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슈미트카메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미트 카메라는 에스토니아계 독일인 광학 기술자 베른하르트 슈미트에 의해 발명된 광학 장치이다. 이 카메라는 구면 주경과 비구면 보정 렌즈인 슈미트 보정판으로 구성되어 코마 수차와 비점수차를 제어하며, 넓은 시야를 확보하는 특징을 가진다. 슈미트 보정판은 구면 수차를 보정하며, 슈미트-카세그레인 망원경 등 다양한 망원경 설계, 카메라 렌즈, 이미지 투영 시스템에 활용된다. 슈미트 카메라는 천문 관측, 인공 위성 추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며, 여러 파생 설계를 통해 성능을 개선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카메라 - 열화상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는 적외선을 감지해 물체의 온도 분포를 영상으로 보여주는 장치로, 냉각 장치 사용 여부에 따라 양자형과 비냉각형으로 나뉘며 군사 목적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기술 발전과 가격 하락으로 활용 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 유형별 카메라 - 플레이스테이션 카메라
    플레이스테이션 카메라는 소니에서 개발하여 2013년에 출시된 플레이스테이션 4용 주변기기로, 모션 감지, 음성 명령, 비디오 녹화 기능을 제공하며, 플레이스테이션 VR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 사용된다.
  • 광학망원경 - 윌리엄 허셜 망원경
    윌리엄 허셜 망원경은 스페인 라 팔마 섬 로케 데 로스 무차초스 천문대에 위치한 4.2m 반사 망원경으로, 영국, 네덜란드, 스페인의 지원을 받아 아이작 뉴턴 망원경 그룹에서 운영하며 다양한 과학 장비를 통해 관측 천문학의 여러 분야에 기여한다.
  • 광학망원경 - 단안경
    단안경은 한쪽 눈으로 보는 소형 망원경으로, 배율과 렌즈 직경으로 성능이 결정되며, 설계 시 다양한 요소와 기능이 고려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슈미트카메라
슈미트 카메라 개요
종류반사 망원경
용도천체 사진 촬영
고안자베른하르트 슈미트
고안 년도1930년
구조 및 특징
주 거울구면 거울
보정판슈미트 보정판
특징넓은 시야각 제공
코마 수차 제거
사진 촬영에 적합
장점 및 단점
장점밝은 천체를 넓은 영역에서 촬영 가능
사진 관측에 매우 적합
단점제작 및 조정이 까다로움
다른 망원경에 비해 비쌈
활용
용도천체 사진 촬영
천체 탐사
천문학 연구
참고 자료
관련 서적천문 가이드 (1991년)
吉田正太郎 (1988년)

2. 발명 및 설계

슈미트 카메라는 1930년 에스토니아계 독일인 광학 기술자 베른하르트 슈미트에 의해 발명되었다.[1] 이 광학 장치는 만들기 쉬운 구면 주경(主鏡)과, 주경의 곡률 중심에 위치한 비구면 보정 렌즈, 즉 슈미트 보정판으로 구성된다. 필름 또는 기타 감지기는 카메라 내부, 즉 주 초점에 위치한다. 이 설계는 매우 빠른 초점비를 허용하면서 코마 수차와 비점수차를 제어하는 것으로 유명하다.[2]

슈미트 카메라는 매우 강하게 굽은 초점면을 가지므로 필름, 판 또는 기타 감지기를 그에 맞게 곡면으로 만들어야 한다. 어떤 경우에는 감지기를 곡면으로 만들고, 다른 경우에는 플랫 미디어를 유지 클립 또는 볼트를 사용하거나 진공을 가하여 초점면의 모양에 기계적으로 맞춘다. 필드 플래트너 렌즈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는 필름판 또는 감지기 앞에 위치하는 평볼록 렌즈로 사용되기도 한다. 이 설계에서 보정판은 주경의 곡률 중심에 있으므로, 튜브의 길이는 광시야 망원경에 비해 매우 길 수 있다.[3] 또한, 초점 거리에 필름 홀더 또는 감지기를 장착하여 튜브 어셈블리의 중간 지점에서 약간의 빛이 차단되고, 차단 구조와 지지 구조의 회절 효과로 인해 이미지의 대비가 손실되는 단점이 있다.[4]

