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토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토족은 남아프리카에 거주하는 반투어를 사용하는 민족으로, 산족과의 혼혈로 형성되었다. 1500년경에 정착하여 14세기에 바츠와나족과 분리되었으며, 19세기에는 줄루족의 팽창과 보어인의 침입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모쇼쇼에 1세는 소토족을 통합하여 국가를 건설했고, 영국의 보호령 시대를 거쳐 1966년 레소토 왕국으로 독립했다. 소토족은 세소토어를 사용하며, 독특한 전통 의상과 문화를 가지고 있다.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레소토에 주로 거주하며, 경제적 어려움과 도시 이주 등의 사회적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소토족 | |
---|---|
기본 정보 | |
![]() | |
토착 이름 | 바소토 |
인구 | 약 7,254,315명 (2023년 추정) |
거주 지역 | 남아프리카 공화국: 5,103,205명 레소토: 2,130,110명 보츠와나: 11,000명 에스와티니: 6,000명 나미비아: 4,000명 |
언어 | 소토어 코사어 줄루어 영어 아프리칸스어 |
종교 | 기독교 모디모 |
관련 민족 | 페디족 츠와나족 로지족 산족 푸티족 템부족 |
이름 정보 | |
어근 | 소토 |
사람 (단수) | 모소토 |
민족 (복수) | 바소토 |
나라 | 레소토 |
언어 | 세소토 |
역사 | |
관련 사건 | 므페카네 |
설명 | 아프리카의 므페카네 역사적 고찰 |
2. 역사
바소토 민족은 남아프리카에 이미 살고 있던 산족과 섞인 반투어를 사용하는 씨족들의 혼합이다.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대략 1500년경에 지금의 남아프리카에 정착했다.[2][3] 바츠와나족과의 분리는 14세기까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에는 아프리카 고원 남부 지역(현재의 프리스테이트주와 하우텡주, 노스웨스트주)에 일련의 바소토 왕국이 형성되었다. 바소토 사회는 매우 분산되어 있었으며, 각자 자체 족장이 통치하는 크랄 또는 확대된 씨족을 기반으로 조직되었고, 족장들은 느슨한 연맹으로 통합되었다.[5]
1820년대 샤카 치하의 줄루족 팽창으로 발생한 난민들이 고지대에 거주하는 바소토족과 접촉하게 되었고[6], 이 혼란 속에서 모쇼에쇼에 1세는 남부 고지대의 바소토 왕국을 장악했다.[10] 그는 뛰어난 외교관이자 전략가로서, 디파카네를 피해 온 난민들을 통합하여 응집력 있는 국가를 건설했다.[12]
거의 같은 시기에 보어인들이 바소토족 영토를 침범하기 시작했다.[9]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케이프 식민지가 영국에 할양된 후, 많은 네덜란드계 농부들이 대이동을 감행하여 옛 네덜란드 식민지를 떠났다.[9][10]
1868년, 자유주의 소토 전쟁에서 보어인에게 서부 저지를 빼앗긴 후, 모쇼에쇼에 1세는 빅토리아 여왕에게 레소토(당시 바수토랜드)를 영국의 보호령으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고, 여왕이 이를 받아들였다.[41]
영국의 보호 덕분에 오렌지 자유국과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바수토랜드를 흡수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3] 1966년, 바수토랜드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레소토 왕국이 되었다.
