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요곡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요곡선은 수요량의 결정 요인과 수요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며, 가격과 수요량 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그래프를 의미하기도 한다. 수요함수는 소득, 가격, 경쟁재 가격, 시간 등의 변수를 포함하며, 선형 또는 대수선형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상품 가격 외에도 소득, 관련 상품 가격, 소비자의 선호도 등이 있다. 수요 곡선은 일반적으로 우하향하며, 수요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하고, 가격이 감소하면 수요량이 증가한다. 수요의 탄력성은 가격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민감도를 나타내며, 수요의 종류는 개별 수요, 시장 수요, 기업 수요, 파생 수요 등으로 구분된다. 조세와 보조금은 수요 곡선의 이동을 유발하며, 수요의 탄력성에 따라 세금 부담의 정도가 달라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요 - 세의 법칙
    세의 법칙은 경제학에서 공급이 스스로 수요를 창출한다는 이론으로, 시장은 항상 균형 상태를 유지한다고 주장하지만, 유효수요 부족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 수요 - 수요와 공급
    수요와 공급은 시장에서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과 거래량을 결정하는 경제학의 기본 원리이며,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량과 공급량이 변동하고,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시장 균형이 이루어진다.
  • 경제학 곡선 - 수요와 공급
    수요와 공급은 시장에서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과 거래량을 결정하는 경제학의 기본 원리이며, 가격 변화에 따라 수요량과 공급량이 변동하고, 수요와 공급이 일치하는 지점에서 시장 균형이 이루어진다.
  • 경제학 곡선 - 필립스 곡선
    필립스 곡선은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경제 이론으로, 단기적으로는 역의 상관관계를 보이나 장기적으로는 자연실업률 개념에 따라 상충관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으며, 현대 경제학에서는 기대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수정된 형태로 사용된다.
수요곡선
수요 곡선
일반적인 수요 곡선.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이 증가한다.
일반적인 수요 곡선. 가격이 하락하면 수요량이 증가한다.
일반 정보
정의특정 기간 동안 시장에서 소비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과 수량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관련 개념수요
공급
가격 탄력성
수요-공급 법칙
구성 요소
X축: 수량
Y축: 가격
모양일반적으로 우하향하는 곡선 (수요의 법칙)
수요 변동 요인
가격 외적 요인소득 수준
인구 변화
소비자 선호도 변화
관련 상품 가격 변화 (대체재, 보완재)
미래에 대한 기대
수요 곡선 이동가격 외적 요인의 변화는 수요 곡선 자체의 이동을 초래함 (수요 증가 시 우측 이동, 감소 시 좌측 이동)
수요 결정 요인
가격해당 상품의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 상에서의 이동을 발생시킴 (수요량의 변화)
수요 함수
정의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의 관계를 함수로 나타낸 것
형태Q = f(P, I, T, ...) (Q: 수요량, P: 가격, I: 소득, T: 선호도 등)
추정 방법계량 경제학적 방법 (회귀 분석 등)
설문 조사
실험 경제학
참고
주의 사항수요 곡선은 다른 조건이 일정하다는 가정 하에 성립됨 (ceteris paribus)
응용 분야시장 분석
가격 결정 전략 수립
정부 정책 효과 분석

2. 수요함수의 정의 및 기본 개념

'''수요함수'''(需要函數, demand function)는 수요량과 가격, 소득, 관련 상품의 가격 등 여러 요인 간의 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수요함수는 수요량의 결정 요인이 작용하는 형태와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수요함수를 도출하는 계량경제학적 연구는 오래 전부터 실시되었으며, 최근에는 무어(H. L. Moor)와 그의 제자인 슐츠(H. Schultz)가 개척하였다.

2. 1. 수요함수의 일반적인 형태

수요함수는 수요량의 결정 요인이 작용하는 형태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수요함수를 도출하는 계량경제학적 연구는 오래 전부터 실시되었으며, 최근에는 무어(H. L. Moor)와 그의 제자인 슐츠(H. Schultz)가 개척하였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요함수는 다음과 같은 선형방정식 형태이다.

:Q = a + bY + cP + dP_c + eT

  • : 판매량 또는 소비량
  • : 소득 또는 구매력
  • : 가격
  • : 경쟁재의 가격
  • : 시계열 데이터의 경우의 시간


중상관분석을 통해 a, b, c, d, e를 구하면 수요함수가 결정된다.

선형 수요함수와 더불어 널리 사용되는 것은 대수선형 함수이며,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가진다.

