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 정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리아 정교회는 시리아어를 사용하는 기독교 교회로,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를 수장으로 한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성론이 이단으로 선포된 후 분리되어 나왔으며, 야곱 바라데우스의 이름을 따서 야고보파라고도 불린다. 시리아 정교회는 사도 시대부터 이어져 온 기독교 공동체에서 기원하며, 니케아 신경을 기반으로 교리를 형성한다. 전례 언어는 시리아어이며, 성찬례를 중심으로 예배가 진행된다. 전 세계적으로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터키 등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며, 유럽, 북미, 인도 등에도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존재한다. 에큐메니컬 대화에 참여하여 다양한 기독교 종파들과 협력하며, 가톨릭 교회와 화해를 이루기도 했다.
시리아어를 사용하는 기독교인들은 자신들의 민족 정체성에 기반하여 "''Ārāmāyē/Āṯūrāyē/Sūryāyē''"라고 부른다.
시리아 정교회는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단성론적 입장이 이단으로 규정된 후,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좌 소속 교회 중 공의회 결정을 거부한 이들이 분리되어 형성된 교회이다.
시리아 정교회의 신학은 니케아 신경과 니케아-콘스탄티노폴리스 신경을 기초로 한다. 교회는 325년 니케아 공의회, 38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431년 에페수스 공의회까지 초기 세 세계 공의회의 결정을 받아들여 기독교 교리의 형성 과정에 참여했다.[49]
2. 명칭
451년 칼케돈 공의회 이후 교회가 분열되면서, 칼케돈파 기독교인들은 시리아 정교회를 '야고보파'(Jacobites)라고 불렀다. 이는 6세기 에데사의 주교였던 야곱 바르다이우스(Jacob Baradaeus)의 이름에서 유래했으며[114], 제2차 니케아 공의회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사용된 이후[112] 동로마 제국 내에서 통용되었다. 그러나 시리아 정교회는 '야고보파'라는 명칭이 자신들의 교리가 야곱 바라데우스 개인에게서 시작된 이단이라는 의미를 내포한다고 보아 부당하게 여긴다. 시리아 정교회는 야곱 바라데우스의 역사적 역할을 인정하면서도 그를 교회의 창시자로 간주하는 것을 거부하며, 초대 교회로부터 이어지는 정통성을 강조한다.[112]
아랍어(시리아의 공식 언어)에서는 교회를 "케니사 수리야니야"(Kenissa Suryaniya)라고 부르며, 여기서 '수리야니'(Suryani)는 시리아어와 시리아인을 식별하는 용어이다. 영어권에서는 오랫동안 "시리아 교회"(Syrian Church)로 불렀으나, 1922년 이후 "시리아"(Syrian)라는 용어가 정치적 실체인 시리아 연방의 이름과 연관되면서 혼동의 여지가 생겼다.
15세기에 사용되기 시작한 "정교회"(Orthodox)라는 명칭은 그리스어 "오르토독시아"(orthodoxía, 올바른 의견)에서 유래했으며, 초기 기독교인들이 믿었던 교리를 따른다는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2000년, 시리아 정교회 성 시노드는 교회의 공식 전례 언어인 시리아어를 따라 공식 명칭을 "시리아 정교회"(Syrian Orthodox Church)로 결정했다.[25]
이 교회는 민족적으로 배타적이지 않지만, 공동체의 주요 민족 집단은 자신들의 민족적 정체성을 "아시리아인" 또는 "아람인"으로 주장한다. 해외(디아스포라)에 거주하는 시리아인을 식별하는 데는 "수료예"(Suryoye)라는 용어가 사용된다.[26] 미국의 일부 시리아 정교회 교구들은 초기에 공식 영어 이름에 '아시리아'(Assyrian) 지정을 사용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해당 지정을 '시리아'(Syriac)로, 그 다음에는 '시리아'(Syrian)로 변경하기도 했다. 그러나 여전히 '아시리아' 지정을 사용하는 교구들도 존재한다.
3. 역사
공식 명칭은 안티오키아와 전 중근동의 총대주교이지만, 실제 총대주교청은 시리아의 수도 다마스쿠스에 자리 잡고 있다.
시리아 정교회는 콥트 정교회,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에티오피아 테와히도 정교회 등과 함께 비칼케돈파 교회들의 연합체인 오리엔트 정교회를 구성한다. 이 교회들은 그리스도론을 비롯한 신학적 입장을 공유하며, 완전한 성사 교류와 교회 일치를 이루고 있어 동방 정교회와 유사한 관계를 맺고 있다. 오리엔트 정교회에 속한 교회들은 서로 활발히 교류하며, 각 교회의 수장 착좌식과 같은 중요한 예식에는 대표단을 파견하여 주교 서품식에 참여하는 등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3. 1. 초기 역사
시리아 정교회는 사도 시대에 예루살렘의 초기 기독교 공동체에서 기원하며, 성 바나바와 성 바울이 안티오키아에서 활동하며 전파되었다고 주장한다. 사도행전에는 "제자들이 안티오크에서 처음으로 그리스도인이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예수 그리스도가 선택한 성 베드로는 약 37년경 안티오크 사건 이후 안티오크 교회의 초대 주교로 존경받는다.[27][28]
성 에보디우스가 66년까지 안티오크의 주교였고, 성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가 뒤를 이었다.[29] "기독교"(Χριστιανισμός|흐리스티아니스모스el)라는 용어는 약 100년경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에 의해 처음 사용된 것으로 기록되었다. 서기 169년에는 안티오키아의 테오필루스가 변증서를 저술했고,[30] 안티오키아의 바빌라스 총대주교는 유해를 옮긴 최초의 성인으로 여겨진다.[31] 제1차 니케아 공의회(325년)에서는 안티오키아의 에우스타티우스가 아리우스주의에 반대한 알렉산드리아의 아타나시우스를 지지했다.[32] 안티오키아의 멜레티우스 시대에는 그의 신학적 성향 문제로 교회가 분열되는 멜레티우스 분열이 발생하기도 했다.[33][34]
안티오키아 주교구는 오랜 역사와 로마 제국 동부의 중요 도시로서의 위치 덕분에 니케아 공의회 (325년)에서 기독교 세계의 주요 지역 수위 중 하나로 인정받았고, 이는 "안티오키아와 온 동방 총대주교" 창설의 기초가 되었다. 안티오키아의 이그나티우스의 중요성 때문에 1293년 이후 대부분의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는 '이그나티우스'라는 이름을 사용해왔다.
