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요시유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 요시유키는 1716년 쓰시마 후추번의 6대 번주 소 요시노부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1732년 쓰시마 후추번의 8대 번주가 되었으며, 재정 악화와 재해로 인해 검약령을 내리고 가신들의 지행차상(知行借上)을 강화하는 등 번정 개혁을 시도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1752년 천연두로 사망했으며, 그의 뒤는 동생이자 양자인 소 요시시게가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시마 후추번주 - 소 요시토시
소 요시토시는 아즈치모모야마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쓰시마 후추번의 초대 번주이며, 임진왜란과 정유재란에 참전했고, 조선과의 국교 회복에 힘써 기유약조를 체결하여 단절되었던 조선과의 관계를 복원하는 데 기여했다. - 쓰시마 후추번주 - 소 요시나리
소 요시나리는 1604년에 태어나 1657년에 사망한 쓰시마 후추번의 2대 번주이며, 오사카 전투에 참전하고 반쇼인을 창건했으며, 조선 표류민을 송환하는 등 번정 안정에 힘썼다. - 1716년 출생 - 에티엔 모리스 팔코네
18세기 프랑스의 조각가 에티엔 모리스 팔코네는 르무아네의 제자가 되어 왕립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고, 대리석 및 도자기 조각상으로 명성을 얻었으며, 러시아에서 표트르 1세의 기마상을 제작하고 예술 이론에도 기여했지만 과장된 경향으로 비판받기도 했다. - 1716년 출생 - 원매 (청나라)
원매는 청나라 중기의 시인이자 미식가, 수필가로 자연의 성정을 중시하는 성령설을 주창하여 새로운 시풍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으며, 은거 생활을 하며 수원식단, 자불어, 수원시화 등 다양한 저술을 남기고 여성 문학을 옹호하며 여제자들을 길러내는 등 진보적이면서도 데카당스적인 면모를 보였다. - 1752년 사망 - 정상기
정상기는 조선 후기의 실학자이자 지리학자로, 이익의 제자로서 경세치용학파의 중심 인물이었으며, 정확한 측량법을 이용한 지도 제작과 조선 전역을 답사하여 제작한 팔도도로 조선 시대 지리학 발전에 기여했다. - 1752년 사망 - 쇼케이왕
쇼케이왕은 쇼에키왕의 아들이자 쇼보쿠왕의 아버지이며, 키코에오오기미 모씨 콘코를 어머니로, 키코에오오기미 바씨 진시쯔를 왕비로 두고 쇼씨 칸시쯔, 쇼씨 준세이, 쇼씨 쟈쿠쇼, 쇼보쿠왕, 쇼와(윤탄자왕자 쵸켄)를 가족으로 두었다.
소 요시유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명 | 소 씨(宗氏) |
이름 | 소 요시유키(宗 義如) |
가명 | 야이치(弥一, 아명), 요시유키(義如) |
출생 | 교호(享保) 원년 10월 8일(양력 1716년 12월 1일) |
사망 | 호레키(宝暦) 2년 1월 5일(양력 1752년 2월 19일) |
묘소 | 일본 나가사키현(長崎県) 쓰시마시(対馬市) 고쿠분(国分) 반쇼인(万松院) |
계명 | 원경원전정공묘인대거사(円鏡院殿正空妙因大居士) |
정치 정보 | |
번 | 쓰시마후추 번(府中蕃) |
번주 대수 | 8대 |
번주 임기 | 1732년 ~ 1752년 |
관위 | 종4위하(従四位下), 형부대보(刑部大輔), 시종(侍従), 쓰시마노카미(対馬守) |
주군 | 도쿠가와 요시노부(徳川吉宗), 이에시게(家重) |
막부 | 에도 막부(江戸幕府) |
가문 정보 | |
씨족 | 소 씨(宗氏) |
아버지 | 소 요시노부(宗義誠) |
