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바벤 관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바벤 관구는 신성 로마 제국의 행정 구역으로, 다양한 영주령, 자유 도시, 주교후국, 백국, 후국, 수도원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 관구는 중세 시대부터 존재했으며, 여러 가문과 도시들이 복잡한 역사를 거치며 자치권을 행사했다. 슈바벤 관구의 책임자는 콘스탄츠 주교였으며, 1803년 독일의 병합화 이후 바덴의 변경백으로 대체되었다. 1792년에는 88개의 소속 국가가 있었으나, 이후 라인 동맹 등으로 인해 그 수가 감소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슈바벤 관구 - 하일브론
하일브론은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 북부의 네카어 강변에 위치한 도시로, 슈투트가르트 대도시권 북부이자 하일브론-프랑켄 지역의 경제 중심지이며, 역사적으로 자유 도시로서 포도 재배와 산업이 발달했고 현재는 문화 시설과 역사 건축물, 교통 요충지로서 중요한 위치를 가진다. - 슈바벤 - 호엔슈방가우성
호엔슈방가우성은 12세기 요새에서 유래하여 19세기 막시밀리안 2세에 의해 재건축된 독일 바이에른주 소재의 신고딕 양식 성으로, 루트비히 2세가 어린 시절을 보낸 예술적 영감의 장소이자 현재는 노이슈반슈타인 성과 함께 인기 있는 관광 명소이다. - 슈바벤 - 슈네발
슈네발은 밀가루, 달걀 등을 반죽하여 튀긴 후 슈가파우더를 뿌려 만드는 독일 로텐부르크의 대표적인 기념품이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관구 - 제국관구
제국관구는 신성 로마 제국의 치안 유지와 질서 유지를 위해 1500년 아우크스부르크 의회에서 제도화되어 군사 및 재정 기능을 수행하며 제국 운영의 실질적인 단위로 발전했으나, 나폴레옹 전쟁을 거치면서 그 역할을 상실하였다. - 신성 로마 제국의 관구 - 바이에른 관구
바이에른 관구는 신성 로마 제국의 행정 구역으로, 907년에 세워진 바이에른 공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주교후국, 사제장후국, 제국 자유 도시 등 여러 영방 국가들로 구성되었다.
슈바벤 관구 | |
---|---|
개요 | |
공식 명칭 | 슈바벤 관구 (Schwäbischer Reichskreis) |
관할 구역 | 신성 로마 제국 |
존속 기간 | 1500년 - 1808년 |
현재 국가 | 오스트리아 독일 리히텐슈타인 스위스 |
중심 도시 | 울름 |
면적 (1801년) | 34,314 |
![]() | |
정치 | |
정치 체제 | 제국 관구 |
의회 | 관구 의회 |
관구장 | 관구 대령 |
주요 관구장 | 볼프강 폰 몽포르 (1531년-1537년) 빌헬름 폰 에버슈타인 (1556년-1562년) 크리스토프 (1563년, 1564년-1568년) 루트비히 3세 (1569년-1591년) 요한 프리드리히 (1622년-1628년) |
역사 | |
주요 사건 | 베스트팔렌 조약 (1648년) 신성 로마 제국 해산 (1806년) |
2. 역사
슈바벤 관구는 콘스탄츠 주교 (1803년 제국 대표단 결의 이후 바덴 변경백으로 교체)와 뷔르템베르크 공작이 대표했다. 관구 의회는 주로 제국 도시 울름에서 열렸다. 비록 매우 작은 국가들로 분열되었지만, 효율적인 정부를 유지했으며, 1694년부터 켈 요새에 자체 군대를 두었다.
1792년 기준으로 88개의 영토로 구성되었으며, 뷔르템베르크 공작령 (후에 왕국), 바덴 변경백령 (후에 대공국), 아우크스부르크 주교령이 중요했다. 제국 대표단 결의로 41개, 1806년 라인 동맹으로 7개로 감소했다(일부는 바이에른에 귀속).
2. 1. 근세
슈바벤 관구의 책임자는 콘스탄츠 주교 (1803년 독일의 병합화 이후 바덴의 변경백으로 대체)와 뷔템베르크 공작들이었으며, 관구 의회 회의는 일반적으로 울름의 제국 도시에서 열렸다. 주로 다량의 아주 작은 소국들로 쪼개져 있었음에도 슈바벤 관구는 효과적인 행정을 해냈으며, 동쪽으로부터 프랑스의 확장을 고려하여 1694년부터 켈 요새를 기반으로 하는 자체 군대를 유지하기도 했다.
1792년 슈바벤 관구는 88개의 소속 국가로 이뤄졌으며, 이 중 뷔템베르크 공국, 바덴 변경백국, 아우구스부르크 주교국만이 주 핵심 국가였다. 신성 로마 제국 사절회의 주요 결의안은 회원국들을 41개국, 1806년 라인 동맹은 7개국(해당 영토는 바이에른의 소유가 되었다)으로 감소시켰다.
