가 있다.2018년 조사에서는 13건의 무작위 대조 시험(RCT)이 발견되었다. 그 중 9건의 연구는 심부전에 대한 온열 요법이 표준 치료보다 지표를 개선했음을 보여주었다. 2건의 연구는 만성 통증에 대한 RCT에서 두통 감소 및 직장 복귀 증가를 확인했고, 다른 2건의 연구는 감기에 대한 효과는 크지 않음을 나타냈다.[147] 핀란드에서 사우나를 자주 이용하는 2315명을 20년 이상 추적 조사한 결과, 치매 위험 66% 감소, 알츠하이머병 위험 65% 감소, 심장 관련 돌연사 63% 감소,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 40% 감소가 관찰되었다. 10여 건의 예비 연구에서는 류머티즘 및 강직성 척추염의 통증 및 피로 감소가 보고되었고, 2건의 연구는 만성 피로 증후군에 대한 RCT에서 피로감과 불안한 기분 등을 개선했으며, 각성제 해독에서는 증상 감소를 보였다. 지용성 독극물(PCB,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 중 하나)에는 사우나의 효과가 없었다.
고온에 의한 정자 수 감소와 사우나 중단 6개월 후 정상화된 사례가 보고되었다. 40건의 연구 중 6건에서는 경미한 부작용이 보고되었고, 다른 1건의 연구에서는 열을 견딜 수 없어 온도를 낮추는 변경이 있었다. 폐쇄 공포증으로 중단된 사례도 1건 있었다.
이 실험은 핀란드식 사우나, 즉 로우류를 기준으로 진행되었다. 핀란드식 사우나는 밀폐된 공간에 뜨거운 돌을 사용하여 온도를 높이고 열기를 가득 채워 습도를 10~15%, 온도를 80~90℃로 하여 땀이 나기 시작하면 뜨거운 돌에 물을 뿌려 습도를 70%까지 높이는 방식이다. 습도가 급격히 상승함으로써 발한을 촉진하고 자작나무 가지와 잎으로 피부에 추가적인 자극을 준다. 반면, 일본의 사우나는 100℃의 건식 사우나이므로, 사우나실에 들어가면 심박수가 급격히 상승한다. 따라서 사우나라고 해도 실험 방법이 완전히 다르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시드니 대학교가 1984년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85℃, 습도 10%의 건식 사우나실에 20분 동안 있었을 경우 정자 수가 약 2/3 감소했고, 5주 후에 정상으로 돌아왔다. 정자의 기형도 일부 확인되었지만 6주 후에 정상으로 돌아왔다. 1998년 태국에서 보고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80~90℃의 사우나에 30분씩 2주 동안 매일 있었을 경우, 사우나 직후 정자 운동 속도 저하가 확인되었다. 하지만 1주일 후에는 정상으로 돌아왔다.
일반적인 입욕에서는 코 알레르기 증상 개선이 탕에서 나온 직후에만 나타나지만, 미스트 사우나에서는 90분 후에도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148]
일반적인 사우나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표피 장벽 기능과 각질 수분량이 좋다.[149]
10. 6. 배출
사우나를 통해 배출되는 미네랄 성분은 인체의 생명 활동에 필수적이며, 과도한 발한은 만성 피로와 열중증의 원인이 되기 쉽다. 따라서 발한 시 충분한 수분과 미네랄 보충이 필요하다. 과도한 이용은 위험할 수 있다. 사우나가 땀 속 납의 배출량을 증가시킨다는 연구가 있다.[150]사우나를 통한 발한으로 해독 효과가 있다고 여겨졌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폴리염화비페닐(PCB) 등 체지방에 축적되는 잔류성 유기 오염 물질은 땀으로는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 식생활을 통해 섭취한 양의 0.02%라고 설명하고 있다. 하루에 2리터의 땀을 흘린다고 해도, 해당 오염 물질은 0.1나노그램(0.00000001그램) 이하이며, 하루에 많은 땀을 흘려도 1% 미만이다.[151] PCB 등 다이옥신류는 지용성이며, 주요 배설 경로는 대변과 피지이다.[152] 땀으로 배출되는 물질은 아래 배설 항목을 참조한다.
11. 화온요법
정충화(鄭忠和, 테이 추와/Tei Chūwa일본어)는 1989년 가고시마의 병원에서 심장병 말기 환자의 소원을 들어주기 위해 심전도 등을 보면서 매일 온천탕에 들어가게 했다. 점차 심부전 증상이 호전되는 것을 목격하고[153] 데이터를 수집했다. 온천수의 수압은 심장 내압을 높이므로 일반적인 온도보다 낮은 60도의 사우나를 이용하여 심부전 치료법으로 발전시켰다. 연구 보고를 계속했지만 쉽게 인정받지 못하다가, 2007년에 '온기와 따뜻함'을 의미하는 "화온요법(和温療法)"으로 명명했고, 2010년판 일본의 『만성 심부전 치료 가이드라인』에 보조 요법으로 기재되었다.[153] 혈관 내피 기능을 개선하고,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심부전의 예후 개선 및 부정맥 개선 효과가 있으며, 폐쇄성 동맥경화증이나 동맥경화 위험 인자가 있는 생활 습관병 환자의 치료에도 기대를 모으고 있다.[154]
2010년 8월, 핀란드에서 열린 세계 사우나 선수권 대회에서 결승 진출자인 러시아인이 사망하고, 다른 핀란드인도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병원으로 이송되었다.[157] 2012년 4월, TOKIO의 마쓰오카 마사히로는 탈수 증상으로 긴급 이송되었다.[158] 2015년, 배우 가토 다케시는 심장 질환으로 사망했다.[159][160] 2016년 11월, 프로레슬러 나가모토 하루카는 급성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160] 2017년 4월, 체코 북부의 한 마을에서 모녀가 가정용 사우나에서 사망했다.[161] 2017년 10월, 니쇼노세키 장로는 사우나 중 쓰러졌다가 회복했다.[160] 2018년 5월 16일,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한 니시키 시게키는 잦은 사우나 이용이 원인이었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60] 2023년 6월 10일, 닛코 국립공원 내 사우나 시설에서 25세의 공무원 남성이 익사했다.[162] 2024년 6월 10일, 태국 중부의 유명 피트니스 센터 사우나실에서 68세 여성이 사망했다.[163]
12. 사고
일본에서는 사우나 이용과 관련된 사고 정보가 기록되고 있다. 2014년부터 2021년까지 사고 발생 건수는 평균 4건 정도였으나, 2022년 이후에는 10건 정도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부상 내용은 화상, 절상·찰과상, 골절·타박상 등이 약 90%를 차지한다.[155] 2024년 4월까지 사고 78건, 부상자 82명, 사망 사고 2건으로 사고가 증가함에 따라 일본 소비자청이 주의를 당부했다.[156] 이러한 통계는 일본 내 상황을 반영하는 것이므로, 대한민국에서는 다를 수 있다. 대한민국에서도 사우나 이용 시 안전 수칙을 준수하여 사고를 예방해야 한다. 특히, 과도한 음주 후 사우나 이용은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자제해야 한다.
