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송가이어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가이어족은 사하라 사막에서 사용되는 북부 송가이어와 니제르강을 중심으로 사용되는 남부 송가이어로 분류된다. 송가이어는 일반적으로 나일사하라어족으로 분류되지만, 만데어족 또는 베르베르어족과의 연관성에 대한 논의도 있다. 송가이어는 성조 언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는 경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일사하라어족 - 누비아어군
    누비아어군은 나일강 유역과 수단 지역에 분포하며 고대 누비아어에서 비롯된 노비인어, 켄지어, 동골라위어, 미도브어, 힐 누비아어 등을 포함하는 어군으로, 언어 간 관계 및 분류에 대해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 나일사하라어족 - 푸르어
    푸르어는 자음, 모음, 성조의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며, 전위 현상과 동화 규칙이 나타나고, 라틴 문자 기반에 추가 문자와 이중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며, 격 체계를 가진 명사와 활용되는 동사를 가진 언어이다.
  • 니제르의 언어 - 프랑스어
    프랑스어는 프랑스를 포함한 전 세계 29개국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는 로망스어군 언어로, 속라틴어가 갈리아어 및 프랑크어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국제기구 공용어로서 외교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고 현재 문화, 경제, 교육, 특히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 니제르의 언어 - 카누리어
    카누리어는 닐로사하라어족에 속하는 사하라 사막 남부의 언어로, 약 970만 명의 화자가 사용하며, 과거 카넴-보르누 제국의 언어였고,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지며, 아랍 문자와 라틴 문자로 표기된다.
  • 베냉의 언어 - 요루바어
    요루바어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나이지리아 등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다양한 방언과 아랍어의 영향을 받은 풍부한 어휘, 구비 및 기록 문학,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 베냉의 언어 - 폰어
    베냉에서 주로 사용되는 폰어는 미크로네시아 폰페이섬에서 기원하여 독자적으로 발전해 왔으며, 특유의 음운 체계와 문장 구조, 그리고 다양한 문자 체계를 통해 베냉의 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고, 현재 보존과 진흥을 위한 노력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송가이어족
언어 정보
이름송가이어
자기 이름Songhay
다른 이름송하이, 아이네하
민족송가이인
지역니제르강 중류 계곡, 말리, 니제르, 알제리, 베냉, 부르키나파소, 나이지리아, 산재한 오아시스 지대 (니제르, 말리, 알제리)
어족나일사하라어족 (?)
하위 분류북부 송가이어군
남부 송가이어군
원시 형태원시 송가이어
ISO 639-2son
ISO 639-5son
Glottologsong1307
Glottolog 참조Songhay
송가이어 분포도
송가이어 분포도

2. 언어

송가이어족은 크게 남부와 북부 송가이어로 나뉜다.[11] 남부 송가이어는 니제르강을 중심으로 사용되며, 자르마어(제르마어)가 가장 널리 쓰인다. 북부 송가이어는 사하라 사막에서 사용되며, 베르베르어의 영향을 많이 받아 혼성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12]


  • 북부 송가이어
  • 타닥사하크어
  • 타그달어
  • 타사와크어
  • 코란제어
  • 남부 송가이어
  • 코이라 치니어
  • 훔부리 센니어
  • 톤디 송과이 키니어
  • 코이라보로 센니어
  • 송가이보로 치네어
  • 자르마어
  • 덴디어

2. 1. 남부 송가이어

연구자들은 송가이어를 남부와 북부의 두 주요 분파로 분류한다.[11] 남부 송가이어는 니제르강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자르마어(제르마어)는 200만에서 300만 명의 화자를 가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송가이어로, 니제르 남서부(말리 남쪽 및 하류)의 주요 언어이며 수도인 니아메에서도 사용된다. 코이라보로 세니는 40만 명의 화자를 가지고 있으며, 옛 송가이 제국의 수도였던 가오 지역의 언어이다. 코이라 치이니는 그 서쪽에서 사용된다.

2. 2. 북부 송가이어

연구자들은 송가이어를 남부와 북부의 두 주요 분파로 분류한다.[11] 남부 송가이어는 니제르강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북부 송가이어는 사하라 사막에서 사용되는, 베르베르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방언들의 집단이다. 베르베르어의 영향은 어휘뿐만 아니라 굴절 형태론까지 확장되기 때문에, 북부 송가이어는 때때로 혼성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12]

북부 송가이어에 속하는 언어는 다음과 같다.