451년 칼케돈 공의회에서 그리스도론에 대한 논쟁 끝에, 공의회는 미아피시스주의를 단성론으로 간주하여 이단으로 선포했고, 이로 인해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좌 내부에 분열이 발생했다. 공의회 결정을 수용하는 측(칼케돈파)과 거부하는 측(비칼케돈파, 미아피시테) 사이에 총대주교 자리를 놓고 오랜 갈등이 시작되었다. 512년, 비칼케돈파 신학자 안티오키아의 세베루스(538년 사망)가 총대주교로 선출되었으나,[35][36] 518년 칼케돈파를 지지하는 유스티누스 1세 황제(527년 사망)에 의해 안티오키아에서 추방되었다. 칼케돈파는 새로 임명된 바울을 총대주교로 받아들였고, 세베루스를 따르는 비칼케돈파 공동체는 그를 합법적인 총대주교로 계속 인정하며 별도의 계승을 이어갔다.[37][38]
6세기에 에데사의 주교였던 야곱 바라데우스(578년 사망)는 동로마 제국의 박해 속에서 비칼케돈파 교회를 재건하고 조직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수많은 성직자를 서품하며 교회의 명맥을 유지시켰고, 544년에는 텔라의 세르기우스를 서품하여 안티오키아 교회의 비칼케돈파 총대주교 계승을 공식화했다. 이로 인해 시리아 정교회는 외부에서 '야고보파 교회'(Jacobite Church)로 불리게 되었는데, 이는 야곱 바라데우스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다. 반면, 제국의 지원을 받은 칼케돈파 신자들은 '멜키트'(Melkite, 황제파)로 불렸다.[115] 시리아 정교회는 야곱 바라데우스의 공헌을 높이 평가하지만, 그를 교회의 창시자로 보거나 '야고보파'라는 명칭으로 불리는 것은 초대 교회로부터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것으로 여겨 부당하다고 본다.[112][114]
3. 2. 중세 시대
8세기의 성인전인 ''야곱 바라다에우스의 생애''는 칼케돈파와 미아피스파(시리아 정교회) 사이에 교파적, 사회적 구분이 명확해졌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이 성인전은 시리아 정교회가 다른 성인들보다 야곱 바라다에우스의 이야기에 자신들을 동일시했음을 나타낸다. 콥트 역사가이자 미아피스파 주교였던 세베루스 이븐 알-무카파(약 897년 활동)는 야곱파의 기원과 야곱 바라다에우스에 대한 존경을 기록했다. 그는 칼케돈 기독교인(멜키트파)과 달리 미아피스파 야곱파는 비잔틴 황제의 호의를 얻기 위해 신앙적 정통성을 타협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이는 '황제파'를 의미하는 시리아어 'malko'(통치자, 왕, 황제)에서 유래한 멜키트(Melkite)라는 명칭에서도 드러난다.
10세기, 비잔틴 제국이 카파도키아, 킬리키아, 시리아 일부를 다시 정복한 후, 비잔틴 황제들은 새로 확보한 국경 지역에 시리아인들의 정착을 장려했다. 이로 인해 950년부터 1020년까지 시리아 정교회 공동체는 경제적, 지적 번영기를 누렸다. 시리아 총대주교 요한 사리그타와 그의 후임자 두 명은 당시 새로 설립된 많은 수도원 중 하나인 멜리테네 인근의 바리드 수도원에 거주했으며, 시리아 정교회 신자들은 제국 내에서 관직에 오르기도 했다. 그러나 시리아 정교회 공동체의 부와 영향력이 커지자 비잔틴 교회와의 갈등이 불거졌고, 비잔틴 교회는 시리아 정교회 신자들을 박해하기 시작했다. 결국 총대주교 디오니시우스 4세는 총대주교좌를 아랍 세력 하에 있던 아미다로 옮겨야 했다.
11세기 십자군 전쟁이 시작되기 전, 시리아인들은 자지라(상부 메소포타미아)의 대부분의 구릉 지역을 점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안티오키아에서는 11세기 비잔틴 제국의 박해 이후 시리아 정교회 인구가 거의 사라졌다. 12세기 전반기 안티오키아에는 야곱파 교회는 단 한 곳만 확인될 정도로, 당시 안티오키아와 주변 지역의 시리아 정교회 인구는 매우 적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은 12세기에 십자군 국가가 설립되면서 바뀌었다. 학자들은 일반적으로 Outremer(십자군 국가)의 시리아 정교회와 라틴인(서유럽 십자군) 사이의 관계가 우호적이었다는 데 동의한다. 안티오키아 공국의 시리아 인구는 난민 유입으로 증가했으며, 이는 교회 두 곳이 추가로 건설된 사실에서도 확인된다. 이 시기 동안 여러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가 안티오키아를 방문했고, 심지어 그곳에 임시 거처를 마련하기도 했다. 안티오키아의 시리아 정교회 지도자들은 라틴 교회의 감독을 받아들일 의향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리아 정교회는 공식적인 독립을 유지했으며, 비잔틴 및 라틴 교회와 교회 연합에 관한 대화를 나누기도 했다.
1293년, 총대주교좌는 1166년부터 총대주교들이 거주해 온 모르 바르 사우마 수도원에서 마르딘 근처 남동부 아나톨리아에 위치한 모르 하나뇨 수도원(데 이르 알-자파란)으로 이전되었다. 이곳은 터키의 정치적 상황이 불리해져 1933년 시리아 홈스로 다시 이전될 때까지 총대주교좌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3. 3. 근현대
1293년, 총대주교좌는 1166년부터 총대주교들이 거주해 온 모르 바르 사우마 수도원에서 마르딘 근처 남동부 아나톨리아에 위치한 모르 하나뇨 수도원 (데이르 알자파란)으로 옮겨졌다. 이곳은 터키의 불리한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1933년 시리아 홈스에 재설립될 때까지 총대주교좌의 위치였다.
오스만 당국은 1915년-1916년 동안 세이포(시리아인 학살)를 자행하여 정교회 시리아인을 살해하고 추방했으며, 그들의 재산을 약탈하고 몰수했다. 이 기간 동안 디야르바키르 지방의 정교회 시리아인 수는 72% 감소했고, 마르딘 지방에서는 58% 감소했다.
