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레미족은 기원전 1세기 중반부터 5세기까지 다양한 명칭으로 불린 골족의 부족이다. 그들은 엔 강 중류 지역에 거주했으며, 로마와의 동맹을 통해 갈리아 전쟁에서 로마에 협력했다. 레미족은 자체적인 화폐를 발행하고, 로마 시대에는 마르스 카물루스를 숭배하는 등 독자적인 문화와 경제 체제를 갖추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갈리아의 부족 - 네르비족
네르비족은 고대 벨기에와 프랑스 북부에 거주하며 용맹한 벨가이족으로 알려졌으나, 로마에 저항하다 프랑크족에 동화되었다. - 갈리아의 부족 - 트레베리족
트레베리족은 켈트-게르만 문화의 혼합 양상을 보이며 로마와 협력하여 자치 도시 지위를 얻고 경제적 번영을 누렸으나, 3세기 위기 이후 쇠퇴한 고대 민족이다. - 갈리아 전쟁 - 갈리아 전기
《갈리아 전기》는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갈리아 원정을 기록한 라틴어 저서이며, 정치적 입지 강화를 위해 집필되었고, 갈리아 및 게르만족의 문화와 풍습을 묘사하고 있다. - 갈리아 전쟁 -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브리튼 침공은 갈리아 전쟁의 일환으로 기원전 55년과 54년에 걸쳐 두 차례 발생했으며, 브리튼 섬을 로마의 영향력 아래 두고 이후 로마의 브리타니아 속주화 기반을 마련했다. - 벨기에의 역사 - 합스부르크 네덜란드
합스부르크 네덜란드는 1482년부터 1795년까지 현재의 네덜란드, 벨기에, 룩셈부르크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부르고뉴 공작령 상속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의 지배를 받았으나 스페인의 가톨릭 박해와 전제정치로 80년 전쟁을 겪으며 북부 7개 주는 독립하고 남부 지역은 합스부르크의 지배를 받았다. - 벨기에의 역사 - 워싱턴 회담
워싱턴 회담은 제1차 세계 대전 후 미국 주도로 1921년부터 1922년까지 워싱턴 D.C.에서 개최된 9개국 국제 회의로, 해군 군비 제한, 태평양 지역 질서 재편, 중국 문제 등을 논의하여 워싱턴 해군 군축 조약 등 일련의 조약을 체결하고 만주사변 이전까지 동아시아 국제 질서를 규정하는 워싱턴 체제를 성립시켰다.
레미족 | |
---|---|
개요 | |
주요 거주 지역 | 프랑스 북동부, 벨기에 일부 |
중심 도시 | 랭스 (Durocortorum) |
민족 | 벨가에인 |
언어 | 갈리아어 |
역사 | |
기원 | 벨가에인 연맹의 일부 |
기원전 57년 | 율리우스 카이사르에게 항복 |
로마 제국 | 로마의 동맹 부족 |
벨기에 갈리아 | 로마 속주 벨기카 세쿤다의 일부 |
문화 | |
종교 | 켈트족의 다신교 |
사회 | 귀족 계급과 평민으로 구성 |
경제 | 농업과 수공업 |
정치 | |
지도자 | 익키우스 |
정치 체제 | 부족 연맹 |
같이 보기 | |
관련 부족 | 수에시오네스, 벨로바키, 암비아니 |
관련 인물 | 율리우스 카이사르 |
관련 지역 | 갈리아 |
2. 명칭
카이사르(기원전 1세기 중반)와 플리니우스(1세기)는 레미족을 ''레미(Remi)''로 언급했다.[1] 스트라본(1세기 초)과 프톨레마이오스(2세기)는 ''레모이(Rhē̃moi)''(Ῥη̃μοι; 변형. Ῥημοὶ)로 언급했으며,[2] 타키투스(2세기 초)는 ''레모스(Remos)''로 언급했다.[3] 카시우스 디오(3세기)는 ''레몬(Rhēmō̃n)''(Ῥημω̃ν)과 ''레모이스(Rhēmoĩs)''(Ῥημοι̃ς)로 언급했으며,[4] ''노티티아 디그니타툼(Notitia Dignitatum)'' (5세기)에서는 ''네모룸(Nemorum)''으로 언급되었다.[5][6]
레미족은 엔, 베슬과 스위프 계곡에 거주했으며, 엔강 중류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했다.[1] 그들의 영토는 수에시오네스 남쪽에 위치해 있었다.[2] 숲으로 둘러싸여 있었기 때문에, 그들이 통제하는 땅은 이웃 부족과 경계를 맞닿는 곳이 없었다.[1]
골어 민족명칭 ''레미(Rēmi)''(단수. ''레모스(Rēmos)'')는 문자 그대로 '첫 번째 사람들', 즉 '왕자'를 의미한다. 이는 원시 켈트어 ''*reimos''('첫 번째, 왕자, 족장'; 고대 아일랜드어 ''rem''- '앞에', 웨일스어 ''rwyf'' '왕자, 족장', 콘월어 ''ruif'' '왕')에서 유래되었으며, 원시 인도유럽어 *''prei-mos''('첫 번째, 지도자'; 라틴어 ''prīmus'' '가장 앞에, 최고의')에서 유래되었다.