2. 1. 초기 역사
바소토 민족은 남아프리카에 이미 살고 있던 산족과 섞인 반투어를 사용하는 씨족들의 혼합이다. 반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대략 1500년경에 지금의 남아프리카에 정착했다.[2][3] 바츠와나족과의 분리는 14세기까지 일어난 것으로 추정된다. 일부 바소토족은 응구니족에서 분리되었고, 다른 사람들은 응구니족 국가를 건설하는 데 흡수되었다. 16세기까지 바소토 공동체에서는 응구니족 이웃과 함께 철기 제작이 잘 확립되었다. 바소토족은 주로 독립적이었고 이 시점까지 비교적 고립되어 있었으며, "산발적이고 부차적"이라고 묘사된 외부 링크를 통해 고향 북쪽 지역과 가끔 거래를 했다.[4] 17세기에는 아프리카 고원 남부 지역(현재의 프리스테이트주와 하우텡주, 노스웨스트주)에 일련의 바소토 왕국이 형성되었다. 바소토 사회는 매우 분산되어 있었으며, 각자 자체 족장이 통치하는 크랄 또는 확대된 씨족을 기반으로 조직되었다.[5] 족장들은 느슨한 연맹으로 통합되었다.[5]2. 2. 19세기: 줄루족의 확장과 보어인의 침입
1820년대 샤카 치하의 줄루족이 팽창하면서 발생한 난민들이 고지대에 거주하는 바소토족과 접촉하게 되었다.[6] 1823년, 압력을 받아 바소토족의 한 집단인 콜롤로족은 북쪽으로 이동했다. 콜롤로족은 오카방고 습지를 지나 잠베지강을 건너 바로체랜드로 이동했는데, 이곳은 현재 잠비아, 앙골라, 짐바브웨, 보츠와나, 나미비아의 일부이다.[7] 1845년, 콜롤로족은 바로체랜드를 정복했다.[8]거의 같은 시기에 보어인들이 바소토족 영토를 침범하기 시작했다.[9] 나폴레옹 전쟁이 끝나고 케이프 식민지가 영국에 할양된 후, 많은 네덜란드계 농부들이 대이동을 감행하여 옛 네덜란드 식민지를 떠났다. 그들은 내륙으로 이동하여 결국 독립적인 정체를 확립했다.[9][10]
2. 3. 모쇼에쇼에 1세와 소토 왕국의 통합
1820년대 샤카 치하의 줄루족 팽창으로 발생한 디파카네는 고지대에 거주하는 바소토족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이 혼란 속에서 모쇼에쇼에 1세는 남부 고지대의 바소토 왕국을 장악했다.[10] 그는 뛰어난 외교관이자 전략가로서, 디파카네를 피해 온 난민들을 통합하여 응집력 있는 국가를 건설했다.[12]1822년, 모쇼에쇼에 1세는 북부 드라켄즈버그 산맥에 있는 방어가 용이한 산인 부타-부테에 수도를 정하고 레소토 왕국의 기초를 다졌다.[12] 이후 수도는 타바 보시우로 옮겨졌다.[12]
모쇼에쇼에 1세는 침략해오는 보르트레커af 집단에 대처하기 위해 파리 복음주의 선교 협회 소속 프랑스 선교사들을 초청했다.[13] 선교사들은 왕에게 외교 자문을 제공하고 현대식 무기 구매를 지원했다.[13] 또한, 선교사들은 1837년부터 1855년 사이에 세소토어 정자법을 제정하고 세소토어 자료를 인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14] 1878년에는 최초의 세소토어 성경 번역본이 출판되었다.[15]
모쇼에쇼에 1세의 지도력 아래 소토 왕국은 19세기에 줄루족의 음페카네영어, 보르트레커af의 내륙 팽창, 식민부의 계획 등 다른 토착 남아프리카 왕국들을 파괴한 어려움 속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었다.[11]
2. 4. 영국의 보호령 시대
1868년, 자유주의 소토 전쟁에서 보어인에게 서부 저지를 빼앗긴 후, 모쇼에쇼에 1세는 빅토리아 여왕에게 레소토(당시 바수토랜드로 알려짐)를 영국의 보호령으로 만들어 달라고 요청했고, 여왕이 이를 받아들였다. 영국 행정청은 마세루에 설치되었으며, 마세루는 현재 레소토의 수도가 되었다.[41] 국내 문제는 지역 족장이 권한을 가졌고, 영국은 외교와 방위를 담당했다.[50] 1869년, 영국은 바수토랜드의 국경 획정 작업을 도왔다.[41] 바수토랜드에는 많은 씨족이 영지를 가지고 있었지만, 소토어 사용자의 많은 수가 오렌지 자유주에 살게 되었고, 보어 공화국이 소토 왕국과 접하게 되었다.2. 5. 20세기와 레소토의 독립
