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무일도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무일도서는 초기 기독교에서 유래된 것으로, 시편, 성경 봉독, 교부들의 저술, 찬송가와 기독교 기도로 구성된다. 가톨릭 교회, 성공회, 루터교, 동방 정교회 등 다양한 교파에서 각 교파의 특색을 반영한 성무일도서를 사용한다. 동방 정교회는 호롤로기온을 통해 8가지 정시 기도를 드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도서 - 성공회 기도서
성공회 기도서는 잉글랜드 종교 개혁 과정에서 가톨릭 교회의 성무일도에서 파생되어 예배, 기도, 성례 등의 절차를 담은 규칙서로, 영어 예배와 성서학 및 고전문헌학 발달에 영향을 미쳤으며 대한성공회에서는 '성공회 기도서' 또는 '기도서'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기도서 - 영국 성공회 39개조 신조
영국 성공회 39개조 신조는 16세기 잉글랜드 종교 개혁 시기에 캔터베리 대주교 매슈 파커가 작성한 성공회의 신앙 조항으로, 삼위일체, 성경, 죄와 구원 등 성공회의 교리를 설명하며 가톨릭, 칼뱅주의, 재세례파에 대한 입장을 담고 있다. - 가톨릭 전례서 - 로마 보편 전례력
로마 보편 전례력은 가톨릭 교회의 전례년을 구성하는 문서로, 그리스도의 신비를 기념하고 성인들의 축일을 대축일, 축일, 기념일로 구분하며, 한국 천주교회는 여기에 한국 순교 성인 기념일을 추가하여 사용한다. - 가톨릭 전례서 - 화답송
화답송은 가톨릭 미사 전례에서 독서와 복음 사이에 불리는 응송의 하나로, 시편 구절이며, 그레고리오 성가로 불리고, 응송들을 모아 놓은 책 또는 미사 전례의 음악적 항목들을 엮은 특정 서적을 지칭하기도 한다.
성무일도서 | |
---|---|
일반 정보 | |
![]() | |
유형 | 기독교 전례서 |
사용 종교 |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 정교회 |
언어 | 라틴어, 각 지역 언어 |
역사 | |
기원 | 초기 기독교 시대 |
발전 | 수도원 전통에서 발전 |
주요 발전 시기 | 중세 시대 |
관련 문서 | 시편 성경 교부들의 저술 |
구성 | |
주요 내용 | 시편 찬미가 독서 기도 |
시간 전례 | 아침 기도 낮 기도 (세 시경, 여섯 시경, 아홉 시경) 저녁 기도 밤 기도 |
사용 | |
목적 | 하루 중 정해진 시간에 기도 |
사용자 | 성직자, 수도자, 평신도 |
특징 | |
특징 | 매일의 기도 성경 묵상 전례 주기 준수 |
기타 정보 | |
다른 이름 | 시간경, 시간 전례서 |
2. 다양한 교파의 성무일도서
성무일도서의 내용은 초기 기독교에서 유래되었으며, 시편, 성경 봉독, 교부들의 저술, 찬송가, 기독교 기도로 구성되어 있다.[5] 초기 교회 시대부터 에 따라 고정된 기도 시간인 일곱 번의 고정된 기도 시간의 관습이 가르쳐졌으며, 사도 전승에서 로마의 히폴리토는 기독교인들에게 "기상 시, 저녁 램프를 켤 때, 잠자리에 들 때, 자정" 그리고 "그리스도의 수난과 관련된 시간인 낮의 셋째, 여섯째, 아홉째 시"에 하루에 일곱 번 기도하도록 지시했다.[6][7][8][9] 사도들 스스로도 기도 시간의 중요성을 부여했다(예: 및 ).[10]
각 교파별로 다양한 성무일도서가 존재한다.