일반적인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에서는 주경은 포물면, 부경은 쌍곡면으로 2장의 비구면경을 연마해야 하지만, 오른손이 없는 베른하르트 슈미트는 왼손만으로 다룰 수 없는 주경을 단순한 연마 방식으로 하기 위해 주경을 구면, 부경을 4차 이상의 항을 포함하는 고차 쌍곡면으로 설계 방식을 변경하여 1905년에 포츠담 천체물리 천문대에 구경 40cm의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을 제작했다. 이것을 사용해 관측한 천문학자는 이 사실을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했다고 한다. 이러한 구면 주경의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을 여러 대 제작하여 성공한 슈미트는 "비구면은 이전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다. 구면 수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광로장 일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데, 이를 이론이 아닌 연마 경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더욱이 슈미트는 왼손만으로 다룰 수 있는 가벼운 평행 평판을 연마하여 비구면으로 만들어 주경 앞에 넣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투과면이므로 요구되는 정밀도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었지만, 광선이 보정판을 왕복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렌즈 코팅 기술이 없었던 당시 20%의 감광이 발생했다.

그래서 슈미트는 다음으로 보정판을 훨씬 앞으로 내어, 구면 주경의 곡률 중심에 놓아본 결과, 초점면이 구면이 됨과 동시에 넓은 시야에 걸쳐 코마 수차도 사라지는 것을 알게 되어, '밝고 코마가 없는 반사경계'라는 논문을 1932년 함부르크 천문대 보고('Mitteilungen der Hamburger Sternwarte in Bergedolf')에서 발표했다. 이것이 후일 슈미트식 망원경에 관한 세계 최초의 논문이다.

1935년에 이르요 바이스알라는 슈미트식 망원경의 우수성을 설파하는 '투르쿠 대학교 천문대의 아나스티그마트반사 망원경'이라는 보고를 A.N.254에 발표했고, 이로 인해 슈미트식 망원경은 국외에서 유력한 지지자를 얻었다. 이르요 바이스알라는 이 후 상면 만곡의 저감을 꾀하여 라이트 슈미트식 망원경을 개발했다.

2. 1. 슈미트 보정판

250px


'''슈미트 보정판'''은 비구면 렌즈의 일종으로, 슈미트 망원경 또는 슈미트-카세그레인 망원경 설계의 구면 주 거울에 의해 발생하는 구면 수차를 보정한다. 이는 1931년 베른하르트 슈미트에 의해 발명되었지만,[6] 1924년 핀란드 천문학자 위뢰 베이살라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명되었을 수도 있다(그 결과 슈미트-베이살라 카메라라고도 불림).[7] 슈미트는 원래 이를 광시야 사진 반사-굴절 망원경의 일부로 도입했는데, 이것이 슈미트 카메라이다. 현재는 구면 주 거울을 사용하는 여러 다른 망원경 설계, 카메라 렌즈 및 이미지 투영 시스템에서도 사용된다.

일반적인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에서는 주경은 포물면, 부경은 쌍곡면으로 2장의 비구면경을 연마해야 하지만, 오른손이 없는 베른하르트 슈미트는 왼손만으로 다룰 수 없는 주경을 단순한 연마 방식으로 하기 위해 주경을 구면, 부경을 4차 이상의 항을 포함하는 고차 쌍곡면으로 설계 방식을 변경하여 1905년에 포츠담 천체물리 천문대에 구경 40cm의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을 제작했다. 이것을 사용해 관측한 천문학자는 이 사실을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했다고 한다. 이러한 구면 주경의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을 여러 대 제작하여 성공한 슈미트는 "비구면은 이전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다. 구면 수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광로장 일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데, 이를 이론이 아닌 연마 경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더욱이 슈미트는 왼손만으로 다룰 수 있는 가벼운 평행 평판을 연마하여 비구면으로 만들어 주경 앞에 넣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투과면이므로 요구되는 정밀도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었지만, 광선이 보정판을 왕복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렌즈 코팅 기술이 없었던 당시 20%의 감광이 발생했다.

그래서 슈미트는 다음으로 보정판을 훨씬 앞으로 내어, 구면 주경의 곡률 중심에 놓아본 결과, 초점면이 구면이 됨과 동시에 넓은 시야에 걸쳐 코마 수차도 사라지는 것을 알게 되어, '밝고 코마가 없는 반사경계'라는 논문을 1932년 함부르크 천문대 보고('Mitteilungen der Hamburger Sternwarte in Bergedolf')에서 발표했다. 이것이 후일 슈미트식 망원경에 관한 세계 최초의 논문이다.