  • 타닥사하크어
  • 타그달어
  • 타사와크어
  • 코란제어

2. 3. 인구별 송가이어 화자 비율 (영어 위키백과 참고)

언어비율
자르마어58.4%
송가이보로 시인어18.9%
코이라보로 세니9.3%
덴디어5.5%
코이라 치이니4.3%
타닥사하크2.2%
기타1.4%



연구자들은 송가이어를 남부와 북부의 두 주요 분파로 분류한다.[11] 남부 송가이어는 니제르강을 중심으로 사용된다. 자르마어(제르마어)는 200만에서 300만 명의 화자를 가진 가장 널리 사용되는 송가이어로, 니제르 남서부(말리 남쪽 및 하류)의 주요 언어이며 수도인 니아메에서도 사용된다. 코이라보로 세니는 40만 명의 화자를 가지고 있으며, 옛 송가이 제국의 수도였던 가오 지역의 언어이다. 코이라 치이니는 그 서쪽에서 사용된다. 훨씬 더 작은 북부 송가이어는 사하라 사막에서 사용되는, 베르베르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방언들의 집단이다. 베르베르어의 영향은 어휘를 넘어 굴절 형태론까지 확장되기 때문에, 북부 송가이어는 때때로 혼성 언어로 간주되기도 한다.[12]

3. 계통 분류

디트리히 헤르만 베스터만은 송가이어족을 구르어족에 포함할지, 아니면 고립된 언어로 볼지 결정하지 못했고, 모리스 들라포스는 만데어족과 묶었다. 조셉 그린버그가 1963년 아프리카 언어를 재분류한 이후, 현재는 일반적으로 나일사하라어족으로 간주된다. 그린버그는 대명사를 포함하여 약 70개의 동원어를 증거로 제시했다.[13] 라이오넬 벤더는 송가이어어를 나일사하라어족 내의 독립된 하위 어족으로 보았고, 로저 블렌치는 송가이어어가 나일사하라어족의 전형적인 단수복수 형태론을 공유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러나 이러한 나일사하라어족 분류에는 논란이 있다. 라크루아는 그린버그가 제시한 동원어 중 약 30개만이 유효하며, 그마저도 주로 자르마어사하라어족 사이에서 나타나므로 차용어일 가능성을 제기했다.[13] 송가이어어와 만데어족 간의 유사성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으며, 여러 학자들이 관련 연구를 진행했다. 니콜라이는 1990년에 송가이어어가 베르베르어족 기반의 혼성어이며 만데어족의 영향을 받았다는 가설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 가설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송가이어어의 기원은 여전히 풀리지 않은 문제로 남아있다.

그린버그는 나일사하라어족과의 형태론적 유사성으로 인칭대명사 등을 제시했다. 크레이셀은 만데어족과의 유사성으로 3인칭 대명사, 지시사 등을 제시했다. 딤멘달(2011)은 송가이어어를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하지만, 사하라어족은 나일사하라어족에 포함된다고 보았다.[14]

3. 1. 나일사하라어족 가설

디트리히 헤르만 베스터만은 송가이어족을 구르어족에 할당할지, 아니면 고립어로 간주할지 망설였으며, 모리스 들라포스는 이를 만데어족과 묶었다. 조셉 그린버그가 1963년 아프리카 언어를 재분류한 이후, 현재 송가이어는 일반적으로 나일사하라어족으로 간주된다.[13] 그린버그의 주장은 약 70개의 주장된 동원어(대명사 포함)를 기반으로 한다. 이 제안은 특히 라이오넬 벤더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는데, 그는 송가이어를 나일사하라어족의 독립된 하위 어족으로 보았다. 로저 블렌치는 송가이어가 나일사하라어족의 전형적인 단수복수 형태론을 공유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2011년 현재, 그는 송가이어가 인접한 사하라어족과 가장 가깝고 분기되지 않았다고 믿는다.

