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윤은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윤은보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1468년에 태어나 1544년에 사망했다. 1494년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검교를 시작으로 사관, 지평, 장령, 집의, 정언 등을 역임하며 언관으로 활동했다. 1506년에는 춘추관 편수관으로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했으며, 이후 대마도 경차관, 경상도 암행어사 등을 거쳐 이조참판, 대사헌, 예조판서, 이조판서, 평안도 관찰사 등을 역임했다. 1535년 우의정, 1537년 좌의정을 거쳐 1542년 영의정에 올랐고, 1543년 기로소에 들어갔다. 사후 문정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1591년 광국원종공신 2등에 추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44년 사망 - 윤휘
    윤휘는 1577년에 태어나 1644년에 사망한 조선의 문신으로, 임진왜란 전후 사관과 병조좌랑 등을 역임하고 광해군 시대에 중립 외교를 지지했으며, 인조반정 이후 외교 활동을 담당하다 병자호란 때 강화 교섭을 이끌었고, 최종적으로 형조판서를 역임했으며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다.
  • 1544년 사망 - 마거릿 로퍼
  • 1468년 출생 - 한효원
  • 1468년 출생 - 박용 (1468년)
    박용은 조선 시대 문신으로, 태종 때 권신 박은의 증손이며, 음직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여 돈녕부정에 올랐고, 사후 우의정과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송설체에 능통했다.
  • 해평 윤씨 - 윤치영
    윤치영은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활동하며 이승만, 박정희 정부에서 요직을 역임하고 제헌 국회의원, 초대 내무부 장관, 주프랑스 공사, 서울특별시장, 국회의장 등을 지냈으나, 친일 의혹과 독재 정권 옹호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해평 윤씨 - 윤보선
    윤보선은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대한민국 임시정부 참여, 한국민주당 창당, 서울특별시장 및 상공부 장관 역임, 제2공화국 대통령 역임, 그리고 민주화 운동 참여 등의 활동을 했다.
윤은보
기본 정보
본관파평 윤씨(坡平 尹氏)
자고(子固)
탄옹(炭翁)
생애
출생일1667년 1월 25일
사망일1741년 12월 24일 (향년 74세)
가족
아버지윤순거
어머니남양 홍씨
부인정부인 여흥 민씨
계부인 파평 윤씨
관력
주요 관직이조판서
대사헌
지경연사
봉호영의정
사후
시호충정(忠正)
배향 사우충렬사
숭정사

2. 일생

1494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검교에 임명되었고 1497년, 사관으로 승진하였으나 신위판을 실수로 떨어트려 장을 맞고 유배되었다가 1498년, 다시 지평, 장령, 집의를 지내고 정언까지 지냈으며 1506년, 춘추관편수관으로 <<연산군일기>>의 편찬에 참가하고 1509년, 대마도 경차관으로 임명되고 1510년, 삼포왜란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했으며 1513년, 경상도 암행어사로 나가서 경상도의 방수 문제를 점검하고 이어서 직제학, 부제학, 대사간을 역임하고 1519년, 이조참판으로 반정공신의 녹훈 개정을 주장했으며 1521년, 대사헌으로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병조참판, 예조참판을 역임하고 1521년, 공조판서로 강원도 양전순찰사로 파견되었으며 이어 예조판서, 대사헌, 이조판서, 평안도관찰사를 거쳐 1529년, 지중추부사로 주청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대사헌과 병조판서, 호조판서를 거쳐 우찬성, 좌찬성을 역임하고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역임하고 1543년, 기로소로 들어갔다.

1591년(선조 24) 광국원종공신 2등에 추서되었다.

2. 1. 초기 생애

윤은보(尹殷輔)는 1468년(예종 원년) 한성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사헌부 감찰 윤훤(尹萱)이며, 어머니는 부안 김씨(扶安 金氏)이다. 그는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정진하여 성리학적 소양을 쌓았다.

2. 2. 관직 진출

윤은보는 1494년(성종 25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 검교(承文院 檢校)에 임명되었다. 1497년(연산군 3년) 사관(史官)으로 승진하였으나, 신위판을 실수로 떨어뜨린 죄로 유배되었다. 1498년(연산군 4년) 복직되어 지평(持平), 장령(掌令), 집의(執義), 정언(正言) 등을 역임하며 언관(言官)으로 활동하였다.

2. 3. 중종반정과 정치 활동

윤은보는 1494년(성종 25년)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검교에 임명되었고, 1497년(연산군 3년) 사관으로 승진하였다. 그러나 신위판을 실수로 떨어트려 장을 맞고 유배되었다. 1498년(연산군 4년) 다시 지평, 장령, 집의를 지내고 정언까지 지냈다. 1506년(중종 원년) 춘추관 편수관으로 <<연산군일기>> 편찬에 참여하였다. 1509년(중종 4년) 대마도 경차관으로 임명되어 일본과의 외교 관계를 담당하였다. 1510년(중종 5년) 삼포왜란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웠다. 1513년(중종 8년) 경상도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민생을 살피고, 방수 문제를 점검하였다. 이후 직제학, 부제학, 대사간 등을 역임하며 왕에게 직언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2. 4. 훈구파와 사림파의 갈등

윤은보는 1519년(중종 14년) 이조참판으로서 반정공신의 녹훈 개정을 주장하였다. 이는 훈구 세력의 반발을 샀으나, 왕의 신임을 얻어 추진되었다. 1521년(중종 16년)에는 대사헌으로 사은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후 병조참판, 예조참판을 거쳐 같은 해 공조판서로 강원도 양전순찰사로 파견되었다.

2. 5. 최고위 관직 역임

윤은보는 예조판서(禮曹判書), 대사헌(大司憲), 이조판서(吏曹判書), 평안도 관찰사(平安道 觀察使) 등을 역임하였다. 1529년(중종 24년)에는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로 주청사(奏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대사헌(大司憲), 병조판서(兵曹判書), 호조판서(戶曹判書)를 거쳐 우찬성(右贊成), 좌찬성(左贊成)에 올랐다. 1535년(중종 30년) 우의정(右議政)에 제수되었고, 1537년(중종 32년) 좌의정(左議政)으로 승진하였다. 1542년(중종 37년) 영의정(領議政)에 올라, 75세 고령에도 불구하고 정사를 돌보았다.

2. 6. 은퇴와 죽음

1543년(중종 38년), 궤장(几杖)을 하사받고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갔다. 1544년(중종 39년), 77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사후 문정(文靖)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1591년(선조 24년), 광국원종공신 2등에 추서되었다.

3. 평가

4. 가족 관계


  • 고조부 : 윤사수(尹思修)이다.
  • 증조부 : 윤처성(尹處誠)이다.
  • 조부 : 윤면(尹沔)이다.
  • 조모 : 이효례(李孝禮)의 딸이다.
  • 외조부 : 김모(金模)이다.
  • 어머니 : 부안 김씨이다.
  • 부인: 본처는 송거(宋琚)의 딸, 후처는 양성 이씨이다.

5. 미디어에서

1551년 ~ 1553년까지 중종 치세 시기에 조선영의정을 지낸 윤은보여인천하에서 강만희가 연기하였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