12. 1. 사고 사례
2010년 8월, 핀란드에서 열린 세계 사우나 선수권 대회에서 결승 진출자 중 한 명인 러시아인이 사망했다. 다른 결승 진출자인 핀란드인도 몸 상태가 좋지 않아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섭씨 110도의 사우나에서 견디는 시간을 겨루는 규칙으로, 결승전은 시작 후 약 6분 만에 중단되었지만, 두 사람 모두 문을 열자마자 쓰러진 것으로 알려졌다.[157]2012년 4월, TOKIO의 마쓰오카 마사히로는 사우나에 들어갔다가 탈수 증상으로 몸 상태가 나빠져 긴급 이송되었다.[158]
2015년, 배우 가토 다케시는 사우나 이용 직후 쓰러져 사망했다. 사인은 심장 질환이었다.[159][160]
2016년 11월, 프로레슬러 나가모토 하루카는 사우나 이용 직후 급성 심근 경색으로 사망했다.[160]
2017년 4월, 체코 북부의 한 마을에서 65세와 45세의 모녀가 친구 소유의 농원에 설치된 가정용 사우나에서 사망했다. 문의 창을 깨려고 한 흔적이 있었고, 문 손잡이가 부러져 약 1시간 30분 동안 갇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61]
2017년 10월, 대相撲의 니쇼노세키 장로는 사우나 중 쓰러진 후, 조금 쉬고 자전거로 귀가하던 중 다시 넘어져 머리를 크게 부딪혀 한때 의식불명의 중태에 빠졌다가 회복했다.[160]
2018년 5월 16일, 급성 심부전으로 사망한 니시키 시게키는 2003년과 2011년에 뇌졸중을 앓았으며, 잦은 사우나 이용이 원인이었을 것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었다.[160]
2023년 6월 10일, 닛코 국립공원 내 사우나 시설에서 25세의 공무원 남성이 사우나 후 근처 냉수욕장에 들어가 익사했다. 냉수욕장은 장경 약 100m, 단경 약 40m의 타원형이며, 사망한 남성은 수심 3m 지점에서 인양되었다.[162]
2024년 6월 10일, 태국 중부의 유명 피트니스 센터 사우나실에서 68세 여성이 사망했다. 발견될 때까지 약 4~5시간 동안 사우나실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163]
13. 무형문화유산
유네스코의 무형유산에는 에스토니아 볼주의 스모크 사우나 전통과 핀란드의 사우나 문화가 등재되어 있다.
유네스코는 "핀란드의 사우나 문화는 대부분 사람들의 삶에 필수적인 것"이라고 밝혔다. 사우나 문화는 "단순히 몸을 씻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사우나에서 사람들은 몸과 마음을 정화하고 내면의 평온함을 느낀다"고 설명했다.[164]
14. 기타
핀란드와 헬싱키를 비롯해 사우나가 보편화된 국가나 지역에서는 동영상 공유 사이트 유튜브에 사용법을 정리한 동영상[165]이나 체험기를 게시하는 사람이 많다.
- 영화 ''스모크 사우나 시스터후드'' (2022년, 감독: 안나 힌트, 제작국: 에스토니아, 프랑스, 아이슬란드 합작)[166]
- 영화 ''사우나가 있는 곳'' (2019년, 감독: 요나스 바리헬, 미카 호타카이넨, 제작국: 핀란드[167])
- 영화 ''247°F'' (2011년, 감독: 레반 바키아, 베카 주브리아, 제작국: 조지아)
- TV 프로그램 ''Vantos lapas'' (2014년 ~, 제작국: 리투아니아[168])
마츠이 다이고 감독의 단편 영화 프로젝트 "MIRRORLIAR FILMS Season3" 중 하나인 "사우네" (2022년)가 제작되었다.[169]
텔레비 도쿄의 드라마 25로 방영된 사도(2019년), WOWOW에서 방영된 사우너즈 ~이소무라 유토와 사우나를 사랑하는 남자들~(2020년 3월~)[170],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의 사우너맨~땀인지 눈물인지 모르겠어~(2019년), RCC의 사우나 혼자서.(2021년 5월~8월)[171], BS 아사히의 사우나를 사랑하고 싶어(2020년 4월~), 텔레비 도쿄의 지구탕 (2022년 1월 16일)[172], 홋카이도 문화방송의 &sauna (2020년 3월~, YouTube 배포)[173], 텔레비 도쿄의 나를 사우나에 데려다줘 (2021년 1월~)[174], BS-TBS의 여행하는 사우나 (2021년 3월~)[175], 텔레비 니시닛폰의 사우나 맵 (2022년 2월)[176], TOKYO-MX의 사반나 타카하시의, 사우나의 신님(2021년 10월~), 시즈오카 다이이치 텔레비전의 사우나 여자가 가르쳐주는 사활의 사 (2023년 4월~)[177] 등 다양한 TV 프로그램 및 드라마가 제작되었다.