:\log Q = \alpha + \beta \log Y + \gamma \log P + \delta \log P_c + \epsilon T

  • : 계수
  • : 바로미터


이 함수형은 통계적 조직이 비교적 용이하고, 탄력성 개념과의 관계가 명료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함수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요인(변수)에 의해 생기는 수요 변동은 설명할 수 없다. 특히 수량화가 불가능한 기호의 변화나 소비 양상의 이동 변화는 추세적인 것이므로, 이 경우에는 시간 요인을 수요 분석에 넣어 처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처럼 수요 분석에서 수요함수의 설정은 매우 중요하며, 한 상품의 수요함수를 도출할 때 어떤 변수를 사용할지, 어떤 함수형을 택할지는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

2. 2. 수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상품 자체의 가격뿐만 아니라 소득, 관련 상품(대체재, 보완재)의 가격, 소비자의 선호도, 미래에 대한 기대 등 다양한 요인이 수요량에 영향을 미친다.[8][9]

  • 관련 재화의 가격 변화:
  • 대체재: 어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상품과 대체 관계에 있는 다른 상품(예: 햄버거와 치킨)의 수요가 증가한다. 대체재는 서로 경쟁 관계에 있다.[8]
  • 보완재: 어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상품과 함께 사용되는 다른 상품(예: 햄버거와 케첩)의 수요가 감소한다. 보완재는 한 상품의 수요와 다른 상품의 가격이 반대로 움직이는 관계를 가진다.[8]
  • 가처분 소득의 변화: 소득이 증가하면 정상재의 수요는 증가하고, 열등재의 수요는 감소한다. 소득 변화에 따른 수요 변화의 정도는 소득 탄력성에 따라 달라진다.[8]
  • 취향과 선호도의 변화: 소비자의 취향이나 선호도는 단기적으로 고정된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은 개별 수요 곡선을 합쳐 시장 수요를 도출하는 데 필요한 조건이다.[2]
  • 기대의 변화: 미래에 대한 기대는 현재의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2]


이 외에도 시장 수요 곡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소비자 수의 변화, 소비자 간 취향 분포 변화, 소득 분포 변화 등이 있다.[10]

예를 들어, 날씨는 야구 경기에서 맥주에 대한 수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될 수 있다.

3. 수요 곡선

수요 곡선은 가격과 수요량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가격 변화는 수요 곡선 ''상''의 이동을 발생시킨다.[8] 수요 곡선상의 이동과 수요 곡선의 이동은 구분해야 한다. 수요 곡선상의 이동은 해당 재화의 가격이 변할 때만 발생한다.[11] 반면, 수요의 비가격 결정 요인이 변하면 수요 곡선 자체가 이동한다.[12]

3. 1. 수요 곡선의 형태

대부분의 경우 수요 곡선은 음의 기울기를 가지며, 따라서 아래로 향한다. 이는 재화(상품 또는 서비스)의 가격과 수요 사이에 반비례 관계가 있다는 수요의 법칙 때문이다.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하고, 가격이 감소하면 수요량이 증가한다.[6]

편의상 수요 곡선은 종종 직선으로 그래프에 표시되며, 여기서 ''a''와 ''b''는 매개변수이다.

:Q = a+bP\text{ where }b<0.

상수 ''a''는 가격 외에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요인의 영향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소득이 변하면, 그 변화의 효과는 "a" 값의 변화로 표현되고 수요 곡선의 이동으로 그래프에 반영된다. 상수 ''b''는 수요 곡선의 기울기이며, 재화의 가격이 수요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준다.[6]

수요 곡선의 그래프는 가격이 수량의 함수로 표현되는 역수요 함수를 사용한다. 수요 방정식의 표준형은 P에 대해 풀어서 역방정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P = \frac{Q - a}{b}.[6]

볼록한 수요 곡선


수요는 (일반적으로 하향하는) 곡선이 위로 굽어지면 ''볼록''(원점에 대해)이라고 하고 그렇지 않으면 ''오목''이라고 한다. 수요 곡선의 곡률은 경험적 데이터로부터 추정하기가 근본적으로 어려우며, 일부 연구자들은 높은 볼록성을 가진 수요는 실제로 발생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수요 곡선은 일반적으로 한계 효용 감소의 법칙에 따라 볼록한 것으로 간주된다. 이론적으로 수요 곡선은 가격-제공 곡선과 동일하며, 문제의 재화에 대한 모든 가능한 가격에 대한 예산선무차별 곡선 사이의 접점들을 도표화하여 도출할 수 있다.[7]

3. 2. 수요 곡선의 이동

수요 곡선은 일반적으로 가격과 수요량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우하향하는 곡선이다. 그러나 가격 외의 다른 요인들이 변화하면 수요 곡선 자체가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요인에는 소득, 관련 상품(대체재 및 보완재)의 가격, 소비자 선호도, 인구, 미래에 대한 기대 등이 있다.

