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왕필은 삼국 시대 조위의 학자이자 관료로, 23세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다. 그는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노장 사상에 심취했으며, 하안, 종회 등과 교류하며 명성을 얻었다. 왕필은 『노자』와 『주역』에 대한 주석을 남겼으며, 특히 『주역』 주석은 십삼경주소에 채택될 정도로 높이 평가받았다. 그의 사상은 현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귀무론과 성인유정론과 같은 독창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사마의의 고평릉의 변으로 면직된 후, 나병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저작은 이후 중국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26년 출생 - 육항
육항은 오나라의 장군으로, 육손의 아들이자 손책의 외손자이며, 제갈탄의 반란을 진압하고 형주 방어에 힘썼으며, 부패 척결을 위해 노력하다가 274년에 사망했다. - 중국 삼국 시대의 유학자 - 위소
위소는 삼국시대 오나라의 학자이자 관료로서, 손량, 손휴, 손호 3대에 걸쳐 벼슬을 지냈으며 《오서》 편찬을 주도하고 손호에게 직언을 하다 처형당했지만, 《국어주》 등의 저서를 남겼다. - 중국 삼국 시대의 유학자 - 정병 (동오)
정병은 후한 말부터 삼국시대 동오의 학자이자 관료로, 유교 경전에 능통하여 손권에 의해 태자태부로 임명되어 태자 손등을 교육하고 혼례를 주관했으며, 진수로부터 한 시대의 유자로 평가받았고, 3만여 자에 달하는 저술을 남겼다.
왕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왕필 |
한자 표기 | 王弼 |
로마자 표기 | Wang Bi |
자(字) | 輔嗣 (부사) |
출생 | 226년 |
출생지 | 산동성 |
사망 | 249년 (23세) |
아버지 | 왕엽 |
직업 | 철학자, 정치인 |
생애 | |
생애 | 왕필은 황초 7년(226년)에 연주 산양군에서 태어났다. 가평 원년(249년)에 사망했다. |
관직 | |
관직 | 상서랑 |
섬긴 군주 | |
군주 | 조방 |
2. 생애
왕필은 삼국 시대 조위의 하급 관료였으며, 23세의 젊은 나이에 유행병으로 사망했다.[3][4]
『박물기』에 따르면, 왕필의 조부는 명사로서의 혈통과 수려한 용모 덕분에 유표의 사위가 되었다. 아버지 왕업은 유표의 외손자로, 왕찬의 아들이 위풍의 난에 연좌되어 처형당하고 가계가 단절된 후, 왕찬이 소장한 1만 권의 장서를 물려받았다.
왕필은 얕은 지식을 가졌지만 온화한 성격으로 주연을 좋아했고, 음률에 통달했으며 투호에 능했다. 그러나 자신의 특기를 내세워 다른 사람을 조롱했기에, 당시 지식인들에게 미움을 받기도 했다.
사마의가 고평릉의 변을 일으켜 조상·하안을 처형하자 왕필은 면직되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왕필은 어린 시절부터 현명하고 총명하여 10여 세에 이미 『노자』를 즐겨 읽고, 뛰어난 언변을 구사했다.[3] 부하, 배휘, 하안에게 높이 평가받았으며, 종회와 함께 거론될 정도였다.[3]정시 연간(240~249년)에 황문시랑 자리가 비었을 때, 하안은 가충, 배수, 주정과 함께 왕필을 추천하려 했다.[3] 그러나 정밀이 왕려를 조상에게 추천하여 왕필 대신 왕려가 기용되었다.[3] 이로 인해 왕필은 상서랑에 임명되었다.[3]
왕필은 조상에게 알현을 청했는데, 조상은 중요한 용건이 있을 거라 생각하여 측근들을 물렸다.[3] 하지만 왕필은 도교 이론만을 이야기하고 다른 용건은 언급하지 않아 조상을 실망시켰다.[3]
2. 2. 관직 생활과 학문적 성취
왕필은 어린 시절부터 현명하고 총명하여 10대에 이미 『노자』를 즐겨 읽고 명석하게 웅변으로 말했다. 젊어서 부하, 배휘, 하안에게 높이 평가받았고, 종회와 함께 평가받았다.[3][4]정시 연간에 황문시랑에 결원이 생기자 하안은 가충, 배수, 주정을 기용하고 왕필의 기용도 심의하게 했다. 그러나 정밀이 왕려를 조상에게 추천하여 조상은 왕려를 기용했다. 이 때문에 왕필은 상서 랑에 임명되었다. 조상은 왕필이 알현을 청하자 중요한 용건이 있는 것으로 생각하여 측근들을 물렸으나, 왕필은 도교의 이론만 이야기하고 다른 일에는 언급하지 않아 그를 경멸했다.[3][4]
왕필은 얕은 지식을 가졌지만 온화한 성격으로 주연을 좋아했고, 음률에 통달했으며 투호를 잘했다. 도가의 학설에서는 하안에게 미치지 못했지만, 하안보다 뛰어난 설도 많았다. 그러나 자신의 특기 분야에서는 사람을 조롱했기에, 당시 지식인들에게 미움을 받았다고 한다.[3][4]