호쿠리쿠 방송과 YouTube에서 배포되는 마그 만페이의 나중에 사우나에서(2019년 4월~), Audee 배포 및 JFN계열 네트워크에서 방송되는 시미즈 미사토의, 사우나 갈까?(2020년 3월~ / 2021년 4월~), CTY-FM, FM 도요타 및 YouTube에서 배포되는 사우나닷컴(2021년 4월~) 등 라디오 프로그램도 있다.
음악 분야에서는 나카네 카나의 "SAUNA PARTY", 베리 굿맨의 "사우나", 벌프펙(Vulfpeck)의 "Sauna", 코넬리우스의 "사우나 너무 좋아", 유즈의 "GO★GO‼︎사우나", 디쉬//와 럭키 킬리만자로의 "SAUNA SONG", 라이미스터의 "더 사우나", 마카로니 연필의 "TONTTU", Axis powers 헬탈리아 캐릭터 CD로서 미즈시마 다이쥬가 부른 "모이모이 사우나", 마그 만페이의 "만페이 사우나 온도", 준레츠의 "We are SAUNNER" 등 사우나를 소재로 한 다양한 음악이 발표되었다.
서적으로는 카토 요우타카의 『의사가 알려주는 사우나 교과서――비즈니스 엘리트는 왜 뇌와 몸을 사우나로 다듬는가?』, 고바야시아야나의 『공중 사우나의 나라 핀란드: 거리와 사람을 따뜻하게 하는, 낡고 새로운 서드 플레이스』, 이시노 유우코의 『이야기 핀란드의 역사 - 북유럽 선진국 「발트해의 처녀」의 800년』, 누마지리 료의 『사우나를 만들자: 설계와 입욕법의 모든 것』 등이 있다.
15. 사우나를 소재로 한 작품, 미디어 등
마츠이 다이고 감독의 단편 영화 프로젝트 "MIRRORLIAR FILMS Season3" 중 하나인 "사우네" (2022년)가 제작되었다.[169]
텔레비 도쿄의 드라마 25로 방영된 사도(2019년), WOWOW에서 방영된 사우너즈 ~이소무라 유토와 사우나를 사랑하는 남자들~(2020년 3월~)[170],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의 사우너맨~땀인지 눈물인지 모르겠어~(2019년), RCC의 사우나 혼자서.(2021년 5월~8월)[171], BS 아사히의 사우나를 사랑하고 싶어(2020년 4월~), 텔레비 도쿄의 지구탕 (2022년 1월 16일)[172], 홋카이도 문화방송의 &sauna (2020년 3월~, YouTube 배포)[173], 텔레비 도쿄의 나를 사우나에 데려다줘 (2021년 1월~)[174], BS-TBS의 여행하는 사우나 (2021년 3월~)[175], 텔레비 니시닛폰의 사우나 맵 (2022년 2월)[176], TOKYO-MX의 사반나 타카하시의, 사우나의 신님(2021년 10월~), 시즈오카 다이이치 텔레비전의 사우나 여자가 가르쳐주는 사활의 사 (2023년 4월~)[177] 등 다양한 TV 프로그램 및 드라마가 제작되었다.
호쿠리쿠 방송과 YouTube에서 배포되는 마그 만페이의 나중에 사우나에서(2019년 4월~), Audee 배포 및 JFN계열 네트워크에서 방송되는 시미즈 미사토의, 사우나 갈까?(2020년 3월~ / 2021년 4월~), CTY-FM, FM 도요타 및 YouTube에서 배포되는 사우나닷컴(2021년 4월~) 등 라디오 프로그램도 있다.
음악 분야에서는 나카네 카나의 "SAUNA PARTY", 베리 굿맨의 "사우나", 벌프펙(Vulfpeck)의 "Sauna", 코넬리우스의 "사우나 너무 좋아", 유즈의 "GO★GO‼︎사우나", 디쉬//와 럭키 킬리만자로의 "SAUNA SONG", 라이미스터의 "더 사우나", 마카로니 연필의 "TONTTU", Axis powers 헬탈리아 캐릭터 CD로서 미즈시마 다이쥬가 부른 "모이모이 사우나", 마그 만페이의 "만페이 사우나 온도", 준레츠의 "We are SAUNNER" 등 사우나를 소재로 한 다양한 음악이 발표되었다.
서적으로는 카토 요우타카의 『의사가 알려주는 사우나 교과서――비즈니스 엘리트는 왜 뇌와 몸을 사우나로 다듬는가?』, 고바야시아야나의 『공중 사우나의 나라 핀란드: 거리와 사람을 따뜻하게 하는, 낡고 새로운 서드 플레이스』, 이시노 유우코의 『이야기 핀란드의 역사 - 북유럽 선진국 「발트해의 처녀」의 800년』, 누마지리 료의 『사우나를 만들자: 설계와 입욕법의 모든 것』 등이 있다.
15. 1. 해외
- 영화 ''스모크 사우나 시스터후드'' (2022년, 감독: 안나 힌트, 제작국: 에스토니아, 프랑스, 아이슬란드 합작)[166]
- 영화 ''사우나가 있는 곳'' (2019년, 감독: 요나스 바리헬, 미카 호타카이넨, 제작국: 핀란드[167])
- 영화 ''247°F'' (2011년, 감독: 레반 바키아, 베카 주브리아, 제작국: 조지아)
- TV 프로그램 ''Vantos lapas'' (2014년 ~, 제작국: 리투아니아[168])
15. 2. 국내
마츠이 다이고 감독의 단편 영화 프로젝트 "MIRRORLIAR FILMS Season3" 중 하나인 "사우네" (2022년)가 제작되었다.[169]텔레비 도쿄의 드라마 25로 방영된 사도(2019년), WOWOW에서 방영된 사우너즈 ~이소무라 유토와 사우나를 사랑하는 남자들~(2020년 3월~)[170], 아사히 방송 텔레비전의 사우너맨~땀인지 눈물인지 모르겠어~(2019년), RCC의 사우나 혼자서.(2021년 5월~8월)[171], BS 아사히의 사우나를 사랑하고 싶어(2020년 4월~), 텔레비 도쿄의 지구탕 (2022년 1월 16일)[172], 홋카이도 문화방송의 &sauna (2020년 3월~, YouTube 배포)[173], 텔레비 도쿄의 나를 사우나에 데려다줘 (2021년 1월~)[174], BS-TBS의 여행하는 사우나 (2021년 3월~)[175], 텔레비 니시닛폰의 사우나 맵 (2022년 2월)[176], TOKYO-MX의 사반나 타카하시의, 사우나의 신님(2021년 10월~), 시즈오카 다이이치 텔레비전의 사우나 여자가 가르쳐주는 사활의 사 (2023년 4월~)[177] 등 다양한 TV 프로그램 및 드라마가 제작되었다.