1935년에 이르요 바이스알라는 슈미트식 망원경의 우수성을 설파하는 '투르쿠 대학교 천문대의 아나스티그마트반사 망원경'이라는 보고를 A.N.254에 발표했고, 이로 인해 슈미트식 망원경은 국외에서 유력한 지지자를 얻었다. 이르요 바이스알라는 이 후 상면 만곡의 저감을 꾀하여 라이트 슈미트식 망원경을 개발했다.

2. 1. 1. 기능



구면 거울만 사용한 광학 시스템(상단)과 슈미트 보정판과 결합된 구면 거울(하단)의 예시


슈미트 보정판은 그 앞에 위치한 구면 주경의 구면 수차와 크기는 같고 부호가 반대인 비구면 렌즈이기 때문에 작동한다. 순수한 슈미트 카메라의 경우 거울의 곡률 중심 "'''C'''"에, 슈미트-카세그레인의 경우 주 초점 바로 뒤에 위치한다. 슈미트 보정판은 중앙과 가장자리가 더 두껍다. 이는 거울의 바깥 부분에서 반사된 빛과 거울의 안쪽 부분에서 반사된 빛이 동일한 공통 초점 "'''F'''"에 도달하도록 광선을 수정한다. 슈미트 보정판은 구면 수차만 보정하며, 시스템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지 않는다.

일반적인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에서는 주경은 포물면, 부경은 쌍곡면으로 2장의 비구면경을 연마해야 하지만, 오른손이 없는 베른하르트 슈미트는 왼손만으로 다룰 수 없는 주경을 단순한 연마 방식으로 하기 위해 주경을 구면, 부경을 4차 이상의 항을 포함하는 고차 쌍곡면으로 설계 방식을 변경하여 1905년에 포츠담 천체물리 천문대에 구경 40cm의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을 제작했다。이것을 사용해 관측한 천문학자는 이 사실을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했다고 한다。이러한 구면 주경의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을 여러 대 제작하여 성공한 슈미트는 "비구면은 이전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다. 구면 수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광로장 일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데, 이를 이론이 아닌 연마 경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더욱이 슈미트는 왼손만으로 다룰 수 있는 가벼운 평행 평판을 연마하여 비구면으로 만들어 주경 앞에 넣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투과면이므로 요구되는 정밀도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었지만, 광선이 보정판을 왕복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렌즈 코팅 기술이 없었던 당시 20%의 감광이 발생했다。

그래서 슈미트는 다음으로 보정판을 훨씬 앞으로 내어, 구면 주경의 곡률 중심에 놓아본 결과, 초점면이 구면이 됨과 동시에 넓은 시야에 걸쳐 코마 수차도 사라지는 것을 알게 되어, '밝고 코마가 없는 반사경계'라는 논문을 1932년 함부르크 천문대 보고('Mitteilungen der Hamburger Sternwarte in Bergedolf')에서 발표했다。이것이 후일 슈미트식 망원경에 관한 세계 최초의 논문이다。

1935년에 이르요 바이스알라는 슈미트식 망원경의 우수성을 설파하는 '투르쿠 대학교 천문대의 아나스티그마트반사 망원경'이라는 보고를 A.N.254에 발표했고, 이로 인해 슈미트식 망원경은 국외에서 유력한 지지자를 얻었다。이르요 바이스알라는 이 후 상면 만곡의 저감을 꾀하여 라이트 슈미트식 망원경을 개발했다。

2. 1. 2. 제조

슈미트 보정판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가장 기본적인 방법인 "고전적인 접근 방식"은[8] 특수하게 모양과 크기가 지정된 도구를 사용하여 평평한 유리 블랭크에 비구면 형상을 연삭하고 연마하여 보정기를 직접 피겨링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은 보정기를 만드는 광학 엔지니어의 높은 수준의 기술과 훈련을 필요로 한다.[8][9]

