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유동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유동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속하는 동으로, 과거에는 경기도 고양군의 일부였다. 1949년 서울에 편입된 후,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 지명은 북한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넘쳐 붙여졌다는 설과, 삼형제의 싸움으로 인해 개울물이 넘쳤다는 설 두 가지가 전해진다. 주요 교육 시설로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특수학교 등이 있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 수유역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가오리역, 화계역이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강북구의 법정동 - 번동
- 서울 강북구의 법정동 - 우이동
우이동은 서울 강북구에 위치하며 우이천이 흐르고, 북한산 백운대와 인수봉의 봉우리가 소의 귀처럼 보이는 데서 지명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 지역으로, 조선시대 한성부 숭신방에 속했고, 현재는 우이신설선이 지나며 파라스파라 호텔 개장으로 방문객이 증가하고 있다. - 서울 강북구의 행정 구역 - 번동
- 서울 강북구의 행정 구역 - 우이동
우이동은 서울 강북구에 위치하며 우이천이 흐르고, 북한산 백운대와 인수봉의 봉우리가 소의 귀처럼 보이는 데서 지명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는 지역으로, 조선시대 한성부 숭신방에 속했고, 현재는 우이신설선이 지나며 파라스파라 호텔 개장으로 방문객이 증가하고 있다. - 1950년 설치 - 평창동
평창동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쪽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평창이 있었던 것에서 유래되었으며,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지역에 고급 주택가와 문화 시설이 밀집되어 있고, 다양한 문화재와 촬영지가 있는 곳이다. - 1950년 설치 - 광장동
광장동은 서울특별시 광진구에 위치하며, 아차산과 한강에 인접하고 워커힐 쉐라톤 호텔, AX홀 등 다양한 시설과 서울 지하철 5호선 광나루역이 있는 지역이다.
수유동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한글) | 수유동 |
이름(한자) | 水踰洞 |
로마자 표기 | Suyu-dong |
면적 | 2.66 km² |
인구 (2008년) | 71,067명 |
인구 밀도 | 27,105명/km² |
행정 구역 | |
하위 행정동 | 수유1동 수유2동 수유3동 |
수유1동 정보 | |
면적 | 1.07 km² |
세대 (2017년 6월 30일) | 10,153세대 |
인구 (2022년 2월) | 20,594명 |
법정동 | 수유동 |
통 | 26 |
반 | 217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강북구 삼양로 299 |
홈페이지 | 수유1동 주민센터 |
![]() | |
수유2동 정보 | |
면적 | 0.73 km² |
세대 (2017년 6월 30일) | 9,289세대 |
인구 (2022년 2월) | 21,205명 |
법정동 | 수유동 |
통 | 24 |
반 | 218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강북구 한천로 1117 |
홈페이지 | 수유2동 주민센터 |
![]() | |
수유3동 정보 | |
면적 | 0.86 km² |
세대 (2017년 6월 30일) | 11,932세대 |
인구 (2022년 2월) | 23,024명 |
법정동 | 수유동 |
통 | 29 |
반 | 235 |
동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강북구 노해로 36 |
홈페이지 | 수유3동 주민센터 |
![]() |
2. 역사
수유동은 이전에 수유리(水踰里)로 알려졌으며, 경기도 고양군의 일부였다. 1949년에 서울특별시로 편입되어 성북구의 일부가 되었고,[3] 1950년에는 '리'에서 '동'으로 바뀌었다.[3] 1973년에는 성북구에서 도봉구로, 1995년에는 강북구로 편입되었다.[3]
2. 1. 지명 유래
수유동 동명의 유래는 두 가지로 전해져 온다. 하나는 북한산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이 마을을 넘쳤기 때문에 '물 수(水)' 자와 '넘칠 유(踰)' 자를 써서 붙여진 이름이라 하며, 우리말로는 ‘물이 넘친다’[水踰]고 하여 ‘무너미’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7] 다른 하나는 옛날 수유리와 인접해 있는 삼양동에 삼형제가 살았는데 맏형은 바보이고, 둘째는 개구쟁이며, 셋째는 두 형보다는 나은 편이었다. 이들 삼형제는 힘을 합쳐 자기 땅을 확보하고자 싸움을 일삼고 다녔으므로, 이 곳 주민들이 이들의 침입을 막기 위해 빨래골의 개울을 경계로 막았는데 그 개울물이 넘쳐 흘러 수유리라 했다고 한다. 다만, 주민들은 동명의 유래에 대해 전자의 전설을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7]이곳의 전통 지명으로는 가오리, 빨래골, 화계 등이 있다. 가오리(加五里)는 조선 초기에 도성으로부터 10리 거리에 있는 지역을 성저십리라 하여 한성부에 포함시킬 때, 이 일대의 지형이 십 리를 정확히 특정하기 어려워, 5리를 더 간 곳에서 경계를 삼았다 하여 붙은 지명이다.[8] 빨래골은 북한산에서 흘러내리는 계곡물이 맑아, 궁궐의 무수리들이 이곳까지 와서 빨래를 하였다는 데에서 유래하였다.[9] 화계 또는 화계골은 화계사가 자리잡은 계곡을 꽃이 많다는 뜻에서 ‘꽃골[花溪→華溪]’이라고 부른 것이 그대로 지명으로 정착한 것이다.[10]
