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수흥궁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흥궁주는 고려 고종과 안혜왕후의 딸로, 원종과 안경공 왕창의 친남매이다. 충렬왕 때 환관 최세연과 관련된 일화가 전해지며, 신양공 왕전과 혼인하여 제안공 왕숙과 대방공 왕징 두 아들을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 13세기 한국 사람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13세기 한국 사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수흥궁주 - [인물]에 관한 문서
인물 정보
이름수흥궁주
작위공주 (궁주)
배우자신양공 왕전
자녀제안공 왕숙, 대방공 왕징
왕조고려
아버지고종
어머니안혜왕후
친척강종(조부), 희종(외조부), 원종(남매)
출생일미상
사망일미상
매장지미상
거주지수흥궁
국적고려

2. 생애

고려 제23대 고종과 안혜왕후의 유일한 딸로, 성은 왕, 본관은 개성이다. 원종과 안경공 왕창의 친남매이며, 어머니 안혜왕후가 희종의 딸인 관계로 수흥궁주는 희종의 외손녀가 된다.

충렬왕 때 환관 최세연이 사나운 개를 여럿 길렀는데, 이 중 한 마리가 수흥궁의 여종을 물어 죽였다. 수흥궁주가 최세연에게 사나운 개를 기르지 않도록 요청했으나, 최세연은 "궁주께서는 앞으로 살 날이 얼마나 된다고 내가 개를 기르는 것을 못 하게 하십니까?"라고 따져 수흥궁주가 눈물을 흘리며 슬퍼하였다. 최세연은 그 외에도 많은 죄를 저질러, 당시 세자이던 충선왕에 의해 심문을 받게 된다[6].

수흥궁주는 언제 사망했는지 기록이 없으나, 최세연과의 일에 대한 기록을 볼 때 적어도 충선왕이 세자였던 때까지는 살아있던 것으로 보인다. 종실 신양공 왕전과 혼인하여 아들 둘을 두었다. 는 '''수흥궁주'''(壽興宮主)이다[7].

3. 가족 관계

고려 고종과 안혜왕후의 딸로, 원종, 안경공 왕창과 남매간이다. 현종의 아들 평양공 왕기의 후손인 회안공 왕정과 경녕궁주의 아들 신양공 왕전과 혼인하였다. 왕전은 자태가 아름다웠으며 1256년(고종 43년)에 사망하여 신양공으로 추봉되었다[9]. 수흥궁주는 왕전과의 사이에서 아들 제안공 왕숙과 대방공 왕징을 두었다. 왕숙은 경안궁주(원종의 딸)와 혼인했다가 후에 정녕원비(충렬왕의 딸)와 재혼하였으며, 당시 종실의 모범으로 일컬어졌다[10]. 왕징은 원나라에 툴루게[11]로 들어갔다[12].

3. 1. 가계도

구분관계이름비고
아버지고종고종 (1192~1259, 재위:1213~1259)
어머니안혜왕후안혜왕후 (?~1232)
남매원종원종 (1219~1274, 재위:1259~1274)
남매안경공안경공 왕창 (생몰년 미상)
시아버지회안공회안공 왕정 (?~1234)
시어머니경녕궁주경녕궁주 (생몰년 미상)
남편신양공신양공 왕전 (?~1256)
장남제안공제안공 왕숙 (1238~1312)
조카, 큰며느리경안궁주경안궁주 (생몰년 미상)
차남대방공대방공 왕징 (? ~1298)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시대 史料 Database http://db.history.go[...] 2021-05-14
[2] 웹사이트 공주 왕녀 열전 https://m.blog.naver[...] 2021-05-14
[3] 웹사이트 null http://db.history.go[...]
[4] 서적 고려사》권90〈열전〉권3 - 종실 - 현종 왕자 평양공 왕기 - 계양후 왕연·신양백 왕전
[5] 서적 고려사》권122〈열전〉권35 - 환자 - 최세연
[6] 서적 고려사》권122〈열전〉권35 - 환자 - 최세연
[7] 서적 고려사》권91〈열전〉권4 - 고종 소생 공주 - 수흥궁주
[8] 서적 고려사》권90〈열전〉권3 - 종실 - 현종 왕자 평양공 왕기 - 회안공 왕정
[9] 서적 고려사》권90〈열전〉권3 - 종실 - 현종 왕자 평양공 왕기 - 계양후 왕연·신양백 왕전
[10] 서적 고려사》권90〈열전〉권3 - 종실 - 현종 왕자 평양공 왕기 - 제안공 왕숙
[11] 사전 독로화 https://terms.naver.[...] 한국고전용어사전
[12] 서적 고려사》권90〈열전〉권3 - 종실 - 현종 왕자 평양공 왕기 - 대방공 왕징
[13] 서적 고려사》〈세가〉에서의 표기
[14] 서적 고려사》〈열전〉에서의 표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