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비함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비 함수는 경제학에서 한 경제의 총 소비량과 이를 결정하는 요인들을 수학적으로 나타내는 개념이다. 가장 단순한 형태는 케인스 모형에서 사용되는 선형 소비 함수로, 가처분 소득과 자율 소비, 한계 소비 성향 등을 포함한다. 케인스는 소득 수준에 따른 소비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이 모형을 제시했으며, 이후 상대 소득 가설, 생애 주기 가설, 항상 소득 가설 등 다양한 소비 함수 이론이 등장했다. 최근에는 행동 경제학을 기반으로 한 소비 함수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존 메이너드 케인스 - 케인스 경제학
    케인스 경제학은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제시한 경제 이론으로, 금리 인하와 정부의 인프라 투자를 통해 투자를 활성화하고 소비를 촉진하며, 유효수요와 승수 효과를 통해 총수요와 국민 소득의 관계를 설명한다.
  • 존 메이너드 케인스 -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
    존 메이너드 케인스가 1936년에 발표한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은 대공황 시기 고전 경제학의 한계를 극복하고 케인스 경제학의 토대를 세운 책으로, 유효수요의 원리를 제시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재정 정책을 통해 경제 안정과 완전 고용을 주장하고, 유동성 선호설과 승수효과 이론으로 이자율과 투자의 영향을 분석하며, 수정 자본주의와 현대 거시경제학 발전에 기여했다.
  • 케인스 경제학 - 존 메이너드 케인스
    존 메이너드 케인스는 20세기 가장 영향력 있는 경제학자 중 한 명으로, 거시경제 이론을 통해 현대 경제학과 정책에 혁명적인 변화를 가져왔으며, 정부의 적극적인 경제 개입을 옹호하는 그의 사상은 현대 경제학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케인스 경제학 - 폴 새뮤얼슨
    폴 새뮤얼슨은 20세기 경제학계에 큰 영향을 미친 미국의 경제학자로, 케인즈 경제학과 신고전학파 이론을 통합한 '신고전파 종합이론'을 완성하고, 1970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으며, 그의 저서 『경제학』과 『경제 분석의 기초』를 통해 이론을 전 세계에 보급하고 경제학에 수학적 분석 방법을 도입하는 데 기여했다.
  • 미시경제학 - 기회비용
    기회비용은 경제학적 개념으로, 어떤 선택을 함으로써 포기해야 하는 다른 선택들 중 가장 가치 있는 것을 의미하며, 경제 주체의 모든 선택에 내재된 비용을 찾아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미시경제학 -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
    애로의 불가능성 정리는 3개 이상의 선택지에서 약한 파레토, 무관한 대안으로부터의 독립성, 비독재성을 모두 만족하는 사회 후생 함수는 존재하지 않음을 증명한 정리이다.
소비함수
경제학
유형경제 모델
하위 유형거시경제학
케인스 경제학
이론소비와 가처분 소득 간의 관계 설명
정의
정의경제학에서 소비 함수는 소비와 가처분 소득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수학적 함수이다.
수식C = f(Y) 여기서 C는 총 소비이고 Y는 가처분 소득이다.
한계 소비 성향한계 소비 성향(MPC)은 소득이 1단위 증가할 때 소비가 얼마나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평균 소비 성향평균 소비 성향(APC)은 총 소득 대비 총 소비의 비율이다.
역사
창시자존 메이너드 케인스
발표 시기1936년,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에서 제시
특징
가설평균 소비 성향(APC)은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한계 소비 성향(MPC)은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진다.
가정소득이 소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다양한 소비 함수
듀젠베리의 상대 소득 가설소비는 자신의 절대적인 소득 수준보다는 다른 사람과의 상대적인 소득 수준에 영향을 받는다.
프리드먼의 항상 소득 가설소비는 현재 소득보다는 장기적인 예상 소득인 항상 소득에 의해 결정된다.
앤도의 생애 주기 가설사람들은 생애 전반에 걸쳐 소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다.
같이 보기
관련 항목케인스 경제학
소비
가처분 소득
한계 소비 성향
평균 소비 성향
항상 소득 가설
생애 주기 가설