1924년, 터키 공화국의 케말 아타튀르크가 시리아 정교회 총대주교를 추방하면서 총대주교좌는 시리아 홈스로 이전되었고, 총대주교는 데이르 알자파란 도서관을 가지고 다마스쿠스에 정착했다. 1933년에는 총대주교좌가 공식적으로 홈스에 재설립되었다. 투르 아브딘의 시리아 정교회 마을은 1925년-1926년 쿠르드 반란으로 큰 고통을 겪었으며, 이로 인해 레바논, 북부 이라크, 특히 시리아로 대규모 탈출이 이어졌다. 1920년대 초, 카미실리시는 주로 세이포를 피해 도망온 시리아 정교회 난민들에 의해 건설되었다.
1959년, 시리아 정교회의 총대주교좌는 시리아 다마스쿠스로 이전되었다. 1970년대 중반, 시리아에 거주하는 시리아 정교회 신자의 추정치는 82,000명이었다. 1977년 기준으로 해외 교구의 시리아 정교회 신자 수는 중유럽 교구 9,700명, 스웨덴 및 주변 국가 교구 10,750명으로 집계되어[39] 전 세계적인 디아스포라 공동체가 형성되었음을 보여준다.
1987년 10월 20일, 파루말라의 게바르게스 마르 그레고리오스는 이그나티우스 자카 1세 이와스 총대주교에 의해 성인으로 선포되었고, 그의 이름이 디프틱스(기념패)에 추가되었다.[40][41] 시리아 정교회의 모 교회이자 공식적인 총대주교좌는 현재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의 밥 투마 지역에 위치해 있다.
시리아 내전 동안 홈스에 있는 성모 허리띠 교회 등 시리아 정교회 관련 시설들이 피해를 입기도 했다.
4. 교리
그러나 451년 칼케돈 공의회의 결정을 거부하면서 다른 기독교 교파들과 분리되었다. 시리아 정교회는 오리엔트 정교회의 일부로서, 칼케돈 공의회 이전의 교부 신학과 사도적 기독론을 계승한다고 주장한다.[50]
기독론에서는 예수 그리스도가 '하나의 본성'(미아피시스)을 지녔다고 이해한다. 이는 완전한 신성과 완전한 인성이 하나로 합쳐진 본성, 즉 말씀(로고스)의 성육신을 의미한다. 이는 그리스도가 '두 개의 본성 안에 있다'고 보는 칼케돈파의 디오피시스 교리와 구별되는 핵심적인 차이점이다. 시리아 정교회는 자신들의 교리를 단성론으로 규정하는 것을 거부하며, 단성론은 에우티케스의 가르침에 해당한다고 본다.
성육신의 신비를 믿으며, 성모 마리아를 테오토코스( Θεοτόκος|테오토코스el, 신을 낳은 자) 또는 시리아어로 ܝܳܠܕܰܬ݂ ܐܰܠܳܗܳܐ|욜다스 알로호syc(Yoldath Aloho, '하느님의 어머니')라 부르며 공경한다.
교회는 하나이고 거룩하며 보편적이고 사도로부터 이어오는 교회로서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세워졌다고 믿는다.[47] 교회의 주교들은 사도들의 사도 계승자이며,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는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로서 베드로 수위권을 지닌다고 가르친다.[48] 다만, 로마 가톨릭교회가 이해하는 교황 수위권과는 다른, 고대 시리아 전통에 따른 베드로 수위권을 강조한다. 교회는 지역과 전통에 따라 율리우스력과 그레고리력을 모두 사용한다.
5. 전례
시리아 정교회는 성경으로 페쉬타(시리아어: ܦܫܺܝܛܬܳܐ|프쉬타syc, '단순한', '일반적인'이라는 의미)를 사용한다. 이 성경의 신약은 서기 1세기 후반에서 3세기 초 사이에 그리스어에서 시리아어로 번역된 것으로 추정된다.[46] 구약은 아마도 2세기에 히브리어에서 번역되었을 것이다. 처음에는 논란이 있는 특정 책들을 제외했던 페쉬타의 아람어 신약은 5세기 초가 되면서 표준이 되었고, 복음서의 두 가지 초기 시리아어 버전을 대체했다.
기독교 시대에 아람어의 가장 두드러진 변형인 시리아어는 시리아 정교회에서 두 가지 기본 형태로 사용된다. 고전 시리아어는 전통적으로 주요 전례 및 문학 언어로 사용되며, 신아람어 (신시리아어) 방언인 투로요어는 가장 일반적인 구어체 언어로 사용된다. 역사적으로 그리스어도 분열(5-6세기) 동안과 이후 초기에 시리아어와 함께 사용되었지만, 점차 사용이 줄어들었다. 11세기 이후 아랍어가 주요 언어가 되면서, 성직자들은 15세기부터 시리아 문자인 가르슈니를 사용하여 아랍어로 글을 썼고, 이후 아랍 문자를 채택했다. 현대에는 영어가 시리아어와 함께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며, 인도에서는 말라얄람어, 타밀어, 칸나다어 등이 사용된다. 특히 인도의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시리아 문자로 쓰인 말라얄람어 방언인 수리야니 말라얄람어를 사용하기도 했다.[52][53][54][55]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는 스웨덴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터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등도 시리아어와 함께 사용된다.
전례는 시리아어로 "성찬례"를 의미하는 '쿠로보 카디쇼'(시리아어: ܩܘܪܒܐ ܩܕܝܫܐ|쿠로보 카디쇼syc)라고 불린다. 야고보 전례는 일요일과 특별한 경우에 거행된다. 성찬례는 복음서 낭독, 성경 봉독, 기도, 그리고 찬송가로 구성된다. 전례의 낭독은 주례자, 독서자, 성가대, 회중이 각자 맡은 부분을 특정 시기에 맞춰 부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일부 독서 부분을 제외하고 기도는 성가와 선율의 형태로 불린다. 수백 개의 선율이 ''베트 가조''(시리아어: ܒܝܬ ܓܙܐ|베트 가조syc, '보물의 집'이라는 의미)로 알려진 책에 보존되어 있으며, 이 책은 시리아 정교회 교회 음악의 핵심 참고 자료이다.[56][57]
시리아 정교회의 성직자와 평신도는 하루에 일곱 번의 기도를 드리며, 이는 시편 119편 164절("주의 의로운 규례들로 말미암아 내가 하루 일곱 번씩 주를 찬양하나이다")에 따라 정해진 기도 시간에 맞춰 이루어진다(참조: 셰히모).[58] 시리아어 전통에 따르면, 교회력은 해질녘에 시작하며, 정시경은 다음과 같은 서시리아 전례에 기반한다.