2. 1. 가톨릭 교회
교황 니콜라우스 3세는 해당 수도회에서 사용하기 위한 프란치스코회 성무일도서를 승인했으며, 이는 성무일도서라는 명칭을 가진 최초의 텍스트였다.[2] 트렌토 공의회 이전에 브리짓회의 고대 성무일도서가 125년 이상 사용되었으며, 교황 비오 5세의 헌법에서 로마의 성무일도서와 다른 성무일도서의 사용을 폐지하는 것에서 면제되었다.[11]2015년, 브리짓회의 ''시온 성무일도서''가 라틴어에서 영어로 처음 출판되었다. 이는 헨리 5세에 의해 1415년에 설립된 시온 수도원의 6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2. 2. 성공회
1916년, 성공회 내 옥스퍼드 운동에 따라 프랭크 개빈 전례 재단에서 성공회 성무일도서를 출판했다.[12]2. 3. 루터교
루터교에서는 노이엔데텔사우 종교 재단이 해당 교단 고유의 성무일도서를 사용한다. ''모든 성인을 위하여: 교회에 의한, 교회를 위한 기도서''와 ''매일의 예배: 전통적인 전례 패턴을 기반으로 한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 성경 봉독, 찬송가, 칸티클, 연도, 수집, 그리고 시편''은 루터교에서 널리 사용되는 성무일도서이다.[13]2. 4.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에서 성무일도는 호롤로기온에서 찾을 수 있으며, 저녁 기도(일몰), 꼼쁠렉트(취침 전), 자정 기도, 아침 기도(일출), 1시(오전 7시), 3시(오전 9시), 6시(정오), 9시(오후 3시)의 8가지 정시 기도로 구성되어 있다.2. 4. 1. 시리아 정교회와 인도 정교회
동방 정교회의 시리아 정교회와 인도 정교회에서 사용하는 정시 기도는 셰히모 성무일도서에 포함되어 있다.[14][15]
2. 4. 2.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는 아그페야를 성무일도서로 사용한다.[16]2. 4. 3.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샤라그노츠'' 또는 ''자마기르크''(Ժամագիրք|자마기르크hy)를 사용한다.[16] ''8개의 음 (전례)의 아르메니아어 Šaraknoc''에서 관련 내용을 찾아볼 수 있다.2. 4. 4. 아시리아 동방 교회
아시리아 동방 교회는 자체적인 7가지 정시 기도를 가지고 있다.[16]2. 4. 5. 동방 정교회
동방 정교회에서 시리아 정교회와 인도 정교회의 정시 기도는 셰히모 성무일도서에 포함되어 있으며,[14][15]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는 아그페야 성무일도서를,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샤라그노츠'' 또는 ''자마기르크''(cf. ''8개의 음 (전례)#아르메니아어 Šaraknoc'')를 가지고 있다.[16] 아시리아 동방 교회는 자체적인 7가지 정시 기도를 가지고 있다.
동방 정교회의 성무일도는 호롤로기온에서 찾을 수 있으며, 저녁 기도(일몰), 꼼쁠렉트(취침 전), 자정 기도, 아침 기도(일출), 1시(오전 7시), 3시(오전 9시), 6시(정오), 9시(오후 3시)의 8가지 정시 기도로 구성되어 있다.
