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리가오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리가오논어는 자운자운 또는 와야와야라고도 불리며, 필리핀 수리가오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탄다가논어와 수리가오논어 두 가지 주요 방언이 존재하며, 수리가오델노르테주를 중심으로 약 40만 명의 화자가 있다. 세부아노어와 유사한 음운 목록을 가지며, 타우스그어, 부투아논어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비사야어군 - 타우수그어
타우수그어는 술루 제도 타우수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비사야어군에 속하며 술랏 수그 문자로 표기되었으나 현재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고 아랍어와 산스크리트어 차용어가 많다. - 비사야어군 - 아클라논어
아클라논어는 필리핀 아클란 주에서 쓰이는 언어로 악란, 악라노 등으로도 불리며 21개 음소를 가지고 비사야어군 언어와 유사하고 말라이논어와 어휘 공유율이 높으며 아클라논어 시인 멜초르 F. 시촌의 시 "어머니"는 필리핀 콜레지언에 실린 첫 아클라논어 시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필리핀어
필리핀어는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발전하여 다른 필리핀 언어들의 요소를 수용하며 진화하는 필리핀의 국어이자 공용어로서, 필리핀어 위원회에서 발전과 표준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법원에서도 사용이 장려되지만 타갈로그어와의 관계 및 다른 언어들과의 통합에 대한 논의가 진행 중이다. - 필리핀의 언어 - 타갈로그어
타갈로그어는 필리핀에서 가장 널리 쓰이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필리핀어의 기초가 되며 해외 이민자 공동체에서도 사용되고, 라틴 알파벳 기반에 독특한 음운론 및 문법 특징, 스페인어와 영어 차용어를 포함한다.
수리가오논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수리가오논어 |
다른 이름 | 탄다간온어 수리가오어 |
사용 국가 | 필리핀 |
사용 지역 | 수리가오델노르테 주 전체 수리가오델수르 주 대부분 디나갓 아일랜드 주 일부 아구산델노르테 주 일부 아구산델수르 주 일부 다바오 오리엔탈 주 일부 |
사용자 | 수리가오논족 |
화자 수 | 500,000명 (2009년) |
언어 분류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 필리핀어군 중앙 필리핀어군 비사야어군 남부 비사야어군 |
문자 | 라틴 문자 |
언어 코드(ISO 639-3) | sgd (수리가오논어) tgn (탄다간온어) |
글롯로그 | suri1274 |
글롯로그 명칭 | 수리가오 |
지위 | |
필리핀 | 지역 언어 |
관리 기관 | 필리핀 언어 위원회 |
지도 정보 | |
![]() |
2. 언어 명칭
수리가오논어는 수리가오델수르 주와 수리가오델노르테 주 주민들의 언어이자 그 주민들을 가리킨다.[1] 수리가오의 여러 민족 언어들과 세부아노어가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1][2] 이 지역으로 많은 세부아노인들이 유입되면서 세부아노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하지만 오랫동안 이 지역에 살지 않은 세부아노어 화자들은 수리가오논어 화자들의 말을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수리가오논어는 '하운하운'(Jaun-Jaun) 또는 '와야와야'(Waya-Waya)라고도 불리며, 수리가오델노르테주를 중심으로 약 40만 명이 사용하는 북부 방언이다. 수리가오논어 화자는 수리가오델노르테주 전역, 수리가오델술주 북부, 아구산델노르테주 북부에 분포되어 있다.[2] 수리가오논어와 탄다가논어 화자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더라도 서로 잘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보홀어 방언과 세부아노어 일반 방언 간의 상호 이해도와 유사하다.
수리가오논어는 술루의 타우스그어와 부투안의 부투아논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3. 방언
수리가오논어와 탄다가논어는 수리가오델노르테주와 수리가오델술주의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지만, 비슬리그시와 바로보, 히나투안, 링기그, 타그비나 시는 제외된다. 수리가오에서 수리가오논어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의 대부분 주민은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이주민의 후손이며, 나머지는 망사칸어군에 속하는 카마요어를 사용하는 원주민이다.
3. 1. 탄다가논어 (Tandaganon)
탄다가논어(Tinandag, Naturalis, Tagon-on이라고도 함)는 탄다그와 수리가오델수르주 중부의 산미구엘, 타고, 바야바스, 카그와이트, 마리하타그, 산아구스틴, 리앙가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이다.[1] 수리가오논어의 남부 방언으로 분류될 수도 있고, 별개의 언어로 분류될 수도 있다. 화자는 약 10만 명이다.
3. 2. 수리가오논어 (Surigaonon)
탄다가논어[1](Tinandag, Naturalis, Tagon-on이라고도 함)는 탄다그와 수리가오델수르주 중부의 산미구엘, 타고, 바야바스, 카그와이트, 마리하타그, 산아구스틴, 리앙가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는 밀접하게 관련된 방언이다. 별개의 언어로 분류되기도 하고, 수리가오논어의 남부 방언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화자는 약 10만 명이다.
수리가오논어(Jaun-Jaun 또는 Waya-Waya라고도 함)는 수리가오델노르테주를 중심으로 하는 북부 방언으로, 약 40만 명의 화자가 있다. 수리가오논어 화자는 수리가오델노르테주 전역, 수리가오델술주 북부, 아구산델노르테주 북부에 분포되어 있다.[2] 수리가오논어와 탄다가논어 화자는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더라도 서로 잘 이해할 수 있는데, 이는 보홀어 방언과 세부아노어 일반 방언 간의 상호 이해도와 유사하다.
수리가오논어와 탄다가논어는 수리가오델노르테주와 수리가오델술주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되지만, 비슬리그시와 바로보, 히나투안, 링기그, 타그비나 시는 제외된다. 수리가오에서 수리가오논어를 사용하지 않는 지역의 대부분 주민은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이주민의 후손이며, 나머지는 망사칸어군에 속하는 카마요어를 사용하는 원주민이다.
4. 음운
두마니그(2005, 2015)에 따르면, 수리가오논어는 비사야어군에 속하는 세부아노어, 보홀어와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3]
4. 1. 모음
두마니그(2005)에 따르면, 수리가오논어는 같은 비사야어군에 속하는 세부아노어, 보홀어와 유사한 음운 목록을 가지고 있다. 아래는 수리가오논어의 모음 체계이다.[3]전설 | 중설 | 후설 | |
---|---|---|---|
고모음 | i|이ilo | u|우ilo | |
저모음 | a|아ilo |
4. 2. 자음
두마니그(2015)에 따르면, 수리가오논어는 자매어인 세부아노어(Cebuano language), 보홀어(Boholano language)와 유사한 음운 체계를 가지고 있다.[3] 아래는 수리가오논어 자음표이다.
참고: j는 'y'로, d͡ʒ는 'j'로, ŋ는 'ng'로 표기된다.
5. 다른 언어와의 관계
두마니그(2005)에 따르면, 수리가오논어는 같은 비사야어군에 속하는 세부아노어, 보홀어와 유사한 음운 목록을 가지고 있다.[3] 수리가오논어는 수리가오델수르주와 수리가오델노르테주 주민들의 언어이자 그 주민들을 가리킨다. 수리가오의 여러 민족 언어들과 세부아노어가 혼합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 지역으로 많은 세부아노인들이 유입되면서 세부아노어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하지만 오랫동안 이 지역에 살지 않은 세부아노어 화자들은 수리가오논어 화자들의 말을 거의 이해하지 못한다.
수리가오논어는 술루의 타우스그어와 부투안의 부투아논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6. 어휘 비교
Marajaw da isab aku (수리가오논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