교회의 7성사는 다음과 같다.
시리아 정교회 성직자들은 사제직의 서열에 따라 고유한 전례복을 갖추고 있다. 부제, 사제, 코르에피스코포스, 주교, 그리고 총대주교는 각각 다른 예복을 착용한다.[61]
주교는 보통 검은색이나 붉은색 로브를 입고 붉은색 허리띠를 착용한다. 총대주교가 붉은 로브를 입기 때문에, 주교는 총대주교가 있는 자리에서는 붉은 로브를 입지 않아야 한다. 또한 관할 구역 밖의 교구를 방문하는 주교는 그 교구의 주교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검은 로브를 입으며, 그 교구의 주교만이 붉은 로브를 입는다. 그들은 성사 동안 모세의 지팡이를 상징하는 뱀으로 장식된 주교 지팡이를 지닌다. 코르에피스코포스는 검은색 또는 보라색 로브에 보라색 허리띠를 착용한다. 주교와 코르에피스코포스는 손에 드는 십자가를 가지고 있다.[62]
사제는 또한 공적인 기도 시간에 착용해야 하는 모자인 ''피로''(시리아어: ܦܺܝܪܳܐ|피로syc)를 착용한다. 수도사들도 후드인 ''마스납토''(시리아어: ܡܰܣܢܰܦܬܳܐ|마스납토syc)를 착용한다. 사제는 또한 ''므소네''(시리아어: ܡܣܳܐܢܶܐ|므소네syc)라고 불리는 의례용 신발을 가지고 있으며, 이 신발 없이는 성찬을 분배할 수 없다. 순결을 상징하는 ''쿠티노''(시리아어: ܟܘܽܬܺܝܢܳܐ|쿠티노syc)라는 흰색 로브 위에 ''함니코''(시리아어: ܚܰܡܢܺܝܟܳܐ|함니코syc) 또는 스톨을 착용한다. 그 위에 ''주노로''(시리아어: ܙܘܢܪܐ|주노로syc)라고 불리는 허리띠와 소매를 의미하는 ''젠데''(시리아어: ܙܶܢܕܶܐ|젠데syc)를 착용한다. 집전자가 주교인 경우, 그는 마스납소 위에 ''베일 미트라''를 착용한다. ''파이노''(시리아어: ܦܰܝܢܳܐ|파이노syc)라고 불리는 케이프가 이러한 예복 위에 착용된다. 주교는 ''파이노'' 위에 ''바트라쉴''(시리아어: ܒܰܛܪܰܫܺܝܠ|바트라쉴syc), 즉 팔리움을 착용하고, 코르에피스코포스는 사제가 착용하는 ''함니코''와 같이 파이노 위에 반 케이프를 착용한다.[63] 사제의 일반적인 복장은 검은색 로브이다. 인도의 더운 날씨 때문에 사제들은 교회에서 기도할 때를 제외하고는 보통 흰색 로브를 입고, 이때는 흰색 로브 위에 검은색 로브를 입는다. 부제는 피로, 흰색 쿠티노(로브)를 착용하고, 계급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우로로(시리아어: ܐܘܪܪܐ|우로로syc, '스톨')를 착용한다. 여부제는 부제와 같은 방식으로 어깨에서 늘어지는 스톨(우로로)을 착용한다.
6. 성직 제도
시리아 정교회의 최고 수장은 안티오키아 총대주교로 불린다. 이는 동로마 제국 국교 기독교의 오대교구 중 하나였던 역사적 권위를 나타낸다. "아버지들의 아버지"로 여겨지는 총대주교는 반드시 서품된 주교여야 하며, 성 시노드의 일반 행정관으로서 교회의 영적, 행정적, 재정적 문제를 총괄한다. 또한 다른 교회와의 관계를 관리하고, 협약, 조약, 계약, 목회 회칙, 교회의 문제와 관련된 사목 서한 등에 서명한다.
총대주교 다음으로 높은 직위는 인도의 마프리안 또는 카톨리코스이다. 그는 총대주교가 사망하여 자리가 비었을 때 교회를 이끌고, 다음 총대주교 선거를 감독하며, 총대주교 서임식을 주관하는 중요한 역할을 맡는다. 마프리안의 관할 지역은 인도이며, 말란카라 야코브 시리아 정교회의 수장으로서 총대주교의 권위에 따른다. 합동 회의 시 마프리안은 총대주교의 오른쪽에 자리하며, 총대주교의 승인 하에 인도 지역 시노드를 이끈다.
주교라는 칭호는 "감독하는 자"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단어 episkopos|에피스코포스gre에서 유래했다.[43] 주교는 교회의 영적 지도자이며, 대교구 주교 또는 대주교, 그리고 그 아래의 보좌 주교 등 다양한 품계가 있다.
사제(''카세쇼'')는 일곱 번째 품계로, 적법하게 성사를 집전하도록 임명된 성직자이다. 가톨릭 교회와 달리, 시리아 정교회에서는 부제가 사제로 서품되기 전에 결혼할 수 있으나, 사제로 서품된 후에는 결혼할 수 없다. 사제 중에는 코레피스코포스라는 칭호를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사제 중의 으뜸"이라는 의미를 가지며 십자가가 달린 사슬과 특별한 제의 장식을 착용하는 특권을 갖는다. 코레피스코포스는 시리아 정교회에서 기혼 남성이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품계이며, 이보다 높은 품계는 독신자만 가능하다.
시리아 정교회 전통에서 부제는 여러 계급으로 나뉘며 각각 특정 임무를 수행한다. 부제 직분에는 다음과 같은 여섯 가지 주요 계급이 있다.
# '''울모요''' (신실한 자)
# ''마우디오노'' (신앙 고백자)
# ''므잠로노'' (찬양자)
# ''쿠로요'' 또는 ''코로요'' (독서자)
# ''아푸드야크노'' (부제보)
# ''에반젤로요'' (수석 부제)
# ''마삼소노'' (완전 부제)
이 중 완전 부제만이 향로를 들고 성찬 예식 동안 사제를 도울 수 있다. 야코브 시리아 기독교 교회에서는 부제가 부족할 경우, 서품받지 않은 제대 봉사자가 사제를 돕기도 한다.