3. 구성
명칭 | 유형 | 참고 |
---|---|---|
영주령 | 1350년경부터 쾨니크제그의 영주가 소유했다. | |
바어 | 방백국 | 로트바일 주변 지역이며, 1283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 공작들이 소유했다. |
변경백국 | 1112년에 세워졌으며, 1535년부터 1771년까지 바덴두를라흐와 바덴바덴으로 나뉘었다. | |
변경백국 | 1535년부터 바덴의 일부로서, 1705년부터는 라슈타트에 위치했으며, 1771년에 바덴두를라흐에 넘어갔다. | |
변경백국 | 1535년부터 바덴의 일부이며, 1715년부터 카를스루에에 위치했다. | |
변경백국 | 마르크그라프럴란트 지역이며, 1503년에 바덴이 상속했다. | |
![]() | 영주령 | 1609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기 위해, 성 블라시오 수도원이 획득했다. |
백국 | 1660년에 가계가 단절되어, 뷔르템베르크가 상속했다. | |
![]() | 영주령 | 1726년부터 투른 운트 탁시스가 소유했다. |
영주령 | 1661년부터 아벤스베르크 백작들이 다스렸다. | |
남국 | 1507년에 옛 키르히베르크, 바이센호른 백국을 획득했고, 1511년에 막시밀리안 1세에게 귀족 작위를 부여받았으며, 1530년에는 세습 제국 백작 작위를 얻었다. | |
백국 | 여러 영토를 지녔으며, 1218년에 베르히톨트 5세 폰 체링겐의 유산을 통해 세워졌고, 1441년 이래로 퓌르스텐베르크-바르에 속했다. | |
-- 퓌르스텐베르크-블룸베르크 | 백국 | 1559년부터 분리되었다가, 1614년에 다시 합쳐졌다. |
-- 퓌르스텐베르크-메스키르히 | 백국 | 1614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블룸베르크에서 분리되었다가, 1716년에 공국으로 성장했고, 1744년에 퓌르스텐베르크-퓌르스텐베르크에 상속되었다. |
-- 퓌르스텐베르크-쉬틀링겐 | 백국 | 1614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블룸베르크에서 분리되었다가, 다시 퓌르스텐베르크퓌르스텐베르크와 퓌르스텐베르크-바이트라끼리 합쳐졌다. |
백국 | 1559년부터 분리되었다가, 1664년에 공국으로 성장했고, 1744년에 퓌르스텐베르크퓌르스텐베르크에 상속되었다. | |
영주령 | 1507년에 바덴이 차지했다. | |
영주령 | 보이른 인근 하우젠 성 인근 지역이며, 1682년에 푸거가 차지했고, 1735년에 카스텔이 획득했다. | |
백국 | 1535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 백작이 소유했다. | |
백국 | 1560년에 페르디난트 1세에게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고, 1765년에 합스부르크가 차지했다. | |
백국 | 948년부터 1636년까지 팔츠 백작들이 소유했었고, 1711년부터 제국 백작들의 것였다가 1807년부터 라이엔 가문이 차지했으며, 1806년에 레엔 공국이 얻었다. | |
-- 호헨회벤 | 영주령 | 1415년에 세워져, 1582년에 파펜하임이 슈튈링겐과 함께 획득했으며, 1639년에 퓌르스텐베르크-쉬틀링겐이 차지했다. |
백국 | 11세기에 촐레른 백국이 세워졌고, 1576년에 분리되었다. | |
백국 | 1576년부터 호엔촐레른의 일부였고, 1623년에 공국으로 성장했다. | |
백국 | 옛 하이거로흐 영주령으로서, 1576년에 호엔촐레른의 일부였고, 1767년에 호엔촐렌-지그마링겐가 상속했다. | |
백국 | 1576년부터 호엔촐레른의 일부였고, 1623년에 공국으로 성장했다. | |
영주령 | 셸클링겐 인근 유스팅겐 성 주변의 영역이며, 1751년에 뷔르템베르크가 획득했다. | |
![]() | 영주령 | 볼파흐 인근 지역이며, 1291년 이후로 퓌르스텐베르크가 소유했다. |
방백국 | 줄츠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698년에 슈바르첸베르크 가문이 획득했다. | |
영주령 | 구겐하우젠 인근 지역이며, 1565년에 로텐펠스의 제국 백작이 획득했고, 1621년부터 남국이 되었다가, 1622년에 분리되었다. | |
-- 쾨니히세크-아울렌도르프 | 영주령 | 1622년부터 쾨니크제그의 일부였으며, 1629년부터 제국백국이 되었다. |
-- 쾨니히세크-로텐펠스 | 영주령 | 1622년부터 쾨니크제그의 일부였으며, 1629년부터 제국백국이 되었다. |
후국 | 옛 파두츠 백국과 셸렌베르크 영주령의 영역이며, 1510년에 줄츠와 클레트가우의 백작들이 획득했으며, 1613년에 호엔엠스에 매각하였고, 1699년(셸렌베르크)과 1712년(파두츠)에 리히텐슈타인 가에 매각되었다. | |
사령관부 | 1272년 이후로 튜턴 기사단이 소유한 행정지이다. | |
영주령 | 1354년 이래로 치메른의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594년에 헬펜슈타인 가문의 소유가 되었고, 1627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메스키르히의 영토가 되었다. | |
영주령 | 1467년 이래로 프룬즈베르크 가문이 소유했으며, 1586년에 바이에른 공국에게 넘어갔고, 1705년부터 1714년까지 민델하임의 대공으로서 제1대 말버러 공작 존 처칠가 소유했다. | |
백국 | 1522년에 분열되었다. | |
-- 외팅겐-외팅겐 | 백국 | 1522년부터 오에팅겐의 일부였으며, 1674년에 후국으로 성장했고, 1731년에 가계가 단절되었다. |
-- 외팅겐-발러슈타인 | 백국 | 1522년부터 오에팅겐의 일부였으며, 1774년에 후국으로 성장했다. |
-- 외팅겐-슈필베르크 | 백국 | 1623년부터 오에팅겐발러베르크의 일부였으며, 1734년에 후국으로 성장했다. |
-- 로텐펠스 | 백국 | 임멘슈타트 인근 지역으로 1332년 이래로 몽포르트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565년에 쾨니크제그가 획득했다. |
영주령 | 크라이히가우 일대 영역이며, 제국 기사인 프란츠 폰 지킹겐의 후임자들이 소유했으며, 1606년부터 남국, 1790년부터는 제국백국이었다. | |
백국 | 1705년에 탄하우젠의 영주권(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탄하우젠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을 사들이면서 제국 자유령에 들어갔고, 1741년에 슈타디온-탄하우젠과 슈타디온-바르타우젠으로 분리되었다. | |