영국의 보호 덕분에 오렌지 자유국과 이후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바수토랜드를 흡수하려는 시도는 실패했다.[3] 1966년, 바수토랜드는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여 레소토 왕국이 되었다.3. 인구 분포
소토족은 레소토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프리스테이트주를 중심으로 분포한다.[20] 인구 이동으로 인해 아대륙 전역에 널리 퍼져있다.[17] 레소토 남성들은 현금 경제에 참여하기 위해 남아프리카의 대도시로 이주하여 광산업에서 일자리를 찾는 경우가 많았다.[17] 프리스테이트주와 레소토 출신의 이주 노동자들은 세소토어를 남아프리카의 도시 지역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17]
아파르트헤이트 정부의 강제 이주 정책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토족 노동자들은 흑인 정착 지역을 떠나 도시로 이주했다.[3] 여성들은 농업이나 가사 노동자로, 남성들은 주로 광업 부문에서 일자리를 찾았다.[3]
남아프리카 공화국 전역의 세소토 사용 인구 비율은 다음과 같다.[27]
지역 | 세소토 사용 인구 비율 |
---|---|
가우텡 주 | 13.1% |
아트리지빌 | 12.3% |
요하네스버그 시 광역 자치구 | 9.6% |
소웨토 | 15.5% |
에쿠룰레니 광역 자치구 | 10.0% |
카틀레홍 | 22.4% |
세디벵 구 자치구 | 46.7% |
웨스트 랜드 구 자치구 | 10.8% |
미드발 지방 자치구 | 27.9% |
프리스테이트 주 | 64.2% |
블룸폰테인 | 33.4% |
4. 언어 (세소토어)
바소토족의 언어는 ''세소토''[23]라고 불리며, 덜 일반적으로는 ''세소토 사 보르와''라고 알려져 있다.[24] 일부 문헌에서는 세소토를 북부 소토어와 구별하기 위해 "남부 소토어"라고 지칭하기도 하며, 북부 소토어는 세페디라고도 불린다.
세소토는 레소토에서 150만 명, 즉 인구의 85%가 사용하는 모국어이다.[19] 레소토의 두 가지 공용어 중 하나이며, 다른 하나는 영어이다.
세소토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11개 공용어 중 하나이다.[23] 2011년 2011년 남아프리카 공화국 인구 조사에 따르면, 거의 400만 명이 세소토를 모국어로 사용한다.[26]
세소토는 다양한 교육 환경에서 연구 과목이자 교육 매체로 사용된다.[25] 유치원부터 박사 과정까지 교육의 모든 영역에서 구어 및 문어 형태로 사용된다.[25] 그러나 상업, 정보 기술, 법률, 과학 및 수학 분야의 기술 자료는 아직 상대적으로 적다.[25]
세소토는 아파르트헤이트 종식 이후 상당한 미디어 존재감을 갖게 되었다. 레세디 FM은 남아프리카 방송 공사(SABC)에서 운영하는 24시간 세소토 라디오 방송국으로, 세소토어로만 방송한다. 레소토와 프리스테이트에는 다른 지역 라디오 방송국이 있다.[25] 30분 분량의 세소토 뉴스 속보가 SABC의 무료 채널 SABC 2에서 매일 방송된다. 독립 TV 방송사 eTV도 매일 30분 분량의 세소토 속보를 방영한다. SABC와 eTV 그룹 모두 세소토 대화가 포함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한다.
레소토의 대부분의 신문은 세소토어 또는 세소토어와 영어를 모두 사용하여 작성된다. 콰콰, 푸리에스버그, 피크스버그, 그리고 아마도 다른 프리스테이트 타운에 있는 지역 뉴스레터를 제외하고는 세소토어로 된 본격적인 남아프리카 신문은 없다.[25]
현재, 주류 남아프리카 잡지 ''보나''는 세소토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29] 세소토 정자법이 공식화된 이후, 세소토로 문학 작품이 제작되었다. 주목할 만한 세소토어 문학 작품으로는 토마스 모폴로의 서사시 ''차카''가 있으며, 이 작품은 영어 및 독일어를 포함한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30]
5. 문화
소토족은 독특한 전통 의상, 음악, 춤 등 고유한 문화를 가지고 있다.