  • 소득 변화: 소득이 증가하면 정상재의 경우 수요가 증가하여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반면, 열등재의 경우 소득 증가 시 수요가 감소하여 수요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다.
  • 관련 상품 가격 변화:
  • 대체재: 어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상품과 대체 관계에 있는 다른 상품(예: 햄버거와 치킨)의 수요가 증가하여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 보완재: 어떤 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면, 그 상품과 함께 사용되는 보완재(예: 햄버거와 케첩)의 수요는 감소하여 수요 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한다.
  • 기타 요인: 소비자의 기호 변화, 인구 변화, 미래에 대한 기대 등도 수요 곡선을 이동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증가하면 수요가 증가하여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예를 들어, 2022년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국제 유가가 급등하면서 한국 내 휘발유 가격도 크게 상승했다. 이는 휘발유 수요량 감소로 이어져 수요 곡선 상의 이동을 야기했다. 또한, 휘발유의 대체재인 전기차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전기차 수요 곡선은 오른쪽으로 이동했다.

3. 3. 수요 곡선 도출 시 가정


  • 소비자의 소득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 다른 관련 상품의 가격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 소비자의 선호도, 취향, 습관 및 유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 구매자의 수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 해당 상품은 정상재이며, 지위재로서의 가치를 지니지 않는다.

4. 수요의 탄력성

수요의 탄력성은 가격, 소득 등의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민감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가격이 1% 변동했을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동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내며, 수요의 법칙에 따라 음수 값을 가진다.

4. 1. 수요의 가격 탄력성

수요의 가격 탄력성은 가격 변수의 변화에 대한 수량 변수의 민감도를 측정하는 지표이다. 이 값은 가격이 1% 변동했을 때 수요량이 얼마나 변동하는지를 백분율로 나타낸다. 이는 수입이 어떻게 변동할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하며, 수요의 법칙에 따라 가격이 상승하면 수요량이 감소하므로 탄력성은 음수이다.

수요의 탄력성은 재화의 수요가 가격 변화에 얼마나 민감한지를 나타낸다. 탄력성의 절댓값이 0과 1 사이이면 수요는 비탄력적이라고 하며, 1이면 "단위 탄력적", 1보다 크면 탄력적이라고 한다. 작은 값(비탄력적 수요)은 가격 변화가 수요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고, 높은 탄력성은 소비자들이 가격 상승에 대응하여 해당 재화를 훨씬 적게 구매할 것임을 나타낸다. 특정 재화의 탄력성 예시는 "선택된 가격 탄력성"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수요의 탄력성은 일반적으로 가격에 따라 달라진다. 수요 곡선이 선형인 경우, 수요는 높은 가격에서는 비탄력적이고 낮은 가격에서는 탄력적이며, 그 중간 어딘가에서 단위 탄력성을 갖는다. 모든 가격에 대해 일정한 탄력성을 갖는 수요 곡선군도 존재하는데, 이들은 '''Q=aP^{c}''' 방정식을 가지며, 여기서 ''c''는 수요의 탄력성이고 ''a''는 시장 규모에 대한 매개변수이다. 이러한 수요 곡선은 가격이 높은 값에서는 가파른 기울기를, 가격이 낮은 값에서는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며 부드럽게 곡선을 이룬다.

최저임금 인상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저임금 노동자의 소득 증대와 소비 확대를 통해 내수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고 주장하는 반면, 국민의힘은 기업의 인건비 부담 증가로 고용 감소와 물가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고 비판한다.

4. 2. 수요의 소득 탄력성

수요의 소득 탄력성은 소득 변화에 대한 수요량의 변화 정도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수요함수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띤다.[1]

:Q = a + bY + cP + dPc + eT

  • Q: 판매량 또는 소비량
  • Y: 소득 또는 구매력
  • P: 가격
  • Pc: 경쟁재의 가격
  • T: 시계열 데이터의 경우 시간
  • a, b, c, d, e: 계수


위 선형방정식에서 중상관분석을 통해 a, b, c, d, e를 구하면 수요함수가 결정된다. 대수선형 함수도 널리 사용되는데, 이는 다음과 같다.[1]

:log Q = α + βlog Y + γlog P + δlog Pc

  • Q, Y, P, Pc: 위와 동일
  • α, β, γ, δ: 계수


대수선형 함수는 통계적 처리가 비교적 쉽고, 탄력성 개념과의 관계가 명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요함수들은 함수에 포함되지 않은 다른 요인(변수)에 의한 수요 변동을 설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수량화가 어려운 기호의 변화나 소비 양상의 변화는 추세적인 경향을 보이므로, 이러한 경우에는 시간 요인을 수요 분석에 포함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1]

5. 수요의 종류

수요는 개별 수요, 시장 수요, 기업 수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개별 수요는 한 명의 소비자가 특정 상품을 구매하려는 욕구를, 시장 수요는 시장 전체의 수요를, 기업 수요는 특정 기업의 상품에 대한 수요를 나타낸다.