슈미트는 보정판에 필요한 복잡한 형상을 제작하기 위한 두 번째, 더 우아한 방식을 고안했다.[10] 양면에 완벽하게 연마된 정확한 평면이 있는 얇은 유리 원판을 무거운 강성 금속 팬 위에 놓았다. 유리 원판 가장자리의 팬 상단 표면은 사용되는 특정 유형의 유리의 탄성 계수에 따라 정확한 각도 또는 모따기로 연마되었다. 유리판은 팬의 연마된 가장자리에 밀봉되었다. 그런 다음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특정 부압이 달성될 때까지 팬 중앙의 작은 구멍을 통해 팬과 유리 사이의 공기를 배출했다. 이렇게 하면 유리판이 약간 휘어졌다. 노출된 유리 상단 표면을 구면으로 연삭하고 연마했다.[8] 진공이 해제되면 판의 하단 표면은 원래의 평평한 형태로 돌아가고 상단 표면은 슈미트 보정판에 필요한 비구면 형상을 갖게 된다. 슈미트의 진공 피겨링 방법은 오늘날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일정한 진공으로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어렵고 O-링 씰의 오류와 판 뒤의 오염조차도 광학적 오류를 유발할 수 있다.[8] 또한, 초점비 f/2.5 또는 그 이상인 망원경의 곡선을 생성할 만큼 충분히 구부러지면 유리판이 깨질 수도 있다.[11] 또한, 빠른 초점비의 경우 얻은 곡선이 충분히 정확하지 않아 추가적인 수동 수정이 필요하다.

세 번째 방법은 1970년에 셀레스트론을 위해 톰 존슨과 존 오'루크가 발명했는데,[8][12] "마스터 블록"이라고 하는 팬 바닥에 곡선의 정확한 모양이 미리 형성된 진공 팬을 사용한다. 그런 다음 노출된 상단 표면을 평평하게 연마하여 진공이 해제되면 올바른 모양의 보정기를 만든다.[8] 이는 정확한 진공을 가하여 형상을 유지할 필요를 없애고 동일한 정확한 모양의 보정판을 대량 생산할 수 있게 해준다.[9]

슈미트 보정판 제작과 관련된 기술적 어려움으로 인해 드미트리 드미트리에비치 막수토프와 알베르트 바우어스와 같은 일부 설계자는 보다 일반적인 반월상 보정기 렌즈를 사용하는 대체 설계를 생각해냈다.[13]

일반적인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에서는 주경은 포물면, 부경은 쌍곡면으로 2장의 비구면경을 연마해야 하지만, 오른손이 없는 베른하르트 슈미트는 왼손만으로 다룰 수 없는 주경을 단순한 연마 방식으로 하기 위해 주경을 구면, 부경을 4차 이상의 항을 포함하는 고차 쌍곡면으로 설계 방식을 변경하여 1905년에 포츠담 천체물리 천문대에 구경 40cm의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을 제작했다. 이것을 사용해 관측한 천문학자는 이 사실을 아무도 알아차리지 못했다고 한다. 이러한 구면 주경의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을 여러 대 제작하여 성공한 슈미트는 "비구면은 이전될 수 있다"는 확신을 얻었다. 구면 수차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광로장 일정 조건"을 만족해야 하는데, 이를 이론이 아닌 연마 경험을 통해 알게 되었다. 더욱이 슈미트는 왼손만으로 다룰 수 있는 가벼운 평행 평판을 연마하여 비구면으로 만들어 주경 앞에 넣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투과면이므로 요구되는 정밀도가 낮아지는 이점이 있었지만, 광선이 보정판을 왕복하여 통과하기 때문에 렌즈 코팅 기술이 없었던 당시 20%의 감광이 발생했다.

그래서 슈미트는 다음으로 보정판을 훨씬 앞으로 내어, 구면 주경의 곡률 중심에 놓아본 결과, 초점면이 구면이 됨과 동시에 넓은 시야에 걸쳐 코마 수차도 사라지는 것을 알게 되어, '밝고 코마가 없는 반사경계'라는 논문을 1932년 함부르크 천문대 보고('Mitteilungen der Hamburger Sternwarte in Bergedolf')에서 발표했다. 이것이 후일 슈미트식 망원경에 관한 세계 최초의 논문이다.

1935년에 이르요 바이스알라는 슈미트식 망원경의 우수성을 설파하는 '투르쿠 대학교 천문대의 아나스티그마트반사 망원경'이라는 보고를 A.N.254에 발표했고, 이로 인해 슈미트식 망원경은 국외에서 유력한 지지자를 얻었다. 이르요 바이스알라는 이 후 상면 만곡의 저감을 꾀하여 라이트 슈미트식 망원경을 개발했다.