5. 1. 의복
바소토족은 독특한 전통 의상을 가지고 있다. 모코로틀로는 꼭대기에 장식된 손잡이가 달린 원뿔형 모자로, 남성과 여성이 다르게 착용한다. 바소토 담요는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어깨나 허리에 걸쳐 착용한다. 많은 소토족이 서구식 의복을 입지만, 그 위에 전통 의복을 덧입기도 한다.농촌 지역의 소토족은 생활 방식에 맞는 의류를 착용한다. 예를 들어, 프리스테이트주와 레소토의 시골에서 소를 치는 소년들은 젖은 산악 지형에서 보호하기 위해 바소토 담요와 큰 레인 부츠(검부츠)를 착용한다. 목동들은 추위와 먼지 바람으로부터 얼굴을 보호하기 위해 울 방한모나 모자를 자주 착용한다.
바소토 여성들은 밝은 색상과 무늬의 치마와 긴 드레스, 허리에 두르는 전통적인 담요를 착용한다. 결혼식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는 세슈웨슈웨라는 전통 바소토 드레스를 입는다. 현지 전통 드레스는 색색의 천과 리본 장식으로 만들어진다. 소토 여성들은 종종 이 재료를 구매하여 서아프리카 및 동아프리카 드레스와 유사한 스타일로 디자인한다. 여성들은 종종 긴 프린트 천이나 작은 담요를 치마로, 또는 그 위에 두 번째 의복으로 허리에 두른다. 이것은 "랩"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기를 등에 업는 데 사용될 수 있다.[31]
특별한 의상은 입문 의식 및 전통적인 치유 의식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착용된다. 레볼로 라 바사디(소녀들의 입문 의식)에는 소녀들이 허리를 덮는 구슬 허리 랩인 ''테타나''를 착용하며, 특히 사타구니 부위와 엉덩이 일부를 덮는다. 또한 회색 담요와 염소 가죽 치마를 착용한다. 이 의상은 어린 소녀와 여성, 특히 처녀가 착용한다.
레볼로 라 반나(소년들의 입문 의식)에는 소년들이 ''체아''라고 하는 허리띠와 다채로운 담요를 착용한다. 이러한 전통 의상은 종종 선글라스와 같은 현대적인 아이템과 결합된다.
전통적인 소토족 치유사는 가죽, 힘줄 또는 구슬로 만들어 가슴에 십자가를 형성하는 끈과 줄로 구성된 밴더리어를 착용한다. 밴더리어에는 특정 의식이나 신체적/영적 보호를 위한 물약 주머니가 부착되어 있다. 산족은 바소토족과 산족이 무역, 결혼, 우정을 통해 교류하던 시기에 치유사를 위해 이 밴더리어 의상을 채택했다고 여겨진다. 산족이 밴더리어를 사용한 것은 1700년대에 제작된 암석 그림에서 확인할 수 있다.[32][33]
6. 현대 사회
광산업에 종사하기 위해 레소토 남성들은 현금 경제에 참여하고자 남아프리카의 대도시로 이주하는 경우가 많았다.[17] 자유주와 레소토 출신의 이주 노동자들은 세소토어를 남아프리카의 도시 지역으로 확산시키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주 노동은 대부분의 세소토어 사용자 가족 생활에 해를 끼쳤는데, 이는 성인(주로 남성)이 멀리 떨어진 도시에서 일하는 동안 가족을 가난한 지역 사회에 남겨두어야 했기 때문이다.[17]
아파르트헤이트 정부는 세소토어 사용자를 지정된 홈랜드로 강제 이주시키려 시도했으나, 그들의 정착 패턴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많은 수의 노동자들이 흑인 정착의 전통적인 지역을 계속 떠났다.[3] 여성들은 주로 농업이나 가사 노동에 종사했고, 남성들은 광업 부문에서 일자리를 찾았다.[3]
남부 바소토족의 중심지는 남아프리카의 자유주와 인접한 레소토이다.[20] 이 두 지역은 모두 주로 농촌 지역으로, 광범위한 빈곤과 개발 부진을 겪고 있다.[21] 많은 세소토어 사용자는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살고 있지만, 토지와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진 사람들은 더 높은 생활 수준을 누릴 수 있다.[21] 토지 소유자는 종종 자급자족하거나 소규모 상업 농업에 종사한다.[19] 그러나, 과도한 방목과 토지 관리는 점차 증가하는 문제이다.[19]
7. 저명한 소토족 인물
소토족 출신의 저명한 인물은 다음과 같다.