5. 1. 개별 수요

개별 수요 곡선은 한 명의 소비자가 기꺼이 구매하려는 제품의 수량과 가격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1]

5. 2. 시장 수요

시장 수요 곡선은 시장의 모든 소비자가 기꺼이 구매하려는 제품의 수량과 가격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시장 수요 곡선은 해당 산업의 개별 소비자의 개별 수요 곡선을 수평으로 합산하여 얻을 수 있다.[1]

시장 산업 수요 곡선의 기울기는 개별 수요 곡선의 기울기보다 크다.[1]

5. 3. 기업 수요

기업 수요 곡선은 기업이 노출된 시장의 수요 곡선이라고도 하며, 기업에서 특정 제품을 구매하려는 고객 수와 해당 제품의 가격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1] 시장 산업 수요 곡선의 기울기는 개별 수요 곡선의 기울기보다 크고, 기업 수요 곡선의 기울기는 산업 수요 곡선의 기울기보다 작다.[1]

5. 4. 파생 수요

파생 수요


재화에 대한 수요는 최종재와 중간재에 대한 수요 시장으로 나눌 수 있다. 중간재는 다른 재화(최종재)를 만드는 과정에 사용되는 재화이다.[14] 여러 투입물의 협력으로 최종재가 생산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이러한 재화에 대한 수요는 최종 제품의 수요에서 파생된다. 이 개념을 파생 수요라고 한다.[15] 최종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 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중간재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므로, 중간재와 최종재 사이의 관계는 직접적이고 긍정적이다.

파생 수요 곡선을 만들기 위해서는 특정 가정을 하고 값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 효과적인 파생 수요 곡선을 확인하려면 다른 투입물에 대한 공급 곡선, 최종재에 대한 수요 곡선 및 생산 조건을 모두 일정하게 유지해야 한다.[15]

6. 조세와 보조금이 수요에 미치는 영향

그래프의 가격 축이 세금 추가 및/또는 보조금 공제 전의 가격을 나타내는 경우, 세금이 도입되면 수요 곡선은 안쪽으로 이동하고 보조금이 도입되면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수요 곡선이 완전 비탄력적(수직 수요 곡선)일 경우 모든 세금은 소비자가 부담하며,[1] 반대로 수요 곡선이 완전 탄력적(수평 수요 곡선)일 경우 모든 세금은 공급자가 부담한다.[2]

6. 1. 조세 부과의 영향

수요 곡선이 완전 비탄력적(수직 수요 곡선)일 경우 모든 세금은 소비자가 부담한다.[1] 반대로, 수요 곡선이 완전 탄력적(수평 수요 곡선)일 경우 모든 세금은 공급자가 부담한다.[2] 수요 곡선이 더 탄력적일수록 공급자가 비용 증가 또는 세금의 더 큰 부분을 부담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The demand function and the demand curve https://www.sfu.ca/~[...] Simon Fraser University 2023-08-29
[2] 서적 Economics: European Edition https://books.google[...] Palgrave Macmillan
[3] 웹사이트 Demand Curve Shifts https://www.geektoni[...] 2021-01-17
[4] 웹사이트 Empirical Estimation of Demand: Top 10 Techniques https://www.economic[...] 2020-12-11
[5] 서적 Economic theory and operations analysis https://archive.org/[...] Prentice-Hall 1977
[6] 서적 Microeconomics https://archive.org/[...] Wiley
[7] 문서 Intermediate Microeconomics : a Modern Approach Norton & Company
[8] 서적 Principles of Economics Prentice Hall
[9] 웹사이트 Demand and Supply http://www.harpercol[...]
[10] 서적 Microeconomics with Calculus Addison-Wesley
[11] 문서 Instructor's Manual, Microeconomics 5th ed. Prentice-Hall
[12] 문서 The x intercept is affected because the standard diagram uses the inverse demand function
[13] 학술지 4.7 Taxes and Subsidies https://pressbooks.b[...] 2017-11-16
[14] 웹사이트 Understanding Intermediate Goods https://www.investop[...] 2020-12-01
[15] 간행물 Derived Demand http://link.springer[...] Palgrave Macmillan UK 2020-1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