어머니 | 히구치 사네미네(樋口真峯)의 딸 ・ 다케(竹, 센주인仙寿院) |
양아버지 | 소 미치히로(宗方熈) |
형제 | 소 요시유키, 소 요시시게(義蕃) |
배우자 | 정실: 호소카와 노부유키(細川宣紀)의 딸 ・ 기와(喜和, 교안인香厳院) 측실 : 무라에 반야(村江半弥)의 딸 ・ 소부(掃部), 하야타 사고에몬(早田佐五衛門)의 딸, 이로(イロ), 사에키 이치자에몬(佐伯市左衛門)의 누나, 쓰치다 고헤이타(土田宇平太)의 누이동생, 데라오 도쿠사이(寺尾徳斎)의 누나, 쓰루오카 주베(鶴岡忠兵衛)의 누이동생 |
자녀 | 요시카타(如式, 장남), 요시나가(義暢), 효 요시야스(俵如泰, 4남), 아사이 요시히데(浅井如英, 5남), 히구치 나가토모(樋口暢朝, 6남), 히구치 나가히데(樋口暢英, 7남), 아사이 나가카타(浅井暢謙, 8남) 양자: 소 요시시게(義蕃) |
2. 생애
당시 조선과의 교역이 쇠퇴하면서 쓰시마 번의 재정은 악화되고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교호 17년(1732년)과 19년(1734년)에 큰 화재까지 발생하여 재정난은 더욱 심각해졌다. 이에 번주 요시유키는 아버지 요시노부가 시행했던 검약령을 다시 내리고, 엔쿄 4년(1747년)에는 가신(家臣)의 지행차상(知行借上)을 강화하는 등 재정 개혁에 힘썼다. 또한 번의 가로(家老)를 막부에 보내 보조금 지원을 요청하여 해마다 10000JPY을 받게 되었으나, 이 보조금은 간엔 3년(1750년)에 중단되었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엔쿄 4년(1747년)에는 고소(強訴)가 발생하는 등 개혁은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결국 호레키 2년(1752년) 1월 5일, 요시유키는 당시 쓰시마에서 유행하던 천연두에 걸려 37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그의 뒤는 동생이자 양자인 요시시게가 이었다.[3]
2. 1. 초기 생애 및 가독 상속
교호(享保) 원년(1716년) 10월 18일, 6대 번주 소 요시노부(宗義誠)의 장남으로 태어났다.한국의 《증정교린지》 권6에 따르면, 조선 영조 2년 병오(1726년) 쓰시마 후추번은 조선 조정을 향해 "관백 길종(吉宗,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이 저군(儲君)을 세우고[1] 대마도주 의성(義成, 소 요시노부)이 대마도에 돌아와 아들을 낳았다"고 전하며 조선 조정에 문위행 사절단을 청하였다고 적고 있다. 실제로는 이 해에 소 요시유키는 10세(만 9세)의 나이로 원복을 행한 것이었다. 당시 조선 조정은 쓰시마 도주가 저군(후계자)을 세웠다는 이유로 문위행을 청하는 전례는 없음을 들어 거절하였으나, 쓰시마 후추번에서는 재차 번주가 아들을 얻은 것에 대한 경사를 치하해달라고 졸랐다. 이에 조선 조정은 그들로 하여금 조선의 은덕에 감동을 받도록 한다는 명분으로 당상 이석린(李碩麟)과 당하 최한진(崔漢鎭)을 보내어 경사를 치하하도록 하였다.[2]
교호 15년(1730년) 아버지 요시노부가 에도로 가던 길에 오사카에서 급서하였는데, 당시 요시유키는 나이가 너무 어려서 가독(家督)을 이어받을 수 없다는 이유로 삼촌 소 미치히로(方熙)가 가독을 이었다. 이듬해 5월에 요시유키는 삼촌의 양자가 되었고, 12월에 종4위하 형부대보(刑部大輔)에 서위 및 임관되었다. 교호 17년(1732년) 9월 11일에 삼촌이자 양아버지인 미치히로가 은거를 결정하면서 가독을 이어받아 쓰시마 후추 번 8대 번주가 되었고, 쓰시마노카미(対馬守)가 되었다. 그해 12월에 시종으로 임관되었다. 쓰시마노카미와 시종은 모두 쓰시마 후추번의 역대 번주와 소 씨 당주들이 대대로 임명되어 오던 관직이었다.