- '''문학'''
- 토마스 모폴로: 레소토 출신의 작가
- '''정치'''
- 모쇼에쇼에 1세: 바소토 민족의 창시자
- 모쇼에쇼에 2세: 레소토의 대족장
- 레치아 3세: 레소토 국왕
- 여왕 '마세네이트 모하토 시이소: 레소토의 왕비
여왕 '마세네이트 모하토 시이소 - 파칼리타 모시실리, 은추 모케흘레, 레아부아 조나단: 전 레소토 총리
- 에파네테 음베키: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타보 음베키의 어머니
- 모시우아 레코타: 남아프리카 공화국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
- 흘라우디 모토세넹: 남아프리카 공화국 라디오 방송인, 방송 경영자, 정치인
- 림포 하니: 레소토 출신 운동가이자 크리스 하니의 아내
- 푸물로 마수알레: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자 전 이스턴케이프주 주지사
- 치에치 마시니니: 남아프리카 공화국 학생 운동가, 1976년 소웨토 봉기 주도
- 앤지 모체크가, 레체사 체놀리: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
- '''경제'''
- 푸티 마하니엘레: 나스퍼스 CEO
- 카이저 모타웅: 카이저 치프스 회장
- 데이비드 퀠레: 패션 디자이너
- 샘 모추에니: 아프리카 은행 창립 회장
- 제임스 모틀라치: 전직 노조 활동가
- '''엔터테인먼트'''
- 나나 코요테: 레소토 출신 가수
- 조슈아 풀루모 모하펠로아: 작곡가
- 리라, 이본느 차카 차카: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가수
- 마이클 모소에우 모에라네: 합창 음악 작곡가
- 엠포 코아호: 캐나다 출신 배우
- 테리 페토: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배우
- 상코모타: 레소토 출신 재즈 밴드
- 파나 모코에나, 제리 모포켄, 나타샤 타하네: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배우
- 프린스 케이비: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디스크 자키
- 카벨로 마발라네: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음악가, 크와이토 그룹 Tkzee의 멤버
- 체포 촐라: 상코모타 재즈 밴드의 전 리드 싱어, 가스펠 아티스트
- 데이비드 카우: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코미디언
- 페이쓰 넷시: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모델, 미디어 인물
- 마글레라 도이 보이: 남아프리카 공화국 출신 래퍼
- '''스포츠'''
- 코초 모코에나: 육상 선수 (멀리뛰기)
- 스티브 레코엘레아: 올랜도 파이리츠에서 활동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아론 모코에나: 요모 코스모스, 블랙번 로버스, 포츠머스 FC에서 활동한 전 축구 선수
- 타보 무키: 카이저 치프스와 바파나 바파나에서 활동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아비아 날레: 카이저 치프스에서 활동한 전 축구 선수
- 테보호 모코에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레흘로호놀로 시마: 레소토 출신 축구 선수이자 코치
- 카모헬로 모코트요, 레레보힐레 모포켄, 레보항 마보에: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7. 1. 문학
토마스 모폴로는 레소토 출신의 작가이다.7. 2. 정치
- 모쇼에쇼에 1세, 바소토 민족의 창시자
- 모쇼에쇼에 2세, 레소토의 대족장
- 레치아 3세, 레소토 국왕
- 여왕 '마세네이트 모하토 시이소, 레소토의 왕비
- 파칼리타 모시실리, 은추 모케흘레, 레아부아 조나단 전 레소토 총리
- 에파네테 음베키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전 남아프리카 공화국 대통령 타보 음베키의 어머니
- 모시우아 레코타 남아프리카 공화국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
- 흘라우디 모토세넹 남아프리카 공화국 라디오 방송인, 방송 경영자, 정치인
- 림포 하니 레소토 출신 운동가이자 크리스 하니의 아내