3. 성무일도의 기원과 구성
가톨릭 교회에서 교황 니콜라우스 3세가 프란치스코회에서 사용하기 위해 승인한 프란치스코회 성무일도서가 성무일도라는 명칭을 가진 최초의 텍스트였다.[2] 트렌토 공의회 이전에 브리짓회의 고대 성무일도서가 125년 이상 사용되었으며, 교황 비오 5세의 헌법에서 로마의 성무일도서와 다른 성무일도서의 사용을 폐지하는 것에서 면제되었다.[11]
2015년, 브리짓회의 ''시온 성무일도서''가 라틴어에서 영어로 처음 출판되었다. 이는 헨리 5세에 의해 1415년에 설립된 시온 수도원의 6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성공회 내의 옥스퍼드 운동에 따라 1916년, 성공회 성무일도서가 프랭크 개빈 전례 재단에 의해 출판되었다.[12]
루터교에서 노이엔데텔사우 종교 재단은 해당 교단 고유의 성무일도서를 사용한다. ''모든 성인을 위하여: 교회에 의한, 교회를 위한 기도서''는 ''매일의 예배: 전통적인 전례 패턴을 기반으로 한 아침 기도와 저녁 기도, 성경 봉독, 찬송가, 칸티클, 연도, 수집, 그리고 시편''과 더불어 루터교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13]
3. 1. 구성 요소
초기 기독교에서 유래된 성무일도서의 내용은 본질적으로 시편, 성경 봉독, 교부들의 저술, 찬송가와 기독교 기도로 구성되어 있다.[5] 초기 교회 시대부터 고정된 기도 시간인 일곱 번의 고정된 기도 시간의 관습이 가르쳐졌으며, 사도 전승에서 로마의 히폴리토는 기독교인들에게 "기상 시, 저녁 램프를 켤 때, 잠자리에 들 때, 자정" 그리고 "그리스도의 수난과 관련된 시간인 낮의 셋째, 여섯째, 아홉째 시"에 하루에 일곱 번 기도하도록 지시했다.[6][7][8][9] 사도들 스스로도 기도 시간의 중요성을 부여했다.[10]동방 정교회에서 시리아 정교회와 인도 정교회의 정시 기도는 셰히모 성무일도서에 포함되어 있으며,[14][15] 알렉산드리아 콥트 정교회는 아그페야 성무일도서를,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는 '샤라그노츠' 또는 '자마기르크'를 가지고 있다.[16] 아시리아 동방 교회는 자체적인 7가지 정시 기도를 가지고 있다.
동방 정교회에서, 성무일도는 호롤로기온에서 찾을 수 있으며, 이는 저녁 기도(일몰), 꼼쁠렉트(취침 전), 자정 기도, 아침 기도(일출), 1시(오전 7시), 3시(오전 9시), 6시(정오), 9시(오후 3시)의 8가지 정시 기도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reviary
https://www.merriam-[...]
Merriam-Webster
2022-02-07
[2]
서적
A History of Liturgical Books from the Beginning to the Thirteenth Century
Liturgical Press
[3]
간행물
Breviary
[4]
서적
The Bible, the missal, and the breviary; or, Ritualism self-illustrated in the liturgical books of Rome
https://archive.org/[...]
T. & T. Clark
[5]
서적
Encyclopædic Dictionary Of Christian Antiquities
Concept Publishing Company
2005-01-01
[6]
서적
Origen
Wipf and Stock Publishers
2016
[7]
서적
The Early Church
Penguin
1993
[8]
서적
The Syriac Version of the Old Testa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07-07
[9]
서적
The Early Church: History and Memory
A&C Black
2010-02-17
[10]
웹사이트
A Brief Guide to the Liturgy of the Hours (For Private/Individual Recitation)
https://straymonds.o[...]
St. Raymond of Peñafort Catholic Church
2020-08-29
[11]
뉴스
The Tablet
1897-05-29
[12]
웹사이트
"Prayer Rhythms" Redivivus
http://www.touchston[...]
The Fellowship of St. James
2015-05-03
[13]
웹사이트
Daily Prayer Books in the History of German and American Lutheranism
http://llpb.us/PDFs/[...]
Lutheran Liturgical Prayer Brotherhood
2004-09-05
[14]
서적
The Rite of Consecration of the Church According to the Syriac Orthodox Tradition: Malayalam Version
Silvanos Charitable Society
2020-04-30
[15]
문서
Daily Prayer of the Syriac Orthodox Church (Sh'imo) – Aramaic
https://archive.org/[...]
[16]
문서
Diocese of the Armenian Church of the United Kingdom & Ireland: Liturgy of Hours
https://armenianchu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