호쿠리쿠 방송과 YouTube에서 배포되는 마그 만페이의 나중에 사우나에서(2019년 4월~), Audee 배포 및 JFN계열 네트워크에서 방송되는 시미즈 미사토의, 사우나 갈까?(2020년 3월~ / 2021년 4월~), CTY-FM, FM 도요타 및 YouTube에서 배포되는 사우나닷컴(2021년 4월~) 등 라디오 프로그램도 있다.
음악 분야에서는 나카네 카나의 "SAUNA PARTY", 베리 굿맨의 "사우나", 벌프펙(Vulfpeck)의 "Sauna", 코넬리우스의 "사우나 너무 좋아", 유즈의 "GO★GO‼︎사우나", 디쉬//와 럭키 킬리만자로의 "SAUNA SONG", 라이미스터의 "더 사우나", 마카로니 연필의 "TONTTU", Axis powers 헬탈리아 캐릭터 CD로서 미즈시마 다이쥬가 부른 "모이모이 사우나", 마그 만페이의 "만페이 사우나 온도", 준레츠의 "We are SAUNNER" 등 사우나를 소재로 한 다양한 음악이 발표되었다.
서적으로는 카토 요우타카의 『의사가 알려주는 사우나 교과서――비즈니스 엘리트는 왜 뇌와 몸을 사우나로 다듬는가?』, 고바야시아야나의 『공중 사우나의 나라 핀란드: 거리와 사람을 따뜻하게 하는, 낡고 새로운 서드 플레이스』, 이시노 유우코의 『이야기 핀란드의 역사 - 북유럽 선진국 「발트해의 처녀」의 800년』, 누마지리 료의 『사우나를 만들자: 설계와 입욕법의 모든 것』 등이 있다.
16. 웹사이트
사우나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웹사이트가 있다. 公益社団法人 日本サウナ・スパ協会, 사우나이키타이(サウナイキタイ), Saunology, 日本サウナ総研 一般社団法人日本サウナ・温冷浴総合研究所 등이 그 예시이다.
사우나 이모티콘은 다양한 피부색과 성별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유니코드 문자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찜질방에 있는 사람을 나타내는 이모지(🧖, U+1F9D6)에 피부색을 나타내는 이모지(🏻 U+1F3FB, 🏼 U+1F3FC, 🏽 U+1F3FD, 🏾 U+1F3FE, 🏿 U+1F3FF)를 결합하거나, 추가로 성별을 나타내는 이모지(♂ U+2642, ♀ U+2640)와 영문자 결합 문자(ZWJ), 변이 선택자-16(VS16)을 결합하는 방식이다.
각 이모티콘의 조합과 유니코드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 기호 | 유니코드 | 이름 |
|---|---|---|
| 🧖🏻 | U+1F9D6 U+1F3FB | 찜질방에 있는 사람: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C | 찜질방에 있는 사람: 중간보다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D | 찜질방에 있는 사람: 중간 피부색 |
| 🧖🏾 | U+1F9D6 U+1F3FE | 찜질방에 있는 사람: 중간보다 어두운 피부색 |
| 🧖🏿 | U+1F9D6 U+1F3FF | 찜질방에 있는 사람: 어두운 피부색 |
| 🧖♂️ | U+1F9D6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
| 🧖🏻♂️ | U+1F9D6 U+1F3FB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C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중간보다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D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중간 피부색 |
| 🧖🏾♂️ | U+1F9D6 U+1F3FE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중간보다 어두운 피부색 |
| 🧖🏿♂️ | U+1F9D6 U+1F3FF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어두운 피부색 |
| 🧖♀️ | U+1F9D6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
| 🧖🏻♀️ | U+1F9D6 U+1F3FB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C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중간보다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D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중간 피부색 |
| 🧖🏾♀️ | U+1F9D6 U+1F3FE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중간보다 어두운 피부색 |
| 🧖🏿♀️ | U+1F9D6 U+1F3FF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어두운 피부색 |
17. 부호 위치
wikitable
17. 1. 결합 문자
사우나 이모티콘은 다양한 피부색과 성별을 표현하기 위해 여러 유니코드 문자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기본적으로 찜질방에 있는 사람을 나타내는 이모지(🧖, U+1F9D6)에 피부색을 나타내는 이모지(🏻 U+1F3FB, 🏼 U+1F3FC, 🏽 U+1F3FD, 🏾 U+1F3FE, 🏿 U+1F3FF)를 결합하거나, 추가로 성별을 나타내는 이모지(♂ U+2642, ♀ U+2640)와 영문자 결합 문자(ZWJ), 변이 선택자-16(VS16)을 결합하는 방식이다.각 이모티콘의 조합과 유니코드 시퀀스는 다음과 같다.