역사적으로 말란카라 교회에서는 지역 지도자를 대부제라고 불렀으며, 그는 인도 말라바르 지역의 성 토마스 기독교인 공동체에서 교회 권위를 가졌다.
서품된 여부제도 존재한다. 여부제는 성소에 들어가 청소하고 등불을 켤 수 있으며, 여성 신자와 5세 미만 어린이에게만 성찬례를 집전할 수 있다.[44] 또한 공적인 예배에서 성경과 복음을 낭독할 수 있다. 성가대 소녀에게도 여부제라는 명칭이 주어질 수 있으나, 15세가 되기 전에는 성가대로 서품되지 않는다. 여부제는 제단 밖에서 여성 세례와 성유 도유 등 사제와 부제를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45] 현재 이 직위는 존재하지만 거의 수여되지 않는다.
시리아 정교회 성직자들은 서열에 따라 고유한 전례복을 착용한다. 부제, 사제, 코르에피스코포스, 주교, 총대주교는 각각 다른 예복을 입는다.[61]
주교는 보통 검은색이나 붉은색 로브를 입고 붉은색 허리띠를 착용한다. 총대주교가 붉은 로브를 입기 때문에, 주교는 총대주교가 있는 자리에서는 붉은 로브를 입지 않는다. 또한 자신의 관할 구역 밖의 교구를 방문할 때는 해당 교구 주교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검은 로브를 입는다. 주교는 성사를 집전할 때 모세의 지팡이를 상징하는 뱀 모양의 주교 지팡이를 지닌다. 주교와 코르에피스코포스는 손에 드는 십자가를 가지고 있다.[62]
코르에피스코포스는 검은색 또는 보라색 로브에 보라색 허리띠를 착용한다.
사제는 공적인 기도 시간에 ''피로''라는 모자를 착용하며, 수도사는 ''마스납소''라는 후드를 쓴다. 사제는 ''므손''이라는 의례용 신발을 신는데, 이를 신지 않으면 신자들에게 성찬을 분배할 수 없다. 기본적으로 순결을 상징하는 ''쿠티노''라는 흰색 로브를 입고, 그 위에 ''함니코'' 또는 스톨을 착용한다. 그리고 ''제노로''라는 허리띠와 ''젠데''라는 소매를 착용한다. 마지막으로 ''파이노''라는 케이프를 입는다. 집전자가 주교인 경우, 마스납소 위에 ''베일 미트라''를 쓰고 ''파이노'' 위에 ''바트라쉴'', 즉 팔리움을 착용한다. 코르에피스코포스는 사제가 착용하는 ''함니코''와 유사하게 ''파이노'' 위에 반 케이프를 착용한다.[63] 사제의 평상복은 검은색 로브이다. 다만 인도의 더운 날씨 때문에 사제들은 교회에서 기도할 때를 제외하고는 보통 흰색 로브를 입고, 기도 시에는 흰색 로브 위에 검은색 로브를 덧입는다.
부제는 피로와 흰색 쿠티노(로브)를 착용하며, 쿠로요 이상의 계급은 계급에 따라 다양한 모양의 우로로(스톨)를 착용한다. 여부제는 부제와 같은 방식으로 어깨에서 늘어지는 스톨(우로로)을 착용한다.
7. 현황
오늘날 시리아 정교회는 시리아, 레바논, 이라크, 터키 등 중동 지역을 중심으로 전 세계에 퍼져 있으며, 전체 신자 수는 약 140만 명에서 최대 410만 명(인도 야곱파 및 중남미 개종자 포함)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된다.[25][50][66][67][68] 신자들은 주로 아시리아인과 아람인으로 구성되어 있다.[64] 2000년 성 시노드 결정에 따라 교회의 공식 명칭은 "시리아 정교회"이다.[25]
교회의 공식 총대주교좌는 1959년부터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의 밥 투마 지역에 위치해 있다.[40][41] 현재 교회의 최고 수장은 안티오키아 및 전 동방 총대주교 이그나티우스 아프렘 2세이며, 본부 및 총대주교 사무실도 다마스쿠스에 있다. 교회는 전 세계적으로 26개의 대교구와 13개의 총대주교 대리구(관구)로 구성되어 있다.[65]
지역별 현황
- 중동: 시리아 정교회의 발상지인 중동 지역, 특히 시리아, 이라크, 터키 등지에 약 15만에서 20만 명의 신도가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된다.[83] 주요 대교구 및 총대주교 대리구는 자지라, 알레포, 홈스, 하마, 바그다드, 바스라, 모술, 레바논 산, 베이루트, 이스탄불, 마르딘, 투르아브딘, 자흘레, 아랍에미리트 및 페르시아만 아랍 국가 등지에 분포한다.[84][85][86] 이스라엘, 팔레스타인, 요르단에도 공동체가 있다.[85][86] 터키의 경우, ISIS를 피해 시리아와 이라크에서 온 난민들과 쿠르드-터키 분쟁 시기 떠났던 디아스포라 출신들이 귀향하면서 신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70][71]


- 인도: 인도에는 시리아 정교회의 중요한 일원인 야곱파 시리아 기독교 교회가 있으며, 약 200만 명의 신자를 보유하고 있다.[50][66][67] 이 교회는 케랄라 주 푸텐크루즈에 본부를 두고 있으며, 지역 수장은 카톨리코스 바실리오스 토마스 1세이다. 그는 안티오키아 총대주교에게 책임을 진다. 역사적으로 성 토마스 기독교인들은 페르시아의 동방 교회 소속이었으나, 1652년경 시리아 정교회와 재결합했다. 이 외에도 크나나야 시리아 정교회 대교구가 있으며, 4세기 또는 8세기에 카나의 토마스를 따라 이주한 이들의 후손으로 여겨진다.[90] 또한, 1924년 설립된 동방 복음주의 협회(E.A.E.)는 시리아 정교회 소속의 선교 단체로, 교회, 학교, 고아원, 출판물 발행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다.[91][92][93]


- 아메리카: 미국에는 동부와 서부에 각각 총대주교 대리구가 있으며[73][74][75](동부 미국 총대주교 대리구), 북미 말란카라 대교구도 존재한다. 캐나다에도 총대주교 대리구가 있다.[76] 중앙 아메리카에서는 과테말라를 중심으로 큰 성장을 보이고 있는데, 2013년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분리된 카리스마 운동 공동체가 합류하면서 주로 마야인으로 구성된 신자 수가 최대 150만 명에 달할 수 있다는 추정이 있다.[68][77] 이 지역은 카리브해 섬 및 베네수엘라와 함께 하나의 대교구를 이룬다.[78][79][80] 남아메리카에는 아르헨티나와 브라질에 총대주교 대리구가 있다.[81][82] 미국 내 시리아 정교회 신자는 약 8만 명으로 추산된다.[72]

- 유럽: 20세기 이후 경제적, 정치적 이유로 많은 시리아 정교회 신자들이 유럽으로 이주했다.[94] 주요 디아스포라 공동체는 스웨덴(약 8만 명), 독일(약 10만 명), 네덜란드(약 1만 5천 명), 영국, 벨기에, 프랑스, 룩셈부르크, 스위스, 오스트리아, 스페인 등지에 형성되어 있다.[72][95][96][97][98] 유럽에는 네덜란드의 데이로 드-모르 에프렘(1981년 설립된 유럽 최초의 시리아 정교회 수도원), 스위스 아르트의 데이로 드-모르 아우겐, 독일 바르부르크의 데이로 드-모르 야쿱 드-사루그 등 여러 수도원이 있다. 유럽의 총대주교 대리구는 벨기에, 프랑스 및 룩셈부르크[95][96], 독일[97], 네덜란드[98],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및 오스트리아, 영국에 있다.
