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경안궁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경안궁주는 고려 원종과 경창궁주의 장녀로, 1260년 궁주에 책봉되어 제안공 왕숙과 결혼했다. 왕숙과의 사이에서 아들 왕현을 낳았으며, 왕현은 허씨 부인과 혼인했다. 1277년 어머니와 오빠가 반역 혐의로 유배되었으며, 경안궁주 사후 왕숙은 충렬왕의 딸 정녕원비와 재혼하여 원나라에서 대군, 부원대군 등을 역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3세기 출생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마이스터 에크하르트는 14세기 독일의 도미니크 수도회 신학자이자 신비주의자로, "신성의 무(無)" 개념을 중심으로 신과 인간의 합일과 자아 초월을 강조하는 독특한 신학 사상으로 이단 논란에 휩싸였으나, 후대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며 재평가되고 있다.
  • 13세기 출생 - 구스노키 마사시게
    구스노키 마사시게는 가마쿠라 막부 말기부터 겐무 신정기에 활약한 무장으로, 고다이고 천황을 지지하여 막부에 맞섰으나 아시카가 다카우지와의 전투에서 전사했으며, 그의 충절은 높이 평가받고 출신 배경과 생애에 대한 다양한 논쟁이 존재한다.
  • 고려의 왕녀 - 정녕원비
    정녕원비는 고려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1274년 정녕궁주에 책봉되었고 종실 제안공 왕숙과 혼인한 인물이다.
  • 고려의 왕녀 - 명순원비
    명순원비는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로, 한양공 왕현과 혼인하여 계양후 왕광을 낳았으며, 1320년에 사망한 고려의 왕족이다.
  • 13세기 한국 사람 - 충선왕
    충선왕은 고려 제26대 왕으로 즉위 후 원나라 간섭 속에서 심양왕에 봉해졌으며, 고려와 심양을 동시에 통치하는 동군연합을 이루었으나 개혁 정치는 실패하고 티베트로 유배되었다.
  • 13세기 한국 사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경안궁주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작위궁주 (공주)
별칭장공주 (Jang gongju)
배우자제안공 왕숙 (Wang Suk)
자녀평량공 왕현 (Wang Hyeon)
왕조고려 왕조
아버지원종
어머니경창궁주
친척고종(조부), 안혜왕후(조모), 신안공(외조부), 가순궁주(외조모) 등
출생일미상
출생지고려
사망지고려
사망일미상
매장지미상
국적고려
가계
아버지원종
어머니경창궁주
혼인
배우자왕숙
결혼 시기1260년
관계8촌
자녀왕현

2. 생애

1260년 음력 10월 27일, 경안궁주는 아버지 원종과 함께 조정의 신하들을 위한 연회를 열고 '''경안궁주'''(慶安宮主)라는 작위를 받았다.[4] 이후 제안백 왕숙과 결혼하였다. 당시 궁궐에서는 네 번의 책봉식과 두 번의 가례가 있었는데, 이를 위해 금과 은 1000여 냥과 쌀 3000석이 소비되었고, 옷감의 소비는 헤아릴 수 없었다.[4]

경안궁주는 왕숙과의 사이에서 아들 왕현(王絃)을 낳았으며, 왕현은 허씨 부인과 결혼하였다.[4]

1277년(충렬왕 3년), 경안궁주의 어머니 경창궁주와 친오빠 수안후 왕종은 역모를 꾀했다는 무고를 받아 유배되었다.[9] 한편, 경안궁주 사후 왕숙은 충렬왕의 딸 정녕원비와 재혼하였으며,[4] 여러 차례 원나라에 가서 대군(大君), 부원대군(駙元大君), 삼중대광(三重大匡) 등의 칭호를 받았고, 1312년(충선왕 4년)에 7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 1. 가계

경안궁주는 고려 제24대 원종과 경창궁주의 장녀로, 생년은 명확하지 않다. 왕씨, 본관은 개성이다. 순안공 왕종 등의 친남매이며, 충렬왕의 이복 남매이다.

어머니 경창궁주는 현종의 아들 평양공 왕기의 7세손 신안공 왕전의 딸로, 어머니는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 가순궁주이다.[5] 경안궁주의 친조모인 안혜왕후도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이므로, 경안궁주의 친조모와 외조모는 서로 친자매간이 된다. 경창궁주의 유씨 성은 외가의 성씨를 따른 것이다.[6]

2. 2. 공주 시절

1260년(원종 원년) 음력 10월 27일 정식으로 궁주에 책봉되어 그 를 '''경안궁주'''(慶安宮主)라 하였다. 이날 원종은 여러 대신들에게 잔치를 베풀었다[7]. 같은 해 음력 12월 7일 경안궁주는 종실인 제안백 왕숙과 혼인하였다. 당시 1260년(원종 원년) 한 해에만 책봉식이 4건, 가례가 2건이나 있던 탓에 을 약 1000근이나 소비하고, 쌀 등의 곡식은 3000석을 소비했을 뿐 아니라 삼베 등의 천은 그 소비량을 셀 수 없을 정도였다고 기록되어 있다[8].

이후 궁주의 삶에 대해서는 자세한 기록이 남아있지 않아 알 수 없다.

한편 충렬왕 즉위 후인 1277년(충렬왕 3년), 궁주의 모후 경창궁주와 친누이 순안공은 역모를 꾀했다는 무고를 받아 경창궁주는 폐서인이 되었고, 순안공은 외딴 섬으로 유배를 가야 했다[9].

3.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조부고종고려 제23대 왕
조모안혜왕후희종과 성평왕후의 딸
아버지원종고려 제24대 왕
어머니경창궁주원종의 제2비
외조부신안공 왕전
외조모가순궁주
이복 남매충렬왕고려 제25대 왕
남매시양후 왕이
남매순안공 왕종
동생함녕궁주
시아버지신양백 왕전
시어머니, 고모수흥궁주
남편제안공 왕숙
아들평량공 왕현



제안공경안궁주와 혼인할 당시 제안백으로 불렸으며, 후에 제안공으로 진봉되었다.[10] 충렬왕과 정신부주의 딸인 정녕원비와 재혼하였다.[10] 왕명으로 여러 차례 원나라에도 다녀왔으며, 후에는 대군에 봉해져 제안대군이 되었다.[10] 이후 삼중대광이 가자되고 제안부원대군으로 진봉되었다가, 1312년(충선왕 4년) 75세를 일기로 죽었다.[10]

아들 평량공 왕현은 경안궁주의 소생이며, 1300년(충렬왕 26년)에 사망하였다.[10]

참조

[1] 웹사이트 경안궁주 http://db.history.go[...] 2021-09-09
[2] 웹사이트 장공주를 경안궁주로 책봉하고 잔치를 베풀다 http://db.history.go[...] 2021-09-09
[3] 서적 高麗王朝史: 1 – 6 https://books.google[...] Academic History 2000
[4] 웹사이트 제안공 왕숙 http://db.history.go[...] 2021-09-09
[5] 웹사이트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왕전〉 https://terms.naver.[...]
[6] 웹인용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경창궁주〉 http://people.aks.ac[...] 2012-08-04
[7] 간행물 고려사》권25〈세가〉권25 - 원종 원년 10월 - 장공주를 경안궁주로 책봉하고 잔치를 베풀다
[8] 간행물 고려사》권25〈세가〉권25 - 원종 원년 12월 - 책봉과 가례 등의 행사로 엄청난 비용을 들이다
[9] 간행물 고려사》권91〈열전〉권4 - 순안공 왕종
[10] 간행물 고려사》권90〈열전〉권3 - 제안공 왕숙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