| 기호 | 유니코드 | 이름 |
|---|---|---|
| 🧖🏻 | U+1F9D6 U+1F3FB | 찜질방에 있는 사람: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C | 찜질방에 있는 사람: 중간보다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D | 찜질방에 있는 사람: 중간 피부색 |
| 🧖🏾 | U+1F9D6 U+1F3FE | 찜질방에 있는 사람: 중간보다 어두운 피부색 |
| 🧖🏿 | U+1F9D6 U+1F3FF | 찜질방에 있는 사람: 어두운 피부색 |
| 🧖♂️ | U+1F9D6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
| 🧖🏻♂️ | U+1F9D6 U+1F3FB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C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중간보다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D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중간 피부색 |
| 🧖🏾♂️ | U+1F9D6 U+1F3FE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중간보다 어두운 피부색 |
| 🧖🏿♂️ | U+1F9D6 U+1F3FF U+200D U+2642 U+FE0F | 찜질방에 있는 남자: 어두운 피부색 |
| 🧖♀️ | U+1F9D6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
| 🧖🏻♀️ | U+1F9D6 U+1F3FB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C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중간보다 밝은 피부색 |
| 🧖🏽♀️ | U+1F9D6 U+1F3FD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중간 피부색 |
| 🧖🏾♀️ | U+1F9D6 U+1F3FE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중간보다 어두운 피부색 |
| 🧖🏿♀️ | U+1F9D6 U+1F3FF U+200D U+2640 U+FE0F | 찜질방에 있는 여자: 어두운 피부색 |
참조
[1]
웹사이트
sauna
https://www.dictiona[...]
[2]
웹사이트
sauna
http://www.thefreedi[...]
[3]
뉴스
Don't Call it Sauna – Sauna Digest
https://saunadigest.[...]
2017-07-12
[4]
뉴스
Bronze age 'sauna' unearthed on Orkney
https://www.scotsman[...]
The Scotsman
2015-09-29
[5]
서적
The Opposite of Cold-The Northwoods Finnish Sauna Tradi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6]
웹사이트
조선보다 못한 '한증막 안전'
http://www.safetimes[...]
2016-05-10
[7]
웹사이트
Jjimjilbang: a microcosm of Korean leisure culture
http://www.koreahera[...]
2010-04-01
[8]
웹사이트
온천
http://navercast.nav[...]
[9]
뉴스
Kiln Saunas Make a Comeback in South Korea
https://www.nytimes.[...]
2010-08-26
[10]
웹사이트
Helsinkiläinen sauna
https://www.nationaa[...]
[11]
웹사이트
New Finland Homecoming 1888–1988
http://www.rootsweb.[...]
[12]
웹사이트
Sauna: Health benefits, risks, and precautions
https://www.medicaln[...]
2019-06-17
[13]
웹사이트
Metos Ltd (in Finnish)
http://www.metos.com[...]
[14]
서적
Nackt; Kulturgeschichte eines Tabus im 20. Jahrhundert
Christian Brandstätter Verlag
[15]
뉴스
Saunakultur und Bekleidungsfrage
https://www.faz.net/[...]
die Zeit
2014-11-18
[16]
웹사이트
Sauna culture in Finland
https://ich.unesco.o[...]
UNESCO
[17]
서적
Nykysuomen etymologinen sanakirja
WSOY
[18]
웹사이트
Buildings and summer cottages
http://www.stat.fi/t[...]
Statistics Finland
2011-06-22
[19]
웹사이트
Rajaportin sauna
http://rajaportinsau[...]
[20]
뉴스
Finland launches rival to the London Eye – with a sauna cabin
https://www.telegrap[...]
2016-05-17
[21]
서적
Physics in daily life
EDP Sciences
[22]
논문
Sauna, sweat and science - Quantifying the proportion of condensation water versus sweat using a stable water isotope ((2)H/(1)H and (18)O/(16)O) tracer experiment
https://pubmed.ncbi.[...]
2015
[23]
웹사이트
Ready for your -110° spa treatment? - Macleans.ca
http://www.macleans.[...]
[24]
웹사이트
Welcome to Cape East Spa
https://capeeast.se/[...]
[25]
웹사이트
http://www.palacsatu[...]
[26]
웹사이트
The sauna use
http://www.helo.co.u[...]
[27]
웹사이트
Bare facts of the sauna in Finland
http://finland.fi/pu[...]
2009-05
[28]
논문
The effects of passive heating and head-cooling on perception of exercise in the heat
2008-09
[29]
논문
The effects of face cooling on the prolactin response and subjective comfort during moderate passive heating in humans
[30]
웹사이트
Sauna Health Benefits: Are saunas healthy or harmful?
https://www.health.h[...]
[31]
웹사이트
The Health Benefits of a Sauna
https://poolguide.ne[...]
2020-06-14
[32]
논문
Sleep under extreme environments: Effects of heat and cold exposure, altitude, hyperbaric pressure and microgravity in space
[33]
논문
Physio and balneotherapy of acral circulatory disorders and cutaneous microangiopathies
1983-03
[34]
논문
Physiotherapy in recurring urinary calculus formation and chronic inflammatory kidney and urinary tract diseases
[35]
논문
The effect of physical therapy on beta-endorphin levels
[36]
논문
Benefits and risks of sauna bathing
https://www.research[...]
[37]
논문
Sauna use as a lifestyle practice to extend healthspan
2021-10-15
[38]
논문
Clinical Effects of Regular Dry Sauna Bathing: A Systematic Review
[39]
논문
Sauna use as a lifestyle practice to extend healthspan
[40]
논문
Effects of heat and cold on health, with special reference to Finnish sauna bathing
2018-05-01
[41]
논문
Cardiovascular and Other Health Benefits of Sauna Bathing: A Review of the Evidence
[42]
논문
Is sauna bathing protective of sudden cardiac death? A review of the evidence
https://jyx.jyu.fi/b[...]
[43]
논문
Combined Effect of Sauna Bathing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on the Risk of Sudden Cardiac Deaths in Caucasian Men: A Long-term Prospective Cohort Study
http://urn.fi/URN:NB[...]
[44]
논문
The effect of heat therapy on blood pressure and peripheral vascular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45]
논문
Acute and short-term efficacy of sauna treatment on cardiovascular function: A meta-analysis
https://academic.oup[...]
[46]
Meta-analysis
Effects of sauna bath on hear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8-11-01
[47]
논문
Can heat therapy help patients with heart failure?
[48]
논문
Effect of Waon Therapy in Individuals With Heart Failure: A Systematic Review
2018-03-01
[49]
논문
A novel perspective on natural therapeutic approaches in glaucoma therapy
[50]
논문
Facts and fables about sauna
[51]
논문
Clinical Implications of Thermal Therapy in Lifestyle-Related Diseases
http://journals.sage[...]