3. 파생 설계

3. 1. 렌즈 없는 슈미트

1930년대에 슈미트는 보정판을 느린(수치적으로 높은 f-비율) 카메라를 위해 거울의 곡률 중심에 있는 단순한 조리개로 대체할 수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이러한 설계를 사용하여 5° 시야를 가진 팔로마 슈미트의 1/8 스케일 작동 모델을 제작했다.[19] 이러한 구성에는 역성어 "렌즈 없는 슈미트"라는 이름이 붙었다.

3. 2. 슈미트-바이살라

위르외 바이살라는 처음에 베른하르트 슈미트의 "슈미트 카메라"와 유사한 "천체 카메라"를 설계했지만, 그 설계는 발표되지 않았다. 바이살라는 1924년 강의 노트에서 이를 언급하며 각주에 "문제적인 구면 초점면"이라고 적었다. 바이살라는 슈미트의 발표를 본 후 즉시 필름 홀더 바로 앞에 양볼록 렌즈를 배치하여 슈미트 설계의 시야 평탄화 문제를 해결했다. 이 결과 시스템은 슈미트-바이살라 카메라 또는 때로는 ''바이살라 카메라''라고 알려져 있다.

3. 3. 베이커-슈미트

1940년, 하버드 대학교의 제임스 베이커는 슈미트 카메라 설계를 수정하여 볼록한 2차 반사경을 포함시켰다. 이 반사경은 빛을 주 반사경 쪽으로 반사시켰다. 사진 건판은 그 후 주 반사경 근처에 설치되어 하늘을 향하도록 하였다. 이 변형을 베이커-슈미트 카메라라고 부른다.

3. 4. 베이커-넌

베이커–넌 카메라 중 하나, 스미소니언 위성 추적 프로그램에 사용됨


베이커-넌 위성 추적 카메라 사용


베이커-넌 디자인은 베이커와 조셉 넌이 설계했으며, 베이커-슈미트 카메라의 보정판을 카메라 초점에 더 가까운 작은 삼중 보정 렌즈로 대체한다. 이 카메라는 시네마스코프 55 영화 제작 공정에서 파생된 55mm 폭의 필름을 사용했다.[20][21] 20인치 조리개를 가진 12대의 f/0.75 베이커-넌 카메라는 각각 3.5톤의 무게가 나갔으며, 하늘에서 위성을 따라갈 수 있는 다중 축 마운트를 포함했다. 이 카메라는 1958년 6월부터[22] 1970년대 중반까지 스미소니언 천체물리 관측소에서 인공 위성을 추적하는 데 사용되었다.[23]

3. 5. 메르센-슈미트

메르센-슈미트 카메라는 오목한 포물면 주경, 볼록한 구면 부경, 오목한 구면 삼경으로 구성되어 있다. 처음 두 거울(메르센 구성)은 기존의 슈미트 카메라의 보정판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24] 이 형태는 1935년 파울에 의해 발명되었다.[24] 베이커가 발표한 후속 논문[25]은 파울-베이커 설계를 소개했는데, 이는 유사한 구성이지만 평평한 초점면을 갖는다.[26]

3. 6. 슈미트-뉴턴

평평한 반사경을 슈미트식 설계의 광축에 45°로 추가하면 슈미트-뉴턴식 망원경이 만들어진다.

3. 7. 슈미트-카세그레인

볼록한 부경을 슈미트 설계에 추가하여 주경의 구멍을 통해 빛을 유도하는 방식은 슈미트-카세그레인 망원경을 만들어낸다. 이 설계는 소형이며 단순한 구면 광학을 사용하기 때문에 망원경 제조업체에서 인기가 있다.

4. 응용 분야

넓은 시야를 가진 슈미트 카메라는 일반적으로 대량의 하늘을 촬영해야 하는 연구 프로그램, 즉 천문 관측, 혜성소행성 탐사, 신성 탐사 등의 관측 도구로 사용된다.[14]

독일 튀링겐주 타우텐부르크에 위치한 칼 슈바르츠실트 천문대의 2미터 구경 알프레드 옌쉬 망원경은 세계에서 가장 큰 슈미트 카메라이다.


