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영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영구는 대한민국 부산광역시의 구로, 1995년 남구의 일부 지역을 관할로 신설되었다. 동남부 황령산 남쪽에 위치하며, 동쪽으로는 해운대구, 서쪽으로는 연제구, 남구, 북쪽으로는 동래구, 부산진구와 접한다. 수영강을 경계로 해운대구와 인접하고, 남쪽 해안에는 광안리 해수욕장이 있어 해양 휴양 기능을 담당한다. 5개의 법정동과 1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며, 2015년 기준 인구는 약 17만 9천 명이다. 주요 교통 시설로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환승역인 수영역이 있으며, KBS 부산방송총국과 부산문화방송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수영구 - 민락항
    민락항은 광안대교 아래를 통과해야 하는 항구로, 방파제와 물양장이 있으며 민락등대가 설치되어 있고, 도다리, 삼치 등을 어획하며 관광객들에게 수산물 판매와 유통이 이루어진다.
  • 부산 수영구 - 수영구도서관
    수영구도서관은 부산광역시 수영구에 위치하며 2002년에 개관하여 열람실, 자료실, 어린이실 등을 갖추고 있으며, 매주 월요일과 공휴일에 휴관한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구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 부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중구 (부산광역시)
    부산광역시 중구는 부산의 중심지로, 과거 왜관이 위치했으며 부산부청과 부산시청이 있었고 현재는 교통의 요지이자 다양한 관광 명소를 보유하고 있다.
  • 부산광역시의 행정 구역 - 서구 (부산광역시)
    서구는 부산광역시의 구로, 해방 이후 서부출장소에서 구제로 개편되어 현재 13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었으며, 남해 바다와 접하고 온대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으며, 송도해수욕장, 임시수도기념관, 송도해상케이블카 등의 시설이 있다.
수영구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고유 명칭수영구
한자 표기水營區
로마자 표기Suyeong-gu
매큔-라이샤워 표기Suyŏng-gu
위치대한민국 영남 지방 부산광역시
자치구자치구
행정
하위 행정 구역10개 행정동
구청장강성태
정당국민의힘
면적 및 인구
총 면적10.21 km²
인구 (2024년)172,329명
인구 밀도17768명/km²
기타 정보
방언경상도 방언
웹사이트수영구청
구목곰솔
구화함박꽃
구조동박새
선거구 정보
국회의원정연욱 (국민의힘, 수영구)
이미지
광안동의 광안리 해변
수영구 깃발
광안리 해변(광안리 해수욕장)과 광안대교. 수영강의 하구를 사이에 두고 오른쪽 뒤편의 빌딩군은 해운대구에 있다.

2. 역사

수영이라는 명칭은 현재의 수영동에 조선시대 임진왜란 당시 동해 쪽의 해상 방어를 담당하였던, 지금의 해군 지역 본부에 해당하는 경상좌도 수군절도사영이 있었던 곳으로, '수군'에서 "수(水)" 자와 '절도사영'에서 "영(營)" 자를 따와서 '수영(水營)'이라는 지명이 생겨났다.[7]

3. 지리

수영구는 부산 동남부 황령산 남측에 자리 잡고 있으며, 도심으로부터 7.8 ~ 12km 떨어져 있다.

동북쪽으로 수영강을 경계로 해운대구, 서남쪽으로는 대남로타리를 경계로 연제구와 부산 남구, 서북쪽으로는 금련산을 경계로 부산진구, 북쪽으로는 동래구와 접해 있다.

도심과 외곽지역을 연결하는 통과지역에 입지하여 교통이 혼잡한 편이며, 남쪽으로는 해안에 접해있어 해양 휴양기능이 강하다.[9]

광안리 해수욕장

4. 행정 구역

수영구는 5개의 법정동, 1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영구의 면적은 10.2km2이고, 2015년 12월 31일 주민등록 기준으로 인구는 17만 9795명, 7만 6325가구이다.[10]

수영구의 행정 구역


행정동한자면적 (km2)인구 (명)세대
남천1동南川1洞0.99km215,1556,259
남천2동南川2洞0.66km214,9105,551
수영동水營洞0.72km216,2657,461
망미1동望美1洞1.82km227,16510,956
망미2동望美2洞0.81km213,1615,338
광안1동廣安1洞1.21km225,59611,254
광안2동廣安2洞0.45km218,0727,795
광안3동廣安3洞1.18km210,6045,299
광안4동廣安4洞0.84km215,0256,199
민락동民樂洞1.52km223,84210,213
수영구水營區10.2km2179,79576,325