2. 역사적 배경

3. 케인스 소비 함수

가장 단순한 형태는 단순한 케인스 모형에서 자주 사용되는 ''선형 소비 함수''이다.[4]

:C = a + b \cdot Y_{d}

여기서 a는 가처분 소득과 무관한 자율 소비이다. 즉, 가처분 소득이 0일 때의 소비를 의미한다. b \cdot Y_{d} 항은 경제의 소득 수준 Y_{d}에 영향을 받는 유발 소비이다. 매개변수 b는 한계 소비 성향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partial C / \partial Y_{d} = b이므로 가처분 소득이 증가함에 따른 소비 증가분을 의미한다. 기하학적으로, b는 소비 함수의 기울기이다.

케인스는 세 가지 스타일화된 사실에 맞도록 이 모형을 제안했다.[5]


  •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소득의 전부가 아닌 일부를 소비에 지출하고 나머지를 저축한다. 그들은 일반적으로 소비하기 위해 돈을 빌리거나, 저축하기 위해 돈을 빌리지 않는다.[6] 이 사실은 b \in (0,1)을 요구함으로써 모형화된다.
  • 소득이 높은 사람들은 소득의 더 높은 비율을 저축한다. 이는 \frac{C}{Y_d}Y_d와 함께 감소하는 것으로 모형화된다.
  • 사람들은 저축할 금액을 결정할 때 이자율에 민감하지 않다.[6]


케인스는 일반적인 가계가 얼마나 저축하고 소비할지 결정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자신의 모형을 세움으로써, 저축의 거시 경제학에 대한 미시적 기초 접근 방식을 비공식적으로 사용했다.[7]

케인스는 또한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 소비 성향이 감소하는 경향, 즉 \partial^{2} C / \partial Y_{d}^{2} < 0을 언급했다.[8] 만약 이 가정이 사용된다면, 이는 기울기가 감소하는 비선형 소비 함수를 초래할 것이다. 소비 함수의 형태에 대한 추가적인 이론으로는 제임스 듀젠베리의 (1949) 상대 소비 지출,[9]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리처드 브럼버그의 (1954) 생애주기 가설, 그리고 밀턴 프리드먼의 (1957) 영구 소득 가설이 있다.[10]

듀젠베리의 이론을 따른 몇몇 새로운 이론적 연구들은 행동 경제학에 기초하여, 일련의 행동 원리가 행동 기반의 총 소비 함수의 미시적 기초로 간주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11]

경제학사에서 소비 함수는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저서인 『고용·이자 및 화폐의 일반 이론』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소비 함수는 어떤 경제의 총 소비량과 결정 메커니즘을 수학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초기 경제학의 소비 함수 논의에서는 수학적 표현이 도입되지 않았기 때문에 케인스는 매우 단순한 정의만을 제시했지만, 오늘날에는 보다 수학적인 표현이 시도되고 있다. 소비 함수는 기초 소비 (현재 소득 수준의 크기에 영향을 받지 않는 소비 지출), 유발 소비 (경제의 소득 수준에 영향을 받는 소비 지출)로 구성된다. 소비 함수는 다양한 방법으로 기술할 수 있지만, 매우 단순한 기술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C = a + b(Y-T)

이것은 케인즈형 소비 함수라고 불린다. 이 소비 함수를 다시 쓴 것은 아핀 함수로 표현된다.

:C = c_0 + c_1 Y^d

여기서

  • ''C'':총 소비
  • ''c0'':기초 소비 (''c0'' > 0)
  • ''c1'': (즉, 유발 소비) (0 < ''c1'' < 1)
  • ''Yd'':가처분 소득(정부 개입[12]을 조정한 후의 소득. 혹은 Y+(G-T)로 나타낼 수도 있다)


단, ''Y''는 소득, ''G''는 정부 지출, ''T''는 조세이다.