2. 2. 연혁
- 1949년 8월 13일: 경기도 고양군 숭인면 수유리가 서울특별시로 편입되면서 서울특별시 숭인출장소 수유리가 됨[3]
- 1950년 3월 15일: 수유리가 수유동으로 개칭[3]
- 1955년 4월 18일: 수유동, 우이동, 번동을 통합하여 행정동인 화계동으로 개칭
- 1970년 5월 18일: 화계동을 수유제1동, 수유제2동, 번동으로 분동
- 1973년 7월 1일: 수유제1동의 일부를 수유제3동으로 분동함
- 1975년 10월 1일: 수유제2동의 일부를 수유제4동으로 분동함
- 1977년 9월 1일: 수유제1동의 일부를 수유제5동으로 분동함
- 1994년 10월 5일: 수유제2동의 일부를 수유제6동으로 분동함
- 2008년 6월 30일: 수유제4동을 우이동으로 개칭하고, 수유제4동의 일부와 수유제5동을 통합하여 인수동으로 함[3]
- 2010년 8월 2일: 수유제1동 주민센터를 현재의 위치로 이전함
- 2019년 1월 1일: 수유제1동, 수유제2동, 수유제3동의 동명을 수유1동, 수유2동, 수유3동으로 변경
3. 행정 구역
수유1동은 북한산국립공원, 화계사, 삼성암, 빨래골 일대와 수유시장 주변에 영세 상가가 밀집되어 있고, 주택 및 저소득층 밀집 지역 등 생활 여건이 다양한 곳이다.[4] 수유2동은 우이천을 경계로 도봉구 쌍문1동, 수유3동, 우이동, 인수동과 접하고 있으며, 일반주택, 아파트, 중소점포 등이 혼재하는 지역으로 중산층이 주류를 이루고 강북구의 생활권 중심지역으로 개발되는 곳이다.[5] 수유3동은 강북구청, 수유역, 3대 간선도로가 있는 상가 밀집 지역과 일반주거지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하수도, 도로망, 주거환경이 양호하고 중상류층이 주로 거주하나, 후생복지시설은 부족하다.[6] 수유4동은 우이동으로, 수유5동과 6동은 인수동으로 변경되었다.
3. 1. 수유1동
북한산국립공원 지역으로 화계사, 삼성암, 빨래골 일대와 도봉로변 상업 지역인 수유시장 주변에 영세 상가가 밀집되어 있으며, 주택 및 저소득 불량주택 밀집 지역 등 생활 여건이 다양하다.[4]3. 2. 수유2동
우이천을 경계로 북쪽으로는 도봉구 쌍문1동과 접하고 있고, 동쪽으로는 노해로를 경계로 수유3동과 접하고 있으며, 서쪽으로는 삼양로를 경계로 우이동과 인수동에 접하고 있다. 일반주택과 아파트·중소점포 등이 혼재하는 지역으로 생활수준은 중산층이 주류를 이루는 비교적 안정적인 곳이며, 강북구의 생활권 중심지역으로 개발되는 지역이다.[5]3. 3. 수유3동
강북구청이 관내에 있고 수유역 및 3대 간선도로가 있는 상가 밀집 지역과 복개천 및 우이천변 주위의 일반주거지역이 섞여 있다. 상하수도 및 도로망이 잘 정비되어 있고 주거환경이 깨끗하며, 중상류층이 주로 거주하나, 구립 어린이집, 주민 휴식 공간, 주차장 등 후생복지시설이 부족하여 불편한 점도 있다.[6]4. 교육
수유동에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대학원 및 특수학교가 있다.
4. 1. 초등학교
4. 2. 중학교
4. 3. 고등학교
혜화여자고등학교4. 4. 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미아운정그린캠퍼스4. 5. 대학원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이 있다.4. 6. 특수학교
정인학교, 한빛맹학교가 있다.5. 교통
수유동에는 서울 지하철 4호선 수유역과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가오리역, 화계역이 있다.
5. 1. 지하철
서울 지하철 4호선 수유역이 있다.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가오리역, 화계역이 있다.5. 2. 경전철
참조
[1]
웹사이트
ko:수유동 (Suyu-dong 水踰洞)
http://www.encyber.c[...]
2008-04-18
[2]
웹사이트
The origin of Suyu-dong
http://english.gangb[...]
Suyu-dong Resident office website
2008-04-18
[3]
웹사이트
Gangbuk District
http://encykorea.aks[...]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0-09-20
[4]
웹사이트
수유1동 동정현황
http://www.gangbuk.g[...]
2017-07-09
[5]
웹사이트
수유2동 동정현황
http://www.gangbuk.g[...]
2017-07-09
[6]
웹사이트
수유3동 동정현황
http://www.gangbuk.g[...]
2017-07-09
[7]
웹사이트
수유1동 유래 및 연혁
http://www.gangbuk.g[...]
2017-07-09
[8]
뉴스
'[대한민국 수도 서울]‘서울토박이’ 신세'
http://www.econotalk[...]
경제풍월
2015-12-03
[9]
뉴스
증조할머니의 빨래터 골짜기에서 증손자가 뛰어논다
http://www.seouland.[...]
한겨레
2017-03-09
[10]
뉴스
‘화계사길’ 사라지나
http://www.ibulgyo.c[...]
2011-06-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