영주령 | 슈타우펜 남작 (호엔슈타우펜 가문과는 관련 없음)이 소유했으며, 1602년에 가계가 단절되어, 외지 외스터라이히의 일부가 되었다가, 1738년에 성 블라시오 수도원이 획득했다. | |
방백국 | 1251년 이래로 루펜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582년에 가계가 단절되어, 파펜하임이 획득하였고, 1639년에 퓌르슈텐베르그-슈튈링겐으로 넘어갔다. | |
공국 | 옛 체링겐 가문의 방계 가문이고, 1439년에 가계가 단절되었으며, 1495년에 공작 작위는 막시밀리안 1세가 뷔르템베르크의 공작 에버하르트 1세에게 공작 작위를 주었다. | |
영주령 | 몽포르트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780년에 외지 외스터라이히의 일부가 되었다. | |
-- 탄하우젠 | 영주령 | 탄하우젠 (바이에른 주의 탄하우젠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인근 영역이다. |
![]() | 백국 | 1488년 이래로 튜턴 기사단의 마이나우 사령관부에게 다스려지는 후면백국이며, 1522년에 전면백국을 외지 외스터라이히에게 넘겨주었다가 1663년부터 아우어슈페르크 대공들이 소유했다. |
궁내관부 | 뉘치데르스 인근 영역이며, 1455년부터 발트부르크의 청지기가 영주권을 소유했으며, 1463년에 프리드리히 3세가 제국 자유령을 주었고, 1511년에 가계가 단절되었다. | |
궁내관부 | 이즈니 인근 트라우흐부르크 주변 영역이며, 1306년부터 발트부르크가 소유했고, 1628년부터 제국백국이었으며, 1772년에 가계가 단절되었다. | |
-- 발트부르크-셔 | 궁내관부 | 셔 성 인근 옛 프리트베르크 백국이며, 1454년부터 발트부르크조넨부르크가 소유했으며, 1511년에 발트부르크트라우흐부르크가 상속하였고, 트룬 운트 탁시스에게 넘어갔다. |
-- 발트부르크-볼페크-차일 | 궁내관부 | 로이트키르히 인근 차일 성 주변 영역이며, 발트부르크가 소유했으며, 1508년에 발트부르크트라우흐부르크로부터 볼페그와 발트제를 획득했고, 1589년에 분리되었다. |
-- 발트부르크-볼페크 | 궁내관부 | 1589년부터 발트부르크볼페그차일의 일부였으며, 1628년부터 제국백국이었고, 1667년에 다시 분리되었으며, 1798년에 단절되었다. |
-- 발트부르크-발트제 | 궁내관부 | 1667년부터 발트부르크볼페그의 일부였으며, 1798년에 발트부르크볼페그를 상속받았고, 1803년에 후국으로 성장했다. |
-- 발트부르크-차일 | 궁내관부 | 1589년부터 발트부르크볼페그차일의 일부였으며, 1628년부터 제국백국이었고, 1674년에 다시 분리되었으며, 1772년에 발트부르크트라우흐부르크를 상속하였고, 1803년에 후국으로 성장했다. |
-- 발트부르크-부르차흐 | 궁내관부 | 1674년부터 발트부르크차일의 일부였으며, 1803년에 후국으로 성장했다. |
영주령 | 헬펜슈타인 가문이 소유했으며, 1627년에 퓌르슈텐베르크와 바이에른으로 나뉘게 되었다. | |
공국 | 12세기에 비르템베르크 백국이 세워졌고, 1495년에 막시밀리안 1세가 공국으로 승격시켜주었다. |
명칭 | 유형 | 비고 |
---|---|---|
대수도원장후국 | 1376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 부흐아우 | 대수도원장후국 | 819년에 경건왕 루트비히가 세웠다. |
엘싱겐 | 대수도원장후국 | 1120년에 세워졌으며, 1485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 대수도원장후국 | 730년에 성 피르민이 세웠으며, 1007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2세에 의해 밤베르크 영주 대주교국에게 주어졌다. |
-- 구텐젤 | 대수도원장후국 | 1237년에 세워져, 1437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지기스문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대수도원장후국 | 1231년에 세워져, 1428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대수도원장후국 | 1186년에 세워졌고, 1694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 | 대수도원장후국 | 1133년에 세워졌고, 1346년 이후로 제국 수도원령이 되었다. |
![]() | 대수도원장후국 | 752년에 세워졌고, 1062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4세에게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린다우 | 대수도원장후국 | 822년에 세워졌고, 1466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대수도원장후국 | 776년에 세워졌으며, 1500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 네레스하임 | 대수도원장후국 | 1095년에 세워졌고, 오이겐발러슈타인 가문에 의해 제국 자유령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으며, 1764년에 신성 로마 제국 대법원은 제국 자유령을 승인하였다. |
대수도원장후국 | 1090년에 세워졌고, 1495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대수도원장후국 | 983년에 성 콘스탄츠의 게버하르트가 세웠고,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 | 대수도원장후국 | 1126년에 세워졌고, 1482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대수도원장후국 | 1126년에 세워졌고, 1376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 로텐뮌스터 | 대수도원장후국 | 1224년에 세워졌고, 1237년에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대수도원장후국 | 1134년에 세워졌고, 1142년에 후엔슈타우펜의 콘라트 3세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하였다. | |
