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에시오네스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에시오네스족은 기원전 1세기에 카이사르와 플리니우스에 의해 언급된 갈리아 부족이다. '여섯'을 의미하는 갈리아어에서 유래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수아송과 그 지역의 이름의 기원이 되었다. 수에시오네스족은 우아즈강과 마른강 사이에 위치했으며, 퐁미에와 아우구스타 수에시오눔(현대 수아송)을 주요 거주지로 삼았다. 기원전 80년경에는 브리타니아 남동부 지역에서 지배권을 행사하기도 했으며, 갈리아 전쟁 중 카이사르에 의해 정복되었다. 로마 시대에는 로마의 속국이 되었으며, 지역 여신 카물로리가와 로마 신 메르쿠리우스를 숭배했다. 수에시오네스족은 엔 강과 마른 강을 통해 영국과의 교역을 했으며, 주화를 발행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의 부족 - 네르비족
    네르비족은 고대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에 거주하며 용맹한 벨가이족으로 알려졌으나, 로마에 저항하다 프랑크족에 동화되었다.
  • 갈리아의 부족 - 트레베리족
    트레베리족은 켈트-게르만 문화의 혼합 양상을 보이며 로마와 협력하여 자치 도시 지위를 얻고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나, 3세기 위기 이후 쇠퇴한 고대 민족이다.
  • 갈리아 전쟁 - 갈리아 전기
    《갈리아 전기》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원정을 기록한 라틴어 저서이며,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집필되었고, 갈리아 및 게르만족의 문화와 풍습을 묘사하고 있다.
  • 갈리아 전쟁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은 갈리아 전쟁의 일환으로 기원전 55년과 54년에 걸쳐 두 차례 발생했으며, 브리튼 섬을 로마의 영향력 아래 두고 이후 로마의 브리타니아 속주화 기반을 마련했다.
  • 벨기에의 역사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1482년부터 1795년까지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부르고뉴 공작령 상속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나 스페인의 가톨릭 박해와 전제정치로 80년 전쟁을 겪으며 북부 7개 주는 독립하고 남부 지역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 벨기에의 역사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수에시오네스족
개요
위치갈리아 북동부
주요 정착지수아송 (Augusta Suessionum, 현재의 소아송)
민족벨가이족
역사
기원벨가이족의 한 부족
기원전 57년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정복당함
로마 제국갈리아 벨기카의 일부가 됨
사회
정치 체제왕정
주요 인물갈바 (수에시오네스족) (Galba): 기원전 57년 당시 왕
경제농업 및 수공업
문화
언어갈리아어
종교켈트 신화
기타
관련 부족렘족, 벨로바키족, 암비아니족 등

2. 명칭

율리우스 카이사르(기원전 1세기 중반)와 대 플리니우스(1세기)는 수에시오네스족을 ''Suessiones''로 언급했고,[1] 스트라보(1세기 초)는 ''Souessíōnes''(Σουεσσίωνες)와 ''Ou̓essíōnas''(Οὐεσσίωνας)로,[2] 프톨레마이오스(2세기)는 ''Ouéssones''(Οὐέσσονες)로 언급했다.[3][4]

2. 1. 어원

수에시오네스족(Suessiones)의 어원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지만, 대부분의 학자들은 '여섯'을 뜻하는 suexsxtg(갈리아어 suexsosxtg '여섯 번째', 아일랜드어 séga, 웨일스어 chwechcy '여섯'과 비교)에서 유래했다고 본다. 이는 부족 이름에 숫자를 포함하는 갈리아 관습(예: 보콘티족, 보코리족, 트리코리족, 페트로코리족)에서 기인한다.[1] 다른 어원으로는 '*su-ed-ti-ones'(음식이 풍부한) 또는 '*swe-'(적절한, 자신에게)에서 파생된 형태가 제안되었다. 이베리아반도에서 증명된 부족 이름인 ''수에세타니족''(Suessetani)과 지명 Σουεστáσιον|수에스타시온el은 언어학적으로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1]

4세기 AD에 ''아우구스타 수에시오눔''(Augusta Suessionum)으로 기록된 도시 수아송(561년에는 ''Suessio'', 1288년에는 ''Soisson'')과 수아소네(Soissonnais) 지역은 이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

