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손린 (동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린은 동오의 인물로, 9세에 아버지 손분(孫賁)의 뒤를 이어 예장태수를 대행했으며 도향후에 봉해졌다. 예장군에서 반란을 진압하는 공을 세웠으며, 요장독, 하구면중독을 거쳐 위원장군을 역임했다. 반준에게 서섭의 구명을 설득하는 일화가 있으며, 249년에 사망했다. 그의 아들 손묘가 뒤를 이었으며, 동생 손안, 손희, 손적 등도 관직에 올랐다. 위요는 손린에 대해 성품이 바르고 민첩했다고 평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49년 사망 - 왕필
    왕필은 삼국시대 위나라의 관료이자 현학 연구가로, 『노자』와 『주역』에 대한 주석을 통해 중국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하안의 사상을 비판하며 자신만의 철학적 견해를 드러냈고, 젊은 나이에 요절했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사상은 후대에 큰 영향을 미쳤다.
  • 249년 사망 - 하안
    하안은 삼국 시대 위나라의 학자이자 현학의 창시자이며 조조의 양자로 조비, 조예와 함께 자랐고, 조조의 딸과 결혼하여 부마가 되었으나 사마의의 고평릉의 변으로 처형되었으며, 유교와 도교를 융합하려는 시도를 했다.
  • 동오 사람 - 시삭
    시삭은 삼국시대 오나라의 무위사로, 손침의 모반을 고발하고 제거 계획에 참여했으며, 손침 제거 후 그의 일족 처형에 협력했고 그의 아들 시참은 진나라의 도교 도사였다.
  • 동오 사람 - 사광 (삼국지)
    사광은 삼국시대 오나라 사람으로, 사촌 사휘 등의 반란에 가담하지 않고 여대의 부탁으로 그들을 설득하여 항복시켰으나, 사휘 등은 처형되고 사광은 관직을 박탈당해 서민으로 강등되었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손린 (동오)
기본 정보
이름손린
한자孫鄰
로마자 표기Son Lin
공달
출생건안 7년 (202년)
출생지양주 오군부춘현
사망적오 12년 (249년)
소속 국가
주군손권
관직위원장군, 도독, 도향후

2. 생애

손린은 후한 말기 및 삼국 시대 동오의 인물로, 자는 공달(公達)이다.[2] 그는 9세의 어린 나이에 아버지 손분의 뒤를 이어 예장태수 직을 대신하게 되었고, 작위는 도향후로 올랐다.[2] 이후 예장군에서 약 20년간 머물며 반란자를 토벌하는 등 공적을 쌓았다.[2] 무창으로 소환되어 요장독(繞長督)을 지냈으며,[2] 반준 휘하에서 서섭을 구명하는 일화를 남기기도 했다.[3] 이후 하구면중독(夏口沔中督)과 위원장군(威遠將軍)으로 승진하여 임지에서 능력을 발휘했다.[3] 적오 12년(249년)에 사망했으며,[3] 아들 손묘(孫苗)가 뒤를 이었다.[3]

2. 1. 어린 시절과 예장태수 대행

손린은 뛰어난 자질을 타고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명성이 자자했다.

9세의 나이에 아버지 손분이 사망하자 그 뒤를 이어 예장태수 직을 대신하게 되었고, 작위는 도향후로 올랐다.[2] 그러나 나이가 너무 어렸기 때문에 실제 태수 업무는 고소가 대행했으며,[2] 손린은 계속 예장군에 머물렀다.

예장군에 거주한 지 거의 20년 가까이 되면서, 그 사이에 반란자를 토벌하여 공적을 세웠다.[2] 이후 무창으로 소환되어 요장독(繞長督)에 임명되었다.[2]

2. 2. 서섭 구명과 반준과의 일화

반준(潘濬)이 형주(荊州)를 다스릴 때, 진류 사람인 서섭(徐涉)이 중안현(中安縣)의 현장(縣長)으로 있다가 죄를 지어 옥에 갇히는 일이 있었다.[2] 반준은 과거 서섭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터라 법에 따라 엄격하게 처벌하고자 했다. 주위의 많은 사람들이 서섭을 위해 변호했지만, 반준은 요지부동이었다.