기초 소비는 소득이 0이 되어도 변하지 않는 소비를 나타낸다. 기초 소비는 양수로 가정된다. 한계 소비 성향(MPC)은 소득이 증감할 때 소비가 얼마나 증감하는지를 나타낸다. 소비 함수를 그래프로 나타낼 때 한계 소비 성향은 소비 함수의 기울기가 된다.

한계 소비 성향은 양수로 가정된다. 따라서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도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케인스는 이 소득 증가와 소비 증가는 서로 같지 않다고 말했다. 케인스에 따르면 "소득이 증가하면 소비도 증가하지만, 소득의 증가와 정확히 같은 양만큼 소비가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케인즈형 소비 함수는 절대 소득 가설로도 알려져 있으며, 케인즈의 소비 함수는 현재 소득만을 고려하고 미래 소득의 예상·기대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 가설의 단순성과 비현실성에 대한 비판은 밀턴 프리드먼의 항상 소득 가설과 리처드 브럼버그 및 프랑코 모딜리아니의 생애 주기 가설로 이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은 소비 결정을 정의하는 소비 지출 함수를 제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프리드먼은 여러 가지 다른 항상 소득의 정의를 제시한 자신의 저서 『A Theory of the Consumption Function』 (1957)으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이 저서에서는 매우 정교한 함수가 제시되어 있다.

1936년 케인스의 "소비 지출 함수에 의존하는 소득"을 바탕으로 한 주요 3가지 이론으로는 제임스 듀젠베리(1949)[13]의 상대 소비 지출, 모딜리아니와 브럼버그(1954)의 생애 주기 소득, 프리드먼(1957)[14]의 항상 소득이 있다.

일부 새로운 이론[15]은 듀젠베리의 방법을 따라 행동 경제학을 기반으로 하며, 이러한 이론은 많은 행동 원리가 "행동"을 기반으로 한 총 소비 함수에 대한 미시적 기초로 채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2014년 라파엘 J. 에르난데스 누네스가 발표한 연구[16]는 효용 무차별 곡선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공식화하는 데 수학을 사용하고 있으며, 명시적으로 항상 소득이 무엇인지 보여준다. 이를 통해 소비 지출 함수의 완전한 수리적 발전이 가능해졌고, 소비 지출의 결정에 언급하는 종속 부분 및 설명되는 부분을 갖춘 완전한 함수를 경제학자들에게 제시했다.

공식화는 다음과 같다.

C = \frac{1}{2} (B - \frac{y}{ULC - \alpha} ) + \frac{x}{\alpha}

여기서

  • ''C'':총 소비
  • ''B'':예산 제약 → 가처분 소득
  • ''α'':한계 소비 성향
  • ''β'':한계 저축 성향
  • ''ULC''는 Upper Limit Chosen의 머리글자를 딴 것이며, α + β와 같다.
  • ''y'':주어진 기간과 주어진 종속적 요인의 조합에 대해, 현재 예산 제약의 총 배분 가능한 최대값 + 소비 지출에 있어서의 가능한 차입 (또는 마이너스 저축)의 최대값으로 표시되는 소비 지출의 가능한 최대값.
  • ''x'':주어진 기간과 주어진 종속적 요인의 조합에 대해, 예산 제약의 소비 지출의 총 배분 + 저축의 가능한 최대값으로 표시되는 소비 지출의 가능한 최소값.

3. 1. 케인스 소비 함수의 특징

케인스 소비 함수는 단순한 케인스 모형에서 자주 사용되는 선형 소비 함수로 나타낼 수 있다.[4] 이 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띤다.