또한 슈미트 카메라와 파생 설계는 인공 지구 위성을 추적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4. 1. 지상 기반

최초의 비교적 대형 슈미트 카메라는 함부르크 천문대와 팔로마 천문대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직전에 제작되었다. 1945년에서 1980년 사이에, 약 8개의 더 큰(1미터 이상) 슈미트 카메라가 전 세계에 걸쳐 건설되었다.[14]

특히 유명하고 생산적인 슈미트 카메라는 1948년에 완성된 오신 슈미트 망원경으로, 팔로마 천문대에 위치해 있다. 이 기기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협회-팔로마 천문대 천체 관측(POSS, 1958), POSS-II 조사, 팔로마-라이덴 (소행성) 조사 및 기타 프로젝트에 사용되었다.

유럽 남방 천문대는 라 실라 천문대에 1미터 슈미트 카메라를 설치했고, 영국 과학 공학 연구 위원회는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에 1.2미터 슈미트 카메라를 설치하여 최초의 팔로마 천체 관측을 보완하는 남반구 중심의 공동 천체 관측을 수행했다. 이 관측 과정에서 개발된 기술적 개선은 제2차 팔로마 천체 관측(POSS II)의 개발을 장려했다.[15]

로웰 천문대 근지구 천체 탐사(LONEOS)에 사용된 망원경 또한 슈미트 카메라이다. 칼 슈바르츠실트 천문대의 슈미트 카메라는 세계에서 가장 큰 슈미트 카메라이다.

4. 2. 우주 기반

유럽 우주국히파르코스(1989–1993) 위성은 슈미트 카메라를 핵심 장치로 사용했다.[16] 이 카메라는 100만 개 이상의 별들의 거리를 전례 없는 정확도로 매핑하는 히파르코스 측량에 사용되었으며, 겉보기 등급 11등급까지의 모든 별의 99%를 포함했다.[16] 이 망원경에 사용된 구면 거울은 매우 정밀하여, 만약 이 거울을 대서양 크기로 확대한다면 표면의 굴곡은 약 10cm 높이가 될 것이다.[16]

케플러 우주 망원경(2009–2018)에 탑재된 케플러 광도계는 우주로 발사된 가장 큰 슈미트 카메라이다.

5. 대표적인 슈미트식 망원경

팔로마 천문대의 46cm 슈미트 카메라는 1936년에 북미 최초로 제작되었다.[27] 1948년에는 같은 천문대에 새뮤얼 오신 망원경이 설치되었는데, 유효 구경 122cm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슈미트식 망원경이다.[27] 1960년에 완공된 칼 슈바르츠실트 천문대의 134cm 망원경은 세계 최대 크기의 슈미트식 망원경이다.[27] 이 망원경은 50cm×50cm 크기의 대형 사진 건판을 사용하며, BTA-6에 관측 목표를 제공했다.[27] 또한 카세그레인식 망원경이나 쿠데식 망원경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대물 프리즘도 장착 가능하다.[27]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에는 1973년에 영국 슈미트 망원경이 설치되었으며, 유효 구경은 120cm이다. 1974년에 완성된 도쿄 대학 기소 관측소의 105cm 슈미트 망원경은 일본 최대 크기이다.[27] 스웨덴 웁살라 대학교 웁살라 천문대 쿠비스타베리 관측소의 100/135/300cm 슈미트 카메라는 1964년에 완성되었으며, 건설 당시 세계 3위, 1988년 당시에는 5위의 크기였다.[27] 이 망원경은 『웁살라 은하 목록』(UGC) 작성에 기여했다.[27]

아마추어용 슈미트 카메라도 제작되었는데, 일본 특수 광학은 유효 구경 16cm의 NTP-16B를 판매했고, 셀레스트론도 여러 종류를 판매했다.

천문대구경연도비고
팔로마 천문대46cm1936북미 최초
팔로마 천문대122cm1948새뮤얼 오신 망원경
함부르크 천문대80cm19541974년 칼라알토 천문대로 이전
칼 슈바르츠실트 천문대134cm1960최대 구경[27]
콩코이 천문대60cm1962피슈케스테토 관측소 (헝가리)
크비스타베르그 천문대100cm1963스칸디나비아 최대 [28]
라 실라 천문대100cm1971ESO[29]
사이딩 스프링 천문대120cm1973영국 슈미트 망원경
케플러 우주 망원경95cm2009케플러 광도계, 우주 최대


6. 갤러리



덴마크에 있는 브로르펠데 천문대의 77cm 슈미트식 망원경. 1966년부터 사용되었으며, 원래는 사진 필름을 사용했지만, 이후 2048x2048 픽셀의 CCD로 대체되었다. 이 천문대는 원래 코펜하겐 대학교 천문대가 운영했지만, 현재는 아마추어에 의해 운영되며, 이 사진은 천문대 방문객들(좌측 하단)을 위해 우측 하단의 인물이 과거에 사용했던 사진 필름 상자(과거 망원경 내 초점 위치에 배치된 것)를 보여주며 설명하는 모습이다.