대수도원장후국 | 1183년에 로트안데어로트 대수도원에 의해 세워졌고, 1440년에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다. | |
-- 죄플링겐 | 대수도원장후국 | 1258년에 딜링겐 백작들이 세웠으며, 1773년에 울름에 대항해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이스니의 성 게오르크 수도원 | 대수도원장후국 | 1096년에 세워졌고, 1781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대수도원장후국 | 1128년에 세워졌고, 1143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대수도원장후국 | 1056년에 바이에른의 벨프 1세가 세웠으며, 1274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 | 대수도원장후국 | 1145년에 세워졌으며, 1257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 사제장후국 | 1130년에 세워졌다. |
대수도원장후국 | 1089년에 세워졌고, 1750년에 뷔르템베르크로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명칭 | 유형 | 비고 |
---|---|---|
주교후국 | 11세기에 세워졌고, 15세기부터 딜링겐에 위치했다. | |
주교후국 | 585년에 세워져, 1155년에 프리드리히 1세가 제국 자유령을 승인하였으며, 1526년부터 메어스부르크에 위치했다. | |
![]() | 사제장후국 | 1460년에 엘방엔 제국 수도원의 후신으로서 세워졌다. |
제국 도시에 대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하라.
3. 1. 제국자유도시
명칭 | 정부 유형 | 비고 |
---|---|---|
제국도시 | 1360년 카를 4세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하였다. | |
제국도시 | 1276년 합스부르크의 루돌프 1세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했다. | |
제국도시 | 1281년 합스부르크의 루돌프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했다. | |
제국도시 | 1241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3세기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75년 합스부르크의 루돌프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했다. | |
제국도시 | 1351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29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360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391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 도시 | 1371년 카를 4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365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86년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 의해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 | 제국도시 | 1289년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 의해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제국도시 | 1293년 아돌프 폰 나사우에게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75년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86년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게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 도시 | 1215년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40년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20년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78년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40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434년 룩셈부르크의 지기스문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고, 1519년–1689년 간 스위스 연방에 속해있었다. | |
제국도시 | 1250년에 이래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80년 이래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400년 쯤에 제국 자유령을 승인받았다. | |
제국도시 | 12세기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86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275년 이래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300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
제국도시 | 14세기 이후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3. 2. 주교후국
명칭 | 정부 유형 | 참고 |
---|---|---|
아우구스부르크 | 주교후국 | 11세기에 세워졌고, 15세기부터 딜링겐에 위치했다. |
콘스탄츠 | 주교후국 | 585년에 세워져, 1155년에 프리드리히 1세가 제국 자유령을 승인하였으며, 1526년부터 메어스부르크에 위치했다. |
3. 3. 대수도원장후국
Reichsprälatende (Reichsabteiende)다음은 슈바벤 관구에 속한 대수도원장후국 목록이다.
