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어리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셰어리즘은 아이작 마오가 처음 사용한 용어로, 온라인 정보 공개 모델과 인간 두뇌 신경 네트워크의 공개 배포 모델을 비교 분석한 데서 유래했다. 공유를 통한 자율권 부여를 강조하며, 특히 중국의 개방형 웹 활성화와 인터넷 검열 방지에 집중되어 있다. 래리 레식과 어우 닝은 셰어리즘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으며, 셰어리즘 연구소 설립을 통해 이론과 실천적 배경을 제공하려 했다. 셰어리즘 이벤트와 워크숍이 전 세계적으로 개최되었으며, "Sharism Presents"와 같은 행사들이 열렸다. 기술 혁신에 대한 맹신과 공유 가치의 귀속 문제 등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공유 - 일국 방안
일국 방안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을 위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하나의 국가를 형성하는 방안으로, 두 국가 해법의 대안으로 부상하여 찬반 논쟁과 함께 다양한 관점과 평가가 제시되고 있다. - 카피레프트 - 바이러스성 라이선스
바이러스성 라이선스는 원저작물의 라이선스가 2차적 저작물에도 적용되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용어로, 카피레프트 라이선스가 적용된 소프트웨어가 다른 소프트웨어에 포함될 경우 전체가 동일한 라이선스의 제약을 받게 되는 '전염성'을 가지며, 이는 소프트웨어의 자유를 옹호하는 측에서는 긍정적으로, 독점적인 개발자들은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상호 운용성, 법적 해석, 라이선스 호환성 문제 등 다양한 논의를 낳는다. - 카피레프트 -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
GNU 약소 일반 공중 사용 허가서(LGPL)는 GPL과 달리 비(L)GPL 프로그램에 저작물을 링크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자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로, 자유 및 사유 소프트웨어에 적용 가능하며 특정 조건 하에 배포를 허용하고, 라이브러리 사용 프로그램이 LGPL의 새 버전과 링크될 수 있도록 공유 라이브러리나 소스 코드 제공 방법을 활용한다.
셰어리즘 | |
---|---|
개요 | |
유형 | 사회 운동 |
특징 | 공동체 내 공유 |
2. 용어의 역사
아이작 마오는 "셰어리즘: 마음 혁명"이라는 에세이에서 온라인 정보의 공개 배포 모델과 인간 두뇌 신경 네트워크의 공개 배포 모델을 비교 분석하며 셰어리즘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다.[14][2] 그는 공유를 통한 자율권 부여 과정이 사회적 관계를 재고하는 공통적인 방법이라고 주장한다.[3] 셰어리즘은 특히 중국에서 개방형 웹 활성화와 인터넷 검열 방지에 집중되어 있다.[15][4]
래리 레식과 어우 닝은 셰어리즘 용어와 실천의 선구자로 알려져 있다. 2010년 베이징에서 열린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강연에서 래리 레식은 중국의 창조 산업과 지적 재산권 분야의 열린 마음과 혁명을 언급하며 셰어리즘을 언급했다.[16][5] 2010년 상하이 비엔날레 전시회 "Get it Louder"에서 어우 닝은 큐레이터로서 셰어리즘을 주제로 선택하였다.[17][18][6][7][8] 어우 닝은 셰어리즘을 공적과 사적인 영역 사이에 점차 복잡하게 연결된 관계를 탐색하는 하나의 "인터넷 용어"라고 설명했다.[19][9] 2012년 셰어리즘 연구소는 현실 세계에서의 적용을 위한 이론과 실천적 배경을 제공하고자 창립되었다.[20][10]
3. 주요 개념 및 특징
3. 1. 뇌 과학과의 연관성
3. 2. 현실 세계에서의 적용
4. 이벤트 및 활동
사람들이 만나서 각자 좋아하거나 생산한 것들을 나누고 공유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의 셰어리즘 이벤트가 만들어졌다. 2010년 10월 상하이 "Get it louder" 페스티벌에서 개최된 셰어리즘 포럼에서는 국제 발언가와 실습가 및 활동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셰어리즘에 대한 생각을 나누며 토론의 시간을 가졌다.[21]
"Sharism Presents" 이벤트는[22] 청중과 함께 그들이 원하는 무엇이든 공유하도록 비공식적인 자리를 제공한다. 2010년 이래로 "Sharism Presents" 이벤트는 암스테르담[23], 상하이[24], 베이징[25], 마드리드[26], 바르셀로나,[27] 브뤼셀[28], 베를린[29], 몬트리올[30], 싱가포르[31], 홍콩[32], 도쿄[33], 서울[34] 등 전 세계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베이징, 도하[35] 및 월소우 등[36] 도시에서 열린 바 있는 셰어리즘 워크숍은[37] 음악가와 디지털 예술가와 디자이너 등 각종 예술계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나눔이라는 행위를 통한 공동의 생산물을 위한 틀을 제공한다. "Sharing Agreement"는[38] 점차 복잡해지는 라이선스와 관련된 일을 위하여 만들어졌다.