그러나 나일사하라어족으로의 분류는 논란이 있다. 그린버그의 주장은 라크루아에 의해 심각한 비판을 받았는데, 그는 그린버그가 주장한 동원어 중 약 30개만이 수용 가능하다고 간주했으며, 더욱이 이는 주로 자르마어사하라어족 사이에서 나타나며, 따라서 이를 차용어로 의심하게 된다고 주장했다.[13]

3. 2. 비판적 시각

송가이어족의 분류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어 왔다. 디트리히 헤르만 베스터만은 송가이어족을 구르어족에 포함할지, 아니면 고립된 언어로 볼지 결정하지 못했고, 모리스 들라포스는 만데어족과 함께 분류했다. 조셉 그린버그는 1963년 아프리카 언어 재분류 작업을 통해 송가이어어를 나일사하라어족으로 분류했고, 이는 라이오넬 벤더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로저 블렌치는 송가이어어가 나일사하라어족의 특징적인 단수복수 형태론을 공유한다는 점에 주목하며, 2011년에는 송가이어어가 인접한 사하라어족과 가장 가깝다고 보았다.

그러나 나일사하라어족으로 분류하는 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다. 그린버그의 주장은 라크루아에 의해 비판받았는데, 그는 그린버그가 제시한 동원어 중 약 30개만이 유효하며, 그마저도 주로 자르마어사하라어족 사이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차용어일 가능성을 제기했다.[13] 송가이어어와 만데어족 간의 유사성은 오래전부터 지적되었으며, 무카로프스키(1966), 데니스 크레이셀(1981), 니콜라이 (1977, 1984) 등이 연구를 진행했다. 니콜라이는 1990년에 송가이어어가 베르베르어족 계통의 혼성어이며, 만데어족의 영향을 받아 재구성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하기도 했다. 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송가이어어의 기원은 여전히 불분명한 문제로 남아있다.

그린버그는 나일사하라어족과의 형태론적 유사성으로 인칭대명사, 관계 및 형용사 형성 요소, 복수 접미사 등을 제시했다. 크레이셀은 만데어족과의 유사성으로 3인칭 대명사, 지시사, 부정사, 가정법, 연결사, 접미사 등을 제시했다.

딤멘달(2011)은 송가이어어를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하지만, 사하라어족은 나일사하라어족의 일부로 분류한다.[14]

3. 3. 만데어족 연관설

디트리히 헤르만 베스터만은 송가이어족을 구르어족에 포함할지, 아니면 고립된 언어로 다룰지 결정하지 못했고, 모리스 들라포스는 송가이어족을 만데어족과 연결했다. 송가이어족과 만데어족의 유사성은 적어도 베스터만 이후부터 꾸준히 관찰되었으며, 무카로프스키(1966), 데니스 크레이셀(1981), 니콜라이(1977, 1984)는 두 어족 간의 관계를 연구했다.[13]

크레이셀은 신체 부위 명칭, 형태론적 접사(예: ''-endi'' 사동 접미사) 등 약 50가지 항목을 비교했고, 니콜라이는 약 450개의 유사 단어와 몇 가지 두드러진 유형론적 특징을 제시했다. 그러나 니콜라이는 1990년 송가이어어가 베르베르어족에 기반한 혼성어이며, 만데어족의 영향을 받아 재구성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하며 기존의 입장을 바꿨다.

크레이셀이 제시한 송가이어어와 만데어족 언어 간의 유사성은 다음과 같다.

  • 3인칭 대명사: ''a'' (단수, 범만데어 ''a''), ''i'' (복수, 범만데어 ''i'' 또는 ''e'')
  • 지시사: ''wo'' "이것" (cf. 만딩카어 ''o'', ''wo''), ''no'' "저것" (cf. 소닌케어 ''no'', 기타 만데어족 ''na'')
  • 부정사: ''na'' (일부 만딩카어 방언), 부정 과거 ''mana'' (cf. 만딩카어 ''má'', ''máŋ'')
  • 가정법: ''ma'' (cf. 만딩카어 ''máa'')
  • 접속사: ''ti'' (cf. 비사어 ''ti'', 만딩카어 ''de/le'')
  • 동사 연결: ''ka'' (cf. 만딩카어 ''kà'')
  • 접미사: ''-ri'' (결과, cf. 만딩카어 ''-ri'', 밤바라어 ''-li'' 과정 명사), ''-ncè'' (민족 명칭, cf. 소닌케어 ''-nke'', 만딩카어 ''-nka''), ''-anta'' (서수, cf. 소닌케어 ''-ndi'', 만딩카어 ''-njaŋ''), ''-anta'' (결과 분사, cf. 소닌케어 ''-nte''), ''-endi'' (사동, cf. 소닌케어, 만딩카어 ''-ndi'')
  • 후치사: ''ra'' "안에" (cf. 만딩카어 ''lá'', 소소어 ''ra''...)