- 푸물로 마수알레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이자 전 이스턴케이프주 주지사
- 치에치 마시니니 남아프리카 공화국 학생 운동가, 아프리칸스어 교육에 반대하는 1976년 소웨토 봉기를 주도한 것으로 알려짐
- 앤지 모체크가, 레체사 체놀리 남아프리카 공화국 정치인
7. 3. 경제
소토족 출신의 주요 경제인은 다음과 같다.이름 | 직업 | 설명 |
---|---|---|
푸티 마하니엘레 | 기업 임원 | 나스퍼스 CEO |
카이저 모타웅 | 사업가 | 카이저 치프스 회장 |
데이비드 퀠레 | 사업가, 패션 디자이너 | 저명한 패션 디자이너 |
샘 모추에니 | 기업가 | 아프리카 은행 창립 회장 |
제임스 모틀라치 | 사업가 | 전직 노조 활동가 |
7. 4. 엔터테인먼트
출신 국가 | 이름 | 직업 |
---|---|---|
레소토 | 나나 코요테 | 가수 |
조슈아 풀루모 모하펠로아 | 작곡가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리라 | 가수 |
이본느 차카 차카 | 가수 | |
마이클 모소에우 모에라네 | 합창 음악 작곡가 | |
캐나다 | 엠포 코아호 | 배우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테리 페토 | 배우 |
레소토 | 상코모타 | 재즈 밴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나 모코에나 | 배우 |
프린스 케이비 | 디스크 자키 | |
카벨로 마발라네 | 음악가, 크와이토 그룹 Tkzee의 멤버 | |
체포 촐라 | 상코모타 재즈 밴드의 전 리드 싱어, 가스펠 아티스트 | |
제리 모포켄 | 배우 | |
데이비드 카우 | 코미디언 | |
페이쓰 넷시 | 모델, 미디어 인물 | |
나타샤 타하네 | 배우 | |
마글레라 도이 보이 | 래퍼 |
7. 5. 스포츠
다음은 소토족 출신 스포츠 선수 목록이다.- 코초 모코에나: 육상 선수 (멀리뛰기)
- 스티브 레코엘레아: 올랜도 파이리츠에서 활동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아론 모코에나: 요모 코스모스, 블랙번 로버스, 포츠머스 FC에서 활동한 전 축구 선수
- 타보 무키: 카이저 치프스와 바파나 바파나에서 활동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아비아 날레: 카이저 치프스에서 활동한 전 축구 선수
- 테보호 모코에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레흘로호놀로 시마: 레소토 출신 축구 선수이자 코치
- 카모헬로 모코트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레레보힐레 모포켄: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 레보항 마보에: 마멜로디 선다운스에서 활동하는 남아프리카 공화국 축구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A Historical Look at the Mfecane in Africa
https://www.thoughtc[...]
[2]
서적
A History of South Africa
2001
[3]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South Africa: The Real Story
Reader's Digest
[4]
간행물
general history of Africa: Volume V – Africa from the sixteenth to the eighteenth century (Abridged version)
UNESCO
1999
[5]
서적
Encarta Encyclopedia
Microsoft Corporation
[6]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outh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웹사이트
Political History of Barotseland
http://www.barotsela[...]
[8]
백과사전
Lozi Kingdom and the Kololo
Fitzroy Dearborn (Routledge)
[9]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outh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서적
A History of South Africa
https://archive.org/[...]