기원 400년경에 ''시비타테 레모룸(civitate Remorum)''으로 기록된 랭스는 1284년에 ''렘스(Rems)''로 기록되었으며, 이 도시는 벨가 부족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3. 지리
기원전 2세기 초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 레미족의 마을은 니지-르-콩트, 투니-트루니, 아시-로망스와 같은 자연적인 통로와 육상 교차로를 따라 위치해 있었다.[1] 기원전 2세기 말에서 기원전 1세기 초에 걸쳐 비브락스(생토마), 난딘 (샤토-포르시엔), 물랭 아 방 (봉크), 라 셰프, 비유 랭스 (콩데-쉬르-스위프/바리스쿠르)에 오피둠 몇 개가 건설되었다.[3]
로마 제국 초기, 레미족은 오피둠을 떠났다. 두로코르토룸(현대 랭스)은 기원전 2세기 말~1세기 초에 건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1세기 말에 시비타스의 수도로 승격되었다.[2] 로마 시대의 2차 집단 거주지는 베르뱅, 쇼르스, 니지르르콩트, 랭 또는 쿠시레제프에서도 알려져 있다. [4]
3. 1. 영역
레미족은 엔, 베슬과 스위프 계곡에 거주했으며, 엔강 중류 지역에 집중적으로 분포했다.[1] 그들의 영토는 수에시오네스 남쪽에 위치해 있었다.[2] 그러나 숲으로 둘러싸여 있었기 때문에, 그들이 통제하는 땅은 이웃 부족과 경계를 맞닿는 곳이 없었다.[1]
3. 2. 정착지
기원전 2세기 초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 레미족의 마을은 니지-르-콩트, 투니-트루니, 아시-로망스와 같은 자연적인 통로와 육상 교차로를 따라 위치해 있었다.[1] 기원전 2세기 말에서 기원전 1세기 초에 걸쳐 비브락스(생토마), 난딘 (샤토-포르시엔), 물랭 아 방 (봉크), 라 셰프, 비유 랭스 (콩데-쉬르-스위프/바리스쿠르)에 오피둠 몇 개가 건설되었다.[3]
로마 제국 초기, 레미족은 오피둠을 떠났다. 생토마(비브락스)의 오피둠은 기원전 1세기에 버려졌지만, 르 물랭 아 방(Le Moulin à Vent)은 서기 3세기에 ''Vongo vicus''로 언급된 봉크로 발전했다.[1] 두로코르토룸(현대 랭스)은 기원전 2세기 말~1세기 초에 건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1세기 말에 시비타스의 수도로 승격되었다.[2]
로마 시대의 2차 집단 거주지는 베르뱅, 쇼르스, 니지르르콩트, 랭 또는 쿠시레제프에서도 알려져 있다. 니지르르콩트는 전성기에 약 80ha에 달했을 것이다.[4]
3. 2. 1. 라텐 문화 시기
로마 정복 이전(기원전 57년) 레미족의 마을은 기원전 2세기 초부터 기원전 1세기까지 니지-르-콩트, 투니-트루니, 아시-로망스와 같은 자연적인 통로와 육상 교차로를 따라 위치해 있었다.[1] 엔 강 계곡의 농촌 지역은 지중해 상인과의 교역 관계를 중심으로 밀집되어 있었으며, 지역 귀족이 소유한 대규모 농장과 수많은 마을로 둘러싸여 있었다.[2]
기원전 2세기 말에서 기원전 1세기 초에 걸쳐 비브락스(비유 라옹, 생토마), 난딘 (샤토-포르시엔), 물랭 아 방 (봉크), 라 셰프, 비유 랭스 (콩데-쉬르-스위프/바리스쿠르)에 오피둠 몇 개가 건설되었다.[3]
3. 2. 2. 로마 시대
로마 제국 초기, 레미족은 제국의 새로운 경제 체제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던 마을과 오피둠을 떠났다. 예를 들어 생토마(비브락스)의 오피둠은 기원전 1세기에 버려졌지만, 랭스와 트리어 사이의 무역로에 있던 르 물랭 아 방(Le Moulin à Vent)은 서기 3세기에 ''Vongo vicus''로 언급된 봉크로 발전했다.[1]
두로코르토룸(현대 랭스)은 기원전 2세기 말~1세기 초에 건설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전 1세기 중반 카이사르에 의해 언급되었는데, 기원전 1세기 말에 그들의 시비타스의 수도로 승격되었다.[2] 이 정착지의 이름은 골어 단어 ''두론''( '문' > '구획된 도시, 시장 도시')에서 유래되었다.[3]
로마 시대의 2차 집단 거주지는 베르뱅, 쇼르스, 니지르르콩트, 랭 또는 쿠시레제프에서도 알려져 있다. 최소 서기 4세기 말까지 점유되었던 니지르르콩트는 전성기에 약 80ha에 달했을 것이다.[4]
4. 역사
장루이 브로노(Jean-Louis Brunaux)에 따르면 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에 골 북부에서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는데, 이는 벨가이족의 도래와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레미족 사이에서는 이러한 문화적 변화는 더 늦게 나타났다. 새로운 장례 관습(매장에서 화장으로)은 암비족이나 벨로바치족의 영토에서 기원전 250년부터 200년 사이에 나타났지만, 화장은 엔 계곡에서는 기원전 200~150년 이전에 발생하지 않았다.[1] 따라서 레미족은 카이사르가 이 지역을 정복했을 당시 문화적으로 벨가이족에 통합되었다고 여겨지지 않았을 것이다.[2]