3. 4. 베르베르어족 기반 혼성어 가설

니콜라이는 1990년에 송가이어가 베르베르어족을 기반으로 한 혼성어이며, 만데어족의 영향을 받아 재구성되었다는 가설을 제안했다. 그는 이 가설을 뒷받침하기 위해 기본 어휘(''tasa'' "")에서 명백한 차용어(''anzad'' "바이올린", ''alkaadi'' "카디")에 이르기까지 412개의 유사점을 제시했다.[13] 그러나 게릿 딤멘달과 같은 다른 학자들은 이 가설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니콜라이(2003)는 벤더가 제안한 어원론에 반대하는 것으로 보이며, 송가이어의 기원에 대한 문제를 여전히 열린 질문으로 간주한다.

3. 5. 기타

디트리히 헤르만 베스터만은 송가이어족을 구르어족에 포함할지, 아니면 고립된 언어로 볼지 결정하지 못했고, 모리스 들라포스는 이를 만데어족과 연결했다. 조셉 그린버그가 1963년 아프리카 언어를 다시 분류한 이후, 현재 송가이어는 일반적으로 나일사하라어족으로 간주된다.[13] 그린버그는 대명사를 포함하여 약 70개의 동원어를 제시하며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했다. 라이오넬 벤더는 송가이어를 나일사하라어족의 독립된 하위 어족으로 보았다. 로저 블렌치는 송가이어가 나일사하라어족의 전형적인 단수복수 형태론을 공유한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러나 나일사하라어족으로의 분류에는 논란이 있다. 라크루아는 그린버그가 제시한 동원어 중 약 30개만이 গ্রহণযোগ্য하며, 이들 대부분이 자르마어사하라어족 사이에서 나타난다고 비판했다.[13] 송가이어어와 만데어족 간의 유사성은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으며, 무카로프스키(1966), 데니스 크레이셀(1981), 니콜라이(1977, 1984)는 만데어족과의 관계 가능성을 연구했다. 그러나 니콜라이는 1990년에 송가이어가 베르베르어족 기반의 혼성어이며, 만데어족의 영향을 받아 재구성되었다는 가설을 제시했다. 다른 학자들은 이 가설에 동의하지 않았고, 니콜라이(2003)는 송가이어의 기원을 여전히 미해결 문제로 간주했다.

그린버그는 나일사하라어족과의 형태론적 유사성으로 인칭대명사 '나'를 뜻하는 ''ai'' (자그하와어 ''ai''), '너(단수)'를 뜻하는 ''ni'' (카누리어 ''nyi''), '우리'를 뜻하는 ''yer'' (카누리어 ''-ye''), '너희(복수)'를 뜻하는 ''wor'' (카누리어 ''-wi'') 등을 제시했다.

크레이셀은 만데어족과의 유사성으로 3인칭 대명사 ''a'' (단수, 범만데 ''a''), ''i'' (복수, 범만데 ''i'' 또는 ''e''), 지시사 ''wo'' ("이것") 및 ''no'' ("저것") 등을 제시했다.

딤멘달(2011)은 송가이어를 독립된 어족으로 간주하지만, 사하라어족은 나일사하라어족의 일부로 분류한다.[14]

4. 문법

송가이어는 대부분 성조 언어이며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언어군이다. 예외적으로 코이라 치이니어는 성조가 없고 주어-동사-목적어 어순을 사용하는 똔부크투 지역의 분기된 언어이다.

송가이어에는 사동 또는 비능동을 나타내는 형태소 ''-ndi''가 있다. 동사는 각 의미에 대해 형태소의 두 인스턴스를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ŋa-ndi-ndi''는 비유적으로 "[쌀]은 [누군가에 의해: 사동] [누군가에 의해: 사역] 먹게 되었다"로 번역된다.