[52]
논문
The Health Hazards of Saunas and Spas and How to Minimize Them
[53]
논문
Heat stress and fetal risk. Environmental limits for exercise and passive heat stress during pregnancy: a systematic review with best evidence synthesis
[54]
논문
Do lifestyle practices impede male fertility?
[55]
뉴스
Smoke sauna tradition in Võrumaa added to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https://news.err.ee/[...]
ERR
2014-11-27
[56]
웹사이트
The Far-Infared Sauna Blanket
https://saunablanket[...]
2022-05-14
[57]
논문
Far-infrared saunas for treatment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mmary of published evidence
[58]
논문
Effects of far-infrared sauna bathing on recovery from strength and endurance training sessions in men
[59]
웹사이트
New Finland Sauna / New Finlandin saunat
http://www.rootsweb.[...]
Saskatchewan Gen Web
2010-09-20
[60]
웹사이트
Lehdistötiedote: Suomalainen saunominen halutaan Unescon kulttuuriperinnön luetteloihin
https://sauna.fi/leh[...]
2018-03-05
[61]
뉴스
Why Finland loves saunas
https://www.bbc.com/[...]
2013-10-01
[62]
서적
The Old Estonian Folk Religion
Indiana University
[63]
웹사이트
Latvijas pirts tradīcijas apgūst pirtnieku festivālā
https://www.lsm.lv/r[...]
2016-08-14
[64]
웹사이트
Lietuvos garinių pirčių senovė
http://www.baltai.lt[...]
2010-01-10
[65]
서적
Latviskais pirts rituāls
https://biblion.lv/w[...]
Drukātava
2013
[66]
웹사이트
Lietuviška ar rusiška pirtis? Ką sako istorija?
https://www.bernardi[...]
2020-04-13
[67]
웹사이트
Pirtis
https://www.vle.lt/s[...]
[68]
서적
Latvijas Enciklopēdiskā vārdnīca
Nacionālais Apgāds
[69]
웹사이트
Visa tiesa apie pirtį ir jos karalienę vantą
https://www.delfi.lt[...]
2010-04-22
[70]
웹사이트
Pēršanās gudrības: Kā pirtī pašam stiprināt miesu, vairot skaistumu un relaksēties
https://www.lsm.lv/r[...]
2022-06-26
[71]
웹사이트
Bastustil? - DN.SE
https://www.dn.se/bl[...]
2016-03-18
[72]
뉴스
Moslima's ontdekken badkledingsauna
http://www.ad.nl/ad/[...]
2008-03-10
[73]
뉴스
'It lowers inhibition': how saunas are challenging UK pubs as the place to meet
https://www.theguard[...]
2024-05-12
[74]
논문
Iron Age Saunas of Northern Portugal: State of the Art and Research Perspectives
2015-02-01
[75]
웹사이트
Bei zu heißem Aufguss Sauna lieber verlassen
https://www.fr.de/sp[...]
2019-02-03
[76]
웹사이트
Moscow's bathhouses: how to enjoy your sauna
http://en.travel2mos[...]
[77]
서적
Americanization of the Finnish People in Houghton County, Michigan
The Finnish Daily Publishing Company
[78]
웹사이트
The Shvitz
https://www.imdb.com[...]
1993-10-22
[79]
간행물
Concerning the deaths in Sedona
http://indiancountry[...]
Indian Country Today Media Network, LLC
2009-10-16
[80]
웹사이트
Declaration of War Against Exploiters of Lakota Spirituality
http://www.thepeople[...]
1993-06-10
[81]
웹사이트
サウナで「ととのう」って結局なに!?救急・心臓・皮膚・メンタルなど近大医学部の先生たちに聞いてみた
https://kindaipicks.[...]
近畿大学
2023-03-13
[82]
웹사이트
サウナとは
https://kotobank.jp/[...]
[83]
웹사이트
なぜサウナは健康によいのか
https://www.sauna.or[...]
公益社団法人日本サウナ・スパ協会
[84]
서적
Coyote No.60 SAUNA for Beginners
スイッチパブリッシング
2016-11-15
[85]
웹사이트
公益社団法人日本サウナ・スパ協会のホームページ
https://www.sauna.or[...]
[86]
웹사이트
「医学的に正しいサウナの入り方は?」サウナーの医師に聞いてみた
https://tabi-labo.co[...]
[87]
웹사이트
ととのえ親方・松尾大さんに聞く「サウナツーリズム」の魅力|サウナを通して地域をまるごと味わう
https://discoverjapa[...]
[88]
웹사이트
サウナの「あまみ」って何?まだら模様の正体は?
https://onsen.nifty.[...]
[89]
서적
熱波師の仕事の流儀
株式会社ぱる出版
2021-09-15
[90]
뉴스
サウナ!熱き楽園/薬草・こだわり水風呂…本場を参考に進化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18-08-30
[91]
웹사이트
世界サウナ紀行 Vol.8 Destination : Cologne (Germany)
https://hanatsubaki.[...]
[92]
웹사이트
絶対に行きたい都心の「男女混浴サウナ」。カップルでもお一人様でも楽しめる
https://nikkan-spa.j[...]
2018-06-24
[93]
웹사이트
子どものサウナ浴①
https://saunology.ha[...]
1582375383
[94]
웹사이트
「混浴年齢引き下げ」に。小児科医が警告する「お風呂文化」に潜む小児性被害の現実
https://gendai.media[...]
[95]
서적
サウナ・スパ健康アドバイザー公式テキスト
公益社団法人 日本サウナ・スパ協会
2014-03-01
[96]
뉴스
自然サウナ 安全管理も ととのえて/入浴後に池で冷水浴 男性おぼれ死亡
https://www.asahi.co[...]
朝日新聞
2023-06-24
[97]
웹사이트
サウナの6つの変遷 - サウナ建築研究所
https://saunarchi.co[...]