교육 및 기관시리아 정교회는 여러 신학교와 교육 기관을 운영하고 있다.[103] 1934년 레바논 자흘레에서 설립되어 이후 이라크 모술로 이전한 성 아프렘 성직 학교는 총대주교 이그나티우스 자카 1세 이와스를 포함한 많은 교회 지도자들을 배출했다. 스웨덴과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에도 신학교가 있다. 2018년에는 시리아 다마스쿠스 인근 마라트 사이드나야에 안티오크 시리아 대학교(Antioch Syrian University)가 설립되어 공학, 경영학, 경제학 등을 가르치고 있다.[105][106] 또한, 종교 교육을 위한 국제 기독교 교육 센터(ICCE)[104]와 다마스쿠스에서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해피 차일드 하우스 프로젝트(2019년 시작) 등을 운영한다. 1990년에는 수녀들을 위한 성 야곱 바라데우스 수도회가 설립되었다.
8. 에큐메니컬 관계
시리아 정교회는 에큐메니컬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여기에는 가톨릭교회, 동방 정교회, 성공회, 동방 아시리아 교회, 그리고 다른 기독교 종파들이 포함된다. 이 교회는 1960년부터 세계 교회 협의회의 활동 회원이며, 총대주교 이그나티우스 자카 1세 이와스는 WCC의 전 회장 중 한 명이었다. 또한 1974년부터 중동 교회 협의회에도 참여하고 있다.
20세기에 들어 가톨릭교회와 공통적인 기독론 및 목회적 합의가 이루어지면서, 과거 칼케돈 공의회 이후 발생한 분열은 더 이상 이전과 같은 의미를 갖지 않게 되었다. 가톨릭교회와 오리엔트 정교회 당국 간의 여러 회의를 통해 화해 선언이 나왔는데, 대표적으로 총대주교 이그나티우스 야곱 3세와 교황 바오로 6세의 1971년 공동 성명, 총대주교 이그나티우스 자카 1세 이와스와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1984년 공동 성명이 있다. 1984년 공동 성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선언했다.
:그들의 교회 사이에 발생한 후세기의 혼란과 분열은 오늘날 그들이 깨닫듯이, 그들의 신앙의 본질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이는 용어와 문화의 차이, 그리고 동일한 문제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신학 학교에서 채택한 다양한 공식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오늘날 우리 사이에 육화 교리에 관하여 발생한 슬픈 분열과 분열의 진정한 근거를 찾지 못한다. 우리는 칼케돈 공의회 시대에 발생한 그러한 교리의 해석 차이에도 불구하고, 말과 삶 속에서 우리 주 그리스도에 관한 진정한 교리를 고백한다.[107]
칼케돈 논쟁을 일으킨 신학적 차이점은 총대주교 이그나티우스 야곱 3세와 교황 바오로 6세의 1971년 10월 27일 공동 선언에 따르면 "용어와 문화의 차이, 그리고 동일한 문제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신학 학교에서 채택한 다양한 공식에서 비롯되었다"고 설명된다. 2015년, 프란치스코 교황은 시리아 정교회를 "순교자의 교회"라고 언급하며 이그나티우스 아프렘 2세 총대주교의 교황청 방문을 환영했다.[108] 같은 해, 이그나티우스 아프렘 2세는 러시아 정교회의 모스크바 총대주교 키릴을 방문하여 1980년대 후반부터 이어져 온 양측의 신학적 대화 전망에 대해 논의했다.[109]
1998년부터 시리아 정교회의 대표들은 다른 오리엔트 정교회의 대표들과 함께 에큐메니컬 대화에 참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종교 간 대화에도 참여하고 있다.
9. 같이 보기
참조
[1]
서적
Early Syriac Theology
https://books.google[...]
CUA Press
2020-10-24
[2]
서적
The Mission and Martyrdom of St. Peter: Or, Did St. Peter Ever Leave the East? Containing the Original Text of All the Passages in Ancient Writers Supposed to Imply a Journey Into Europe, with Translations and Roman-catholic Comments ... by Thomas Collyns Simon
https://archive.org/[...]
Rivingtons
1862
[3]
웹사이트
Cave Church of St. Peter – Antioch, Turkey
http://www.sacred-de[...]
2018-03-22
[4]
뉴스
BBC – Religions – Christianity: Eastern Orthodox Church
http://www.bbc.co.uk[...]
2018-12-16
[5]
서적
Late Antiquity: A Guide to the Postclassical World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9
[6]
서적
Christianity in Iraq: Its Origins and Development to the Present Day
https://books.google[...]
Gracewing Publishing
2020-10-24
[7]
서적
In the Last Days: On Jewish and Christian Apocalyptic and Its Period
https://books.google[...]
Aarhus University Press
1994
[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 Church of Antioch
http://www.newadvent[...]
2018-12-16
[9]
간행물
CNEWA – The Syrian Orthodox Church
http://www.cnewa.org[...]
2019-03-12
[10]
간행물
Syrian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 World Council of Churches
https://www.oikoumen[...]
2019-03-12
[11]
웹사이트
https://context.reve[...]