명칭 | 설립 | 비고 |
---|---|---|
바인트 | 1376년 | 제국 자유령 획득 |
부흐아우 | 819년 | 경건왕 루트비히 설립 |
엘싱겐 | 1120년 | 1485년 제국 자유령 획득 |
겡겐바흐 | 730년 | 성 피르민 설립, 1007년 하인리히 2세에 의해 밤베르크 영주 대주교국에 주어짐 |
구텐젤 | 1237년 | 지기스문트에게서 제국 자유령 획득(1437년) |
헤크바흐 | 1231년 | 1428년 제국 자유령 획득 |
이르제 | 1186년 | 1694년 제국 자유령 획득 |
카이스하임 | 1133년 | 1346년 이후로 제국 수도원령 |
켐프텐 | 752년 | 1062년 하인리히 4세에게 제국 자유령 획득 |
린다우 | 822년 | 1466년 제국 자유령 획득 |
마르히탈 | 776년 | 1500년 제국 자유령 획득 |
네레스하임 | 1095년 | 오이겐발러슈타인 가문에 의해 제국 자유령에 대해 이의 제기, 1764년 신성 로마 제국 대법원은 제국 자유령 승인 |
옥센하우젠 | 1090년 | 1495년 제국 자유령 획득 |
페터스하우젠 | 983년 | 콘스탄츠의 게버하르트 설립,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 획득 |
로겐부르크 | 1126년 | 1482년 제국 자유령 획득 |
로트안데어로트 | 1126년 | 1376년 제국 자유령 획득 |
로텐뮌스터 | 1224년 |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 획득(1237년) |
잘렘 | 1134년 | 콘라트 3세가 제국 자유령 부여(1142년) |
슈센리트 | 1183년 | 로트안데어로트 대수도원에 의해 설립, 1440년 제국 자유령 획득 |
죄플링겐 | 1258년 | 딜링겐 백작 설립, 1773년 울름에 대항해 제국 자유령 획득 |
이스니의 성 게오르크 수도원 | 1096년 | 1781년 제국 자유령 획득 |
우르스베르크 | 1128년 | 1143년 제국 자유령 획득 |
바인가르텐 | 1056년 | 벨프 1세 설립, 1274년 제국 자유령 획득 |
바이세나우 | 1145년 | 1257년 제국 자유령 획득 |
베텐하우젠 | 1130년 | 사제장후국 |
츠비팔텐 | 1089년 | 1750년 뷔르템베르크로부터 제국 자유령 획득 |
3. 4. 백국 및 후국
명칭 | 유형 | 참고 |
---|---|---|
알렌 | 제국도시 | 1360년에 신성 로마 황제 카를 4세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하였다. |
아우구스부르크 | 주교후국 | 11세기에 세워졌고, 15세기부터 딜링겐에 위치했다. |
아우구스부르크 | 제국도시 | 1276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 1세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했다. |
아울렌도르프 | 영주령 | 1350년 경부터 쾨니크제그의 영주가 소유했다. |
바어 | 방백국 | 로트바일 주변 지역이며, 1283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 공작들이 소유했다. |
바덴 | 변경백국 | 1112년에 세워졌으며, 1535년부터 1771년까지 바덴두를라흐와 바덴바덴으로 나뉘었다. |
바덴바덴 | 변경백국 | 1535년부터 바덴의 일부로서, 1705년부터는 라츠슈타트에 위치했으며, 1771년에 바덴두를라흐에 넘어갔다. |
바덴두를라흐 | 변경백국 | 1535년부터 바덴의 일부이며, 1715년부터 카를스루에에 위치했다. |
바덴하흐베르크자우젠부르크 | 변경백국 | 마르크그라프럴란트 지역이며, 1503년에 바덴이 상속했다. |
바인트 | 대수도원장후국 | 1376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비베라흐안데어리스 | 제국도시 | 1281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했다. |
본도르프 | 영주령 | 1609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기 위해, 성 블라시오 수도원이 획득했다. |
보핑겐 | 제국도시 | 1241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부흐아우 | 대수도원장후국 | 819년에 경건왕 루트비히가 세웠다. |
부흐아우 | 제국도시 | 13세기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부흐호른 | 제국도시 | 1275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했다. |
콘스탄츠 | 주교후국 | 585년에 세워져, 1155년에 프리드리히 1세가 제국 자유령을 승인하였으며, 1526년부터는 메어스부르크에 위치했다. |
딩켈스뷜 | 제국도시 | 1351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에버스타인 | 백국 | 1660년에 가계가 단절되어, 뷔템베르크가 상속했다. |
에글링겐 | 영주령 | 1726년부터 트룬 운트 탁시스가 소유했다. |
에글로프스 | 영주령 | 1661년부터 아벤스베르크 백작들이 다스렸다. |
엘싱겐 | 대수도원장후국 | 1120년에 세워졌으며, 1485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엘방겐 | 사제장후국 | 1460년에 엘방엔 제국 수도원의 후신으로서 세워졌다. |
에슬링겐 | 제국도시 | 1229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푸거 | 남국 | 1507년에 옛 키르히베르크, 바이센호른 백국을 획득했고, 1511년에 막시밀리안 1세에게 귀족 작위를 부여받았으며, 1530년에는 세습 제국 백작 작위를 얻었다. |