3. 지리

Suessionesla족은 서쪽으로 우아즈강 계곡의 숲과 남동쪽으로 마른 강을 따라 뻗은 숲이 우거진 고지대(에페르네 근처)에 접해 있었다.[1] 이들은 멜디족과 실바넥테스족의 북동쪽, 레미족의 서쪽에 거주했다.[1][2]

3. 1. 영역

수에시오네스족의 영토는 서쪽으로 우아즈강 계곡의 숲과, 남동쪽으로 마른 강을 따라 뻗은 숲이 우거진 고지대(에페르네 근처)에 접해 있었다.[1] 이들은 더 작은 멜디족과 실바넥테스족의 북동쪽, 그리고 레미족의 서쪽에 거주했다.[1][2]

3. 2. 주요 거주지

수에시오네스족은 라텐 시대와 로마 시대에 걸쳐 여러 주요 거주지를 두었다. 라텐 시대에는 빌뇌브-생제르맹 오피둠과 퐁미에의 오피둠이 주요 정착지였으며,[1][2] 갈리아 전쟁 이후에는 퐁미에가 점차 버려지고 아우구스투스 통치 말기부터 오귀스타 수에시오눔이 새로운 중심지가 되었다.[4] 로마 시대에는 오귀스타 수에시오눔이 ''키비타스'' ''수에시오눔''의 수도가 되었고,[1] 샤토티에리, 시리살소뉴 등지에 더 작은 집단 거주지가 있었다.[3]

3. 2. 1. 라텐 시대

빌뇌브-생제르맹 오피둠은 기원전 1세기 중반에 엔 강 근처 평원에 세워졌으며, 로마 정복 이전 수에시오네스족의 주요 정착지였다.[1][2] 이곳은 중요한 갈리아 집합체였으며, 최고 70ha에 달했다.[1]

갈리아 전쟁 (기원전 58–50년) 시기부터 그들의 족장 도시는 카이사르가 언급한 요새 ''노비오두눔''(골어: '새로운 요새')으로 일반적으로 확인되는 퐁미에의 오피둠이 되었다.[3][2] 퐁미에는 점차 버려졌고, 아우구스투스의 통치 말기(기원전 27년–서기 14년) 이후에는 비어 있게 되었는데, 이때 그들의 족장 도시는 오귀스타 수에시오눔이 되었다.[4]

앰블레니, 퐁생마르, 또는 에파니에도 더 작은 오피둠이 위치해 있었다.[2]

3. 2. 2. 로마 시대

아우구스타 수에시오눔(현 수아송)은 기원전 20년경 빌뇌브생제르맹과 퐁미에보다 도시화에 더 적합한 지역에 건설되었으며, 로마 시대에 ''키비타스'' ''수에시오눔''의 수도가 되었다.[1] 이곳은 최대 100~120ha에 달해 북서 갈리아에서 가장 중요한 정착지 중 하나였다.[2] 서기 3세기 게르만족 대이동으로 인해 도시 주변에 요새가 세워졌다. 로마는 486년 시아그리우스가 프랑크 왕 클로비스에게 패배할 때까지 이 지역을 방어했다.[1]

''키비타스'' 내의 더 작은 집단 거주지는 샤토티에리, 시리살소뉴, 에포베주, 블레메, 생세니, 레송르롱에 있었다.[3]

4. 역사

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 갈리아 북부 지역에서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으며, 이는 벨가이의 도래와 일치할 수 있다. 이후 수에시오네스족 사이에서 문화적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들은 아마도 3세기 이후에야 벨가이에 완전히 통합되었을 것이다. 기원전 250년에서 200년 사이에는 암비 또는 벨로바키 영토에서 새로운 장례 관습(매장에서 화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화장은 기원전 200년에서 150년경부터 엔 계곡에서 늦게 발생했다.

기원전 80년경, 수에시오네스족의 왕 디비키아쿠스는 브리타니아 남동부 지역에서 지배권을 얻었다.

4. 1. 라텐 시대

고고학자 장루이 브로노에 따르면, 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에 갈리아 북부 지역에서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으며, 이는 벨가이의 도래와 일치할 수 있다. 이러한 문화적 변화는 이후 수에시오네스족 사이에서 나타났으며, 이들은 아마도 3세기 이후에야 벨가이에 완전히 통합되었을 것이다. 새로운 장례 관습(매장에서 화장으로)은 기원전 250년에서 200년 사이에 암비 또는 벨로바키 영토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화장은 기원전 200년에서 150년경부터 엔 계곡에서 늦게 발생했다.