5. 인구

연도총인구
1995년195,222명
2000년175,154명
2005년172,189명
2010년169,081명
2015년173,069명


6. 문화 및 관광

광안리 해수욕장은 수영구를 대표하는 관광지로, 면적은 82,000m2, 사장길이는 1.4km, 사장폭은 25~110m에 이른다. 질 좋은 모래와 완만한 반월형으로 휘어진 해변은 전국적으로 유명하여 매년 많은 사람들이 찾는다.[11]

수영구는 금련산의 수려한 자연환경과 더불어 광안대교, 수영사적공원, 민락수변공원, 광안리해변테마거리 등 친환경적인 휴식 공간이 많아 "머물고 싶은 도시, 다시 찾고 싶은 관광지"로 사랑받고 있다.

또한 '수영야류'와 '좌수영 어방놀이', 수영성 남문, 곰솔 등 다양한 유무형 문화재와 천연기념물이 있으며, 전통문화 계승 발전을 위한 문화 활동도 활발하다.

KBS부산방송총국, 부산문화방송이 위치한 언론의 중심지이며, 민락·남천횟촌, 벚꽃거리, 카페거리 등 먹거리와 볼거리가 풍부하다.[7]

7. 교통

부산 도시철도 2호선부산 도시철도 3호선의 환승역인 수영역을 교통 중심축으로 하고 있어 부산 동남부의 관광, 정보, 상업, 유통 기능의 중심 도시 지역이다.[7] 부산 도시철도 2호선민락역, 수영역, 광안역, 금련산역, 남천역이 있으며, 부산 도시철도 3호선수영역, 망미역이 있다.


8. 교육

수영구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특수학교, 외국인 학교가 있다.


8. 1. 초등학교

8. 2. 중학교

부산수영중학교

동수영중학교

광안중학교

한바다중학교

동아중학교

8. 3. 고등학교

덕문여자고등학교[1]

부산여자상업고등학교[1]

부산남일고등학교[1]

부산동여자고등학교[1]

8. 4. 특수학교

부산배화학교

8. 5. 외국인학교

부산일본인학교[3]

9. 산업 및 언론

수영구는 전통적인 어촌 지역이었으나, 현재는 서비스업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민락항과 같은 어항이 여전히 남아있으며, KBS부산방송총국, 부산문화방송 등의 언론사가 위치해 있다.

9. 1. 수산업

지방어항으로는 민락항이 있다.

9. 2. 언론사

10. 자매 결연 도시

수영구는 대한민국 세 곳의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12][13][14]

결연일이름비고
1999년 2월 9일구례군[12]
2008년 10월 6일울릉군[13]
2014년 12월 26일미국 샌프란시스코[14]


11. 행정 기관

수영구에는 부산남부경찰서 소속 광남지구대, 광민지구대, 남천1·2치안센터, 광안1·4치안센터, 민락2치안센터와 부산연제경찰서 소속 망미1파출소, 수영망미2파출소, 연산파출소, 망미2치안센터가 있다. 남부소방서 관할로는 광안119안전센터(소방서와 병용)와 망미119안전센터가 있다.[1]

11. 1. 경찰

부산남부경찰서 소속으로 광남지구대, 광민지구대, 남천1치안센터, 남천2치안센터, 광안1치안센터, 광안4치안센터, 민락2치안센터가 있다. 부산연제경찰서 소속으로는 망미1파출소, 수영망미2파출소, 연산파출소, 망미2치안센터가 있다.

11. 2. 소방

남부소방서 관할 119안전센터는 다음과 같다.[1]

  • 광안119안전센터 (소방서와 병용)
  • 망미119안전센터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01-01 # 날짜 형식을 YYYY-MM-DD로 변환. 일자가 없으면 01로 설정
[2] 웹사이트 Suyeong-dong http://www.suyeong.g[...]
[3] 웹사이트 Busan Japanese School http://www.isi.go.kr[...] 2016-03-30
[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5]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6]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7] 웹사이트 지역특성 http://www.suyeong.g[...] 2013-05-30
[8] 법률 법률 제4802호
[9] 웹사이트 수영구의 지리적 특성 http://www.suyeong.g[...] 2012-07-20
[10] 간행물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05-03
[11] 웹사이트 광안리해수욕장 http://www.suyeong.g[...] 2013-05-30
[12] 웹사이트 한국 전남 구례군 - 수영구청 https://www.suyeong.[...] 2022-07-18
[13] 웹사이트 한국 경북 울릉군 - 수영구청 https://www.suyeong.[...] 2022-07-18
[14] 웹사이트 한국 전북 부안군 - 수영구청 https://www.suyeong.[...] 2022-07-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