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용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용길은 대한민국의 화학자이자 대학교수이다. 당진에서 태어나 동국대학교에서 이학사, 이학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유타 대학교에서 생체재료 관련 연구로 이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부산대학교 교수를 거쳐 동국대학교 화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과학관장, 학장 등 주요 보직을 역임했다. 대한화학회, 한국고분자학회, 한국생체재료학회 등에서 활동했으며, 5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하고 다수의 저서를 출판했다. 정년 후에도 노벨과학상 강연과 학생 지도를 이어갔으며, 유타대학교 한인동문회 회장을 역임했다.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출생하여 송산면 송석리에서 한학자였던 조부 성낙주로부터 천자문 등 한문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송산초등학교와 면천중학교에서 신영훈, 정광우와 함께 황의돈 선생을 사사하였다.
성용길은 대한화학회, 한국고분자학회, 한국생체재료학회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대한화학회 고분자화학분과회 회장, 한국고분자학회 회장, 한국생체재료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미국화학회, 일본화학회, 일본고분자학회 등 세계적인 학회에 참여하였다. The World Biomaterials Congress, Fellow Award(1997)를 수상했다. 또한, 전무식 박사와 함께 유라시아학회 주관 The EurAsia International Chemical Congress 학술분과위원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이사(한국고분자학회장), 한국화학관련연합회 창립총회 부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재경당진군민회 회장, 당진시 교수 고문자문단 단장을 역임하였다.
2. 생애
1957년 당진상업고등학교(현재의 당진정보고등학교) 인문과에서 손낙철 선생(화학 담당)의 지도를 받아 동국대학교 문리과대학 화학과에 우수 장학생으로 수석 입학하여 총장상을 받고 졸업하였다. 동국대학교에서 이학사(1964)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무식 교수의 물리화학 교육과 장세헌, 안운선 교수의 논문지도로 이학석사(1968) 학위를 받았다. 가톨릭의과대학교에 연구조교로 근무하던 중, 미국 유타 대학교와 버지니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던 전무식 교수가 귀국하면서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액체화학연구실 연구위원으로 위촉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후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교수로 근무하던 중 부산대학교에서 이학박사(1975) 학위를 받았다.
유타 대학교 대학원 재료공학과에서 생체재료(Biomaterials)에 관한 연구로 이공학박사(1978) 학위를 받았다. 유타 대학교에서 Joseph D. Andrade 교수를 지도교수로, Henry Eyring 박사를 논문심사위원장으로 하여 고분자 생체 재료 연구를 수행했다. 박사후 연구원으로 유타대학교 석좌교수 Sung Wan Kim 박사의 유타대학교 약학대학 CCCD연구소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귀국해서 부산대학교에 돌아와 학부 및 대학원 학생들을 지도하여 수십 명의 졸업생, 교수와 연구원을 배출하였다. 신기석 총장 당시 신임 교수 생활을 시작하여 성실히 수행하고, 윤천주 총장 시절에 서울 동국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교수로 초빙 되어 상경 근무하게 되었다. 서울 동국대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교육 뿐만 아니라 과학관장, 기획조정실장, 이과대학 학장, 대학원 학감 등의 행정 관리직에도 참여하여 그 직책을 충실히 수행하였다.
2. 1. 유년 시절 및 학창 시절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출생하여 송산면 송석리에서 한학자였던 조부 성낙주로부터 천자문 등 한문 교육을 받으며 성장했다. 송산초등학교와 면천중학교에서 신영훈, 정광우와 함께 황의돈 선생을 사사하였다.
1957년 당진상업고등학교(현재의 당진정보고등학교) 인문과에서 손낙철 선생(화학 담당)의 지도를 받아 동국대학교 문리과대학 화학과에 우수 장학생으로 수석 입학하여 총장상을 받고 졸업하였다. 동국대학교에서 이학사(1964)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원에 진학하여 전무식 교수의 물리화학 교육과 장세헌, 안운선 교수의 논문지도로 이학석사(1968) 학위를 받았다. 가톨릭의과대학교에 연구조교로 근무하던 중, 미국 유타 대학교와 버지니아 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던 전무식 교수가 귀국하면서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 액체화학연구실 연구위원으로 위촉되어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후 부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교수로 근무하던 중 부산대학교에서 이학박사(1975) 학위를 받았다.
유타 대학교 대학원 재료공학과에서 생체재료(Biomaterials)에 관한 연구로 이공학박사(1978) 학위를 받았다. 유타 대학교에서 Joseph D. Andrade 교수를 지도교수로, Henry Eyring 박사를 논문심사위원장으로 하여 고분자 생체 재료 연구를 수행했다. 박사후 연구원으로 유타대학교 석좌교수 Sung Wan Kim 박사의 유타대학교 약학대학 CCCD연구소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2. 2. 대학교수 시절
성용길은 부산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다가 윤천주 총장 시절에 동국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 교수로 초빙되어 상경 근무하게 되었다. 동국대학교에서 과학관장, 기획조정실장, 이과대학 학장, 대학원 학감 등의 행정 관리직을 역임하였다.
3. 학술 활동 및 업적
5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도서출판 한림원에서 "성용길 교수 화갑기념 논문집"을 출간하였다. 2001년에는 한양대학교에서 "기능성 고분자 신소재의 합성과 물성"에 관한 60회 생일 기념 국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물리화학"을 비롯한 10여 권의 교재 및 전문 서적을 출판하였고,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한상준, 조원호와 공저로 "고분자물성론"을 출판했다.