기원전 80년경, 수에시오네스족의 왕 디비키아쿠스는 브리타니아 남동부 지역에서 지배권을 얻었다.

4. 2. 갈리아 전쟁

카이사르는 그의 저서 ''갈리아 전쟁''에서 기원전 57년에 수에시오네스족은 갈바가 통치했다고 기록했다.[5]

5. 정치

갈리아 전쟁(기원전 58–50년) 이전 수에시오네스족은 이웃한 레미족과 동일한 법률, 동일한 행정관, 통합된 최고 사령관으로 연결되어 공통의 문화적 정체성을 공유했다. 실제로 두 부족 간의 이러한 가상적인 연합 국가는 아마도 수에시오네스족에게 유리했을 것이다. 카이사르가 기원전 57년에 갈리아 벨기카에 진입했을 때, 레미족은 로마의 보호를 요청하여 비대칭적 관계에서 독립을 얻었다. 멜디족 역시 더 강력한 수에시오네스족에게 조공을 바쳤을 것이다.

수에시오네스 스타터. 기원전 200년경


로마 시대에 수에시오네스족은 로마의 속국으로 여겨졌고, 레미족은 로마의 동맹으로 간주되었다. 수에시오네스족 영토의 일부는 레미족, 멜디족, 그리고 아마도 술바넥테스족에게 주어졌다. 수에시오네스족의 레미족 의존은 서기 1세기 초까지 지속되었던 것으로 보이며, 로마 군대의 주둔은 플라비우스 왕조 시대까지 아를렌(레스옹-르-롱)의 캠프에서 수에시오네스족 영토에서 확인된다.

6. 종교

아우구스타 수에시오눔에서는 토착 여신 카물로리가(Camuloriga)에게 헌정된 봉헌 비석과 로마 신 메르쿠리우스의 작은 조각상이 발견되었다.[1] '카물로리가'라는 신의 이름은 골어 '카물로스'에서 유래되었는데, '챔피언, 종' (노력을 기울이는 자를 의미)으로 번역될 수 있으며, 접미사 '-리가-' ('`< rigani` '여왕'; 고대 아일랜드어 'rígain' '여왕'과 비교)가 붙어있다.[2][3]

포소이, 그랑-로조이, 파슬리에서 시골 신전이 확인되었다. 고고학자들은 그곳에서 어떤 신들이 숭배되었는지 식별하지 못했다.[1]

7. 경제

수에시오네스족은 엔 강과 마른 강이라는 두 개의 강 길목에 걸쳐 있었다.[6] 기원전 2세기 중반, 벨기에 갈리아인들이 주조한 "갈로-벨기 A" 유형의 주화가 처음 영국에 등장했다. 기원전 90년에서 60년 사이에는 수에시오네스족의 왕 디비키아쿠스(Diviciacus)와 관련된 "갈로-벨기 C" 주화가 발행되었다. 이 주화들은 서섹스에서 워시까지, 특히 켄트 근처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기원전 60~50년경의 후기 주화인 "갈로-벨기 F"는 파리 근처, 수에시오네스족 영토 전체, 그리고 영국의 남부 해안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이러한 발견은 학자들이 로마 정복 이전 2세기와 1세기 동안 수에시오네스족이 영국으로 상당한 무역과 이주를 했다고 추측하게 한다.[7] 카이사르는 벨기에인들이 전리품을 찾아 영국으로 갔다고 묘사하며, "영국의 내륙 지역은 자국 전통에 따르면 섬에 원주민인 부족들이 거주하고, 해양 지역은 더 일찍 침략을 통해 전리품을 찾기 위해 벨기에에서 이주한 부족들이 거주한다"라고 기록했다.[8]

참조

[1]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1] 서적 Naturalis Historia
[2] 서적 Geōgraphiká
[3] 서적 Geōgraphikḕ Hyphḗgēsis
[4] 논문 Suessiones 2010
[5]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0057
[6] 웹사이트 Gold stater ('Gallo-Belgic A' type)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2015-04-16
[7] 웹사이트 The Celtic Tribes of Britain: The Belgae http://www.roman-bri[...] 2015-04-16
[8]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0057
[9] 서적 갈리아 전쟁기 범우사 199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