기원전 1세기 중반 무렵, 레미족은 이미 화폐 발행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경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이는 그들이 지역 농업 생산과 골 북부와 지중해 지역 간의 무역으로 번영했기 때문이다.[3] 4~3세기에 쇠퇴기를 겪은 후, 무역 관계는 결국 회복되어 2세기 후반에 강도를 더했다. 농업 및 광업 소유에 기반한 지역 토지 귀족이 앤 계곡에서 등장했으며, 레미족 엘리트는 로마 상인과의 접촉을 통해 라틴 문화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4] 특히 와인은 로마 정복 이전에 지역 레미족 엘리트에 의해 남유럽에서 대량으로 수입되었다.[5]
갈리아 전쟁 (기원전 58–50년) 동안, 이키우스와 안데콤보기우스의 지도 아래 레미족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동맹을 맺었다. 그들은 전쟁 전체 기간 동안 고대 로마에 대한 충성을 유지했으며, 베르킨게토릭스의 반란에 참여하지 않은 몇 안 되는 갈리아 국가 중 하나였다. 악소나 전투(기원전 57년)에서 벨가이족이 레미족과 그들의 지도자 이키우스가 방어하는 비브락스 (생토마)의 옵피둠을 포위했을 때, 카이사르는 요새 점령을 막기 위해 누미디아, 크레타, 발레아레스 병사들을 보냈다.[2]
플로도아르(966년 사망)가 보존하거나 만들어낸 건국 신화에 따르면, 로물루스의 형제인 레무스는 라티움에서 죽는 대신 형제간의 경쟁에서 벗어나 레미족의 어원적 창시자가 되었다.
4. 1. 라텐 문화 시기
장루이 브로노(Jean-Louis Brunaux)에 따르면 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에 골 북부에서 대규모 이주가 발생했는데, 이는 벨가이족의 도래와 일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적 변화는 레미족 사이에서는 더 늦게 나타났다. 새로운 장례 관습(매장에서 화장으로)은 암비족이나 벨로바치족의 영토에서 기원전 250년부터 200년 사이에 나타났지만, 화장은 엔 계곡에서는 기원전 200~150년 이전에 발생하지 않았다.[1] 따라서 레미족은 카이사르가 이 지역을 정복했을 당시 문화적으로 벨가이족에 통합되었다고 여겨지지 않았을 것이다.[2]기원전 1세기 중반 무렵, 레미족은 이미 화폐 발행을 포함하는 구조화된 경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는데, 이는 그들이 지역 농업 생산과 골 북부와 지중해 지역 간의 무역으로 번영했기 때문이다.[3] 4~3세기에 쇠퇴기를 겪은 후, 무역 관계는 결국 회복되어 2세기 후반에 강도를 더했다. 농업 및 광업 소유에 기반한 지역 토지 귀족이 앤 계곡에서 등장했으며, 레미족 엘리트는 로마 상인과의 접촉을 통해 라틴 문화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4] 특히 와인은 로마 정복 이전에 지역 레미족 엘리트에 의해 남유럽에서 대량으로 수입되었다.[5]
4. 2. 갈리아 전쟁
갈리아 전쟁 (기원전 58–50년) 동안, 이키우스와 안데콤보기우스의 지도 아래 레미족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동맹을 맺었다.갈리아에 가장 가까운 벨가이 부족인 레미족은 그에게 이키우스와 안데쿰보리우스를 사절로 보냈는데, 이들은 공동체의 지도자들이었고, 그들에게 자신들과 모든 재산을 로마의 보호와 권력에 넘겨준다고 말했다. 그들은 나머지 벨가이와 함께하지도 않았고, 로마에 대항하여 음모를 꾸미지도 않았으며; 그들은 인질을 제공하고, 그의 명령을 따르고, 그를 그들의 도시에 맞이하고, 그에게 곡물과 다른 모든 것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들은 나머지 모든 벨가이족이 무장하고 있으며, 라인강 이쪽에 거주하는 게르만족도 그들과 합류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들 모두의 광신이 너무 커서 레미족은 수에시오네스조차 그들과 함께하는 것을 설득할 수 없었는데, 비록 이들이 같은 법과 규율을 따르고 하나의 정부와 하나의 통치자를 공유하는 그들의 형제이자 친족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1]
그들은 전쟁 전체 기간 동안 고대 로마에 대한 충성을 유지했으며, 베르킨게토릭스의 반란에 참여하지 않은 몇 안 되는 갈리아 국가 중 하나였다.