2020-11-29
[12]
웹사이트
St. Ephrem Patriarchal Development Committee
https://www.hart-uk.[...]
2023-02-17
[13]
웹사이트
Sfar Mele – Deutsch Aramäisch Online Wörterbuch Übersetzer – Targmono
https://sfarmele.de/[...]
2023-02-12
[14]
백과사전
Syriac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23-04-13
[15]
웹사이트
Syrian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https://www.oikoumen[...]
1960-01
[16]
서적
Introducing the Orthodox Churches
https://books.google[...]
ISPCK
2020-10-24
[17]
백과사전
Saint Peter the Apostle
https://www.britanni[...]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18]
웹사이트
Saint James apostle, the Lord's brother
https://www.britanni[...]
2023-06-16
[19]
서적
Studia Aethiopica
Harrassowitz Verlag
2004
[20]
서적
Severus of Antioch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4
[21]
서적
Living Stones Pilgrimag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1999
[22]
harvard
2012
[23]
서적
The Hidden Pearl: The Syrian Orthodox Church and Its Ancient Aramaic Heritage
https://books.google[...]
Trans World Film Italia
2018
[24]
서적
A History of Eastern Christianity
https://books.google[...]
Methuen
1968
[25]
웹사이트
Syrian Orthodox Church – Full record view – Libraries Australia Search
https://librariesaus[...]
[26]
harvard
2016
[27]
서적
Absentis: St Peter, the Disputed Site of His Burial Place and the Apostolic Succession
https://books.google[...]
Xlibris Corporation
2014
[28]
서적
The lives of the saints. 12 vols. [in 15].
https://archive.org/[...]
1872
[29]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Evodius
http://www.newadvent[...]
[30]
웹사이트
Theophilus of Antioch (Roberts-Donaldson)
http://www.earlychri[...]
[31]
서적
Early Christian Art
Burns & Oates
1962
[32]
서적
Eustathius of Antioch and His Place in the History of Early Christian Doctrine
https://books.google[...]
1927
[33]
서적
The Faiths of the World: An Account of All Religions and Religious Sects, Their Doctrines, Rites, Ceremonies, and Customs
https://archive.org/[...]
A. Fullarton & Company
1858
[34]
서적
General History of the Christian Religion and Church
https://books.google[...]
Crocker & Brewster
1855
[35]
웹사이트
Severus of Antioch Greek theologian
https://www.britanni[...]
[36]
논문
The Patriarchate of Antioch: A Revision of Le Quien and the Notitia Antiochena
1947
[37]
논문
J. Lebon. Le monophysisme sévérien. Étude historique, littéraire et théologique de la résistance monophysite au concile de Chalcédoine jusqu'à la constitution de l'Église jacobite.
https://www.persee.f[...]
2019-10-18
[38]
서적
Christianity in the Middle Ages ...
https://books.google[...]
Richard Griffin
1857
[39]
서적
Sobornost
https://books.google[...]
2019-04-30
[40]
웹사이트
Patriarchal Encyclical: Permitting additions to Diptychs in Malankara – Oct 20, 1987
http://sor.cua.edu/P[...]
2019-04-30
[41]
웹사이트
Melkite :: Patriarch
http://www.melkitepa[...]
2019-10-23
[42]
웹사이트
With Wisdom and Courage, New Syriac Orthodox Patriarch Reaffirms the Church's Commitment to Syria Duke Religious Studies
https://religiousstu[...]
2019-10-24
[43]
웹사이트
Definition of BISHOP
https://www.merriam-[...]
2019-10-24
[44]
서적
The Office of the Deaconess in Orthodox Churches1 -A Historical Analysis
https://www.academia[...]
2019-10-24
[45]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Christian Worship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20-10-24
[46]
서적
The Bible in Syriac Bible
Kottayam: SEERI
[47]
서적
THE BOOK OF LIFE, KNOWLEDGE AND CONFIDENCE
https://books.google[...]
Lulu.com
2020-10-24
[48]
성경
Holy Bible: Matthew
[49]
서적
The lives of the fathers, martyrs, and other principal saints
https://books.google[...]
2020-10-24
[50]
웹사이트
CNEWA – The Syrian Orthodox Church
http://www.cnewa.org[...]
2015-02-21
[51]
서적
The Primacy of the Apostolic See, and the Authority of General Councils Vindicated. In a Series of Letters to the Rt. Rev. J. H. Hopkins
https://books.google[...]
2020-10-24
[52]
뉴스
City Youth Learn Dying Language, Preserve It
http://www.newindian[...]
The New Indian Express
2016-05-09
[53]
웹사이트
Suriyani Malayalam
http://www.nasranifo[...]
2014-06-11
[54]
뉴스
A sacred language is vanishing from State
https://www.thehindu[...]
2019-05-03
[55]
뉴스
Tiny village in Kerala one of the last bastions of Syriac in the world
https://www.indiatod[...]
2019-05-03
[56]
서적
Patrologia syriaca: complectens opera omnia ss. patrum, doctorum scriptorumque catholicorum, quibus accedunt aliorum acatholicorum auctorum scripta quae ad res ecclesiasticas pertinent, quotquot syriace supersunt, secundum codices praesertim, londinenses, parisienses, vaticanos accurante R. Graffin ...
https://books.google[...]
Firmin-Didot et socii.
2020-09-17
[57]
웹사이트
Syrian Orthodox Church: Antioch Liturgy
https://folkways.si.[...]
2023-11-06
[58]
서적
The Indian Christians of St. Thomas: Otherwise Called the Syrian Christians of Malabar: a Sketch of Their History and an Account of Their Present Condition as Well as a Discussion of the Legend of St. Thomas
Bemrose
1908
[59]
서적
The Book of Common Prayer of the Syrian Church
https://books.google[...]
Gorgias Press
2020-10-24
[60]
서적
Queen of the Sacraments: A Treatise on the Liturgy of the Holy Mass as Celebrated in the Syrian Orthodox Church
https://archive.org/[...]
St. Mary's Jacobite Syrian Orthodox Church
1991
[61]
웹사이트
TRC exhibition proposal: Faith and Attire. Vestments and embroidery within the Syriac Orthodox Church
https://www.trc-leid[...]
2019-10-24
[62]
웹사이트
Margoneetho: Syriac Orthodox Resources
https://syriacorthod[...]