동국대학교 이과대학 화학과에서 과학관 관장, 이과대학장, 대학원 학감 등을 역임하고 교수를 거쳐 명예교수가 되었다. 정년 후에도 국내외 각 대학이나 교육계에서 노벨과학상 강연을 100여 회 진행하며, 노벨과학상 후보들을 발굴하는데 매진하여 왔다. "노벨과학상 이야기'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학생들에게 교육 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과학 강연과 함께 그룹 멘토링을 통해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전문 연구 위원으로 과학기술정보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고,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KASSE)를 조직하여 이충희 회장과 함께 시니어로서 학생 교육과 산업 기술 지도에 힘썼다. 중소기업체 애니테이프㈜와 애니헬스케어㈜ 등에 기술 지도 자문을 하는 등 국내외 중소 기업체에도 자문하였다.
2022년 12월 1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유타 대학교 동문회 정기 총회에서 유타대학교 한인동문회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인천 송도)에 동창회 사무실 본부를 두고, 동창회 회무와 친목을 도모하고 있다. 유타대학교 한인동문회 회원으로 600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전임 회장(초대 회장 김각중 박사, 2대 회장 이용태 박사, 3대 회장 김세영 박사)의 뒤를 이어 현재 회장으로 있다. 2011년에는 Who’sWho in the World 28판 2551쪽에 등재되었다(Sung Yong Kiel, Ph.D.영어).
3. 1. 국내 학회 활동
성용길은 대한화학회, 한국고분자학회, 한국생체재료학회에서 주로 활동하였다. 대한화학회 고분자화학분과회 회장, 한국고분자학회 회장, 한국생체재료학회 회장을 역임하였다.
3. 2. 국제 학회 활동
미국화학회, 일본화학회, 일본고분자학회 등 세계적인 학회에 참여하였다. The World Biomaterials Congress, Fellow Award(1997)를 수상했다. 또한, 전무식 박사와 함께 유라시아학회 주관 The EurAsia International Chemical Congress 학술분과위원장을 역임하였다.
3. 3. 기타 활동
한국과학기술총연합회 이사(한국고분자학회장), 한국화학관련연합회 창립총회 부회원으로 활동하였다. 재경당진군민회 회장, 당진시 교수 고문자문단 단장을 역임하였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전문 연구 위원으로 활동하였고,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KASSE)를 조직하여 이충희 회장과 협력하였다. 중소기업체 기술 지도 자문을 맡았다. 유타 대학교 한인동문회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3. 4. 저서 및 논문
성용길은 5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도서출판 한림원에서 "성용길 교수 화갑기념 논문집"을 출간하였다. 2001년에는 한양대학교에서 "기능성 고분자 신소재의 합성과 물성"에 관한 60회 생일 기념 국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물리화학"을 비롯한 10여 권의 교재 및 전문 서적을 출판하였고, 서울대학교 출판부에서 한상준, 조원호와 공저로 "고분자물성론"을 출판했다.
3. 5. 정년 후 활동
성용길은 정년 후에도 국내외 각 대학이나 교육계에서 노벨과학상 강연을 100여 회 진행하며, 노벨과학상 후보들을 발굴하는데 매진하여 왔다. "노벨과학상 이야기'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학생들에게 교육 자료로 제공되고 있다. 과학 강연과 함께 그룹 멘토링을 통해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전문 연구 위원으로 과학기술정보 관련 업무를 담당하였고, 한국시니어과학기술인협회(KASSE)를 조직하여 이충희 회장과 함께 시니어로서 학생 교육과 산업 기술 지도에 힘썼다. 중소기업체 애니테이프㈜와 애니헬스케어㈜ 등에 기술 지도 자문을 하는 등 국내외 중소 기업체에도 자문하였다.
2022년 12월 1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유타대학교 동문회 정기 총회에서 유타대학교 한인동문회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유타대학교 아시아캠퍼스(인천 송도)에 동창회 사무실 본부를 두고, 동창회 회무와 친목을 도모하고 있다. 유타대학교 한인동문회 회원으로 600여 명의 회원을 확보하고 있으며, 전임 회장(초대 회장 김각중 박사, 2대 회장 이용태 박사, 3대 회장 김세영 박사)의 뒤를 이어 현재 회장으로 있다. 2011년에는 Who’sWho in the World 28판 2551쪽에 등재되었다(Sung Yong Kiel, Ph.D.).
4. 수상 및 영예
동국대학교 총장상(1964), 대한화학회 기획간사 감사장(1989), 대한민국 과학기술처 장관 연구개발상(1990)을 수상하였다. 한국생체재료학회 창립공로감사패(1996), 당진정보고등학교장 동창회장 공로감사패(1997), 참사랑 열린교육 발전기금조성 공로패(1997), 신성대학이사장 공로감사패(1998), 자랑스런 당진인상(1998)을 수상하였다. 한국고분자학회 회장 공로감사패(2000), 동국대학교 연구실적 우수상장(2000), 대한화학회 고분자화학분과회장 업적 공로패(2001), 동국대학교 20년 근속표창(2001)을 수상하였다. 대한민국 대통령 교육공로표창장(2005), 대한민국 녹조근정훈장(2006), 서울특별시교원단체총연합회 교육공로표창장(2006)을 수상하였다. 노벨사이언스 과학대상(2018), 노벨사이언스포럼 공로 감사장(2019)을 수상하였다. 한국노벨과학상수상후보발굴위원회 위원(2021), 한국생체재료학회 덴티움학술상(2021), (사)과학키움노벨상후보발굴위원회 화학 분야 위원장(2021)을 역임하였다. Springer-Nature Biomaterials Research Award(2022)를 수상하였다. Who’sWho in the World (2011) 28th Edition p.2551에 등재되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