참조

[1] 웹사이트 ast.cam.ac.uk (The Institute of Astronomy (IoA),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UoC)) – ''The Schmidt Camera' http://www.ast.cam.a[...]
[2] 서적 Amateur Telescope Making Advanced Scientific American 1959
[3] 웹사이트 Telescope Optics – Schmidt http://www.astronomi[...] 2014-10-01
[4] 웹사이트 "Obstruction" in optical instruments http://seds.org/~spi[...] 2010-06-20
[5] 서적 Handbook of Lens Design Marcel Dekker, Inc.
[6] 서적 Amateur Telescope Making Advanced Scientific American
[7] 웹사이트 telescopeѲptics.net, 10.2.2. - Full-aperture Schmidt corrector: Schmidt camera http://www.telescope[...]
[8] 특허 Method for Making Replica Contour Block Masters for Producing Schmidt Corrector Plates https://www.freepate[...] 1974-09-24
[9] 블로그 Rod Mollise, Down with Love, uncle-rods.blogspot.com, Sunday, February 21, 2010 http://uncle-rods.bl[...]
[10] 간행물 Bernhard Schmidt and his Reflector Camera 1948-01
[11] 간행물 Making Corrector Plates by Schmidt's Vacuum Method 1966-05
[12] 웹사이트 Tammy Plotner, universetoday.com, Celestron Telescope http://www.universet[...]
[13] 웹사이트 John F. Gills, Ph.D, From James Gregory to John Gregory - The 300 Year Evolution of the Maksutov-Cassegrain Telescope http://www.weasner.c[...]
[14] 학회자료 Schmidt Telescopes: Their Past, Present and Future ASP 1994-03-07
[15] 논문 The COSMOS measuring machine 1977
[16] 웹사이트 Hipparcos overview http://www.esa.int/e[...] 2011-03-02
[17] 논문 Astrometry with a small Schmidt telescope - The position of NGC 7027
[18] 간행물 Three new ways to low-cost, super-bright giant-screen TV https://books.google[...] 1979
[19] 논문 A Lensless Schmidt Camera 1989-12
[20] 논문 Redesigning a Baker-Nunn camera for CCD imaging
[21] 웹사이트 Film Formats http://www.dvdaust.c[...] 2006-05-15
[22] 웹사이트 NASA, ''Vanguard: A History'', Chapter 9, "The Tracking Systems" https://history.nasa[...]
[23] 웹사이트 SeeSat-L Nov-96 : Baker-Nunn Camera http://www.satobs.or[...] SeeSat-L 1996-11-12
[24] 논문 Systèmes correcteurs pour réflecteurs astronomiques 1935-05
[25] 논문 O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large telescopes IEEE 1969
[26] 웹사이트 Paul-Baker and other three-mirror anastigmatic aplanats http://www.telescope[...]
[27] 웹사이트 2m-Alfred-Jensch-Telescope http://www.tls-taute[...] 2014-10-01
[28] 웹사이트 Kvistaberg Observatory: The Schmidt Telescope http://www.astro.uu.[...] 2014-10-01
[29] 웹사이트 ESO: "National and Project Telescopes at ESO's La Silla Observatory" (accessed November 12, 2010) http://www.eso.org/p[...] 2010-11-02
[30] 서적 『天体望遠鏡ガイドブック』pp.194-195「天体用ビジュアルシステム」
[31] 문서 Encyclopedia Britannica. "Schmidt telescope"
[32] 서적 『増補天体写真テクニック』pp.54-55
[33] 서적 『天体望遠鏡のすべて'85年版』p.33
[34] 서적 『天体望遠鏡のすべて'85年版』p.166
[35] 문서 슈미트카메라, 《글로벌 세계 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