종회는 왕필과 사이가 좋았고, 왕필의 논의 고매함에 감복했다. 종회는 하안과도 교류가 있었고, 하안의 "성인에게는 희로애락의 정이 없다"라는 논을 조술했다. 왕필은 하안의 이 논을 비판하며 "성인은 사람보다 정신의 작용이 뛰어나며, 사람과 같은 점은 다섯 가지 정(희로애락과 욕 또는 원)에 있다. 정신의 작용이 뛰어나기 때문에 우주의 화락한 기운을 체득하여 무에 통할 수 있다. 다섯 가지 정이 같기 때문에, 애락의 정에 의해 외물에 대응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의 정은 외물에 끌려가지 않는 점을 들어, 외물에 대응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은 잘못이다."라고 주장했다.[3][4]
왕필은 『노자』·『역 (주역)』의 주석을 쓰고, 『도략론』을 저술했다. 『노자』·『역』의 주석은 현존하며, 높이 평가받고 있다. 『역』의 주석은 『십삼경주소』에 채용되었다.[3][4]
사마의가 쿠데타(고평릉의 변)를 일으켜 조상·하안을 처형하자 왕필은 면직되었다. 가평 원년(249년) 가을, 나병에 걸려 2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자식은 없고, 가문은 단절되었다.[3][4]
2. 3. 이른 죽음
가평 원년(249년) 가을, 나병에 걸려 24세의 나이로 사망했다.[3][4] 자식은 없었고, 가문은 단절되었다.육조지괴 중 하나인 『유명록』에는 왕필의 죽음에 대한 설화가 실려 있다. 이 설화에 따르면 왕필이 『주역』에 주석을 달 때 유가적으로 해석하는 정현을 조롱하며 늙은이가 하는 일에는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어느 날 밤, 정현이라고 자신을 칭하는 인물이 나타나 왕필을 꾸짖었고, 그 후 왕필은 두려움과 혐오를 느껴 나병에 걸려 사망했다고 한다.[6]
3. 저작
왕필의 작품으로는 공자의 ''논어'' 주석(인용문으로만 전해짐), ''주역'' 주석, ''도덕경'' 주석 등 최소 세 편이 알려져 있다. 이 중 ''주역''과 ''도덕경'' 주석은 현재까지 전해지며, 이후 중국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역'' 주석은 리처드 존 린에 의해 ''The Classic of Changes''라는 제목으로 영어 번역되었다. ''도덕경'' 주석은 여러 영어 번역본이 존재한다.[5]
육조지괴 중 하나인 『유명록』에는 왕필의 죽음에 관한 설화가 있다. 왕필은 『주역』 주석을 달 때 정현을 조롱하며 비난했는데, 어느 날 밤 정현이라고 칭하는 인물이 나타나 왕필을 꾸짖었다. 그 후 왕필은 두려움과 혐오를 느껴 병에 걸려 사망했다고 한다.[6]
3. 1. 『노자주』
왕필의 작품으로는 ''논어''에 대한 주석이 있으나, 인용문으로만 전해지고 있다. ''주역''과 ''도덕경''에 대한 주석은 현재까지 전해지며, 이후 중국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그의 ''도덕경'' 주석은 여러 영어 번역본이 존재한다.
- 아리안 럼프(Ariane Rump) 번역, ''Commentary on the Lao Tzu by Wang Pi'',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Asian and Comparative Philosophy'', No. 6 (호놀룰루: 하와이 대학교, 1979)
- 리처드 존 린(Richard John Lynn) 번역, ''The Classic of the Way and Virtue; A New Translation of the Tao-te Ching of Laozi as Interpreted by Wang Bi''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1999)
- 루돌프 바그너(Rudolf Wagner) 번역, ''A Chinese Reading of the Daodejing: Wang Bi's Commentary on the Laozi with Critical Text and Translation'' (올버니: 뉴욕 주립 대학교 출판부, 2003)
독일 철학자 [https://de.wikipedia.org/wiki/Kai_Marchal 카이 마르찰]은 세계적인 격변기에 왕필을 읽은 경험에 대한 문학적 에세이를 썼다.[5]
3. 2. 『주역주』
왕필의 작품으로는 적어도 세 편이 알려져 있는데, 하나는 공자의 ''논어''에 대한 주석으로, 인용문으로만 전해지고 있다. 또 다른 두 편은 ''주역''과 ''도덕경''에 대한 주석으로, 현재까지 전해질 뿐만 아니라, 이 두 고전에 대한 이후 중국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그의 ''주역'' 주석은 리처드 존 린(Richard John Lynn)에 의해 영어로 번역되었으며, 번역서의 제목은 ''The Classic of Changes''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1994)이다.