퓌르스텐베르크 | 백국 | 여러 영토를 지녔으며, 1218년에 베르히톨트 5세 폰 체링겐의 유산을 통해 세워졌고, 1441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바르에 속했다. |
퓌르스텐베르크블룸베르크 | 백국 | 1559년부터 분리되었다가, 1614년에 다시 합쳐졌다. |
퓌르스텐베르크메스키르히 | 백국 | 1614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블룸베르크에서 분리되었다가, 1716년에 공국으로 성장했고, 1744년에 퓌르스텐베르크퓌르스텐베르크에 상속되었다. |
퓌르스텐베르크슈튈링겐 | 백국 | 1614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블룸베르크에서 분리되었다가, 다시 퓌르스텐베르크퓌르스텐베르크와 퓌르스텐베르크바이트라끼리 합쳐졌다. |
퓌르스텐베르크하일리겐베르크 | 백국 | 1559년부터 분리되었다가, 1664년에 공국으로 성장했고, 1744년에 퓌르스텐베르크퓌르스텐베르크에 상속되었다. |
겡겐바흐 | 대수도원장후국 | 730년에 성 피르민이 세웠으며, 1007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2세에 의해 밤베르크 영주 대주교국에게 주어졌다. |
겡겐바흐 | 제국도시 | 1360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깅엔안더브렌츠 | 제국도시 | 1391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군델핑겐 | 영주령 | 1507년에 바덴이 차지했다. |
구텐젤 | 대수도원장후국 | 1237년에 세워져, 1437년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지기스문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하우젠 | 영주령 | 보이론 인근 하우젠 성 인근 지역이며, 1682년에 푸거가 차지했고, 1735년에 카스텔이 획득했다. |
헤크바흐 | 대수도원장후국 | 1231년에 세워져, 1428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하일브론 | 제국 도시 | 1371년에 카를 4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하일리겐베르크 | 백국 | 1535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 백작이 소유했다. |
호에넴스 | 백국 | 1560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페르디난트 1세에게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고, 1765년에 합스부르크 가문이 차지했다. |
호헨게롤트제크 | 백국 | 948년부터 1636년까지 팔츠 백작들이 소유했고, 1711년부터 제국 백작들의 것였다가 1807년부터 라이엔 가문이 차지했으며, 1806년에 라이엔 공국이 얻었다. |
호헨회벤 | 영주령 | 1415년에 세워져, 1582년에 파펜하임 공국이 슈튈링엔과 함께 획득했으며, 1639년에 퓌르스텐베르크슈튈링엔이 차지했다. |
호엔촐레른 | 백국 | 11세기에 촐레른 백국이 세워졌고, 1576년에 분리되었다. |
호엔촐레른헤힝겐 | 백국 | 1576년부터 호엔촐레른의 일부였고, 1623년에 공국으로 성장했다. |
호엔촐레른하이게를로흐 | 백국 | 옛 하이게를로흐 영주령으로서, 1576년에 호엔촐레른의 일부였고, 1767년에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가 상속했다. |
호엔촐레른지크마링겐 | 백국 | 1576년부터 호엔촐레른의 일부였고, 1623년에 공국으로 성장했다. |
이르제 | 대수도원장후국 | 1186년에 세워졌고, 1694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이스니 | 제국도시 | 1365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유스팅겐 | 영주령 | 셸클링겐 인근 유스팅겐 성 주변의 영역이며, 1751년에 뷔템베르크가 획득했다. |
카이스하임 | 대수도원장후국 | 1133년에 세워졌고, 1346년 이후로 제국 수도원령이 되었다. |
카우프보이렌 | 제국도시 | 1286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 의해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켐프텐 | 대수도원장후국 | 752년에 세워졌고, 1062년에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4세에게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켐프텐 | 제국도시 | 1289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 의해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킨지히탈 | 영주령 | 볼파흐 인근 지역이며, 1291년 이후로 퓌르스텐베르크가 소유했다. |
클레트가우 | 방백국 | 줄츠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698년에 슈바르첸베르크 가문이 획득했다. |
쾨니크제그 | 영주령 | 구겐하우젠 인근 지역이며, 1565년에 로텐펠스의 제국 백작이 획득했고, 1621년부터 남국이 되었다가, 1622년에 분리되었다. |
쾨니크제그아울렌도르프 | 영주령 | 1622년부터 쾨니크제그의 일부였으며, 1629년부터 제국백국이 되었다. |
쾨니크제그로텐펠스 | 영주령 | 1622년부터 쾨니크제그의 일부였으며, 1629년부터 제국백국이 되었다. |