벨가이족이 레미족과 그들의 지도자 이키우스가 방어하는 악소나 전투 (기원전 57년)에서 비브락스 (생토마)의 옵피둠을 포위했을 때, 카이사르는 요새 점령을 막기 위해 누미디아, 크레타, 발레아레스 병사들을 보냈다.[2]
4. 3. 로마 시대
플로도아르(966년 사망)가 보존하거나 만들어낸 건국 신화에 따르면, 로물루스의 형제인 레무스는 라티움에서 죽는 대신 형제간의 경쟁에서 벗어나 레미족의 어원적 창시자가 되었다.[7]5. 정치 조직
갈리아 전쟁(기원전 58–50년) 이전, 레미족은 인접한 수에시오네스와 공통적인 문화적 정체성을 공유했으며, 동일한 법, 동일한 행정관, 통일된 총사령관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실제로는 두 부족 간의 이러한 사실상의 연합 상태는 수에시오네스에게 유리했을 것으로 보인다.[1] 기원전 57년 카이사르가 갈리아 벨기카에 진입했을 때, 레미족은 로마의 보호를 요청하여 비대칭적인 관계로부터 독립을 꾀했다.[2]
6. 경제
기원전 2세기 후반, 지중해 세계와 초기 무역 접촉을 하고, 로마와 경제 관계를 구축하려는 정치적 의지에 힘입어 레미족은 갈리아 벨기카에서 최초로 주화를 발행했다.[1] 기원전 2세기 후반과 1세기 초에 레미족의 오피둠에서 주화를 주조했다.[2]
7. 종교
라 소르뉴(바알롱-부벨몽)와 플라비에(무종)에 위치한 두 곳의 로마 이전 시대 성소에서는 미니어처 무기를 종교적으로 봉헌했음을 보여주는 유물이 발견되었다. 다른 성소(네펠리에, 낭퇴유쉬르엔)에서는 켈트족의 태양 십자와 함께 파괴된 무기, 동전, 유골이 발견되었다.[1] 네펠리에는 기원전 250-200년경에 만들어져 후기 고대에 파괴될 때까지 로마 시대에도 계속 사용되었다.[2]
로마 시대에 마르스 카물루스는 아마도 레미족의 주요 신이었을 것으로 보인다.[3] 갈로-로마 성소는 니지르콩트, 베르시니, 시소네에서 확인된다.[4] 바퀴가 달린 유피테르 조각상이 랑두지라빌에서 발견되었는데, 뚜렷한 갈리아적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비문에는 로마 신인 유피테르와 황제 누멘을 기리는 내용이 새겨져 있다.[5] 니지르콩트에서 발견된 또 다른 비문은 아폴론에게 헌정되었다.[6]
참조
[1]
서적
Commentarii de Bello Gallico
[1]
서적
Naturalis Historia
[2]
서적
Geōgraphiká
[2]
서적
Geōgraphikḕ Hyphḗgēsis
[3]
서적
Historiae
[4]
서적
Rhōmaïkḕ Historía
[4]
서적
Rhōmaïkḕ Historía
[5]
서적
Notitia Dignitatum
[6]
논문
Remi
[7]
간행물
Les temps mythiques: les origines païennes et chrétiennes de Reims. I. Les origines païennes
Fayar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