이때 손린이 반준에게 나아가 “서섭의 아버지인 서소(徐 ৫০)와 그 형제들은 과거 친구의 원수를 갚으려 서로 자신이 죄를 뒤집어쓰고 죽으려 했습니다. 세상 사람들은 이를 의로운 행동이라 칭찬하며 미담으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서소는 일찍이 나라를 위해 몸 바칠 뜻을 품었던 인물입니다. 만약 지금 당신께서 그의 아들 서섭을 죽인다면, 훗날 천하가 통일되어 조정의 수레가 북쪽 중원(中原) 땅을 순행하게 될 때, 그곳의 선비들이 분명 서소의 후손은 어찌 지내는지 물을 것입니다. 그때 답하는 사람이 '반준 승명(반준의 자)이 서섭을 죽였다'라고 말한다면 어떻겠습니까?”라고 설득했다. 반준은 손린의 깊은 뜻을 즉시 알아차리고 마음을 바꾸어 서섭을 풀어주었다.[3]

2. 3. 하구면중독과 위원장군

예장군에서 약 20년간 복무하며 반란자를 토벌하는 등 공적을 쌓은 후, 무창으로 소환되어 요장독(繞長督)에 임명되었다.

당시 태상 반준(潘濬)이 형주를 관장하고 있었는데, 중안현(中安縣)의 현령(縣令)으로 진류 사람인 서섭(徐涉)이 죄를 지어 옥에 갇혔다. 반준은 과거 서섭과 사이가 좋지 않았기에 법에 따라 엄하게 처리하고자 했다. 많은 사람들이 서섭을 위해 변호했지만, 반준은 듣지 않았다. 이때 손린이 반준에게 나아가 말했다.

“서섭의 아버지인 서소(徐 Shao)와 그 형제는 친구의 원수를 갚기 위해 서로 죄를 떠안으려 하며 죽음을 다투었으니, 천하 사람들이 이를 의로운 행위라 칭찬하며 미담으로 삼았습니다. 또한, 서소는 일찍이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칠 뜻이 있었습니다. 오늘날 그대가 그의 아들을 죽인다면, 훗날 천하가 통일되어 푸른 덮개를 씌운 황제의 수레가 북쪽 중원 땅을 순행할 때, 그곳 선비들이 반드시 서소의 후사가 어찌 되었는지 물을 것입니다. 그때 답하는 사람이 '반준이 서섭을 죽였다'고 한다면 어떻겠습니까?”[3]

반준은 손린의 말뜻을 즉시 알아차리고 생각을 바꾸어 서섭을 풀어주었다.

이후 손린은 하구면중독(夏口沔中督)으로 승진하고 위원장군(威遠將軍)에 임명되어, 임지에서 직무를 보며 능력을 발휘했다. 적오 12년(249년)에 사망했으며, 아들 손묘(孫苗)가 뒤를 이었다. 다른 아들들인 손술(孫術)은 무창독(武昌督), 손진(孫震)은 무난독(無難督), 손해(孫諧)는 성문교위(城門校尉), 손흠(孫歆)은 낙향독(樂鄉督)이 되었고, 동생 손안(孫安), 손희(孫晞), 손적(孫績) 등도 각자 관직에 올랐다.

2. 4. 죽음과 후계

손린은 하구면중독으로 옮기고, 위원장군이 되어 거처하는 곳에서 직무를 보았다.[3] 적오 12년(249년)에 사망했으며,[3] 아들 손묘가 그의 뒤를 이었다.[3] 다른 아들들인 손술은 무창독, 손진은 무난독, 손해는 성문교위, 손흠은 낙향독이 되었다. 동생 손안, 손희, 손적 등도 각자 적절한 관직에 올랐다.

3. 인물평

위요는 손린에 대해 “성정이 바르고 정하며 민첩하여, 어려서부터 영예가 있었다.”라고 평가했다.[2]

4. 친족 관계

관계이름주요 사항
아들손묘아버지 손린의 뒤를 이었다.[1]
아들손술무창독(武昌督)을 지냈다.[1]
아들손진무난독(武難督)을 지냈다.[1]
아들손해성문교위(城門校尉)를 지냈다.[1]
아들손흠낙향독(樂鄉督)을 지냈다.[1]
동생손안관직에 올랐다.[1]
동생손희관직에 올랐다.[1]
동생손적관직에 올랐다.[1]


참조

[1] 서적 呉書
[2] 서적 오서
[3] 간행물 박물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