로이트키르히 | 제국도시 | 1293년에 아돌프 폰 나사우에게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리히텐슈타인 | 후국 | 옛 파두츠 백국과 셸렌베르크 영주령의 영역이며, 1510년에 줄츠와 클레트가우의 백작들이 획득했으며, 1613년에 호에넴스에 매각하였고, 1699년(셸렌베르크)과 1712년(파두츠)에 리히텐슈타인 가에 매각되었다. |
린다우 | 대수도원장후국 | 822년에 세워졌고, 1466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린다우 | 제국도시 | 1275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마이나우 | 사령관부 | 1272년 이후로 튜턴 기사단이 소유한 행정지이다. |
마르히탈 | 대수도원장후국 | 776년에 세워졌으며, 1500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메밍겐 | 제국도시 | 1286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게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메스키르히 | 영주령 | 1354년부터 치메른의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594년에 헬펜슈타인 가문의 소유가 되었고, 1627년부터 퓌르스텐베르크메스키르히의 영토가 되었다. |
민델하임 | 영주령 | 1467년부터 프룬즈베르크 가문이 소유했으며, 1586년에 바이에른 공국에게 넘어갔고, 1705년부터 1714년까지 민델하임의 대공으로서 제1대 말버러 공작 존 처칠가 소유했다. |
네레스하임 | 대수도원장후국 | 1095년에 세워졌고, 오이겐발러슈타인 가문에 의해 제국 자유령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으며, 1764년에 신성 로마 제국 대법원은 제국 자유령을 승인하였다. |
뇌르틀링겐 | 제국 도시 | 1215년에 호엔슈타우펜 가문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옥센하우젠 | 대수도원장후국 | 1090년에 세워졌고, 1495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오에팅겐 | 백국 | 1522년에 분열되었다. |
오에팅겐오에팅겐 | 백국 | 1522년부터 오에팅겐의 일부였으며, 1674년에 후국으로 성장했고, 1731년에 가계가 단절되었다. |
오에팅겐발러슈타인 | 백국 | 1522년부터 오에팅겐의 일부였으며, 1774년에 후국으로 성장했다. |
오에팅겐슈필베르크 | 백국 | 1623년부터 오에팅겐발러베르크의 일부였으며, 1734년에 후국으로 성장했다. |
오펜부르크 | 제국도시 | 1240년에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페터스하우젠 | 대수도원장후국 | 983년에 성 콘스탄츠의 게버하르트가 세웠고,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풀렌도르프 | 제국도시 | 1220년에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라벤스부르크 | 제국도시 | 1278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로틀링겐 | 제국도시 | 1240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로겐부르크 | 대수도원장후국 | 1126년에 세워졌고, 1482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로트안데어로트 | 대수도원장후국 | 1126년에 세워졌고, 1376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로텐펠스 | 백국 | 임멘슈타트 인근 지역으로 1332년부터 몽포르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565년에 쾨니크제그가 획득했다. |
로텐뮌스터 | 대수도원장후국 | 1224년에 세워졌고, 1237년에 호엔슈타우펜의 프리드리히 2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로트바일 | 제국도시 | 1434년에 룩셈부르크의 지기스문트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고, 1519년–1689년 간 스위스 연방에 속해있었다. |
잘렘 | 대수도원장후국 | 1134년에 세워졌고, 1142년에 후엔슈타우펜의 콘라트 3세가 제국 자유령을 부여하였다. |
슈센리트 | 대수도원장후국 | 1183년에 로트안데어로트 대수도원에 의해 세워졌고, 1440년에 제국 자유령을 부여받았다. |
슈베비슈그뮌트 | 제국도시 | 1250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슈베비슈할 | 제국도시 | 1280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지킹겐 | 영주령 | 크라이히가우 일대 영역이며, 제국 기사인 프란츠 폰 지킹겐의 후임자들이 소유했으며, 1606년부터 남국, 1790년부터는 제국백국이었다. |
죄플링겐 | 대수도원장후국 | 1258년에 딜링겐 백작들이 세웠으며, 1773년에 울름에 대항해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이스니의 성 게오르크 수도원 | 대수도원장후국 | 1096년에 세워졌고, 1781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슈타디온 | 백국 | 1705년에 탄하우젠의 영주권(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탄하우젠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을 사들이면서 제국 자유령에 들어갔고, 1741년에 슈타디온탄하우젠과 슈타디온바르타우젠으로 분리되었다. |