한국의 《변례집요》에는 영조 8년(1732년) 10월에 관수왜(초량왜관의 책임자)로부터 "경술년(1730년)에 도주 평의성(平義誠)이 죽은 후에 그 아들은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과연 승습하지 못했고, 그 동생 평방희(平方熙)를 우선 권찰(權察)로 삼았다."고 전해져, 미치히로가 그의 조카인 요시유키가 장성하기 전까지의 징검다리 역할로써 쓰시마 도주로 취임했다는 것은 조선 조정에서도 알고 있었다. 또한 관수왜는 "평방희(소 미치히로) 및 미일(彌一, 야이치 즉 소 요시유키의 아명)은 모두 에도(江戶)에 있었는데, 관백(關白, 쇼군 요시노부)이 미일의 용모를 보고 특별히 가상하게 여겨 4품 대부(大夫)의 직위를 내리고 이름을 의여(義如, 요시유키)로 바꾸어 훗날 승습할 수 있는 바탕을 만들었다. 평방희가 병약해서 여러 차례 (쓰시마 도주의) 직책을 사양하자 관백이 부득이 그 말을 따라 평방희를 특별히 민부대보(民部大輔)의 직에 제수한 후에 물러나 쉬도록 하였고, 미일(야이치)이 곧바로 승습하였다."고 적고 있다.[3]
미치히로의 은거와 요시유키의 번주 취임은 조선에도 알려져, 조선 조정은 문위행 사절단으로 당상 김현문(金顯門)과 당하 박춘서(朴春瑞)를 파견하였다.[4] 또한 조선 영조 14년/겐분(元文) 3년(1738년) 쇼군 요시노부의 손자(훗날의 도쿠가와 이에하루)의 탄생(1736년) 및 이에 대한 축하를 위해 에도로 갔던 소 요시유키의 쓰시마 귀환(1737년 5월 13일)을 계기로 당상 박춘서와 당하 김정균(金鼎均) 등 75명으로 편성된 문위행을 다시금 쓰시마로 파견하였다. 이때 문위행은 영조 14년(1738년) 8월 24일에 쓰시마로 건너가 9월 5일부터 10월 29일까지 후추에 머물렀다.[5]
2. 2. 조선과의 관계
1716년 (조선 숙종 42년), 6대 번주 소 요시노부(宗義誠)의 장남으로 태어났다.한국의 《증정교린지》권6에 따르면, 영조 2년(1726년) 쓰시마 후추번은 조선 조정을 향해 "관백 길종(吉宗,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이 저군(儲君)을 세우고[1] 대마도주 의성(義成, 소 요시노부)이 대마도에 돌아와 아들을 낳았다"고 전하며 문위행 사절단을 청하였다. 그러나 실제로는 이 해에 소 요시유키는 10세(만 9세)의 나이로 원복을 행한 것이었다. 당시 조선 조정은 쓰시마 도주가 저군(후계자)을 세웠다는 이유로 문위행을 청하는 전례는 없음을 들어 거절하였으나, 쓰시마 후추번은 재차 번주가 아들을 얻은 것에 대한 경사를 치하해 달라고 요청했다. 조선 조정은 이 요청을 조선의 은덕에 감동을 받도록 한다는 명분으로 수용하여, 당상 이석린(李碩麟)과 당하 최한진(崔漢鎭)을 보내 경사를 치하하도록 하였다.[2]
1730년 아버지 요시노부가 에도로 가던 길에 오사카에서 급서하였는데, 당시 요시유키는 나이가 어려 가독(家督)을 이어받을 수 없었다. 이 때문에 삼촌 미치히로(方熙)가 가독을 이었고, 이듬해 5월에 요시유키는 삼촌의 양자가 되었다.