Yale University Press
[11]
서적
Encarta Encyclopedia
Microsoft Corporation
[12]
서적
Hill of destiny: the life and times of Moshesh, founder of the Basuto
Longman
[13]
서적
Moshoeshoe, chief of the Basotho
Heinemann
[14]
서적
The Basutos: or, twenty-three years in South Africa
Morija Museum & Archives
1992
[15]
서적
The Griqua, The Sotho–Tswana, and the Missionaries, 1780–1840
University Microfilms International
[16]
서적
Moshoeshoe: Founder of a Nation
Longman
[17]
서적
Gold and Workers: 1886–1924
Ravan Press
[18]
서적
I am a Mosotho
National University of Lesotho
[19]
백과사전
Lesotho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22-10-11
[20]
서적
Sesotho Made Easy
J. L. van Schaik
[21]
학술지
Poverty in South Africa: Extent of access to food and income
http://www.hsrc.ac.z[...]
2010-07-01
[22]
기타
Have Migration Patterns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Changed? Conference on African Migration in Comparative Perspective
2003
[23]
문서
Constitution of South Africa
1996
[24]
학술지
Phonetics of Intonation in South African Bantu Languages
[25]
보고서
World Languages Survey
UNESCO
2000
[26]
보고서
Census 2001
Statistics South Africa
2001
[27]
문서
South African National Census of 2011
[28]
서적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IL International
2009
[29]
웹사이트
Bona Magazine
https://www.bona.co.[...]
2022-11-29
[30]
서적
Thomas Mofolo and the emergence of written Sesotho prose
Ravan Press
[31]
웹사이트
Traditional Basotho Dress
https://www.helpleso[...]
2018-06-05
[32]
서적
The Global Etiquette Guide to Africa and the Middle East: Everything You Need to Know for Business and Travel Success
John Wiley & Sons
[33]
서적
Africa: An Encyclopedia of Culture and Society
ABC-CLIO
2015
[34]
웹사이트
The Sotho people group are reported in 5 countries
http://joshuaproject[...]
2014-12-26
[35]
서적
A History of South Africa
Yale University Press
[36]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South Africa: The Real Story
Readers Digest
[37]
서적
Encarta Encyclopedia
Microsoft Corporation
[38]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outh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웹사이트
Political History of Barotseland
http://www.barotsela[...]
2014-12-28
[40]
백과사전
Lozi Kingdom and the Kololo
Fitzroy Dearborn (Routledge)
[4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South Afric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2]
서적
Hill of destiny: the life and times of Moshesh, founder of the Basuto
Longman
[43]
서적
Encarta Encyclopedia
Microsoft Corporation
[44]
서적
Hill of destiny: the life and times of Moshesh, founder of the Basuto
Longman
[45]
서적
Hill of destiny: the life and times of Moshesh, founder of the Basuto
Longman
[46]
서적
Moshoeshoe, chief of the Sotho
Heinemann
[47]
서적
Moshoeshoe, chief of the Sotho
Heinemann
[48]
서적
The Basutos : or, twenty-three years in South Africa
Morija Museum & Archives
[49]
서적
The Griqua, The Sotho–Tswana, and the Missionaries, 1780–1840
Univ. Microfilms International
[50]
서적
Moshoeshoe: Founder of a Nation
Longman
[51]
문서
Constitution of South Africa
[52]
간행물
Phonetics of Intonation in South African Bantu Languages
[53]
웹사이트
CIA-The World Factbook: Lesotho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0-01-05
[54]
간행물
World Languages Survey
UNESCO
[55]
간행물
Census 2001
Statistics South Africa
[56]
간행물
Ethnologue: Languages of the World
SIL International
[57]
서적
Thomas Mofolo and the emergence of written Sotho prose
Ravan Press
[58]
서적
Sesotho Made Easy
JL van Schaik
[59]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hsrc.ac.z[...]
Human Sciences Research Council
2010-07-01
[60]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hsrc.ac.z[...]
Human Sciences Research Council
2010-07-01
[61]
서적
Gold and Workers: 1886–1924
Ravan Press
[62]
서적
Gold and Workers: 1886–1924
Ravan Press
[63]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South Africa: The Real Story
Readers Digest
[64]
간행물
Have Migration Patterns in Post-Apartheid South Africa Changed?
[65]
웹사이트
アーカイブされたコピー
http://www.hsrc.ac.z[...]
Human Sciences Research Council
2010-07-01
[66]
서적
I am a Mosotho
National University of Lesoth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