슈타우펜 | 영주령 | 슈타우펜 남작 (호엔슈타우펜 가문과는 관련 없음)이 소유했으며, 1602년에 가계가 단절되어, 외지 외스터라이히의 일부가 되었다가, 1738년에 성 블라시오 수도원이 획득했다. |
슈튈링엔 | 방백국 | 1251년부터 루펜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582년에 가계가 단절되어, 파펜하임이 획득하였고, 1639년에 퓌르슈텐베르그슈튈링겐으로 넘어갔다. |
테크 | 공국 | 옛 체링겐 가문의 방계 가문이고, 1439년에 가계가 단절되었으며, 1495년에 공작 작위는 막시밀리안 1세가 뷔르템베르크의 공작 에버하르트 1세에게 주었다. |
테트낭 | 영주령 | 몽포르 백작들이 소유했으며, 1780년에 외지 외스터라이히의 일부가 되었다. |
탄하우젠 | 영주령 | 탄하우젠 (바이에른 주의 탄하우젠과 혼동하지 않도록 주의) 인근 영역이다. |
텡겐 | 백국 | 1488년부터 튜턴 기사단의 마이나우 사령관부에게 다스려지는 후면백국이며, 1522년에 전면백국을 외지 외스터라이히에게 넘겨주었다가 1663년부터 아우어슈페르크 대공들이 소유했다. |
위버링엔 | 제국도시 | 1400년 경에 제국 자유령을 승인받았다. |
울름 | 제국도시 | 12세기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우르스베르크 | 대수도원장후국 | 1128년에 세워졌고, 1143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발트부르크조넨부르크 | 궁내관부 | 뉘치데르스 인근 영역이며, 1455년부터 발트부르크의 청지기가 영주권을 소유했으며, 1463년에 프리드리히 3세가 제국 자유령을 주었고, 1511년에 가계가 단절되었다. |
발트부르크트라우흐부르크 | 궁내관부 | 이즈니 인근 트라우흐부르크 주변 영역이며, 1306년부터 발트부르크가 소유했고, 1628년부터 제국백국이었으며, 1772년에 가계가 단절되었다. |
발트부르크셔 | 궁내관부 | 셔 성 인근 옛 프리트베르크 백국이며, 1454년부터 발트부르크조넨부르크가 소유했으며, 1511년에 발트부르크트라우흐부르크가 상속하였고, 트룬 운트 탁시스에게 넘어갔다. |
발트부르크볼페크차일 | 궁내관부 | 로이트키르히 인근 차일 성 주변 영역이며, 발트부르크가 소유했으며, 1508년에 발트부르크트라우흐부르크로부터 볼페그와 발트제를 획득했고, 1589년에 분리되었다. |
발트부르크볼페크 | 궁내관부 | 1589년부터 발트부르크볼페그차일의 일부였으며, 1628년부터 제국백국이었고, 1667년에 다시 분리되었으며, 1798년에 단절되었다. |
발트부르크발트제 | 궁내관부 | 1667년부터 발트부르크볼페그의 일부였으며, 1798년에 발트부르크볼페그를 상속받았고, 1803년에 후국으로 성장했다. |
발트부르크차일 | 궁내관부 | 1589년부터 발트부르크볼페그차일의 일부였으며, 1628년부터 제국백국이었고, 1674년에 다시 분리되었으며, 1772년에 발트부르크트라우흐부르크를 상속하였고, 1803년에 후국으로 성장했다. |
발트부르크부르차흐 | 궁내관부 | 1674년부터 발트부르크차일의 일부였으며, 1803년에 후국으로 성장했다. |
방겐 | 제국도시 | 1286년에 합스부르크의 루돌프에게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바일 | 제국도시 | 1275년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바인가르텐 | 대수도원장후국 | 1056년에 바이에른의 벨프 1세가 세웠으며, 1274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바이세나우 | 대수도원장후국 | 1145년에 세워졌으며, 1257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베텐하우젠 | 사제장후국 | 1130년에 세워졌다. |
비젠슈타이크 | 영주령 | 헬펜슈타인 가문이 소유했으며, 1627년에 퓌르슈텐베르크와 바이에른으로 나뉘게 되었다. |
빔펜 | 제국도시 | 1300년에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뷔르템베르크 | 공국 | 12세기에 비르템베르크 백국이 세워졌고, 1495년에 막시밀리안 1세가 공국으로 승격시켜주었다. |
첼암하르머스바흐 | 제국도시 | 14세기 이후로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츠비팔텐 | 대수도원장후국 | 1089년에 세워졌고, 1750년에 뷔르템베르크로부터 제국 자유령을 얻었다. |
3. 5. 영주령 및 기타
4. 행정
슈바벤 관구의 책임자는 콘스탄츠 주교 (1803년 독일의 병합화 이후 바덴의 변경백으로 대체)와 뷔템베르크 공작들이였으며, 관구 의회 회의는 일반적으로 울름의 제국 도시에서 열렸다. 주로 다량의 아주 작은 소국들로 쪼개져있었음에도 슈바벤 관구는 효과적인 행정을 해냈으며, 동쪽으로부터 프랑스의 확장을 고려하여, 1694년부터 켈 요새를 기반으로 하는 자체 군대를 유지하기도 했다.
1792년 슈바벤 관구는 88개의 소속 국가로 이뤄졌으며, 이중 뷔템베르크 공국, 바덴 변경백국, 아우구스부르크 주교국만이 주 핵심 국가였다. 신성 로마 제국 사절회의 주요 결의안은 회원국들을 41개국, 1806년 라인 동맹은 7개국(해당 영토는 바이에른의 소유가 되었다)으로 감소시켰다.
5. 해체
1792년 기준 슈바벤 관구는 88개의 영토로 구성되었으며, 이 중 뷔르템베르크 공작령 (후에 왕국), 바덴 변경백령(후에 대공국), 아우크스부르크 주교국만이 중요했다. 제국 대표단 결의에 따라 그 수는 41개로 줄었고, 1806년 라인 동맹 결성으로 7개로 감소했다(이 영토는 바이에른에 귀속).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