5. 비판
일부 학자들은 기술의 혁신적인 힘에 대한 무비판적인 믿음의 부정적인 측면을 지적한다. 사용자 제작 콘텐츠는 "패배자 제작 콘텐츠"로 재해석될 수 있는데, 이는 공유의 가치가 종종 퍼블릭 도메인이 아닌 회사에 귀속되기 때문이다.[11] 예술계에서는 셰어리즘의 위험성이 존재하며, 이는 사람들이 현대적인 것은 언제나 아방가르드(문학・예술에서 전위적인 사상)적이어야 한다고 믿게 유도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39][12]
6. 한국 사회에 대한 시사점
6. 1. 한국의 셰어리즘 관련 사례
참조
[1]
웹사이트
Sharism: The more you share, the more you receive
http://www.slideshar[...]
2010-10-12
[2]
웹사이트
Sharism: A Mind Revolution
http://freesouls.cc/[...]
[3]
서적
Freesouls Captured and Released by Joi Ito
Freesouls.cc
2008-12-12
[4]
웹사이트
We Share. We Do Not Censor
http://www.we-magazi[...]
2012-05-24
[5]
연설
Openness and Innovation - 开放与创新
http://creativecommo[...]
2010-11-14
[6]
웹사이트
Get It Louder: Sharism Forum Introduction
http://2010.getitlou[...]
[7]
웹사이트
"Get It Louder" Exhibition Blasts Beijing and Shanghai with Contemporary Art
http://www.artinfo.c[...]
2012-09-19
[8]
웹사이트
Get It Louder: China's Most Influential and {{sic|hide=y|Closely|-}}Watched Exhibition of Emerging, Young Talent
http://www.artdaily.[...]
2012-05-24
[9]
웹사이트
Ou Ning on Get it Louder – new voice in China's visual arts scene
http://artradarjourn[...]
2012-05-24
[10]
웹사이트
Sharism Lab
http://sharismlab.co[...]
[11]
웹사이트
Loser Generated Content: from participation to exploitation
http://www.firstmond[...]
[12]
웹사이트
Interpreting Theory: Two Models For Importation
http://leapleapleap.[...]
[13]
웹인용
Sharism: The more you share, the more you receive
http://www.slideshar[...]
2012-05-28
[14]
서적
Freesouls Captured and Released by Joi Ito
Freesouls.cc
2008-12-12
[15]
웹인용
We Share. We Do Not Censor
http://www.we-magazi[...]
2012-05-24
[16]
연설
Openness and Innovation - 开放与创新
http://creativecommo[...]
2010-11-14
[17]
웹인용
Get It Louder 2010
http://www.getitloud[...]
2012-05-24
[18]
웹인용
Get It Louder: China's Most Influential and {{sic|hide=y|Closely|-}}Watched Exhibition of Emerging, Young Talent
http://www.artdaily.[...]
2012-05-24
[19]
웹인용
Ou Ning on Get it Louder – new voice in China’s visual arts scene
http://artradarjourn[...]
2012-05-24
[20]
웹인용
Sharism Lab
http://sharismlab.co[...]
2016-08-19
[21]
웹인용
Sharism Forum: Shanghai
http://sharism.org/e[...]
2012-08-13
[22]
웹인용
Sharism Presents
http://sharism.org/e[...]
2012-05-28
[23]
웹인용
Sharism Presents: Amsterdam
http://sharism.org/p[...]
2012-08-13
[24]
웹인용
Sharism Presents: Shanghai
http://sharism.org/p[...]
2012-08-13
[25]
웹인용
Sharism Presents: Beijing
http://sharism.org/e[...]
2012-08-13
[26]
웹인용
Sharism Presents: Madrid
http://sharism.org/e[...]
2012-08-13
[27]
웹인용
Sharism Presents: Barcelona
http://sharism.org/e[...]
2012-08-13
[28]
웹인용
Sharism Presents: Brussels
http://sharism.org/e[...]
2012-08-13
[29]
웹인용
Sharism Presents: Berlin
http://sharism.org/e[...]
2012-08-13
[30]
웹인용
Sharism Presents: Montreal
http://sharism.org/e[...]
2012-08-13
[31]
웹인용
Sharism Presents: Singapore
http://sharism.org/e[...]
2012-08-13
[32]
웹인용
Sharism Presents: Hong Kong
http://sharism.org/e[...]
2012-08-13
[33]
웹인용
Sharism Presents: Tokyo
http://sharism.org/e[...]
2012-08-13
[34]
웹인용
Sharism Presents: Seoul
http://sharism.org/e[...]
2012-08-13
[35]
웹인용
Sharism Workshops
http://sharism.org/e[...]
2012-05-28
[36]
웹인용
Sharism Workshop: Doha
http://sharism.org/e[...]
2012-08-13
[37]
웹인용
Sharism Workshop: Warsaw
http://sharism.org/e[...]
2012-08-13
[38]
웹인용
The Sharing Agreement
http://sharism.org/e[...]
2012-05-28
[39]
웹사이트
Interpreting Theory: Two Models For Importation
http://leapleaplea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