5. 원시 송가이어 재구

다음은 일부 원시 송가이어 재구성에 대한 내용이다.[8]

의미원시 송가이어
사람*bòro
*kídòw
전갈, 모기*(n)děŋ
*bó:sú
돌, 산*tóndì
*gí:rí; *mán(n)à
어제*bǐ:
묻다*há˜
가져오다*kàte
가시*kárgí
피부*kú:rú
*kúdí



일부 원시 동부 송가이어 재구성은 다음과 같다.[8]

의미원시 동부 송가이어
초가집*bùgù
겨드랑이, 날개*fátá
갈증*gèw
옆구리*kéráw
석공 말벌*bímbín(í)
*súŋgáy


6. 수사

언어12345678910
코란제어affu*jnkajnzˁarˁəbʕa < 아랍어χəmsa < 아랍어sətta < 아랍어səbʕa < 아랍어tmənja < 아랍어təsʕa < 아랍어ʕəʃrˁa < 아랍어
타다크사하크어a-ˈfːo / a-ˈfːoo-dahiŋˈkakaːˈrˤad < 타마셰크어aˈkːoːz < 타마셰크어ʃaˈmːuʃ < 타마셰크어ʃaːˈdˤiʃ < 타마셰크어iˈʃːa < 타마셰크어iˈtˤːam < 타마셰크어tˤaːˈsˤa < 타마셰크어maːˈrˤa < 타마셰크어
타사왁어fó / a-fːóhínká / à-hínkáhínzà / à-hínzàtáásì / à-tːáásìxámsà < 아랍어sítːà < 아랍어sábàɣà < 아랍어tàmáníyà < 아랍어tísàɣà < 아랍어ɣàsárà < 아랍어
덴디어afɔhayinka / ahinkaahinzaatakiaɡuayiduayiye / ahiyeayiyakuayiɡaaweyi
코이라보로 세니어affooihinkaihinzaitaatʃiiɡɡuuidduuiyyeiyaahaiyaɡɡaiwoy
코이라 치니어foo / a-foohiŋkahindʒataatʃiɡuuidduiiyeyaahayaɡɡawoy / wey
자르마어, 송고이보로 시니어àˈfóìˈhíŋkáìˈhínzàìˈtaːcíìˈɡúˈíddùˈijjèàˈhákˌkùˈjǽɡɡàìˈwéɪ

[16]

참조

[1] 문서
[2] 서적 Linguistics and Language Behavior Abstracts: LLBA., Volume 33, Issue 3 https://books.google[...] 2021-05-14
[3] 서적 Etudes de lettres https://books.google[...] Faculté des lettres de l'Université de Lausanne 2021-05-14
[4] 문서
[5] 간행물 Southern Songhay Speech Varieties In Niger:A Sociolinguistic Survey of the Zarma, Songhay, Kurtey, Wogo, and Dendi Peoples of Niger http://media.corban.[...] Byron & Annette Harrison and Michael J. Rueck 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B.P. 10151, Niamey, Niger Republic 2021-02-23
[6] 웹사이트 Ethnologue report for Niger http://www.ethnologu[...]
[7] 저널 Language Ecology and Linguistic Diversity on the African Continent 2008-09-18
[8] 웹사이트 Saharan and Songhay form a branch of Nilo-Saharan http://www.rogerblen[...]
[9] 문서
[10] 문서
[11] 문서
[12] 웹사이트 SIL Working Papers on Songhay http://www.sil.org/s[...]
[13] 문서
[14] 서적 Historical Linguistics and the Comparative Study of African Languages John Benjamins
[15] 논문 Sonrai Causatives and Passives: Transformational versus Lexical Derivations for Propositional Heads
[16] 웹사이트 The Nilo-Saharan Language Phylum https://lingweb.eva.[...]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2019
[17] 웹사이트 SIL Working Papers on Songhay http://www.sil.org/s[...]
[18] 웹사이트 Saharan and Songhay form a branch of Nilo-Saharan http://www.rogerblen[...]
[19] 저널 Language Ecology and Linguistic Diversity on the African Continent 2008-09-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