[98]
서적
サウナをつくろう:設計と入浴法の全て
建築資料研究社
1992-05-20
[99]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におけるサウナ7世代
https://www.sauna.or[...]
日本サウナ・スパ協会
[100]
웹사이트
SAUNA FES JAPAN 2020|日本最大級のサウナイベント
https://www.saunafes[...]
[101]
서적
医者が教えるサウナの教科書――ビジネスエリートはなぜ脳と体をサウナでととのえるのか?
ダイヤモンド社
2020-03-04
[102]
웹사이트
ヒーターの種類と壁材との関係
https://saunology.ha[...]
1614395018
[103]
웹사이트
もっとサウナストーブを知りたくて… - サウナイキタイアドベントカレンダー2018
https://sauna-ikitai[...]
[104]
웹사이트
iki イキ|サウナ温浴|METOS
https://metos.co.jp/[...]
[105]
웹사이트
千葉県浦安市 舞浜ユーラシア ケロサウナのひみつ
https://saunatime.jp[...]
[106]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のサウナいろいろ
https://www.visitfin[...]
2021-05-04
[107]
웹사이트
家庭用サウナ
https://kotobank.jp/[...]
朝日新聞DIGITAL
[108]
웹사이트
はじめてのテントサウナ、どうすれば? その道のプロに聞いてみた!|OCEANS オーシャンズウェブ
https://oceans.tokyo[...]
2021-05-03
[109]
웹사이트
路線バスを改造した移動型サウナ「サバス」できました
https://sauna-ikitai[...]
サウナイキタイ
2024-08-03
[110]
웹사이트
千代田区ホームページ - 公衆浴場業の開設
https://www.city.chi[...]
2021-05-04
[111]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のサウナ用語集とサウナ用品の豆知識 キートスショップ
https://kiitos.shop/[...]
2022-12-02
[112]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レポート【タンペレ編】
https://saunatime.jp[...]
2023-03-24
[113]
웹사이트
【世界のSAUNA-サウナ-】フィンランドで今、最もサウナが盛り上がっている街、タンペレ
https://www.bepal.ne[...]
小学館
2023-03-24
[114]
웹사이트
サウナ発祥地フィンランドが生んだ「世界初」の3つのサウナをご紹介
https://prtimes.jp/m[...]
フィンランド政府観光局
2016-06-07
[115]
웹사이트
サウナ・スパプロフェッショナル公式テキスト 管理士のためのサウナ・スパ専門知識
https://www.sauna.or[...]
日本サウナ・スパ協会
2021-05-04
[116]
웹사이트
【イタリア便り】風呂との縁切ってしまった中世ヨーロッパ
https://www.sankei.c[...]
2022-12-02
[117]
서적
フィンランドのサウナ: フィンランド人が教えるフィンランドサウナの全て ヨコメンナーン
ネリッコ
2015-05-12
[118]
웹사이트
第190話 サウナ - 「サウナ」と五輪の切っても切れない関係? - ピートのふしぎなガレージ -TOKYO FM 80.0MHz
https://www.tfm.co.j[...]
2021-05-03
[119]
서적
フィンランドのサウナ: フィンランド人が教えるフィンランドサウナの全て ヨコメンナーン
ネリッコ
2015-05-12
[120]
서적
物語 フィンランドの歴史 北欧先進国「バルト海の乙女」の800年
中央公論新社
2017-10-25
[121]
웹사이트
佐藤優ズバリ解説!山口県長門市での日露首脳会談・成否のポイント!【やじうま好奇心】
https://news.1242.co[...]
2021-05-05
[122]
웹사이트
伝統の「サウナ外交」を脅かす、女性の社会進出 - フィンランド
https://www.afpbb.co[...]
2021-05-05
[123]
웹사이트
SAUNA・SPA新聞 496号
https://www.sauna.or[...]
公益社団法人サウナ・スパ協会
2022-02-22
[124]
서적
日本サウナ史
株式会社カンカンピーポー
2021-08-03
[125]
웹사이트
サウナ・スパ新聞バックナンバー2001年4月297号
https://www.sauna.or[...]
2021-05-02
[126]
웹사이트
第190話 サウナ - 「サウナ」と五輪の切っても切れない関係? - ピートのふしぎなガレージ -TOKYO FM 80.0MHz
https://www.tfm.co.j[...]
2021-05-03
[127]
웹사이트
日本のサウナ誕生秘話、そしてサウナの知られざる裏話。日本サウナ界最強の泰斗・中山眞喜男氏 降臨!
http://saunners.saun[...]
2021-05-08
[128]
웹사이트
高温カラカラサウナが定着した理由
https://saunology.ha[...]
2021-05-10
[129]
웹사이트
サウナを世界に伝えたのは五輪だった 古代人も驚く?第3次ブーム
https://www.nishinip[...]
2022-02-11
[130]
뉴스
サウナ!熱き楽園/薬草・こだわり水風呂…本場を参考に進化
https://www.asahi.co[...]
2018-09-05
[131]
서적
ちょっとサウナ行ってきます
いろは出版
2022-02-22
[132]
웹사이트
なぜスーパー銭湯の乱立が起こったのか
https://president.jp[...]
2022-02-11
[133]
웹사이트
大ブーム到来の今こそ知っておきたい「日本サウナ」50年の歩み アーバン ライフ メトロ - URBAN LIFE METRO -
https://urbanlife.to[...]
2022-02-12
[134]
웹사이트
「サウナのブームはSNSとともに訪れた」サウナ人気の意外な歴史(兵庫 慎司) @gendai_biz
https://gendai.media[...]
2022-11-25
[135]
웹사이트
マニアックすぎる検索でサウナにハマる!熱量ハンパない20代有志が『サウナイキタイ』を立ち上げた理由
https://wpb.shueisha[...]
集英社
2023-08-27
[136]
웹사이트
なぜここまで流行った?サウナに起きた「意味のイノベーション」と新しい潮流
https://globis.jp/ar[...]
2022-10-06
[137]
웹사이트
月刊レジャー産業資料|2020年2月号
https://www.sogo-uni[...]