육조지괴 중 하나인 『유명록』에는 왕필의 죽음의 원인을 괴이한 현상으로 보는 설화가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왕필이 『주역』에 주석을 달 때 유가적으로 해석하는 정현을 평소 조롱하며 늙은이가 하는 일에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함부로 말했다. 어느 날 밤, 문 밖에서 누군가가 다가와 스스로를 정현이라고 칭하며 "그대는 젊은 나이에 어찌 경솔하게 문장을 가지고 놀며 함부로 나를 비난하는가"라고 분연히 왕필을 꾸짖었다. 그 인물은 말을 마치고 떠났지만, 왕필의 마음에는 두려움과 혐오가 생겨 얼마 지나지 않아 나병에 걸려 사망했다고 한다[6] .
3. 3. 『도략론』 및 『논어석의』
왕필의 작품으로는 최소 세 편이 알려져 있다. 그중 하나는 공자의 ''논어'' 주석인데, 인용문으로만 전해진다. 다른 두 편은 ''주역''과 ''도덕경'' 주석으로, 현재까지 전해질 뿐만 아니라 이 두 고전에 대한 이후 중국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리처드 존 린(Richard John Lynn)은 그의 ''주역'' 주석을 영어로 번역했으며, 번역서 제목은 ''The Classic of Changes''이다.
그의 ''도덕경'' 주석은 여러 영어 번역본이 있다.
- 아리안 럼프(Ariane Rump) 번역, ''Commentary on the Lao Tzu by Wang Pi''
- 리처드 존 린(Richard John Lynn) 번역, ''The Classic of the Way and Virtue; A New Translation of the Tao-te Ching of Laozi as Interpreted by Wang Bi''
- 루돌프 바그너(Rudolf Wagner) 번역, ''A Chinese Reading of the Daodejing: Wang Bi's Commentary on the Laozi with Critical Text and Translation''
독일 철학자 [https://de.wikipedia.org/wiki/Kai_Marchal 카이 마르찰]은 세계적인 격변기에 왕필을 읽은 경험에 대한 문학적 에세이를 썼다.[5]
4. 사상
(이전 출력이 빈 문자열이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동일하게 빈 문자열을 반환합니다.)
5. 평가 및 영향
왕필에 대한 평가는 당대와 후대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육조 지괴 소설 중 하나인 『유명록』에 실린 그의 죽음에 관한 설화는 그의 학문적 태도와 연관 지어 해석되기도 한다.[6]
5. 1. 당대 및 후대의 평가
육조 지괴 소설 중 하나인 『유명록』에는 왕필의 죽음의 원인을 괴이한 현상으로 보는 설화가 실려 있다. 이에 따르면 왕필이 『주역』에 주석을 달 때 유가적으로 해석하는 정현을 평소 조롱하며 늙은이가 하는 일에는 아무 의미가 없다고 함부로 말했다. 어느 날 밤, 문 밖에서 누군가가 다가와 스스로를 정현이라고 칭하며 "그대는 젊은 나이에 어찌 경솔하게 문장을 가지고 놀며 함부로 나를 비난하는가"라고 분연히 왕필을 꾸짖었다. 그 인물은 말을 마치고 떠났지만, 왕필의 마음에는 두려움과 혐오가 생겨 얼마 지나지 않아 나병에 걸려 사망했다고 한다.[6]6. 참고 문헌
저자 | 서명 | 출판 정보 |
---|---|---|
리처드 존 린(Richard John Lynn) | The Classic of Changes |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1994 |
아리안 럼프(Ariane Rump) | Commentary on the Lao Tzu by Wang Pi,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Asian and Comparative Philosophy, No. 6'' | 호놀룰루: 하와이 대학교, 1979 |
리처드 존 린(Richard John Lynn) | The Classic of the Way and Virtue; A New Translation of the Tao-te Ching of Laozi as Interpreted by Wang Bi |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1999 |
루돌프 바그너(Rudolf Wagner) | 'A Chinese Reading of the Daodejing: Wang Bis Commentary on the Laozi with Critical Text and Translation'' | 올버니: 뉴욕 주립 대학교 출판부, 2003 |
7. 관련 인물
참조
[1]
백과사전
Wang Bi
https://iep.utm.edu/[...]
2023-07-20
[2]
백과사전
Wang Bi
https://www.britanni[...]
2023-07-21
[3]
웹사이트
Wang Bi 王弼 (www.chinaknowledge.de)
http://www.chinaknow[...]
2023-07-21
[4]
서적
The Craft of a Chinese Commentator: Wang Bi on the Laozi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0-01-06
[5]
웹사이트
https://www.matthes-[...]
[6]
서적
捜神記 幽明録 異苑 他 <六朝Ⅰ>
明治書院
2006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