2023-02-12
[63]
웹사이트
Batrashil
https://www.metmuseu[...]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19-10-24
[64]
서적
Worldmark Encyclopedia of Culture & Daily Life: Vol. 3 – Asia & Oceania
Cleveland, OH: Eastword Publications Development
1998
[65]
웹사이트
The Syriac Orthodox Church Today
http://sor.cua.edu/C[...]
2008-03-28
[66]
웹사이트
Syriac Orthodox Church of Antioch – Dictionary definition of Syriac Orthodox Church of Antioch – Encyclopedia.com: FREE online dictionary
http://www.encyclope[...]
2018-03-19
[67]
웹사이트
Syrian Orthodox Patriarchate of Antioch and All the East — World Council of Churches
https://www.oikoumen[...]
2018-03-19
[68]
웹사이트
Kungaparet tog emot Syrisk-ortodoxa kyrkans patriark - Sveriges Kungahus
https://www.kungahus[...]
2021-12-26
[69]
서적
[70]
뉴스
Reclaiming Syriac heritage: A village in Turkey finds its voice
http://america.aljaz[...]
2019-10-31
[71]
웹사이트
Refworld – World Directory of Minorities and Indigenous Peoples – Turkey: Syriacs
http://www.refworld.[...]
2015-06-06
[72]
웹사이트
Unitarian/Unitarian Universalist, continued...
http://adherents.com[...]
2015-03-05
[73]
웹사이트
Our Archbishop
http://syrianorthodo[...]
2016-11-01
[74]
웹사이트
Appointment of Dionysius Jean Kawak
https://stspeterandp[...]
2016-05-10
[75]
웹사이트
Archbishop Clemis Eugene Kaplan, Member of the Suryoyo Hall of the Shame
https://web.archive.[...]
[76]
웹사이트
Our church worldwide
https://web.archive.[...]
[77]
논문
The emergence of a Syriac Orthodox Mayan Church in Guatemala
2019-07-03
[78]
웹사이트
NOTICIAS DE MARZO 2012
http://www.icergua.o[...]
[79]
웹사이트
Orthodoxy in Guatemala
https://orthodox-ins[...]
[80]
웹사이트
Yacoub Eduardo Aguirre Oestmann – Names – Orthodoxia
http://www.orthodoxi[...]
[81]
웹사이트
New Archbishop for Syriac Orthodox Church Enthroned in Argentina
http://theorthodoxch[...]
2013-04-10
[82]
웹사이트
Igreja Sirian Ortodoxa de Antioquia no Brasil
https://igrejasirian[...]
[83]
웹사이트
Kiliseler – Manastırlar
https://mardin.ktb.g[...]
[84]
웹사이트
İstanbul – Ankara Süryani Ortodoks Metropolitliği
http://www.suryanika[...]
[85]
뉴스
King receives Patriarch of Antioch and head of Syriac Orthodox Church
http://www.jordantim[...]
2019-04-10
[86]
뉴스
Consecration of Archbishop Patriarchal Vicar for Jerusalem
https://web.archive.[...]
Malankara Archdiocese of the Syriac Church in North America
2019-04-10
[87]
서적
Journal of Kerala Stud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Kerala.
2010
[88]
서적
Proceedings
https://books.google[...]
1959
[89]
웹사이트
The Constitution of the Malankara Orthodox Church
https://mosc.in/admi[...]
[90]
웹사이트
Valipapally, St. Mary's Knanaya Church, Pilgrim Centre, Kottayam, Kerala, India Kerala Tourism
https://www.keralato[...]
[91]
서적
The Christians of Kerala: A Brief Profile of All Major Churches
https://books.google[...]
A.K. Thomas
1993
[92]
웹사이트
Ministry Of Corporate Affairs – societiesregistrationact
http://www.mca.gov.i[...]
[93]
뉴스
പൗരസ്ത്യ സുവിശേഷ സമാജം ജനറൽ കൺവൻഷൻ തുടങ്ങി
https://localnews.ma[...]
[94]
서적
Orthodox Identities in Western Europe: Migration, Settlement and Innovation
https://books.google[...]
Ashgate Publishing, Ltd.
2014
[95]
웹사이트
Reception in the honor of His Holiness in Brussels
http://syriacpatriar[...]
2017-09-07
[96]
웹사이트
The Holy Virgin Mary Church, Montfermeil, France
http://sor.cua.edu/C[...]
2005-11-23
[97]
웹사이트
Warburg, Syrisch-orthodoxes Kloster – Klosterorte – Klöster – Kulturland Kreis Höxter
https://www.kulturla[...]
[98]
뉴스
Duizenden Syrisch-Orthodoxen vieren Pasen in Glane
https://www.rtvoost.[...]
[99]
웹사이트
LEGISLATIVE COUNCIL NOTICE PAPER NSW
https://www.parliame[...]
[100]
웹사이트
HE Archbishop Mor Malatius Malki thank you letter to ACM Australian Coptic Movement (ACM)
https://web.archive.[...]
[101]
웹사이트
Home St Peter's
https://www.stpeters[...]
[102]
웹사이트
Mor Militius Malki Malki
http://soc-wus.org/o[...]
[103]
웹사이트
Orthodox Christian Educational Institutions (OCEI) – Orthodoxy Cognate PAGE – Society
http://theorthodoxch[...]
[104]
웹사이트
Christian Education
https://syriacpatria[...]
2015-02-22
[105]
웹사이트
Antioch Syrian University
http://asu.edu.sy/en[...]
[106]
웹사이트
Despite adversities, Antioch Syrian University opens doors of hope
https://www.oikoumen[...]
2023-02-12
[107]
문서
From the common declaration of Pope John Paul II and Patriarch Ignatius Zakka I Iwas
1984-06-23
[108]
뉴스
Pope, Orthodox patriarch express commitment for unity
https://www.ncronlin[...]
2015-06-19
[109]
웹사이트
His Holiness Patriarch Kirill meets with Patriarch of the Syriac Orthodox Church
https://mospat.ru/en[...]
2023-02-12
[110]
서적
Syrian Orthodox Church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111]
서적
シリア正教会
教文館
2017
[112]
온라인 백과사전
シリア正教会
https://kod.kenkyush[...]
研究社
[113]
서적
シリア正教会
岩波書店
2002
[114]
온라인 백과사전
ヤコブ・バラダイオス
https://kotobank.jp/[...]
平凡社
[115]
온라인 백과사전
メルキト教会, ヤコブ教会
https://kod.kenkyush[...]
研究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