2022-10-06
[138]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のサウナの文化や種類を紹介!日本や東京で味わえる施設も! SISU
https://kimoty.com/s[...]
2022-10-06
[139]
웹사이트
サウナイキタイ - 日本最大のサウナ検索サイト
https://sauna-ikitai[...]
2022-10-06
[140]
웹사이트
【日本のサウナ実態調査2021】
https://kyodonewsprw[...]
2021-05-09
[141]
웹사이트
サウナ・スパ新聞288号
https://www.sauna.or[...]
日本サウナ・スパ協会
2022-02-12
[142]
웹사이트
マンガ家/映像作家・タナカカツキさんが、サウナ愛好家・濡れ頭巾ちゃんさんに聞く、「いまサウナに行くべき理由」
https://qonversation[...]
2013-03-01
[143]
웹사이트
「サウナのブームはSNSとともに訪れた」サウナ人気の意外な歴史(兵庫 慎司) @gendai_biz
https://gendai.media[...]
2021-05-03
[144]
웹사이트
サウナでわかるフィンランド「世界一幸福」な訳 {{!}} 街・住まい
https://toyokeizai.n[...]
2019-11-11
[145]
웹사이트
「現代用語の基礎知識」選 ユーキャン 新語・流行語大賞
https://www.jiyu.co.[...]
2022-02-12
[146]
웹사이트
【11月11日はととのえの日】プロサウナー11名が選んだ”今行くべきサウナ11選”「SAUNACHELIN2019」を発表
https://prtimes.jp/m[...]
2021-05-03
[147]
논문
Clinical Effects of Regular Dry Sauna Bathing: A Systematic Review
https://www.ncbi.nlm[...]
2018
[148]
논문
鼻アレルギーに対するミストサウナの効果
https://doi.org/10.1[...]
2006
[149]
논문
Effect of regular sauna on epidermal barrier function and stratum corneum water-holding capacity in vivo in humans: a controlled study
2008
[150]
논문
The use of the sauna for disease prevention in the workers of enterprises with chemical and physical occupational hazards
1991-05
[151]
웹사이트
「汗をかいてデトックス」はウソだった、研究報告
https://natgeo.nikke[...]
나쇼날 지오그래픽 일본판 사이트
2018-04-13
[151]
웹사이트
Can You Really Sweat Out Toxins?
https://www.national[...]
National Geographic
2018-04-13
[152]
서적
第9章
http://www.kyudai-de[...]
九州大学出版会
2000-06
[153]
논문
和温療法(日本で開発された治療法)
https://doi.org/10.1[...]
2014
[154]
논문
温熱刺激の臨床への応用:- 和温療法の効果とその作用機序 -
https://doi.org/10.3[...]
2016
[155]
웹사이트
サウナ浴での事故に注意 ― 体調に合わせて無理せず安全に ―
https://www.caa.go.j[...]
消費者庁ホームページ
2024-06-05
[156]
뉴스
死亡例も“サウナの事故”増加 消費者庁が注意喚起
https://news.tv-asah[...]
테레아사
2024-06-05
[157]
뉴스
フィンランドのサウナ我慢大会で死者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0-08-08
[158]
뉴스
TOKIO松岡サウナで脱水症状 救急搬送される
https://www.sponichi[...]
스포니치 Sponichi Annex 연예
[159]
뉴스
俳優加藤武さん死去、ジムのサウナで倒れ病院搬送も - おくやみ
https://www.nikkansp[...]
일간스포츠
[160]
웹사이트
サウナは突然死を招きかねない危険な施設
https://bunkaonline.[...]
실화BUNKA온라인
[161]
뉴스
家庭用サウナで母娘死亡、取っ手壊れ出られず チェコ
https://www.afpbb.co[...]
AFPBB News
2017-04-17
[162]
뉴스
屋外で楽しむ北欧式「サ活」、潜む危険とは 日光の施設で死亡事故 栃木県
https://digital.asah[...]
아사히 신문 디지털
2023-06-22
[163]
뉴스
サウナ内で死亡、4~5時間経って遺体を発見
https://www.thaich.n[...]
타이랜드 하이퍼링크스
[164]
웹사이트
フィンランド「サウナ文化」、ユネスコ無形文化遺産に登録
https://www.afpbb.co[...]
[165]
Youtube
Six Steps To Do Sauna - Eurobest Helsinki
https://www.youtube.[...]
2019-04-21
[166]
웹사이트
Smoke Sauna Sisterhood {{!}} International Sauna Association - ISA
https://saunainterna[...]
[167]
웹사이트
サウナのあるところ
https://www.uplink.c[...]
[168]
웹사이트
Vantos lapas
https://www.facebook[...]
[169]
웹사이트
短編映画制作プロジェクト {{!}} MIRRORLIAR FILMS
https://films.mirror[...]
[170]
웹사이트
WOWOWオンライン
https://www.wowow.co[...]
[171]
웹사이트
サウナぼっち。 {{!}} RCCテレビ
https://tv.rcc.jp/sa[...]
[172]
웹사이트
地球風呂(みずぶろ)(テレビ東京、2022/1/16 16:00 OA)の番組情報ページ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BSテレ東
[173]
웹사이트
&sauna
https://uhb.jp/progr[...]
[174]
웹사이트
私をサウナに連れてって
https://www.tv-tokyo[...]
テレビ東京・BSテレ東
[175]
웹사이트
旅するサウナ
https://www.bs-tbs.c[...]
[176]
웹사이트
サウナMAP {{!}} テレビ西日本
https://www.tnc.co.j[...]
2022-02-12
[177]
웹사이트
サウナ女子が教えるサ活のサ
https://www.sakatsun[...]
2023-11-18
[178]
웹사이트
핀란드 남서부 탐페레, 도시 사용 설명서
http://www.sisamagaz[...]
[179]
웹사이트
세계에서 사우나가 제일 많은 핀란드 '탐페레
https://www.newspim.[...]
[180]
웹사이트
[e현장에서] 사우나의 도시 핀란드 탐페레
http://www.enewsdai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