:C = a + b \cdot Y_{d}

여기서 a는 가처분 소득과 무관한 자율 소비를 의미하며, 가처분 소득이 0일 때의 소비를 나타낸다. b \cdot Y_{d} 항은 경제의 소득 수준 Y_{d}에 영향을 받는 유발 소비이다. b는 한계 소비 성향으로, 가처분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 증가분을 의미하며, 기하학적으로 소비 함수의 기울기이다.[4]

케인스는 이 모형을 세 가지 스타일화된 사실에 맞도록 제안했다.[5]

  •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소득의 전부가 아닌 일부를 소비하고 나머지를 저축하며, 소비를 위해 돈을 빌리거나 저축을 위해 돈을 빌리지 않는다.[6] 이는 b \in (0,1)로 표현된다.
  • 소득이 높은 사람들은 소득의 더 높은 비율을 저축한다. 이는 \frac{C}{Y_d}Y_d와 함께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 사람들은 저축할 금액을 결정할 때 이자율에 민감하지 않다.[6]


케인스는 일반적인 가계가 얼마나 저축하고 소비할지 결정하는 방식에 기초하여 자신의 모형을 세움으로써, 저축의 거시 경제학에 대한 미시적 기초 접근 방식을 비공식적으로 사용했다.[7] 또한,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한계 소비 성향이 감소하는 경향( \partial^{2} C / \partial Y_{d}^{2} < 0)을 언급했다.[8]

케인스 소비 함수는 절대 소득 가설로도 알려져 있으며, 현재 소득만을 고려하고 미래 소득의 예상·기대를 고려하지 않는다. 이러한 비판은 밀턴 프리드먼의 항상 소득 가설과 프랑코 모딜리아니 및 리처드 브럼버그의 생애 주기 가설로 이어졌다.[10]

제임스 듀젠베리의 (1949) 상대 소비 지출,[9] 프랑코 모딜리아니와 리처드 브럼버그의 (1954) 생애주기 가설,[10] 밀턴 프리드먼의 (1957) 영구 소득 가설[10] 등 소비 함수 형태에 대한 추가적인 이론들이 제시되었다. 듀젠베리의 방법을 따른 몇몇 새로운 이론[15]은 행동 경제학을 기반으로 하며, 많은 행동 원리가 "행동"을 기반으로 한 총 소비 함수에 대한 미시적 기초로 채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4. 케인스 이후의 소비 함수 이론

4. 1. 상대 소득 가설 (제임스 듀젠베리)

4. 2. 생애 주기 가설 (프랑코 모딜리아니, 리처드 브럼버그)

4. 3. 항상 소득 가설 (밀턴 프리드먼)

5. 행동 경제학적 소비 함수

6. 한국 경제와 소비 함수

6. 1. 가계 부채 문제

6. 2. 소득 불평등 완화

6. 3. 더불어민주당의 정책 방향

참조

[1] 문서
[2] 서적 Macroeconomics John Wiley & Sons
[3] 서적 Macroeconomics: Theory, Performance, and Policy W. W. Norton
[4] 서적 Macroeconomics: Theory and Policy https://archive.org/[...] Scott, Foresman and Co.
[5] 서적 Macroeconomics https://www.worldcat[...] 2022
[6] 서적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Harcourt Brace Jovanovich
[7] 간행물 Introduction: The Tobin Approach to Monetary Economics http://dx.doi.org/10[...] 2004
[8] 서적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Harcourt Brace Jovanovich
[9] 서적 Income, Saving and the Theory of Consumer Behavior https://archive.org/[...]
[10] 서적 A Theory of the Consumption Function
[11] 간행물 Behavioral foundations for the Keynesian consumption function http://dipeg-wpe.uni[...]
[12] 문서 経常移転や租税、政府による給付など
[13] 문서 Duesenberry, J. S. (1949): Income, Saving and the Theory of Consumer Behavior
[14] 문서 Friedman, M. (1957) ''A Theory of the Consumption Function''.
[15] 간행물 Behavioral foundations for the Keynesian consumption function
[16] 웹사이트 Hernández Núñez, R. J. https://ralpherns.wo[...]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