한국의 《변례집요》에는 영조 8년(1732년) 10월에 관수왜(초량왜관의 책임자)로부터 "경술년(1730년)에 도주 평의성(平義誠)이 죽은 후에 그 아들은 나이가 어리기 때문에 승습하지 못했고, 그 동생 평방희(平方熙)를 우선 권찰(權察)로 삼았다"는 보고가 있었다. 이로 보아 미치히로가 조카 요시유키가 장성할 때까지 징검다리 역할로 쓰시마 도주에 취임했다는 사실을 조선 조정도 알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관수왜는 "평방희(소 미치히로) 및 미일(彌一, 야이치 즉 소 요시유키의 아명)은 모두 에도(江戶)에 있었는데, 관백(關白, 쇼군 요시노부)이 미일의 용모를 보고 특별히 가상하게 여겨 4품 대부(大夫)의 직위를 내리고 이름을 의여(義如, 요시유키)로 바꾸어 훗날 승습할 수 있는 바탕을 만들었다. 평방희가 병약해서 여러 차례 (쓰시마 도주의) 직책을 사양하자 관백이 부득이 그 말을 따라 평방희를 특별히 민부대보(民部大輔)의 직에 제수한 후에 물러나 쉬도록 하였고, 미일(야이치)이 곧바로 승습하였다"고 보고하였다.[3]
미치히로의 은거와 요시유키의 번주 취임은 조선에도 알려져, 조선 조정은 문위행 사절단으로 당상 김현문(金顯門)과 당하 박춘서(朴春瑞)를 파견하였다.[4] 또한 조선 영조 14년/겐분(元文) 3년(1738년) 쇼군 요시노부의 손자(훗날의 도쿠가와 이에하루)의 탄생(1736년)과 이에 대한 축하를 위해 에도로 갔던 소 요시유키의 쓰시마 귀환(1737년 5월 13일)을 계기로, 당상 박춘서와 당하 김정균(金鼎均) 등 75명으로 편성된 문위행을 다시금 쓰시마로 파견하였다. 이때 문위행은 영조 14년(1738년) 8월 24일에 쓰시마로 건너가 9월 5일부터 10월 29일까지 후추에 머물렀다.[5]
당시 대조선 교역의 쇠퇴 등으로 쓰시마 후추번의 재정은 악화되고 있었다.
2. 3. 번정 개혁 노력과 한계
교호(享保) 17년(1732년)과 19년(1734년)의 대화재로 쓰시마 번의 재정이 악화되었다. 요시유키는 아버지 요시노부와 같이 검약령을 내리고, 엔쿄(延享) 4년(1747년) 가신(家臣)의 지행차상(知行借上)을 강화했다. 번의 가로(家老)를 막부에 보내 보조금 지원을 교섭, 막부로부터 해마다 10000냥을 받았으나 간엔(寛延) 3년(1750년)에 정지되었다.[1] 엔쿄 4년(1747년) 고소(強訴)가 일어나는 등 개혁은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2]2. 4. 사망
호레키(宝暦) 2년(1752년) 1월 5일, 당시 쓰시마에 유행하던 천연두로 사망하였다. 향년 37세였다. 뒤를 이은 것은 그의 동생이자 양자인 요시시게였다.[3]3.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소 요시마사(宗義誠) | 1692년 ~ 1730년 |
어머니 | 타케 | 센주인, 히구치 마네의 딸 |
양아버지 | 소 카타히로(宗方熈) | 1696년 ~ 1760년 |
정실 | 키와 | 네네히메, 코겐인, 호소카와 노리노리의 여덟째 딸, 1720년 ~ 1754년 |
측실 | 세이쥬인 | 사에키 시자에몬의 누나 |
측실 | 카몬 | 무라에 한야의 딸 |
측실 | 이로 | 소다 사고요에몬의 딸 |
측실 | (이름 미상) | 도다 우헤이타의 여동생 |
측실 | (이름 미상) | 테라오 도쿠사이의 누나 |
측실 | (이름 미상) | 쓰루오카 주헤이의 여동생 |
장남 | 소 뇨시키(宗如式) | 카몬 소생 |
3남 | 소 요시노부(宗義暢) | 세이쥬인 소생, 마고사 수마, 소 요시시게의 양자, 1741년 ~ 1778년 |
4남 | 다와라 뇨타이(俵如泰) | 세이쥬인 소생 |
5남 | 아사이 뇨에이(浅井如英) | 이로 소생 |
6남 | 히구치 노부토모(樋口暢朝) | 세이쥬인 소생 |
7남 | 히구치 노부히데(樋口暢英) | 쓰루오카 주헤이의 여동생 소생 |
8남 | 아사이 노부켄(浅井暢謙) | 쓰루오카 주헤이의 여동생 소생 |
양자 | 소 요시시게(宗義蕃) | 친동생, 1717년 ~ 1775년 |
4. 소 요시유키에게서 헨키(偏諱)를 받은 인물
참조
[1]
문서
요시무네의 뒤를 이어 쇼군이 된 도쿠가와 이에시게(徳川家重)를 가리키는데, 요시시게는 1년 전인 교호 10년(1725년)에 원복을 행하고 도쿠가와 집안 대대로 이어온 돌림자인 「이에」(家)를 따서 이에시게라는 이름을 받았다.
[2]
서적
증정교린지
[3]
서적
변례집요
[4]
서적
증정교린지
[5]
서적
변례집요
[5]
기록
역관기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